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화행(話行, Speech act), 화행 이론, 언표적 행위, 언향적 행위, 언표내적 행위 유형, 화행 유형, 직접 화행, 간접 화행

Jobs 9 2024. 11. 27. 11:19
반응형

화행

 

1. 화행 정의

- 화행(話行, Speech act) ​: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행위

​- 발화 행위라고도 한다.

- 일상생활에서 어떤 문장을 발화하여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고, 전달되는 의미에 따라 그 발화가 특정한 행위로 인식되는데, 이처럼 문장을 발화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언어 행위를 화행이라고 한다.

2. 화행 이론

- 오스틴(1962)은 의사소통에 주안점을 두고 화행을 언표적 행위, 언표내적 행위, 언향적 행위로 구분했다.

1) 언표적 행위 (言表的 行爲, Locutionary act)

- 발화 행위라고도 하며, 일정한 의미와 지시를 가진 문장을 발화하는 것을 말한다.

​- 그냥 발화(말하는 것)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 즉, 낱말을 문법에 맞게 배열한 문장을 제대로 소리 내거나 낱말이 지닌 의미대로 문법적 문장을 발화하는 것이다.

​- 만약, 제대로 발음하지 않거나 언어 단위의 문법 의미를 몰라서 말을 못 한다면, 언표적 행위에 실패한 것이다.

2) 언표내적 행위 (言表內的 行爲, Illocutionary act)

- 한 문장을 발화하면서 이 문장이 갖는 고정적 말 힘의 덕으로 진술, 약속 등을 하는 것

​- 발화수반행위라고도 하며, 발화 행위를 통해서 화자가 전달하려는 의도를 뜻한다.(이 의도에는 진술, 제안, 설명, 질문, 약속, 협박, 요청 등이 있다.)

​- 화자의 의도에 따라 발화가 갖는 진술, 제안, 설명, 질문, 약속, 협박, 요청 등과 같은 힘을 발화수반력이라고 하는데, 이 발화수반력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사용한다.

​-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에는 수행동사, 억양, 종결어미가 있다.

3) 언향적 행위 (言響的 行爲, Perlocutionary act)

- 문장을 발화하여 청자(생각, 감정, 행동)와 발화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

​- 발화효과행위라고도 하며, 어행위로 인해 주변에 영을 끼치는 행위다.

- 언향적 행위가 발화 환경이나 청자에게 실제로 주는 영향을 발화 효과라고 하는데, 이러한 영향은 발화의 상황에 따라 특수성을 가진다.

​- 예를 들어, 엄마가 아이에게 "회초리 어디로 갔어?"라고 하는 발화에서

• 언표내적 말 힘은 질문, 경고 등이다.

• 언향적 효과는 경고, 금지, 위협 등이 있다.

​3. 언표내적행위 유형 - 서얼(Searle)

 

1) 진술 (陳述, Representives)

- 화자가 어떠한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에 대해 말하는 행위

​- 화자는 표현되는 명제가 참임을 단언한다.

- 이 범주에 속하는 언표내적 말 힘 : 단언, 진술, 결론 등

​- 이 발화는 참이나 거짓의 진릿값을 가진다.

- 같은 말로 단언, 단정표현이 있다.

2) 지시 (指示, Directives)

- 화자가 청자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행하게 유도하는 것

​- 화자는 청자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유도한다.

- 이 범주에 속하는 언표내적 말 힘 : 요청, 질문, 명령 등

​- 화자의 의도에 따라 세계의 상황이 변하게 된다.

- 쉽게 말해 명령이라고 한다.

3) 언질 (言質, Commissives)

- 문장을 발화하여 청자(생각, 감정, 행동)와 발화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

​- 화자는 미래의 행동을 말로써 분명히 나타낸다.

​- 이 범주에 속하는 언표내적 말 힘 : 약속, 위협, 제안 등.

​- 화자가 스스로 자기의 의무를 생성하며, 이것이 이행되면 기존의 세계에 변화가 오게 된다.

- 특히 약속의 말 힘은 화자가 자청하여 의무를 지게 되는 것이다.

- 선언, 공약, 약속 따위의 말로 바꿔서 쓰기도 한다.

4) 감정표현 (感情表現, Expressives)

- 문장을 발화하여 청자(생각, 감정, 행동)와 발화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

​- 심리적 상태를 표현한다.

​- 이 범주에 속하는 언표내적 말 힘 : 감사, 사고, 환영 등.

​- 화자가 주관적인 내적 상태를 표현하는 것.

- 외부 세계에 관한 말이 아니라 화자 내부 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5) 선언 (宣言, Declaraives)

- 발화에 의해 세상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

​- 발화가 제도적 상황에 즉각적인 변화를 초래한다.

​- 이 범주에 속하는 언표내적 말 힘 : 전쟁 선포, 세례, 해고, 선언, 판결 등.

​- 화행의 성공적인 수행에 의해 세계의 상황에 변화가 오게 된다.

 

 

4.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

 

- 발화 자체에서 의도된 언표 내적 행위를 표시하는 장치

​- 특정발화의 여러 발화수반력 중에서 화자가 의도하는 것을 청자가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같은 내용과 의도의 말이라도 말하는 방법에 따라 문장이 달리 나타나는데 이것을 표현하는 장치가 바로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이다.

​-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에는 수행 동사, 어순, 강세, 억양, 서법, 종결어미 등이 있다.

1) 수행동사

​- 구체적인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와 관련된 의미를 갖는 동사

​- 발화에 나타난 화행이 어떤 것인지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동사이다.

ㄱ. 나는 너에게 자동차를 사 줄 것이다.
ㄴ. [나는 너에게 자동차를 사 줄 것을] 약속한다.
ㄱ. 일찍 일어나지 않으면, 너에게 용돈을 주지 않을 것이다.
ㄴ. [일찍 일어나지 않으면, 너에게 용돈을 주지 않을 것을] 경고한다.

수행동사 ‘약속하다’와 ‘경고하다’는 [ ] 표 안의 언표내적 행위가 각각 ‘약속’과 ‘경고’라는 것을 나타낸다.

 

​- 수행동사를 사용하느냐 마느냐에 따라 수행발화의 종류가 달라진다.

- 명시적 수행발화와 암시적 수행발화

수행동사가 사용되어 특정 발화가 어떤 언어 행위를 나타내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을 명시적 수행(expkicit performative)이라고 하고, 수행동사가 사용되지 않아 특정 발화가 어떤 언어행위를 나타내는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것을 암시적 수행(implicit performative)이라고 한다.

ㄱ. 나는 너에게 집으로 갈 것을 명령한다. ‘명령한다’는 수행동사가 사용되어 청자가 ‘집에 갈 것’을 명령하는 명시적 수행
ㄴ. 집으로 가자. / 어머니께서 기다려. ‘명령한다’라는 수행동사를 사용하지 않고 청자가 ‘집에 갈 것’을 명령하는 암시적 수행

수행동사가 사용되는 명시적 수행은, 발화가 어떤 발화수반력을 나타내는지를 드러내므로, 발화를 청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한다.

명시적 수행발화 암시적 수행발화
특정한 경우에 사용되는 수행 동사를 사용한 수행 구문 수행 동사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한 언표내적 행위를 나타내는 수행 구문
청자가 별다른 추론 없이, 화자의 언표적 행위로도 화자가 의도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청자가 발화 상황과 화자의 발화 의도를 고려하여 화자가 의도한 의미를 올바르게 추론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2) 억양

- 수행동사를 사용하여 발화수반력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다른 방법으로 발화수반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다른 방법에는 억양이 있다.

ㄱ. 내일 울산에 가.→ 진술
ㄴ. 내일 울산에 가.↗ 질문
ㄷ. 내일 울산에 가.↘ 명령

 

3) 종결어미

- 우리말에서는 종결(문말) 어미를 사용하여 발화수반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5. 적정 조건

 

- 어떤 언어 행위가 특정한 언어 행위로 인정되려면 어떤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것.

 

예) 이에 본 법정의 판사는 피고에게 징역 3년을 선고한다.

이와 같은 발화가 적절한 화행이 되려면, 화자가 법원의 판사이어야 하고, 청자는 피고인ㆍ 교도관ㆍ법정 청중이어야 하며, 이 발화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법정이어야 한다. 언어가 맥락에서 벗어나 부적절한 말이 되지 않고 특정한 화행으로 인정받아서 발화수반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예) 나는 이제 두 사람이 부부가 되었음을 선언합니다.

화자가 이 말을 했을 때 이것인 ‘선언’이라는 유효한 화행이 되기 위해서는 이 말을 하는 사람이 실제로 그 말을 할 권한이 있는 사람이란 것이 분명해야 하고, 그 말의 발화에 알맞은 상황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가 이런 선언을 하는 것은 장난이나 모방으로만 받아들여질 뿐 아무런 효력이 없다. 이 예문에 적절한 상황은 결혼식장에서 신랑과 신부가 하객들 앞에서 결혼 서약을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두 사람의 성혼을 선언해야 하는 주례자가 하는 말이어야 한다.

 

1) 명제내용조건(content condition)

발화의 명제 부분에 의해서 표현된 의미를 명시한다. 화자와 청자 가운데 누구 의 행동으로 나타나는가와 어느 시점의 행동인가를 나타내 준다. 예를 들면, ‘약 속하다’는 반드시 화자의 어떤 미래의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준비조건(preparatory condition)

화행의 수행에 요구되는 조건을 명시한다. 행동을 수행하는 사람은 그것을 할 수 있는 권리나 권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준비 규칙이 충족되지 않으면 행동은 공허한 것이 되고 만다. 예를 들면, 감사 화행에서는 화자는 청자가 화자에게 유익한 일을 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3) 성실조건(sincerity condition)

화행이 성실히 수행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조건을 명시한다. 만약 발화하는 사람이 너무 불성실해서 발화수반력이 나타나지 않으면, 화자는 남용의 죄를 짓 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하다’가 성실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화자는 앞선 행위 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해야 한다.

 

4) 본질조건(essential condition)

관습적으로 화행이 어떻게 간주되는지를 명시한다. 행동을 수행하는 사람은 어 떤 믿음이나 의도로서 그의 발화에 나타난 수행적 힘에 의해 약속을 한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발화가 이러한 약속과 일치되지 않으면 그는 불이행죄를 짓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경고하다’의 화행에서는 미래의 사건에 대하여 청자가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고 간주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반응형

6. 화행 유형 : 직접 화행, 간접 화행

"차가운 물 주세요. " 직접 화행
"여기 차가운 물 있나요? " 간접 화행

 일반적으로 요청 및 요구 화행은 '명령문'과 함께 수행된다. 그러나 위 예시처럼 '의문문'의 형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를 간접 화행(indirect speech act)라고 한다. 

'직접 화행'은 문장의 형식(sentence type)과 그 형식에 따른 무표적인 의도가 일치되는 화행 또는 직접 화행을 나타내는 명시적인 수행동사가 쓰인 화행을 말한다.

 

평서문 - 진술

의문문 - 질문

명령문 - 요청, 명령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