반응형
단재 신채호(1880 - 1936)
- 고대사 연구에 치중하여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을 마련
- 대륙사관 완성(단군~부여, 고구려~발해 고대사 체계 완성)
- 조선사연구초에서 묘청의 난을 낭가사상의 대표로 인정하며 민족사관 정립.
- 조선상고사(1931)에서 역사는 아와 비아의 투쟁 정의
- 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을 연재하여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방향 제시
- 을지문덕전, 최도통전, 이순신전 등 영웅위인전 저술
- 의열단 선언문으로 조선혁명선언 채택.
- 국민대표회의 창조파
- 1925년 이후 무정부주의자로 전향하여 외교론, 준비론, 문화운동론, 자치론 모두 부정
-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 항일 논설 발표
신채호 두문자 암기
● 신생아 사청가
신 신채호
생(상) 조선상고사
아 아 , 비아
사 조선사 연구회
청 묘청 극찬
가 낭가사상
기출 문제
Q 다음 자료를 쓴 역사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 사회의 아와 비아의 투쟁이 시간부터 발전하며 공간부터 확대하는 심적 활동의 상태의 기록이니, 세계사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라 하면 조선 민족의 그리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니라. |
① 「여유당전서」를 발간하여 조선후기 실학자들을 재평가하였다.
② 을지문덕, 최영, 이순신 등 애국명장의 전기를 써서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③ 「조선사회경제사」를 저술하여 세계사적 보편성 속에서 한국사를 해석하였다.
④ ‘5천 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여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해설】 정답 ②
자료의 ‘아와 비아의 투쟁’이라는 구절에서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임을 알 수 있다. 신채호는 구한말에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이태리 건국 삼걸전」 등의 영웅 전기와 외국 역사를 저술하였고, 아울러 1908년에는 대한매일신보에 ‘독사신론’을 발표하였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사 연구초」, 「조선상고사」 등을 저술하였다.
[오답체크] ① 정약용, ③ 백남운, ④ 정인보에 대한 설명이다. (신생아사청가)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
- 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