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

공무원 한국사 기출 문제 모음[조선] #03

Jobs9 2024. 9. 21. 06:09
반응형

공무원 한국사 기출 문제 모음[조선] 

 

 Q  (가)∼(라)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① (가)-현량과를 실시하였다. 
② (나)-무오사화와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③ (다)-두 차례에 걸친 예송이 일어났다. 
④ (라)-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해설】 정답 ③
(다)의 효종과 영조 사이의 왕은 다음과 같다.     '1차 기해 서인 주자가례 왕사동례 1년설=기년설' 
현종 - 숙종 - 경종 , 여기서 예송논쟁은 현종과 숙종때 있었다.  갑인 남인 1년 기년설 달라(왕사부동례) 국조오례
1차 예송 = 기해예송 : 현종때 사건 (효종 죽고난뒤 상복문제 - 1년설 채택) 일기서주자 동네일기
2차 예송 = 갑인예송 : 현종때 사건 (효종비 죽고난뒤 상복문제 - 1년설 채택) 갑남일기 달라 오례
① 현량과는 중중반정 이후에 조광조의 주장으로 실시한 것이다. (나)시기의 것이다. 
② 두 개의 사화는 연산군의 시기이다 (가)시기이다.
③ 예송논쟁은 효종이 죽고난 뒤 생긴 문제이다. 

효종은 장남이 아니고 차남이기에 이를 둘러싼 상복 문제가 생겼다. 
*예송 논쟁 예송이란 예(禮)에 관한 논쟁. 예송은 주로 왕이 죽었을 때, 왕의 생모 또는계 모가 상복을 몇 년 입을 것인가가 주된 쟁점이었다. 일반적으로 어머니보다 장남이 먼저 죽었을 때, 어머니는 3년 상복을 입고, 차남부터는 1년 상복을 입는다. 장남은 종통의 계승자이기 때문에 차등을 둔 것이다.
④ 1791년 정조때이다. 신해통공이란 18세기 중엽 유통질서의 문란을 개혁하기 위해 금난전권을 폐지하고 자유롭게 매매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고 1791년에 채제공의 주창으로 30년 이내에 설치된 시전을 폐지하고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도고권을 폐지하게 되었다. 이 정책을 '신해통공'이라 한다. 
'정조 - 서초구 거상 윤건 화장대 만행 수! '

 




 Q  군사제도가 실시된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중앙   지방
㉠  9서당   10정
㉡  5위      진관체제
㉢  5군영   속오군
㉣  2군과 6위  주현군과 주진군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해설】 정답 ②
㉠ 통일 신라 → ㉣ 고려 → ㉡ 조선 전기 → ㉢ 조선 후기


● 군사제도

  삼국 남북국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원칙

특징
1)국민개병제
2)국왕이 군사지휘권의
행사(일원적 통치체제)
‧국민개병제 1)국민개병제
2)이원조직
1)양인개병제(현직관리와 학생만 면제,종친,외척,
공신․고급관리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2)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특수군으로 편제
1)모병제,상비군,용병제(직업군인)
2)양인개병제,농병일치제의 붕괴(16세기이후)

중앙군 1)고구려
:대모달,말객 등이 지휘


2)백제
:각 부에 500명의 배치


3)신라
①사자대:특수부대
②위병:수도의 방위
③서당:모병

1)통‧신:9서당(신문왕)
①구성:고구려+백제+신라
+보덕국+말갈족
②특징:이민족의 포함
③목적
㉠민족융합
㉡피지배층의 회유․견제
2)발해:10위
-대장군,장군이 지휘
‧2군 6위
①구성
㉠2군:국왕의 친위부대
㉡6위
-수도의 경비,국경의 방어
-상장군,대장군이 지휘
②자손에게 역의 세습,정치적 성격
③직업군인,군인전의 지급
④무신으로의 신분 상승이 가능
⑤공사에 동원,군인전의 미지급→ 몰락,도망→일반 농민군으로 충원
⑥결원 때 향리,농민,천민,한인의
자제로 보충
*중방
①무관의 합좌기관
→무신정변 이후 권력의 중추기구
②2군 6위의 상․대장군이 참여
1)5위
①문반관료가 지휘 책임
②구성
㉠갑사:간단한 시험으로 선발,직업군인
㉡정군:의무병,5위의 중심
2)특수병


※군역의 편성
1)정군(정병)
①의무병,현역군인,교대로 복무
②서울에서 근무,국경 요충지에 배속
③품계와 녹봉을 받기도 함
2)보인(봉족):정군의 비용 부담
‧5군영
①배경
㉠대립제의 일반화(16세기 이후)
㉡임진왜란의 초기 패전→새로운 군대의 필요성 절감
②성격
㉠일률적으로 편성된 것이 아님(상비병,정군의 번상)
㉡임기응변으로 설치,서인정권의 군사적 기반으로 설치
③구분
㉠훈련도감(1593)
ⓐ왜진왜란 중에 유성룡의 건의로 기효신서를 참조하여 설치
ⓑ중앙의 핵심군영
삼수병으로 편성
-기존의 사수(활),살수(창) 외에 포수(조총으로 무장)를 만듬
-일정한 급료(군포,삼수미세:1결당2.2두)를 받는 상비군
-직업군인(장번급료병)의 성격
㉡총융청(인조,1624):이괄의 난을 계기로 북한산성에 설치
→서울, 경기의 경비 강화
㉢수어청(인조,1626)):남한산성에 설치
→광주와 부근의 제진 정비
㉣어영청(효종,1652):북벌계획에 의해 설치, 정군이 교대로 번상
㉤금위영(숙종,1682)
ⓐ도성의 수비를 위해 정병(기병)과 훈련도감군의 일부를 주축으로 설치
ⓑ어영청과 함께 기병과 보병으로 구성,번상병
지방군 1)백제:방령이 700~1200
명을 지휘
2)신라:정(6정)
①부족적 전통
②군주가 통솔
1)통‧신:10정
①각 주에 1정,한산주에 2정
②골래근정(여주),남천정(이천),
거사물정(임실),미다부리정(나주),
고량부리정(청양),벌력천정(홍천),
이화혜정(청송),삼량화정(달성),
소삼정(함안),음리화정(상주)
2)발해
①농병일치,촌락단위로 조직
②지방관이 지휘
1)주현군(5도)
①정용군,보승군,일품군
②자기의 토지 경작,노역에 동원
③외적의 방어,치안의 유지
2)주진군(양계)
①초군,좌군,우군
②국경의 수비 전담
③도령이 최고 지휘관
3)특징:국방적 성격,의무병
‧영진군
①육군(병영)과 수군(수영)으로 구분
→영, 진에 소속되어 복무
②수군은 힘들고 위험하여 기피
③정군을 기간으로 편성
④일부는 교대로 수도에 복무
→중앙군과 지방군의 교류 가능
⑤지방관이 군사지휘권의 행사
(관찰사:병마․수군절도사의 겸임)

‧속오군
①양반부터 노비까지 편제
→양반이 노비와 함께 편제되는 것을 회피(상민과 노비만 남음)
②경비를 자비로 충당
③신분제의 동요
④농민의 포함→농민의 부담 증가
⑤평상시에는 생업에 종사,적이 침입해 오면 전투에 동원
⑥중앙군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음(총융청,수어청)
특수군   1)5주서
2)만보당
1)광군(정종):거란족의 방어
2)별무반(윤관):여진족의 정벌
3)삼별초(최우):최씨정권의 사병
4)연호군:양천혼성부대,농민의 포함
‧잡색군
①예비군의 일종→유사시에 향토방위
②서리,잡학인,신량역천인,노비 등이 소속
(농민은 제외)
 
방위
체제
   

※ 조선전기:교통․통신체계과
아울러 정비→국방과 중앙집권적
행정운영이 수월함
1)봉수제의 정비:군사적인
위급사태의 전달
2)역참의 설치:물자수송과 통신을
위함

1)진관체제(세조 이후)
┊①전국의 군현을 지역단위의 방위체제로 편성
┊②병영(병사가 지휘)→거진(수령이 통제)
┊③대단위 외적의 침입시 방어에 불합리
⇣④행정와 군사의 일원화
2)제승방략체제(16세기 후반) ┈┈┈┈┈┈
①필요한 방어지역에 각 지역의 병력 집결
②중앙에서 파견된 장수가 지휘
③임진왜란 중에 효과를 거두지 못함










⇢진관의 복구
→속오법에 따라 군대를 편제하는 속오군체제의 정비






 Q  다음 글을 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오늘날 백성을 다스리는 자는 백성에게서 걷어들이는 데만 급급하고 백성을 부양하는 방법은 알지 못한다. … ‘심서(心書)’라고 이름 붙인 까닭은 무엇인가? 백성을 다스릴 마음은 있지만 몸소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붙인 것이다. 


①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지전설을 주장하였다. 
② 「농가집성」을 펴내 이앙법 보급에 공헌하였다. 
③ 홍역 관련 의서를 종합해 「마과회통」을 저술하였다. 
④ 조선시대의 역사를 서술한 「열조통기」를 편찬하였다. 

【해설】 정답 ③
제시된 자료는 정약용의 「목민심서」이다. 
[오답체크] ① 김석문, ② 신속에 대한 설명이다. 
④ 「열조통기」는 안정복이 조선 태조부터 영조까지의 역사를 국왕별로 기록한 것이다.

 




 Q  조선시대 도성 한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복궁 근정전의 이름은 정도전이 지었다. 
② 경복궁의 동쪽에 사직이, 서쪽에 종묘가 각각 배치되었다. 
③ 유교사상인 인・의・예・지 덕목을 담아 도성 4대문의 이름을 지었다. 
④ 도성 밖 10리 안에는 개인의 무덤을 쓰거나 벌채를 하지 못하도록 규제하였다. 

【해설】 정답 ②
② 동쪽과 서쪽이 서로 바꾸었다. ‘좌묘우사’는 경복궁의 좌측에 종묘를, 우측에 사직단을 배치한다는 의미인데, 여기서 좌(左)와 우(右)는 궁궐에 앉아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는 국왕의 입장에서 한 구분이므로, 좌(左)는 동쪽・우(右)는 서쪽을 의미한다.
① 경복궁 근정전(勤政殿)은 경복궁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왕의 즉위식이나 과거시험, 사신 접대 등 의식과 행사가 열린 곳이다. ‘근정(勤政)’은 부지런하게 정치하라는 뜻으로 정도전이 지은 것이다.
③ 흥인지문(동대문), 돈의문(서대문), 숭례문(남대문), 숙정문=소지문(북대문)의 이름에 인・의・예・지 덕목이 담겨 있다. 
④ 도성(수도) 안에는 무당이나 승려가 살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도성 밖 10리를 성저십리(城底十里)라 하여 개인의 무덤으로 쓰거나 벌채를 하지 못하도록 규제하였다.

 




 Q  밑줄 친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왕이 말했다. “나는 일찍부터 이 제도를 시행해 여러 해의 평균을 파악하고 답험(踏驗)의 폐단을 영원히 없애려고 해왔다. 신하들로부터 백성까지 두루 물어보니 반대하는 사람은 적고 찬성하는 사람이 많았으므로 백성의 뜻도 알 수 있다.”


①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조세를 차등 징수하였다. 
② 풍흉에 상관없이 1결당 4~6두를 조세로 징수하였다. 
③ 토지 소유자에게 1결당 미곡 12두를 조세로 징수하였다. 
④ 토지 소유자에게 수확량의 10분의 1을 조세로 징수하였다. 

【해설】 정답 ① 
제시된 자료는 세종이 답험손실법을 폐지하고 공법을 실시하는 내용으로, 공법은 연분 9등법과 전분 6등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답체크] ② 영정법, ③ 대동법, ④ 과전법에 대한 설명이다.
'조영 공대 역균'

● 조세
(1) 15세기: 과전법 → 공법(전분6등법·연분9등법)  
(2) 16세기: 최저세율 관행  
(3) 17세기(양란 이후) : 정법(인조1635년 시행, 1결당 4두. 영정사진 4死자) ← 연분9등법 폐기 

● 공납
(1) 15세기: 중앙 ↹ 군현 ↹ 호戶(토산품)  
(2) 16세기: 중앙 ↹ 군현 ↹ 호戶(방납의 폐단) → 수미법 건의 → 실패  
(3) 17세기(양란이후): 동법(1608년 시행, 1결당 12두) 대동제 12월 
★대동법 실시 
대동법:기존의 특산물 납부 대신에 쌀(미,포,전)로 납부 선혜청 
호(戶)에서 토지로 기준 변화. 상공에 한함(별공이나 진상은 예외) 
공인 등장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자본주의 시스템  
※대동법은 광해군 때(1608년) 경기도 지역에 한해 실시된 이후 전국적으로 실시까지 100년 

● 역
(1) 15세기: 군역의 요역화  
(2) 16세기: 대립제·방군수포제 → 군적수포제(1년 2필)  균역 균등하게 1년1필 
(3) 17세기:(양란 이후): 역법(1750년 시행, 1년 1필, 양반면제)  
→ 재정확보책 (결작: 1결당 2두 / 선무군관포 / 어장세·염세·선박세) 

★ 조세의 전세화·금납화: 자본주의, 합리적 사회로 가는 과정   
1. 조선 후기 토지의 생산력이 증가 → 조세(1결당 4두, 공납(1결당 12두), 역(결작, 1결당 2두) 등 세금 부과 대상이 토지로 집중 → 조세의 전세화(田稅化)  
2. 생산력 증대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조세의 금납화(金納化)


 




 Q  다음 지시에 따라 실시된 제도로 옳은 것은?


왕이 양역을 절반으로 줄이라고 명령했다. “ … 호포(戶布)나 결포(結布) 모두 문제가 있다. 이제 1필을 줄이는 것으로 온전히 돌아갈 것이니 경들은 1필을 줄였을 때 생기는 세입 감소분을 보충할 방법을 강구하라.”


① 지조법을 시행하고 호조로 재정을 일원화하였다. 
② 토산물로 징수하던 공물을 쌀이나 무명, 동전 등으로 통일하였다. 
③ 황폐해진 농지를 개간하도록 권장하고 전국적인 양전 사업을 시행하였다. 
④ 일부 양반층에게 선무군관이라는 칭호를 주고 군포 1필을 납부하게 하였다. 

【해설】 정답 ④
영조가 실시한 균역법에 관한 문제이다. 
[오답체크] ① 갑신정변 때 개화당의 주장이다. ② 대동법에 대한 설명이다. ③ 양전(量田)은 토지를 측량하여 
양안에 기록하는 사업이므로 군포 부담을 줄여주는 균역법 실시와 관련이 없다.
역의 변화  
(1) 15세기: 군역의 요역화 
(2) 16세기: 대립제·방군수포제 → 군적수포제(1년 2필)  균역 균등하게 1년1필
(3) 17세기:(양란 이후): 균역법(1750년 시행, 1년 1필, 양반면제) 
→ 재정확보책 (결작: 1결당 2두 / 선무군관포 / 어장세·염세·선박세)
★ 조세의 전세화·금납화: 자본주의, 합리적 사회로 가는 과정  
1. 조선 후기 토지의 생산력이 증가 → 조세(1결당 4두, 공납(1결당 12두), 역(결작, 1결당 2두) 등 
세금 부과 대상이 토지로 집중 → 조세의 전세화(田稅化) 
2. 생산력 증대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조세의 금납화(金納化)





 Q  임진왜란의 전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휴전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조선은 훈련도감을 설치해 군대의 편제를 바꾸었다. 
② 조선군은 명나라 지원군과 연합하여 일본군에게 뺏긴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③ 전세가 불리해지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일본군이 철수함으로써 전란이 끝났다. 
④ 첨사 정발은 부산포에서, 도순변사 신립은 상주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지만 패배하였다. 

【해설】 정답 ④
첨사 정발이 부산포에서 패배한 것은 맞지만, 도순변사 신립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  충신선의 옥사당한 이순신 진주에서 양주를 피토하며 명노
충 충주 전투
신 신립
선 선조
의 의주피난
옥 옥포해전
사 사천포
당 당포
한 한산도
이순신

주 진주대첩 김시민 전사
양 평양성전투
주 행주대첩 권율
피 진주혈전 패배
명 명량
노 노량

 




 Q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는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 왕조를 개창한 공으로 개국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의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재상 중심의 관료정치를 주창하였다. 그리고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의 사회적 폐단을 비판하였다.


①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였다. 
② 백성들의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다. 
③ 여진족을 두만강 밖으로 몰아내고 6진을 개척하였다. 
④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왕조의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다. 

【해설】 정답 ④
제시문의 그는 조선 건국 직후의 ‘정도전’이다. 그는 조선의 통치규범의 마련과 조선의 나라를 설계한 사람이다. 그것의 구체적 증거는 법률정비의 일환으로 조선경국전이다. 
① ② ③ 세종
  정도전 저서 - 삼진경고불조심
삼봉집 진법서 경제문감 고려국사 불씨잡변 조선경국전 심기리편

 



 Q  다음의 자료에 보이는 시기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황해도 관찰사의 보고에 따르면, 수안군에는 본래 금광이 다섯 곳이 있었다. 올해 여름에 새로 39개 소의 금혈을 뚫었는데, 550여 명의 광꾼들이 모여들었다. 도내의 무뢰배들이 농사를 짓지 않고 다투어 모여들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 이익을 좇는 무리들도 소문을 듣고 몰려온다. …(중략)… 금점을 설치한 지 이미 여러 해가 된 곳에는 촌락이 즐비하고 상인들이 물품을 유통시켜 큰 도회지를 이루고 있다.


① 밭농사에서는 견종법이 보급되었다.
② 면화, 담배 등 상품 작물을 재배하였다. 
③ 일부 지방에서 도조법으로 지대를 납부하였다. 
④ 개간을 장려하기 위해 사패전을 부농층에 분급하였다. 

【해설】 정답 ④
제시문은 조선 후기 무렵 민간의 광업의 내용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상황이 아닌 것을 고르면 된다. 
④에서 ‘사패전’은 고려말 조선초의 공신에게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①②③ 모두 조선 후기의 상황이다.
    ․광업의 민영화 경향 (17세기)
      - 설점수세제設店收稅法 실시 → 별장別將에 의해 대행
    ․별장제別將制 폐지 → 수령수세제守令收稅制 실시 (18세기)
      - 덕대 : 상업 자본가인 物主에 의해 광산운영이 크게 발달

 

 




 Q  다음 제도가 실시된 시대의 통치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6조는 각기 모든 직무를 먼저 의정부에 품의하고, 의정부는 가부를 헤아린 뒤에 왕에게 아뢰어 (왕의) 전지를 받아 6조에 내려 보내어 시행한다. 다만 이조,병조의 제수, 병조의 군사업무, 형조의 사형수를 제외한 판결은 종래와 같이 각 조에서 직접 아뢰어 시행하고 곧바로 의정부에 보고한다.


① 모든 군현에 수령이 파견되었다.
② 국립대학인 주자감이 수도에 설치되었다.
③ 삼사는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담당하였다.
④ 5품 이상 고위 관리의 자손에게는 음서의 특혜가 주어졌다.

【해설】 정답 ①
자료는 조선 세종 때 시행된 의정부 서사제로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보여준다.
① 조선 태종 무렵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련하면서 속현은 완전히 소멸되었다. 
② 주자감은 발해의 국립대학으로 문왕 때 설립하여 유교 경전을 교육하였다. 
③ 고려 삼사는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담당하였고 조선 시대의 삼사는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으로 언론과 학술을 담당하였다. 
④ 5품 이상 고위 관리 자손에게 음서의 특혜를 주었으나 조선 시대에는 2품 이상으로 축소되고 승진에도 제한

 




 Q  다음 자료는 예송의 전개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가), (나) 세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가)는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를 폈다.
② (가)는 숙종 때 노론과 소론으로 분화되었다.
③ (나)의 주장은 1차 , 2차 예송에서 모두 채택되었다.
④ 이 논쟁 직후 (나)에 의해 사화가 발생하여 정국이 혼란해졌다.

【해설】 정답 ②
자료의 (가)는 서인, (나)는 남인이다. 
② 숙종 때 경신환국(1680)을 계기로 서인은 남인에 대한 처리 문제와 정책 수립 과정에서 노론(송시열)과 소론(윤증)으로 분화되었다. 
① 광해군 때 명과후금 사이에 중립 외교를 펼쳤던 붕당은 북인이다.
③ 남인의 주장은 2차 예송인 갑인예송 때 1년설(기년설)이 채택되었다. 일기서주자 동네일기
④ 사화는 훈구파와 사림세력 간의 대립으로 연산군에서 명종 때 있었다. 갑남일기 달라 오례
1차 기해 서인 주자가례 왕사동례 1년설=기년설
갑인 남인 1년 기년설 달라(왕사부동례) 국조오례

 




 Q  다음 주장을 한 국왕이 추진한 정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내가 일찍이 송도에 있을 때 의정부를 없애자는 의논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겨를이 없었다. 지난 겨울에 대간에서 작은 허물로 인하여 의정부를 없앨 것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았었다. 지난번에 좌정승이 말하기를 “중국에도 승상부가 없으니 의정부를 폐지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내가 골똘히 생각해보니 모든 일이 내 한 몸에 모이면 결재하기가 힘은 들겠지만, 임금인 내가 어찌 고생스러움을 피하겠는가. 


① 경연을 폐지하였다.  ② 집현전을 설치하였다.
③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④ 경국대전을 편찬하였다.

【해설】 정답 ③
조선 태종 때 의정부를 완전히 혁파하고 6조 직계제를 실시한 내용이다. 
③ 태종은 양인의 수를 확보하여 국역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호적제도와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① 경연 제도는 왕과 신하가 학문적 교류를 통해 왕의 학덕을 배양하는 제도로 세조와 연산 때 폐지
② 집현전의 설치는 세종 때이다. 
④ 경국대전 편찬과 반포는 성종 때이다.

● 태종 이방원 6조 신사의계 창사 양호
6조 6조 직계제(왕권강화)
신 신문고 설치
사 사간원설립 
의 의금부 설치
계 계미자
창 창덕궁건립
사 사섬시(저화발행)
양 양전사업
호 호패법  戶牌 16세 이상 민증
●  세조 - 보육원 간 유경이 집세 진(짜) 오직 6(원)?
보 보법(정군1 보인2)
육 육전상정소六典詳定所 설치  경국대전
원 원각사지10층 석탑
간 간경도감刊經都監 설치(불교경전)
유 유향소폐지
경 경국대전
이 이시애의 난
집 집현전, 경연폐지
세 세조
진 진관체제
오 오가작통법 면리제
직 직전법 (현직 수조권) <-과전법
6 6조 직계제
●  세종-조공왕 갑칠 내집 혼자 농삼향의 총여정 앙측
조 조선통보
공 공법
왕 왕도정치
갑 갑인자
칠 칠정산   七政算 최초역법 일식예측
내 내불당(왕실안 절)
집 집현전
혼 혼천의 간의
자 자격루 自擊漏 
농 농사직설
삼 삼강행실도
향 향약집성방
의 의방유취
총 총통등록(무기제작 사용법)
여 여민락
정 정간보(與民樂 동양최초 유량악보)
앙 앙부일구(仰釜日晷해시계)
측 측우기
● 성종 - 홍경사(가) 관사(에서) 국악(을) 동동동
홍 홍문관
경 경국대전
사 사림파등용
관 관수관급제
사 사창제社倉制 폐지
국 국조오례의  -> 예송논쟁
악 악학궤범
동 동국여지승람
동 동문선東文選 시문집
동 동국통감東國通鑑 : 단군조선 여말 편년체

 





 Q  다음 지도와 같은 상권이 형성되었던 당시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그릇을 팔고 건원중보를 받는 보부상
② 쌀의 상품화로 밭을 논으로 만드는 농부
③ 지주의 결작을 대신 내야 한다며 한숨 쉬는 소작농
④ 객주의 물건 독점으로 제사 물품 준비에 한숨 쉬는 아낙네
 
【해설】 정답 ①
지도 상권은 시전 외에 칠패(七牌, 남대문 밖)와 이현(梨睍, 동대문 근처) 등 새로운 난전 형성 조선 후기 상권
① 건원중보는 고려 성종 때 주조된 최초의 철전이다.
② 조선 후기에는 장시에서 쌀이 주곡으로 자리 잡으면서 쌀이 상품 작물로 재배가 활발지면서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③ 조선 영조 때 균역법이 실시되면서 부족해진 군포 수입을 보완하기 위해 지주들에게 2두의 결작을 부과
④ 객주나 여각은 조선 후기중개업 위탁판매업 등을 하면서 독점적 도매업인 도고로 성장하면서 폐해 발생

 



 Q  다음 저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산림경제       나. 색경        다. 과농소초        라. 농가집성

① 가:홍만선의 저술로 농업, 임업, 축산업, 식품가공 등을 망라하였다. 
② 나:박세당의 저술로 과수, 축산, 기후 등에 중점을 두었다. 
③ 다:정약용의 저술로 농업기술과 농업정책에 관하여 논하였다. 
④ 라:신속의 저술로 이앙법을 언급하였다. 

【해설】 정답 ③
③ 『과농소초』 연암 박지원의 저술이다. 
[오답 확인] ①,②,④올바른 설명이다.

 

 




 Q  다음 중 '성학집요'의 저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기이원론적 이기론을 통하여 이(理)의 자발성이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② 신하는 성학을 군주에게 가르쳐 기질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③ 향약의 전국 시행, 수미법의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④ 기자의 행적을 정리한 기자실기를 편찬했다. 

【해설】 정답 ①
①'성학집요'는 율곡 이이의 저술이다. 이기이원론적 이기론(이발이기수지, 기발이이승지, 이귀기천)을 통하여 
이(理)의 자발성을 강조한 것은 이황이다. 이이는 일원론적인 이기론(기발이승일도설, 이통기국, 이기지묘)을 
주장하면서 이는 발할 수 없고(작용할 수 없고) 기(氣)가 발하여(작용하여) 이가 그 위에 올라탄다는 것만 인정
했다. 따라서 이의 자발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오답 확인]
② '성학집요'에는 뛰어난 신하가 성학을 군주에게 가르쳐 그 기질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③ 이이는 향약의 전국적 시행과 방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공납을 쌀로 대신할 수 있게 하는 수미법 실시를 
제시하였다.
④ 이이는 기자의 행적을 정리한 '기자실기'를 저술하였다.
● 이황 백이십예
백운동서원
이기이원론 이는 기가 아니다, 4단은 7정이 아니다. 이기호발설:기뿐만 아니라 이도 발동한다.
성학십도 근본주의적, 이상주의
예안향약 영남사림 계승
4단7정론 : 4단은 이가 발한 것이요, 7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  
● 이이 소집일만소탕해
소현서원
성학집요
이기일원론 이=기 4단=7정 기발리승일도설 : 발하는 것은 기뿐이다.
만언봉사 현실적, 개혁적:10만양병설,수미법
소현서원
탕평일임자(실패) 기호사림에 계승
해주향약

 





 Q  조선 전기에 편찬된 서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본조편년강목
② 의방유취
③ 삼국사절요
④ 농사직설

【해설】 정답  ①
본조편년강목(이칭: 본국편년강목)은 1317년(충숙왕 4) 때 민지가 편찬한 역사서이며, 현존하지 않는다
[오답]
② 의방유취- 세종 때 편찬된 의학 백과사전이다.
③ 삼국사절요- 성종 때 노사신, 서거정 등이 편찬한 역사서이다. 
④ 농사직설- 세종 때 정초 등이 우리 환경에 맞는 농법을 수록한 농서이다. 
●  세종-조공왕 갑칠 내집 혼자 농삼향의 총여정 앙측
농 농사직설

삼 삼강행실도
향 향약집성방
의 의방유취





 Q  밑줄 친 내용과 관련된 사실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전일 ㉠세자가 심양에 있을 때 집을 지어 고운 빨간 빛의 흙을 발라서 단장하고, 또 ㉡포로로 잡혀간 조선 사람들을 모집하여 둔전을 경작해서 곡식을 쌓아 두고는 그것으로 진기한 물품과 무역을 하느라 ㉢관소의 문이 마치 시장 같았으므로, ㉣임금이 그 사실을 듣고 불평스럽게 여겼다.


① ㉠세자-북경에서 아담 샬과 만나 교류하였다. 
② ㉡포로-귀국한 여성 중에는 가족들의 천대와 멸시를 받는 이도 있었다. 
③ ㉢관소-심양관은 외교적 기능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④ ㉣임금-전쟁의 치욕을 벗기 위해 북벌론을 적극 추진하였다. 

【해설】 정답 ④
④ 밑줄 친 임금은 조선의 인조이다. 북벌론이 적극 추진 된 것은 효종대이다.  봉림대군 효종의 북벌론
[오답 확인]
① 밑줄 친 세자는 병자호란 후 청에 인질로 끌려간 소현세자이다. 소현세자는 청에서 아담 샬 등 서양 선교사와 교류하면서 서양 학문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삼전도굴욕 인조의 냉대) 
② 청에 포로로 끌려갔다가 돌아온 조선 여성들은 정조를 잃고 돌아왔다 하여 가족의 천대와 멸시 받기도 했다. 
③ 소현세자는 청의 수도였던 심양(청 세조 때 북경으로 천도)에 있는 심양관에서 생활했는데 이곳은 양국 간의 각종 연락사무나 세폐와 공물의 조정, 포로를 중심으로 한 민간인 문제 등을 다루었다. 

 

 



 Q  다음은 정약용의 토지제도 개혁안의 일부이다. ㉠과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 ㉠ )법은 시행할 수 없다. ( ㉠ )은 모두 한전이었는데, 수리시설이 갖춰지고 메벼와 찰벼가 맛이 좋으니 수전을 버리겠는가. ( ㉠ )이란 평평한 농지인데 나무를 베어 내노라 힘을 들였고 산과 골짜기가 이미 개간되었으니, 이러한 밭을 버리겠는가. ( ㉡ )법은 시행할 수 없다. ( ㉡ )은 농지와 인구를 계산하여 분배해 주는 것인데, 호구의 증감이 달마다 다르고 해 마다 다르다. 금년에는 갑의 비율로 분배하였다가 명년에는 을의 비율로 분배해야 하므로 조그마한 차이는 산수에 능한 자라도 살필 수 없고 
토지의 비옥도가 경마다 묘마다 달라 한정이 없으니, 어떻게 균등하게 하겠는가. 


    ㉠     ㉡
① 한전 균전 

② 정전 여전
③ 여전 한전 

④ 정전 균전

【해설】 정답 ④
제시문은 정약용의 『전론(田論)』 중 일부 내용이다. 『전론』에서 정전제(8가구에게 우물 井자 형태로 토지를 분배하고 각각 한 구역씩 경작하게 한 후 가운데 한 구역은 공동으로 경작하여 국가에 조세로 납부하게 하는 제도-균전제 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 지형 상 토지를 균등하게 우물 정자 형태로 구획하기 힘들고 더구나 강제로 토지를 몰수하여 분배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전제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균전제를 시행하려면 토지와 인구가 일정해야 하는데 조선은 호구의 증감이 수시로 변하고 토지의 비옥도가 일정하지 않아 시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여전제를 주장하였는데, 여전제는 30호 정도를 단위로 여(閭)라는 말단 행정조직을 만들고 여 안의 토지는 여민들이 공동한 후 여장이 개인의 노동을 매일매일 장부에 기록해 두었다가 추수가 끝나면 국가에 납부할 조세와 여장의 봉급을 제외한 후 나머지를 일한 시간에 비례하여 분배하는 제도이다. 
한편 정약용은 『경세유표』에서 정전제를 주장하면서 정전을 지급하기 위한 양전의 방법 등을 자세히 수록하였다. 하지만 정약용은 주나라 형태의 정전제를 주장한 것이 아니라 각자가 소유하고 있는 사전(私田) 8결과 국가가 소유한 공전 1결의 형식을 취하여 제도를 운용하거나 아니면 세금을 1/9로 거두자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약용의 정전제를 이해하지 못하면 정약용이 『경세유표』에서는 정전제를 주장하고 『전론』에서는 정전제를 비판하는 모순 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 부분에는 정전제, ㉡ 부분에는 균전제가 들어가야 한다.

 




 Q  다음의 비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오라총관 목극등은 국경을 조사하라는 교지를 받들어 이곳에 이르러 살펴보고 서쪽은 압록강으로 하고 동쪽은 토문강으로 경계를 정해 강이 갈라지는 고개 위에 비석을 세워 기록하노라. 


① 조선과 청의 대표는 현지 답사를 생략한 채 비를 세웠다. 
② 토문강의 위치는 간도 귀속 문제와도 관련이 되었다.
③ 국경 지역 조선인의 산삼 채취나 사냥이 비 건립의 한 배경 이었다. 
④ 조선 숙종대 세워진 비석의 비문 내용이다. 

【해설】 정답 ①
백두산정계비는 1712년 숙종 대에 청과 조선의 관리가 함께 간도 지역을 답사하고 국경을 정한 내용을 적어 놓은 비석이다. 따라서 ①번이 틀렸다.
[오답 확인]
② 백두산정계비에는 '서위압록,동위토문' 이라 하여 청과 조선의 국경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19세기 들어서서 청과 조선은 토문강에 대한 해석을 놓고 상반된 주장을 하게 되었는데, 청은 토문강을 두만강이라고 주장하였고 조선은 토문강은 쑹화강의 지류라고 주장하였다. 결국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일제는 1909년에 청과 간도 협약을 체결해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해주었다.
③ 청이 간도 지역을 자신들의 조상의 땅이라하여 봉금 지대로 설정하면서 조선인들 산삼 채취와 사냥 활동이 제한을 받게 되었다. 
④ 조선 숙종대에 세워진 비석이다.

 




 Q  밑줄 친 ‘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사람은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지만 곧 모친상을 당하여 3년간 상복을 입었다. 삼년상이 끝나고 관직에 복귀하였으나 을사사화 등으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이내 관직 생활의 뜻을 접고, 1546년 40대 중반의 나이에 향리로 퇴거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후 경상도 풍기군수로 있으면서 주세붕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대한 사액을 청원하여 실현을 보게 되었으니, 이것이 조선 왕조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다.

 

① 서리망국론을 부르짖으며 당시 서리의 폐단을 강력하게 비판 하였다.
② 아홉 차례의 과거 시험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③ 주희의 성리설을 받아들였으며, 이기철학에서 이(理)의 절대성을 주장하였다.
④ 우주자연은 기(氣)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는 영원불멸하면서 생명을 낳는다고 보았다.

【해설】 정답 ③
이황.
① 이황은( X → 조식) 서리망국론을 부르짖으며 당시 서리의 폐단을 강력하게 비판 하였다.
② 이황은( X → 이이) 아홉 차례의 과거 시험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③ 이황은 주희의 성리설을 받아들였으며, 이기철학에서 이(理)의 절대성을 주장하였다.( O )
④ 이황은( X → 서경덕) 우주자연은 기(氣)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는 영원불멸하면서 생명을 낳는다고 보았다.
이황~ 주리파, 이기이원론, 예안향약, 백운동 서원, 도산서원, 상학십도, 주자서절요, 일본성리학에 영향

유성룡·김성일·정구, 장수(理)와 졸병(氣)➜동인
이이~ 주기파, 이기일원적이원론, 해주향약, 서원향약, 소현서원, 만언봉사, 10만양병설,  동호문답, 대동법주장, 성학집요, 경연일기, 격몽요결, 사창계약속(사창제도+향약)
정엽·김장생·성혼·조헌·송시열, 탕평일임자➜서인

 




 Q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옷차림은 신분의 귀천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된 까닭인지 근래 이것이 문란해져 상민․천민들이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것을 마치 조정의 관리나 선비와 같이 한다. 진실로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심지어 시전 상인들이나 군역을 지는 상민들까지도 서로 양반이라 부른다.


① 불교의 신앙 조직인 향도가 널리 확산되었다.
② 서얼의 청요직 진출이 부분적으로 허용되었다.
③ 양민의 대다수를 차지한 농민을 백정(白丁)이라고 하였다.
④ 선현 봉사(奉祀)와 교육을 위한 서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해설】 정답 ②
자료는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를 보여준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사회 모습을 찾아야 한다. 조선 후기 정조 때에는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등 서얼 출신들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었다. 이후 1851년(철종2)에는 신해허통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청요직 진출의 걸림돌은 사라졌다. 
[바로알기] 
①,③은 고려 시대에 해당하고, 
④ 서원은 중종 38년(1543)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이 시초이다.

 




 Q  조선시대의 교육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왕세자는 궁 안의 시강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② 성균관에는 생원이나 진사만 입학할 수 있었다. 
③ 서울에는 서학, 동학, 남학, 중학이 설치되었다. 
④ 향교의 교생 가운데 시험 성적이 나쁜 사람은 군역에 충정 되기도 하였다. 

【해설】 정답 ②
② 성균관에는 원칙적으로 소과에 합격한 생원과 진사가 우선적으로 입학 자격을 갖지만 4부학당의 우수한 학생들이 승보시를 거쳐 성균관의 하재생으로 입학하기도 하였다. 승보시에 합격하면 소과의 초시 면제
[오답 확인]
① 왕세자는 (세자)시강원에서 교육받았다. 
③ 조선 시대 중등 교육 기관으로는 지방에 향교, 한양에 4부학당이 있었다. 
④ 군역 회피를 막기 위해서 일정한 성적 이하의 학생들은 군역에 충당하도록 하였다.




 Q  임진왜란 때의 주요 전투를 벌어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
ㄴ. 조선과 명나라 군대가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ㄷ. 진주목사 김시민이 왜의 대군을 맞아 격전 끝에 진주성을 지켜냈다.
ㄹ.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의 수군을 격퇴하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① ㄱ→ㄴ→ㄷ→ㄹ ③ ㄹ→ㄴ→ㄷ→ㄱ
② ㄱ→ㄷ→ㄴ→ㄹ ④ ㄹ→ㄷ→ㄴ→ㄱ

【해설】 정답 ④
ㄹ. 한산도 대첩(1592. 7)
ㄷ. 진주 대첩(1592. 10. 5 ~ 10. 11)
ㄴ. 평양성 탈환(1593. 1.28)
ㄱ. 행주 대첩(1593. 2. 12 ~ 2. 18)
●  충신선의 옥사당한 이순신 진주에서 양주를 피토하며 명량하게 마신다
충 충주 전투
신 신립
선 선조
의 의주피난
옥 옥포해전
사 사천포
당 당포
한 한산도
이순신

주 진주대첩 김시민 전사
양 평양성전투
주 행주대첩 권율
피 진주혈전 패배
명 명량
노 노량







 Q  우리나라 족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선후기에 부유한 농민들은 족보를 사거나 위조하기도 하였다. 
② 조선초기의 복보는 친손과 외손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수록하였다. 
③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성종 7년에 간행된 「문화류씨 가정보」이다. 
④ 조선시대에는 족보가 배우자를 구하거나 붕당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해설】 정답 ③  
③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성종 7년(1476)에 간행된 「안동권씨 성화보」이다. 안동권씨의 족보. 당시 명나라의 연호를 사용하였는데 성화연간에 만들어진 것이라 하여 성화보라 한 것이다.


 




 Q  밑줄 친 ‘이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현물로 바칠 벌꿀 한 말의 값은 본래 목면 3필이지만, 모리배들은 이를 먼저 대납하고 4필 이상을 거두어 갑니다.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 이 법을 시행하면 부유한 양반 지주가 원망하고 시행하지 않으면 가난한 농민이 원망 한다는데, 농민의 원망이 훨씬 더 큽니다. 경기와 강원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으니 충청과 호남 지역에도 하루빨리 시행해야 합니다.

① 토지 결수를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② 인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하였다.
③ 이 법이 시행된 후에도 왕실에 대한 진상은 계속되었다.
④ 이 법을 시행하면서 관할 관청으로 선혜청을 설치하였다.

【해설】 정답 ②
대동법.
① 대동법은 토지 결수를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O )
② 대동법은 인조( X → 광해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하였다.
③ 대동법이 시행된 후에도 왕실에 대한 진상은 계속되었다.( O )
④ 대동법을 시행하면서 관할 관청으로 선혜청을 설치하였다.( O )
공납의 변화  
(1) 15세기: 중앙 ↹ 군현 ↹ 호戶(토산품) 
(2) 16세기: 중앙 ↹ 군현 ↹ 호戶(방납의 폐단) → 수미법 건의 → 실패 
(3) 17세기(양란이후): 대동법(1608년 시행, 1결당 12두)
대동제 12월
★대동법 실시
대동법:기존의 특산물 납부 대신에 쌀(미,포,전)로 납부
호(戶)에서 토지로 기준 변화. 상공에 한함(별공이나 진상은 예외)
공인 등장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자본주의 시스템 
※대동법은 광해군 때(1608년) 경기도 지역에 한해 실시된 이후 전국적으로 실시까지 100년




 Q  다음 자료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근래 세상의 도리가 점점 썩어가서 돈 있고 힘 있는 백성들이 갖은 방법으로 군역을 회피하고 있다. 간사한 아전과 한통속이 되어 뇌물을 쓰고 호적을 위조하여 유학(幼學)이라 칭하면서 면역하거나 다른 고을로 옮겨 가서 스스로 양반 행세를 하기도 한다. 호적이 밝지 못하고 명분의 문란함이 지금보다 심한 적이 없다. -『일성록』—

① 사족들이 형성한 동족 마을이 증가하였다.
② 향회가 수령의 부세자문기구로 변질되었다.
③ 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하여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④ 부농층이 관권과 결탁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해설】 정답 ③
모칭유학 ・환부역조 → 군역 회피 목적 : 조선 후기
① 조선 후기 사족들이 형성한 동족 마을이 증가하였다.( O )
② 조선 후기 향회가 수령의 부세자문기구로 변질되었다.( O )
③ 조선 후기( X → 조선 전기, 15세기) 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하여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④ 조선 후기 부농층이 관권과 결탁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O )

 




 Q  다음과 같이 주장한 붕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기해년의 일은 생각할수록 망극합니다. 그때 저들이 효종대왕을 서자처럼 여겨 대왕대비의 상복을 기년복(1년 상복)으로 낮추어 입도록 하자고 청했으니, 지금이라도 잘못된 일은 바로잡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① 인조반정으로 몰락하였다.
② 기사환국으로 다시 집권하였다.
③ 경신환국을 통해 정국을 주도하였다.
④ 정제두 등이 양명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해설】 정답 ②
* 예송 논쟁과 남인
현종 때(1659~1674)에 효종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효종과 효종비의 국상(國喪)과 관련하여 두 차례의 예송(기해예송-1659, 갑인예송-1674)이 발생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에 대립이 격화되었다. 
이 때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의 복상문제를 놓고 신권을 강조하는 서인(송시열, 송준길)은 주자가례에 따라 효종이 적장자가 아님을 들어 왕과 사대부에게 동일한 예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기해예송 때에는 1년설(기년설)을 갑인예송 때에는 9개월(대공)설을 주장하였다.
반면 왕권을 강조하는 남인(허목, 허적, 윤휴, 윤선도)은 6경 고학(古學)에 기반을 두어 왕에게는 일반 사대부와 다른 예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기해예송 때에는 3년설을 1년설(갑인)을 각각 주장하여 서인과 대립하였다. 
기해 예송에서는 서인이 승리하였지만, 갑인 예송에서는 남인이 승리하였다
① 광해군 때에 집권 세력인 북인은 서인이 주도한 인조반정(1623)으로 몰락하였다.
② 숙종 때(1674~1720)의 기사환국(1689)에서는 남인은 원자(장희빈 소생)를 정함에서 이를 지지하며 서인을 몰아내고 집권하였으며, 반대한 서인 영수 송시열 등은 사사되었다.
③ 숙종 때의 첫 환국인 경신환국(1680)에서 유악(기름먹인 장막) 사건을 빌미로(실제는 군권 문제) 서인이 남인(허적, 윤휴 등)을 몰아내고 집권하였다.
④ 18세기 초에 정제두(1649~1736)는 몇몇 소론 학자가 명맥을 이어가던 양명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하였다.
1차 기해 서인 주자가례 왕사동례 1년설=기년설 일기서주자동례일기
갑인 남인 1년설 기년설 달라(왕사부동례) 국조오례 갑남일기달라오례

4개의 환국換局 - 경기갑신 서남소노
경-서 경신환국-서인
기-남 기사환국-남인
갑-소 갑술환국-소론 서인.노소론
신-노 신사환국-노론

 




 Q  다음 대화에 나타난 수취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갑 : 호(戶)에 부과하던 공물을 토지에 부과하게 되면서 땅이 많은 대가(大家)와 거족(巨族)이 불만을 가져 원망을 하고 있으니 가뜩이나 어려운 시기에 심히 걱정스럽군. 
○ 을 : 부자는 토지 소유에 비례하여 많은 액수의 세금을 한꺼번에 내기 어렵다고 불평하지만, 수확과 노동력이 많은 부자가 가난한 사람도 여태껏 그럭저럭 납부 해온 것을 왜 못 내겠소? 

① 광해군 때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② 농민의 군포 부담을 1년에 1필로 줄여 주었다.
③ 지주에게 토지 1결당 2두의 결작미를 징수하였다.
④ 농민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전세를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고정하였다.

【해설】 정답 ①
호(戶에) 부과하던 공물을 토지에 부과하게 되었다는 내용을 통해 대동법임을 알 수 있다. 대동법은 광해군 때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었고, 이후 점차 확대되어 숙종 때에는 잉류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시행되었다. 
[바로알기]
② 균역법에 대한 설명이다. 
③ 균역법 시행에 따른 재정 보충책이다. 
④는 영정법에 대한 설명이다. 
조세의 변화  
(1) 15세기: 과전법 → 공법(전분6등법·연분9등법) 
(2) 16세기: 최저세율 관행 
(3) 17세기(양란 이후) : 영정법(인조1635년 시행, 1결당 4두) ← 연분9등법 폐기
영정사진 4死자
공납의 변화  
(1) 15세기: 중앙 ↹ 군현 ↹ 호戶(토산품) 
(2) 16세기: 중앙 ↹ 군현 ↹ 호戶(방납의 폐단) → 수미법 건의 → 실패 
(3) 17세기(양란이후): 대동법(1608년 시행, 1결당 12두)
대동제 12월
★대동법 실시
대동법:기존의 특산물 납부 대신에 쌀(미,포,전)로 납부
호(戶)에서 토지로 기준 변화. 상공에 한함(별공이나 진상은 예외)
공인 등장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자본주의 시스템 
※대동법은 광해군 때(1608년) 경기도 지역에 한해 실시된 이후 전국적으로 실시까지 100년
역의 변화  
(1) 15세기: 군역의 요역화 
(2) 16세기: 대립제·방군수포제 → 군적수포제(1년 2필)  균역 균등하게 1년1필
(3) 17세기:(양란 이후): 균역법(1750년 시행, 1년 1필, 양반면제) 
→ 재정확보책 (결작: 1결당 2두 / 선무군관포 / 어장세·염세·선박세)
★ 조세의 전세화·금납화: 자본주의, 합리적 사회로 가는 과정  
1. 조선 후기 토지의 생산력이 증가 → 조세(1결당 4두, 공납(1결당 12두), 역(결작, 1결당 2두) 등 
세금 부과 대상이 토지로 집중 → 조세의 전세화(田稅化) 
2. 생산력 증대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조세의 금납화(金納化)

 




 Q  다음 정책을 시행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하였다.
○ 사형수에 대한 삼복법(三覆法)을 엄격하게 시행하였다.
○ 신문고 제도를 부활시켜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고자 하였다.

① 신해통공을 단행해 상업 활동의 자유를 확대하였다.
② 삼정이정청을 설치해 농민의 불만을 해결하려 하였다.
③ 붕당의 폐단을 제거하기 위해 서원을 대폭 정리하였다.
④ 환곡제를 면민이 공동출자하여 운영하는 사창제로 전환하였다.

【해설】 정답 ③
속대전 편찬, 사형수에 대한 삼복법, 신문고 제도 부활을 통해 영조임을 알 수 있다. 영조는 붕당의 뿌리를 제거하기 위해서 공론의 주재자로서 인식되던 산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고,그들의 본거지인 서원을 대폭 정리 
[바로알기] 
① 정조 ② 철종 ④ 고종, 흥선대원군

● 영조 - 동서! 청계산 노모탕 사랑균 신속(하)군
동 동국문헌비고
서 서원정비
청 청계천 정비
산 산림 부정
노 노비
모 종모법확정
탕 탕평책
사 사형삼심제
랑 이조전랑
균 균역법
신 신문고부활
속 속대전
군 군영정리
●  정조 - 서초구 거상 윤건 화장대 만행 수공!
서 서얼출신 검사관 등용
초 초계문신제
구(규) 규장각설치
거 거중기
상 상언.격쟁 기회
윤(융) 융릉
건 건릉
화 화성축조
장 장용영壯勇營육성
대 대유둔전
만 만석거, 만년제
행 행궁건설
수 수령 군현단위 향약 주관 ; 사림견재
공 공장안페지 신해통공
● 흥선 개혁   사색비대 경서도사 양호
4색을 고르게 등용, 
비변사 혁파, 의정부와 삼군부 부활
대전회통, 육전조례
경복궁 중건 : 당백전, 원납전(기부금), 결두전, 섬문세
서원정리 : 600->47 만동묘 폐지(노론 근거지)-양반 반대
도고 금지
사창제 실시
양전사업 실시
호포법






 Q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명력,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되었다.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① 천체 관측 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다.
②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③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④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해설】 정답 ②
세종 때 편찬한 칠정산이다. 따라서 밑줄 친 왕은 세종이다. 세종 때에는 천체 관측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고, 경자자, 갑인자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또한 의학에서도 우리 풍토에 알맞은 약재와 치료 방법을 개발·정리하여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바로알기] 
② 금양잡록은 조선 성종 때 강희맹이 지은 농서이다.
● 세종-조공왕 갑칠 내집 혼자 농삼향의 총여정 앙측

조 조선통보
공 공법
왕 왕도정치
갑 갑인자
칠 칠정산   七政算 최초역법 일식예측
내 내불당(왕실안 절)
집 집현전
혼 혼천의 간의
자 자격루 自擊漏 
농 농사직설
삼 삼강행실도
향 향약집성방
의 의방유취
총 총통등록(무기제작 사용법)
여 여민락
정 정간보(與民樂 동양최초 유량악보)
앙 앙부일구(仰釜日晷해시계)
측 측우기

 





 Q  조선 전기(15 ~ 16세기) 사림의 향촌을 주도하기 위한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도덕과 의례의 기본 서적인 「소학」을 보급하였다. 
② 향사례(鄕射禮), 향음주례(鄕飮酒禮)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③ 향회를 통해서 자신들의 결속을 다지고, 향촌을 교화하였다. 
④ 촌락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고, 문중 중심으로 서원과 사우를 많이 세웠다. 

【해설】 정답 ④
④ 조선 후기의 내용이다. 조선 후기 양반은 군현을 단위로 농민을 지배하기 어렵게 되자, 촌락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거나 족적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자기들의 지위를 지켜 나가고자 하였다. 또한 청금록과 향안을 중시함으로써 지배층의 권위를 내세우고자 했다. 이에 따라 전국에 많은 동족 마을이 만들어지고 문중을 중심으로 서원, 서우가 많이 세워졌다.
① 조선 시대 전기 사림은 도덕과 의례의 기본 서적인 「소학」을 보급하면서 성리학적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② 서원에서는 향음주례와 함께 유사한 제도로써 향사례가 거행되었는데,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거행 되었다. 
③ 향안에 이름이 오른 사족들은 그들의 총회인 향회를 통해 자신들의 결속을 다지고 성리학을 바탕으로 지방의 풍속을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Q  다음의 기록이 보이는 왕대의 정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왕이) 양역을 절반으로 줄이라고 명하셨다. 왕이 말하였다. “호포나 결포는 모두 문제점이 있다. 이제는 1필로 줄이는 것으로 온전히 돌아갈 것이니 경들은 대책을 강구하라.”

① 특정 붕당이 정권을 독점하는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대두되었다.
②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하였다.
③ 정치 집단은 소수의 가문 출신으로 좁아지면서 그 기반이 축소되었다.
④ 붕당을 없애자는 논리에 동의하는 관료들을 중심으로 탕평 정국을 운영하였다

【해설】 정답 ④
제시문의 왕은 영조이다. 영조는 완론 탕평책에 의해 붕당을 없앨 것을 내세워 새로운 집단인 이른바 탕평파를 육성하여 이들로 하여금 정국을 주도하게 하였다. 
[오답연구]
① 숙종, ② 현종, ③ 19세기 초 외척 세도정치에 대한 내용이다.

  • 연산군 : 사화
  • 선조 : 붕당 이기
  • 현종 : 예송
  • 숙종 : 환국, 일당 독점
  • 경종 : 호락
  • 영정조 : 탕평
  • 순조 : 세도


● 영조 - 동서! 청계산 노모탕 사랑균 신속(하)군
역의 변화  
(1) 15세기: 군역의 요역화 
(2) 16세기: 대립제·방군수포제 → 군적수포제(1년 2필)  균역 균등하게 1년1필
(3) 17세기:(양란 이후): 균역법(1750년 시행, 1년 1필, 양반면제) 
→ 재정확보책 (결작: 1결당 2두 / 선무군관포 / 어장세·염세·선박세)




 Q  다음의 자료에서 보이는 시기의 경제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에 물건을 싣고 오가면서 장사하는 장사꾼은 반드시 강과 바다가 이어지는 곳에서 이득을 얻는다. 전라도 나주의 영산포, 영광의 법성포, 흥덕의 사진포, 전주의 사탄은 비록 작은 강이나 모두 바닷물이 통하므로 장삿배가 모인다. …(중략)… 그리하여 큰 배와 작은 배가 밤낮으로 포구에 줄을 서고 있다.  -『비변사등록』 

① 강경, 원산 등이 상업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② 선상은 선박을 이용해서 각 지방의 물품을 거래하였다.
③ 객주나 여각은 상품의 매매를 중개하고, 숙박, 금융 등의 영업도 하였다.
④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삼한통보 등의 동전을 만들어 유통하였다. 

【해설】 정답 ④
제시문은 포구에서의 상업 내용으로 조선 후기 상황이다.
④ 조선 후기에는 상평통보를 만들어 유통하였다. 삼한통보는 고려 숙종 때 주조한 화폐이다.
●  고려 숙종 - 화난 숙종은 벌써 3회독
화폐발행 남경개창도감 숙종 은병활구 삼한통보 해동통보 동국통보

 




 Q  조선 전기(15~16세기) 중앙 정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붕당은 정치적 이념과 학문적 경향에 따라 결집되었다. 
② 삼사는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③ 사화로 갈등이 격화되면서, 정국이 급격하게 전환되는 환국정치가 시작되었다. 
④ 합리적인 인사 행정 제도가 갖추어져 이전 시기보다 관료제적 성격이 강해졌다. 

【해설】 정답 ③
③ 환국은 조선후기 숙종(17C) 때에 발생한 정치 상황에 대한 내용이다. 
① 16세기 선조 대 이후 형성된 붕당은 학문과 정치적 이념에 따라 결집된 것으로 정파적ㆍ학파적 성격을 공유하였다. 
② 삼사와 이조전랑직은 특정 정당의 독주를 방지하고 정치 세력 간의 비판과 견제 기능을 하며 정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④ 조선 전기에 관리 임면ㆍ근무 평가ㆍ승진ㆍ좌천 등 합리적인 인사 행정 제도가 갖추어지면서 관료적 성격이 더욱 강해졌다. 

15c 태정태세문단세예성   16c 연중인명선    17c  광인효현숙경     18c 영정    19c순현철
조선전기 > 임진왜란 > 조선후기

  • 연산군 : 사화
  • 선조 : 붕당 이기
  • 현종 : 예송
  • 숙종 : 환국, 일당 독점
  • 경종 : 호락
  • 영정조 : 탕평
  • 순조 : 세도

 




 Q  왜란이나 호란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홍립은 후금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후금과 휴전을 맺었다.
② 병자년에 청군이 서울을 점령하자 인조는 강화도로 피난하여 항전하였다.
③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이 적군을 맞아 첫 승리를 한 것은 옥포해전이다.
④ 권율의 행주대첩, 김시민의 진주대첩, 이순신의 한산도대첩은 모두 승리한 싸움이다.

【해설】 정답 ②
① 명의 원군 요청을 받은 조선의 광해군은 강홍립을 파견하면서 정세를 보고 판단하라고 명령.이에 1619년 (광해군 11)에 조명 연합군이 후금에게 부차 심하 전투에서 패하자 조선군 지휘자 강홍립은 후금에 투항
③ 임진왜란 임진전쟁이 일어난 직후 조선 육군은 왜군에게 연전연패했으나 이순신이 이끈 조선 수군은 옥포에서 첫 승리를 거둔 이후 당포 한산도 등지에서 연승을 거두어 남해의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④ 이순신의 한산대첩(1592.7), 김시민의 진주대첩(1592.10), 권율의 행주대첩(1593.1)은 임진왜란 3대첩으로 모두 조선군이 승리하였다.
[오답 분석 ]
② 1636년(인조 14)에 일어난 병자호란 때는 인조가 강화도로 피난이 늦어 세자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여 40여 일에 걸쳐 청군에 항전하다가 삼전도에서 항복하였다.




 Q  밑줄 친 ‘우리’에 해당하는 계층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아! 우리는 본시 모두 사대부였는데 혹은 의(醫)에 들어가고 혹은 역(譯)에 들어가 7, 8대 또는 10여 대를 대대로 전하니…(중략)… 문장과 덕(德)은 비록 사대부에 비길 수 없으나, 명공(名公) 거실(巨室) 외에 우리보다 나은 자는 없다.

① 집단으로 상소하여 청요직(淸要職) 허통(許通)을 요구하였다.
② 형평사를 창립하고, 평등한 대우를 요구하는 형평운동을 펼쳤다.
③ 관권과 결탁하고 향회를 장악하여,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우려 하였다.
④ 유향소를 복립하여 향리를 감찰하고 향촌 사회의 풍속을 바로잡으려 하였다.

【해설】 정답 ①
제시문은 중인들로 19세기 철종 때 서얼들의 청요직 진출에 자극받아 그들 역시 청요직 허통을 요구하였다.
청렴해야하는 중요한 자리,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오답풀이]
② 1923년 백정 조직, ③ 조선 후기 신향(부농), ④ 조선 전기 사림 양반에 대한 설명이다.
조선후기 신분제의 변화

 

 




 Q  조선 후기 대외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래의 내상은 일본과의 사무역을 통해 거상으로 성장하기도 하였다.
② 경강상인은 중강후시나 책문후시를 통해 청과의 사무역에 종사하였다.
③ 17세기 이후 일본과의 관계가 정상화되면서 대일 무역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④ 청에서 수입하는 물품은 비단, 약재, 문방구 등이었고, 청으로 수출하는 물품은 은, 종이,무명,인삼 등이었다.

【해설】 정답 ②
③ 일본과의 무역은 1609년(광해군 1)에 기유약조가 체결되어 조ㆍ일 간의 관계가 정상화되고 왜관이 설치되면서 활발하게 재개되었다.
[오답 분석]
② 경강 상인은 한강을 근거지로 하여 대동미 등 정부 세곡과 서울 지주들의 소작료 운송을 주도하여 거상으로 성장하였다. 의주의 만상이 중강 후시 책문 후시 등에서 청과의 사무역에 종사하였다.

 




 Q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는 공민왕 때에 성균관에서 성리학을 강론하였고,이인임의 친원 외교를 비판하여 전라도 나주로 유배되었다. 조선왕조의 제도와 문물을 정리하고,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하는 데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① 불교비판서인 '불씨잡변'을 남겼다.
② 만권당을 통해 원의 성리학자와 교유하였다.
③ 유교적 통치 규범을 담은 '속육전'을 편찬하였다.
④ 초학자를 위한 성리학 입문서인 '입학도설'을 저술하였다.

【해설】 정답 ①
자료의 밑줄 친 ‘그’는 정도전이다. 정도전은  1370년 (공민왕 19) 에 성균관박사로 있으면서 명륜당에서 성리학을 수업 강론했으며 1375년 (우왕 1)에는 이인임 등의 친원배명정책에 반대하다가 전라도 나주목 회진현으로 유배
정도전은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의 사회적 폐단과 철학적 비합리성을 비판하고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시켰다.
[오답 분석] 
② 이제현 등  ③ 하륜 등  ④ 권근
정도전  삼진경고불조심
삼 삼봉집 
진 진법서  
경 경제문감 
고 고려국사
불 불씨잡변
조 조선경국전심 
심기리편心氣理篇(불가 도가 비판) 

 

 

 

 Q  다음 족보가 편찬된 시기의 사회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우리나라는 자고로 종법이 없고 보첩(譜牒)도 없어서 비록 거가대족(巨家大族)이라도 가승(家乘)이 전혀 없어서 겨우 몇 대를 전할 뿐이므로 고조나 증조의 이름도 호(號)도 기억하지 못하는 이가 있다.-『안동권씨 성화보』 서문- 


① 남자는 대개 결혼 후에 바로 친가에서 거주하였다. 
② 자손이 없으면 무후(無後)라 하고 양자를 널리 맞아들였다. 
③ 아들을 먼저 기록하고 딸을 그 다음에 기록하였다. 
④ 윤회봉사·외손봉사 등이 행해졌다. 

【해설】 정답 ④
자료는 15세기말 성종대 편찬된 족보이다. ①과 ②와 ③은 조선후기의 사실이다. 

 




 Q  다음 상황이 벌어지던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근래 사족들이 향교에 모여 의논하여 수령을 쫓아내는 것이 고질적인 폐단입니다.
○ 영덕의 구향(舊鄕)은 사족이며, 소위 신향(新鄕)은 모두 향리와 서리의 자식입니다. 근래 신향들이 향교를 주관하면서 구향들과 서로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① 부농층이 성장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② 농촌 공동체 생활을 주도하는 향도가 등장하였다.
③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향회가 자문 역할을 하였다.
④ 촌락 단위의 동약이 실시되고 동족 마을이 만들어졌다.

【해설】 정답 ②
자료는 조선 후기 향鄕촌 사회의 권력 투쟁을 보여준다 처음 사료는 영조 7년9 월의 영조실록이며, 두 번째 사료는 영조 23년 6월 15일의 "승정원일기"의 기록이다.
조선 후기 향촌은 처음에는 재지 사족이 수령을 쫓아낼 정도로 강했으나, 점차 관권층과 새로 성장한 부농층, 서리층 등이 주축이 된 신향이 결합하면서 재지 사족의 힘을 약화시켰다 그로 인해 기존 향반인 구향과 신향이 향촌 사회의 주도권을 놓고 다투는 향전이 일어났다.
이 시기 향촌 사회에서는 요호부민이라 불리는 부농층이 새로이 성장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고, 수령과 향리 등 관권이 강해지면서 향회는 지방 양반의 이익을 대변하던 자치기구에서 수령의 부세 자문 기구로 성격 변질.
한편 향촌 사회에서 힘이 약해진 양반들은 군현을 단위로 하여 농민을 지배하기 어려워지자 촌락 단위로 동약을 조직하였고 이에 따라 전국에 많은 동족 마을이 만들어졌다.
[오답 분석]
② 향도香徒는 고려 시대에 처음 등장하였다.






 Q  과전법과 그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신전, 휼양전을 죽은 관료의 가족에게 지급하였다. 
② 공음전을 5품 이상의 관료에게 주어 세습을 허용하였다. 
③ 세조대에 직전법으로 바꾸어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④ 성종대에는 관수관급제를 실시하여 전주의 직접 수조를 지양하였다. 

 

【해설】 정답 ②
② 공음전의 지급은 고려 시대 전시과 제도의 내용이다. 
① 조선시대 과전법에서는 죽은 관료의 가족들에게도 이들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았던 토지  중 일부를 수신전과 휼양전 등으로 다시 지급하여 세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③ 세습전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관리들에게 지급할 토지가 부족해지자 세조 대 전직 관리에게 지급했던 토지 및 수신전과 휼양전을 모두 몰수하고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였다(1466).
④ 성종 대에는 지방 관청에서 그 해의 생산량을 조사하여 직접 거두고 관리에게 지급하는 관수관급제 방식으로 변화하였다(1470). 

● 조선 토지제도 ● 고려 토지제도
과전법-공양왕
18품,전현직,신진사대부
수신전,휼양전 세습
직전법-세조
현직,수신전,휼양전 폐지
관수관급제-성종
국가가 수조권 대행
직전접도 존재
직전법 폐지-명종
★ 조선 과직관직 폐지





전시과
국유,수조권,세습불가,녹봉 
녹읍,식읍-건국초
역분전-태조
개국공신,경기도
시정전시과-경종
전현직,인품,최초 전국, 군인전시과,4색 공복
개정전시과-목종
전현직,관직18품,한외과,
경정전시과(공음전시과)-문종
현직18품 ,공음전,한인전,별사정
녹과전-원종
무신정변 전시과 붕괴,현직,미봉책
녹읍⇨역분⇨시전⇨개전⇨경전⇨과전⇨직전⇨관수관급
★ 시개경과직관

 






 Q  다음 상소 이후에 나타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윤집(尹集)이 상소하기를 “화의가 나라를 망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옛날부터 그러하였으나 오늘날처럼 심한 적은 없었습니다. 명나라는 우리나라에 있어서 부모의 나라이고 노적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부모의 원수입니다. …지난날 성명께서 크게 분발하시어 의리에 의거하여 화의를 물리치고 중외에 포고하고 명나라에 알리시니, 온 동토(東土) 수천 리가 모두 크게 기뻐하여 서로 고하기를 ‘우리가 오랑캐가 됨을 면하였다.’고 하였습니다.”  -『인조실록』- 


① 소현세자는 청에서 서양의 문물에 관심을 가지고, 천문관련 서적 등을 가져왔다. 
② 조선은 청과 굴욕적인 형제의 맹약을 맺었다. 
③ 조선은 복수설치(復讐雪恥)를 과제로 삼았다. 
④ 숭정처사(崇禎處士), 대명거사(大明居士)로 자처하며 출사를 거부하는 인물이 있었다. 

【해설】 정답 ②
자료는 1636년 청의 군신관계 요구에 대한 윤집의 척화주전론이다. ② 후금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것은 1627년 정묘호란의 결과이다. ④ 이희량이 대명거사로, 남인 김시온이 숭정처사崇禎處士를 자처하면서 은둔생활을 하였다. 숭정이란 명나라의 마지막 연호인데, 명나라가 망한 뒤 청나라를 거부한 선비들을 일컬어 '숭정처사'라고 하였다.

 





 Q  밑줄 친 ‘왕’이 재위하던 시기에 편찬되지 않은 것은?


지금 우리 께서도 밝은 가르침을 계승하시고 다스리는 도리를 도모하시어 더욱 백성들의 일에 뜻을 두셨다. 여러 지방의 풍토가 같지 않아 심고 가꾸는 방법이 지방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옛 글의 내용과 모두 같을 수가 없었다. 이에 각 도의 감사들에게 명령하시어, 주·현의 노농(老農)을 방문하여 그 땅에서 몸소 시험한 결과를 자세히 듣게 하시었다. 또 신 정초(鄭招)에게 명하시어 말의 순서를 보충케 하시고, 신 종부소윤 변효문(卞孝文) 등이 검토해 살피고 참고하게 하여, 그 중복된 것은 버리고 절실하고 중요한 것은 취해서 한 편의 책을 만들었다.


① 『향약제생집성방』   ② 『향약집성방』 
③ 『향약채취월령』  ④ 『의방유취』 

【해설】 정답 ①
①은 태조~정종, ②와 ③과 ④는 세종대에 편찬되었다. ①  『향약제생집성방』은 태조 7년(1398)에 편찬하기 시작하여 정종 원년에 완성되었다. ③ 1431년 편찬된 『향약채취월령』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수백 종의 약초의 분포 실태와 이를 채취하는 시기,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세종-조공왕 갑칠 내집 혼자 농삼향의 총여정 앙측

 






 Q  19세기 부세제도인 도결(都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군역, 환곡, 잡역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토지에 부과하여 화폐로 징수하였다.
ㄴ. 노비신공과 결세는 그 해의 작황을 참작하여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도별 총액을 할당하였다. 

ㄷ. 양전하는 자[尺]를 통일하였고, 전세율을 1결당 4말~ 6말로 고정시켰다. 
ㄹ. 제도적으로는 신분에 따른 부세의 차별이 거의 남지 않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ㅁ. 수령과 아전이 횡령한 관곡을 민의 토지에 부세로 부과하는 수단이 되었다. 


① ㄴ, ㄷ, ㄹ  ② ㄷ, ㄹ, ㅁ  ③ ㄴ, ㄷ, ㅁ  ④ ㄱ, ㄹ, ㅁ

【해설】 정답 ④
도결은 환곡의 부족분, 군포의 부족분, 수령이 횡령한 관곡 등 까지 모두 토지에 부과하는 것으로, 1결당 수취의 총액인 결가를 책정한 후 화폐로 징수하였다. 토지를 가진 자는 군포의 부족분까지 부담해야 했으므로 신분에 따른 부세차별이 완화되어갔다. ㄴ은 조세의 총액제화, ㄷ의 양전하는 자를 통일한 것은 효종때 양척동일법이다.

 

 




 Q  (가)∼(라) 시기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 - 김용이 왕을 시해할 목적으로 흥왕사에 침범했다가 최영에 의해 격퇴되었다.
② (나) - 이성계 일파는 폐가입진을 명목으로 우왕과 창왕을 연이어 폐위시켰다.
③ (다) - 명은 표문의 글귀가 불손하다는 구실로 정도전을 명으로 압송할 것을 요구했다.
④ (라) - 박포가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다.

【해설】 정답 ①
명의 철령위 설치 통보와 위화도회군은 우왕 때의 일로 (가)는 우왕 시기이다. 
위화도 회군 이후의 시기로 (나)는 창왕, 공양왕 시기이다.
조선 건국과 1차 왕자의 난은 조선 태조 때의 일로 (다)는 조선 태조 시기이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정종이 즉위한 이후의 시기로 (라)는 조선 정종 시기이다. 
① 흥왕사의 변은 권문세족들이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던 사건으로 공민왕 시기의 사실이다. 
② 이성계 일파는 폐가입진을 명목으로 우왕과 창왕을 연이어 폐위시키고 공양왕을 옹립하였다. 

③ 조선 태조 때 조선과 명은 표전문제, 종계변무문제, 여진족 송환 문제, 정도전의 요동 정복 문제 등으로 
외교적으로 대립하였다.  
④ 정종 즉위 시기에 태조의 넷째 아들인 방간과 개국공신 박포 등이 연합하여 방원을 제거하고자 하였으나 
방원에게 패하여 축출된 2차 왕자의 난이 발생하였다.  

 





 Q  밑줄 친 ‘이 제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제도’가 처음 경기도에서 실시되자 토호와 방납인들은 그동안 얻었던 이익을 모두 잃게 되었다. 그래서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여 왕에게 폐지할 것을 건의했으나, 백성들이 이 제도가 편리하다고 하였기 때문에 계속 실시하기로 하였다. 
-열조통기-


① 호(戶)를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농민의 세금 부담이 줄어들었다.
②운영 과정에서 유치미(留置米)는 증가하고 상납미(上納米)는 감소하였다.
③ 인징, 족징 등 폐단이 심각하여 이 제도가 도입되었다.
④ 별공(別貢)과 진상(進上)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해설】 정답 ④
제시문의 ‘처음 경기도에서 실시’, ‘방납인들이 이익을 잃게 되었다.’ 등으로 볼 때 이 제도는 대동법이다. 
④ 특산물로 납부하였던 공납에는 상공(常貢, 정기적 공납), 별공(別貢, 사신 접대 등 특별 용도의 공납), 진상(進上, 왕에게 그 지방의 음식을 올리는 공납) 등이 있었다. 대동법 시행으로 상공은 개혁되었지만, 별공과 진상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오답 확인]
① 대동법은 토지를 기준으로 부과하였다. 
② 징수된 대동세의 일부는 중앙 정부로 상납하지만, 나머지는 지방에 유치하여 지방 관아의 경비로 사용하게 하였다. 그러나 중앙 관아의 물품 구입비로 상납하는 상납미(봄에 징수)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였고, 지방 관아의 경비로 각 고을에 비치하는 유치미(가을에 징수)의 비율이 감소하게 되자 지방 관아의 재정 악화와 이로 인한 수령 및 아전들의 농민 수탈이 발생하는 등 대동법 운영 과정에서 폐단이 다시 나타나게 되면서 농민들은 다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③ 균역법에 대한 설명이다. 조선후기에는 마을마다. 실제 장정 수보다 많은 군포를 연대 책임으로 징수하게 되면서 이웃 사람(인징), 친척(족징), 이미 죽은 사람(백골징포), 어린아이(황구첨정)에 대해서조차 군포를 부과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3) 17세기(양란이후): 대동법(1608년 시행, 1결당 12두) 대동제 12월
★대동법 실시
호(戶)에서 토지로 기준 변화. 상공에 한함(별공이나 진상은 예외)
공인 등장 → 상품화폐경제 발달 → 자본주의 시스템 
※대동법은 광해군 때(1608년) 경기도 지역에 한해 실시된 이후 전국적으로 실시까지 100년
역의 변화  
(1) 15세기: 군역의 요역화 
(2) 16세기: 대립제·방군수포제 → 군적수포제(1년 2필)  균역 균등하게 1년1필
(3) 17세기:(양란 이후): 균역법(1750년 시행, 1년 1필, 양반면제) 
→ 재정확보책 (결작: 1결당 2두 / 선무군관포 / 어장세·염세·선박세)

 


반응형




 Q  (가)∼(라)의 설명 중 옳은 것만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강원도 평창에 위치해 있으며 송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나)충남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주심포 양식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다)금산사 미륵전은 다포양식과 팔작지붕으로 고려 후기에 권문세족의 지원을 받아 세워진 건물이다. 
(라)법주사 팔상전은 다층 목탑으로, 내부는 하나로 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① (가), (다)   ② (가), (라)    ③ (나), (다)    ④ (나), (라)

【해설】 정답 ②
(나)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은 안동 봉정사 극락전이다.
(다)금산사 미륵전은 고려 후기가 아니라, 조선 후기 17세기에 만들어진 규모가 큰 다층 구조의 건축물이다.
백제~익산미륵사지 탑,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적석목곽분, 황룡사 9층목탑, 분황사 모전 석탑, 첨성대
통일신라~횡혈식 석실분, 해중릉(문무왕릉), 높은 기단위에 3층탑(불국사 석가탑, 감은사지3층석탑, 다보탑, 
석굴암,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고려~외관이 높고 웅장함(주심포➜다포), 봉정사 극락전(최고의 목조건축물),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사 조사당, 수덕사 대웅전, 석왕사 응진전(원의 영향을 받은 다포양식, 심원사 보광전(다포양식), 흥국사지 석탑(신라계통의 양식을 계승), 현화사 7층 석탑, 월정사 8각9층 석탑, 경천사10층 석탑(목조건축양식을 본뜸, 훵에 영향 받음) 
조선시대~15C:궁궐·성곽·성문·학교 건축 중심
          16C:서원건축 중심
          17C:사원건축 중심
          18C:수원성, 평양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19C:경복궁 근정전·경회루
           원각사 10층 석탑(경천사 10층탑 영향, 원에 영향 받음),
 법주사 팔상전(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목탑)
대한제국~독립문(프랑스의 개선문 모방), 덕수궁 석조전(르네상스 양식). 명동성당(중세의 고딕양식)
  ․현존 목조건물 : 고려 중기 이후, 주심포 양식
    - 13세기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현존 最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14세기(고려말)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덕산 수덕사 대웅전
    - 조선초기 : 서울 남대문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