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한국 문학사, 고전 문학사, 서사 문학, 고대 가요, 고려 가요, 경기체가

Jobs 9 2024. 11. 15. 07:26
반응형

1. 고전 문학사

 

Ⅰ. 고대의 문학

* 서사 문학

신 화 명 내 용
단군 신화 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로 홍익 인간의 이념 제시
주몽 신화 동명왕의 출생에서부터 건국의 성업(聖業)까지를 묘사한 설화
박혁거세 신화 나정(蘿井) 근처의 알에서 태어나 사람들의 추대로 임금이 된 박씨의 시조 설화
석탈해 신화 알에서 나와 남해왕의 사위가 되고 나중에 임금으로 추대된 석(昔)씨의 시조 설화
김알지 신화 시림(始林 : 施林)의 나무에 걸렸던 금궤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경주 김(金)씨의 시조 설화
수로왕 신화 알에서 태어난 6명의 아이들 중 가락국의 왕이 된 김해 김(金)씨의 시조 설화

 

* 고대 가요

가요명 연 대 작 자 내 용
구지가 신라 유리왕
19(A.D. 42)
구간(九干) 주술적인 노래. 일명 ‘영신군가(迎新軍歌)’
해 가(사) 신라 성덕왕 강릉의 백성들 수로 부인(水路夫人)을 구원하기 위한 주술적인 노래. ‘구지가(龜旨歌)’의 아류
공무도하가 고조선 백수 광부의 처 물에 빠져 죽은 남편의 죽음을 애도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B.C. 17)
유리왕 실연(失戀)의 슬픔을 노래
정읍사 백제(百濟) 행상인의 처 남편을 근심하여 부른 노래. 국문으로 정착된 가장 오래된 노래

 

* 현전하는 향가

가요명 작자 형식 내 용
서동요 백제
무왕
4구 서동이 선화 공주를 얻기 위하여 궁중 주변의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동요(童謠). 참요성격.
혜성가 융천사 10구 혜성이 심대성(心大星)을 범했을 때 이 노래를 지어 물리쳤다는 축사(逐邪)의 노래.
풍요 만성남녀 4구 양지(良志)가 영묘사의 장육존상을 만들 때 부역 온 남녀가 부른 노동요
원왕생가 광덕 10구 왕생(往生)을 원하는 광덕의 불교적인 신앙심을 읊은 노래
모죽지랑가 득오 8구 죽지랑의 고매한 인품을 사모하고, 인생의 무상을 노래한 만가(輓歌)
헌화가 실명노인 4구 수로 부인이 벼랑에 핀 철쭉꽃을 탐하기에, 소를 끌고 가던 노인이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노래
원가 신충 10구 효성왕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매,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다는 주가(呪歌)
도솔가 월명사 4구 해가 둘이 나타나매 지어 불렀다는 산화 공덕(散花功德)의 노래
제망매가 월명사 10구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재를 올릴 때 부른 추도의 노래
안민가 충담사 10구 경덕왕의 요청으로 군(君)  신(臣)  민(民)이 알 바를 노래한 치국 안민(治國安民)의 노래
찬기파랑가 충담사 10구 충담사가 기파랑의 높은 인품을 추모하여 부른 노래
천수대비가 희명 10구 희명이 실명(失明)한 자식을 위해 천수대비 앞에 나가 부른 불교 신앙의 노래
우적가 영재 10구 영재가 도둑 떼를 만나, 이를 깨우치고 회개시켰다는 노래
처용가 처용 8구 아내를 범한 역신(疫神)을 굴복시켰다는 무가(巫歌)

 

* 한문학

작품명 작자 형식 내 용
여수장우중문시 을지문덕 한시 수(隋)의 우중문을 희롱한 오언시
치당태평송 진덕여왕 한시 당의 태평을 기린 굴욕적인 외교의 시
화왕계 설총 설화 꽃을 의인화한 소설적 기록물의 효시인 산문
화랑세기 김대문 설화 부전 설화 문학서
토황소격문 최치원 한문 황소의 난 때 지어 문명을 떨침
계원필경 최치원 문집 당에서 지은 원고를 고국에서 찬집함.
왕오천축국전 혜초 기행문 구도를 위해 천축국을 순례한 기행문
고승전 김대문 전기 저명한 스님에 대한 전기를 적은 것

 

 

Ⅱ. 고려의 문학

* 고려 가요

성격 작품명 비 고
망부석 사연 정읍사 현전 유일의 백제 가요. 신라 ‘치술령곡’과 연관됨. 망부석 설화.
효심(孝心) 사모곡 곡조명 : 엇노리. ‘목주가’와 연관됨. 어머니 사랑을 예찬. 비교법
상저가 방아를 찧으면서 부른 노동요. 촌부의 효성이 담김
송도(頌禱) 동동 월령체(달거리 형식) 노래의 효시, 연정과 송축. 비련의 노래.
정석가 불가능한 상황 설정으로 만수 무강 송축. 영원한 사랑을 노래
축사(逐邪) 처용가 향가 ‘처용가’에서 발전한 희곡적 노래
현실도피 청산별곡 비애, 고독. 도피, 낙천적, 체념을 노래. 대칭구조.
별리(別離)의 정한(情恨) 가시리 이별의 한(恨), 체념, 기다림의 전통적 여심(女心)을 노래, 일명 ‘귀호곡’
서경별곡 이별을 거부하는 적극적 애정.
솔직담에 대한 사랑의 표현 쌍화점 남녀상열지사
만전춘 남녀상열지사, ‘시조’의 형식을 보여 줌.
이상곡 남녀상열지사
애조(愛鳥) 유구곡 ‘벌곡조’와 유사. 정치 풍자

 

* 경기체가

작품명 연 대 작품명 형식 내 용
한림별곡 고려
고종때
한림제유 8연
3·3·4조
서부, 서적, 명필, 명주. 화훼(花卉), 음악, 누각, 추천(鞦韆)을 노래, 경기체가 의 효시 <한문과 국어>
관동별곡 고려
충숙왕
안축 8연
3·3·4조
관동의 절경을 읊음. <한문과 이두>
죽계별곡 고려
충숙왕
안축 5연 고향인 풍기 순홍의 절경을 읊음. <한문과 이두>

 

* 패관 문학

작품 작자 내 용
수이전 박인량 부전. 최초의 순수 설화집. 연오랑 세오녀, 호원 등 9편이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전함.
백운소설 이규보 시화(視話) · 문담(文談) 28편이 홍만종의 「시화총림」에 전함.
파한집 이인로 시화 · 문담 · 기사(記事) · 자작(自作) · 고사(故事) · 풍물(風物) 등을 기록한 책. 3권 1책
보한집 최자 파한집의 자매편. 실정한 문인들의 설분(雪憤)을 다룸.
역웅패설 이제현 익재난고의 권말의 수록됨. ‘소악부’에 고려 속요가 한역되어 있음. 이문(異問) · 기사(奇事) · 서문 · 서화 · 인물에 관한 이야기

* 가전체 문학

작품 작자 내 용
국순전 임춘 술을 의인화하여 술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씀. ‘국선생전’에 영향을 줌.
공방전 임춘 엽전(葉錢)을 의인화하여 탐재(貪財)를 경계함.
국선생전 이규보 술을 의인화하여 군자(君子)의 처신을 경계함.
청강사자현부전 이규보 거북을 의인화하여 어진 사람의 행적을 그림.
죽부인전 이곡 죽부인을 의인화하여 절개(節槪)를 나타냄.
저생전 이첨 종이를 의인화함.
정시자전 석식영암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인세(人世)의 덕에 관하여 경계함.

 

 

Ⅲ. 조선 전기의 문학

* 악장 문학 작품 개관

형식 작품명 작자 내 용
신체 용비어천가 정인지
안지
권제
조선 6조의 건국 창업을 노래
대구법
월인천강지곡 세종 석보상절(釋譜詳節)의 석가 공덕을 보고 지은 석가모니(釋迦牟尼)의 찬송가
속요체 신도가 정도전 태조의 덕과 한양의 경치를 찬양
감군은 상진 임금의 은덕을 감축(感祝)
경기체가체 상대별곡 권근 조선의 제도 · 문물의 왕성함을 찬양
화산별곡 변계량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
한시체 문덕곡 정도전 태조의 문덕을 찬양
정동방곡 정도전 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
납씨가 정도전 태조가 야인을 격파한 무공을 찬양
봉황음 윤회 조선의 문물과 왕가의 축수(祝壽)를 노래

 

* 조선 전기 가사

작품 작자 내 용
상춘곡 정극인 태인(泰仁)에서의 은거 생활. ‘불우헌집’에 수록
면앙정가 송순 향리인 담양에 면앙정(俛仰亭)을 짓고 나서, 그곳의 자연과 정취를 노래함.
성산별곡에 영항을 줌.
관서별곡 백광홍 기산별곡(冀山別曲)과 향산별곡(香山別曲)으로 됨. 정철의 관동별곡에 영향
성산별곡 정철 성산의 자연미를 읊음. ‘송강 가사’에 수록됨.
관동별곡 정철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그곳의 자연을 노래한 기행 가사
사미인곡 정철 충신연주지사. 창평에 귀양가서 지음.
속미인곡 정철 사미인곡의 후편. 두 여인의 문답으로 된 연군지사. 우리말 표현이 뛰어남.
규원가 허난설헌 가정에 파묻힌 여자의 애환을 노래함.

 

* 조선 전기 한문 소설

작품 작자 내 용
금오신화 김시습 최초의 한문 소설. 구우의 전등신화에서 영향을 받음.
① 만복사저포기 ② 이생규장전 ③ 취유부벽정기
④ 남염부주지 ⑤ 용궁부연록
화사 임제 국가와 군신을 꽃에 비유하여 치국 흥망의 역사를 기록한 의인체 한문 소설, 일설 남성중(南聖重)의 작
수성지 임제 세상에 대한 불만과 현실에 대한 저주를 그린 의인체 한문 소설
원생몽유록 임제 생육신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처지를 슬퍼하여 쓴 전기 소설(傳奇小說), 세조의 왕위 찬탈을 배경으로 한 정치 권력의 모순을 폭로함.

 

 

Ⅳ. 조선 후기의 문학

* 조선 후기 주요 시조집 개관

주요 시조집 편 자 작 품 수
청구 영언 김천택(金天澤) 998수
해동 가요 김수장(金壽長) 883수
고금가곡 송계연월옹 302수
악학습령(樂學拾零)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이형상(李衡祥) 1109수
가곡원류 박효관  안민영 800수

 

* 조선 후기 가사

작품 작자 내 용
고공가 허 전 나라 일을 농사에 비겨 관리들의 부패를 비판함. 각성촉구
고공답주인가 이원익 ‘고공가’의 답가.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를 농사에 비유하여 풍자함.
조천가 이수광 가사를 알 수 없고 「상촌집」에 기록만 전함.
태평사 박인로 전쟁 가사, 왜구의 토벌과 태평을 갈구함.
선상탄 박인로 임진왜란 뒤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한 가사
사제곡 박인로 사제의 승경과 이덕형의 풍모를 읊음.
누항사 박인로 안빈 낙도(安貧落島)를 노래함.
독락당 박인로 독락당을 찾아 이언적을 추모하고 서원의 경치를 읊음.
영남기 박인로 이근원의 선정을 백성들이 숭앙함을 표현함.
노계가 박인로 지은이가 만년에 숨어 살던 ‘노계’의 경치를 읊음.
매호별곡 조우인 매호에서 유유자적함을 읊음.
자도사 조우인 간신들이 정치를 어지럽게 함을 한탄한 우국 연군의 노래
일동장유가 김인겸 일본 통신사로 갔다가 견문한 바를 적은 장편 기행 가사
만언사 안조원 추자도에 귀양가서 노래한 장편 유배 가사
도산가 조성신 도산의 정치와 퇴계 선생을 추모
봉선화가 정일당 봉선화에 얽힌 여자의 정서를 노래
한양가 한산거사 한양의 문물 제도를 읊음.
농가월령가 정학유 농가의 연중 행사와 세시 풍속을 읊은 가사. 월령체, 교훈적.
북천가 김진형 명천에 귀양 생활을 하면서 견문을 쓴 유배 가사
연행가 홍순학 청나라 북경에서의 견문을 적은 장편 기행 가사

 

 

 

 

* 고대 소설

분류 작품명 작자 내 용



심청전 미상 연권녀(蓮權女)  효녀 지은(知恩) 설화. 도덕 소설
장끼전 미상 ‘웅치(雄稚傳)’이라고도 함. 풍자 소설
흥부전 미상 ‘방이 설화(芳?說話)’, ‘박타는 처녀’에서 발견
왕랑반흔전 보우
(普雨)?
고려 이래 민간에 전해 오던 불교 설화가 소설화된 것. 한문본도 있으며, 화엄사본이 가장 오래됨
사회
소설
홍길동전 허균 수호지(水滸誌) 등의 영향을 받음. 한글 창작 소설, 영웅 소설
전우치전 미상 ‘홍길동전’의 아류작(亞流作)



임진록 미상 한문본(漢文本)도 있음. ‘삼국지연’의 영향을 받음.
곽재우전 미상 ‘천간홍의 장군’이란 제목으로 출간
임경업전 미상 임장군전’이라고도 함. 전기적 소설
박씨전 미상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 부인의 전기적 소설
가정
소설
사씨점정기 김만중 숙종이 인현 왕후를 쫓아 냄을 풍자한 것이라고도 함.
장화홍련전 미상 권선징악을 주제로 함.



춘향전 미상 완판본 열녀춘향수절가(完版本烈女春香守節歌)
열녀 암행 어사 설화(烈女暗行御史說話)
옥단춘전 미상 이혈룡과 기생 옥단춘의 사랑을 그림.
숙향전 미상 한문본(漢文本)도 있음.
숙영낭자전 미상 한문본 재생연(漢文本再生緣)
운영전 유영? 원본은 한문본. 일명 ‘수성궁 몽유록’
구운몽 김만중 한문본(漢文本)도 있음.
옥루몽 남익훈 구운몽(九雲夢)의 아류작(亞流作). 한문본도 있음.
채봉감별곡 미상 가곡체.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이라고도 함.
풍자
소설
배비장전 미상 양반의 위선 풍자. 배비장과 기생 애랑의 이야기
이춘풍전 미상 무력한 남편과 거세된 양반을 풍자





호질 박지원 도학자의 위선적인 생활 폭로
허생전 박지원 허생의 상행위(商行爲)를 통한 이용 후생의 실학 사상 반영
양반전 박지원 양반 사회의 허례 허식 및 그 부패성의 폭로
광문자전 박지원 기만과 교만에 찬 양반 생활의 풍자
예덕선생전 박지원 직업 차별의 타파와 천인(賤人)의 성실성 예찬
반응형

* 고대 수필

분류 작품명 작자 내 용



계축일기
(서궁록)
궁녀 광해군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 대비의 아들 영창 대군을 죽이고 대비를 폐하여 서궁에 감금했던 사실을 일기체로 기록
한중록 혜경궁
홍씨
남편 사도 세자의 비극과 궁중의 음모, 당쟁, 자신의 기구한 생애를 회갑 때 회고하여 적은 자서전적 회고록
인현왕후전 궁녀 인현 왕후의 폐비 사건과 숙종과 장희빈과의 관계를 그림. 사씨남정기는 같은 내용을 비유적으로 소설화한 작품





산성일기 궁녀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한 치욕적인 일면을 서술한 객관적·자술적 작품
화성일기 이의평 능행(陵行)시 화성(수원)에 수행하여 왕대비의 화갑연에 참가했던 것을 일기로 엮은 것
의유당일기 연안김씨 순조 29년 남편 이회찬이 함흥 판관에 부임하매, 따라가 그 부근의 명승 고적을 찾아다니며 보고 듣고 느낀 바를 적은 글

복관노정록 유의양 작자가 함경도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일을 적은 일기체 기행문
무오연행록 서유문 서장관으로 중국에 갔다가, 그 견문·감상을 자세히 기록한 완전한 산문체 작품

우념재수서 이봉한 일본 통신사의 수행원으로 갔을 때 그 자당에게 보낸 편지
한산유찰 양주조씨 이산중(李山重) 부인의 수기

윤씨행장 김만중 김만중이 그의 모부인(母夫人)이 돌아가시자 그를 추념하여 생전의 행장(行狀)을 지어 여자 조카들에게 나누어 준 글

제문 숙종 숙종의 막내 아들 연령군이 숙종이 승하하기 한 해 전에 세상을 떠났는데, 그 애통한 심회를 적은 글
조침문 유씨 자식 없는 미망인으로서 바느질로 생계를 도와 오다가 바늘을 부러뜨려 그 섭섭한 심회를 적은 글

요로원야화기 박두세 당시 선비 사회의 병폐를 대화체로 파헤친 풍자 문학
어유야담 유몽인 민간의 야담과 설화를 모아 엮음. 해학과 기지가 넘침.
규중칠우쟁론기 미상 규중 부인들의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 바늘·자·가위·인두·다리미·실·골무 등의 쟁공(爭功)을 쓴 글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