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121

시적 화자, 시적 화자의 태도, 시의 분위기

1. 시적 화자 → 시에는 시인의 정서나 관념, 생각을 전달하는 사람이 나오는데, 이 사람이 화자다. 화자가 반드시 시인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시인은 시를 통하여 표현하고 싶은 정서나 관념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의 가면을 쓰고 나오는 셈이다. 결국 화자란 시 속에서 시인을 대리하는 노래를 부르는 사람(시인의 허구적 대리인)이다. 2. 시적 화자의 양상 ① 화자의 위치와 관련하여 * 이면적 화자 → 화자를 지칭하는 시어가 작품 속에 드러나지 않는 상태의 화자 * 표면적 화자 → 작품에서 '나' 또는 '우리'라는 시어를 통하여 자신을 노출시키는 화자 ② 화자와 관계를 맺는 대상 * 시적 대상 → 시인이 경험한 것 중 시인의 미의식에 의해 선택된 대상이다. 시인은 개인적 고뇌..

풍자, 언어 유희

풍자(諷刺 / Satire) 1. 풍자 웃음을 자아내는 가운데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감추어 두는 기법으로, 주로 인간의 악덕과 어리석음,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려는 목적으로 쓰인다. 2. 언어 유희 다른 의미를 암시하기 위한 말이나, 동음 이의어를 해학적으로 사용하는 것, 즉, 말이나 문자를 소재로 한 말장난을 뜻한다. 예1> 송 욱의 에서 "치정(痴情) 같은 정치가 상식이 병인 양하여 ~ 현금이 실현하는 현실 앞에서 다달은 낭떠러지" → 음절 도치에 의한 언어 유희로 재미와 함께 긴장감을 준다. 예2> 황진이의 시조 " 청산리 벽계수야 ~ " "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엇더리. " → 동음 이의어에 의한 언어 유희('벽계수'는 푸른..

반어(irony) 1. 언어적 반어 2. 상황적 반어(구조적 반어) 3. 반어 표현의 예시

반어법 : 반대말로 강조, 비꼼 역설법 : 역으로 진실 설파, 모순된 진실 반어(irony) : 반대말로 강조, 비꼼 ​ 반어란, 머릿속의 생각과 입 밖으로 나온 말이 다를 때를 가리킨다. 문학 작품상에서 반어란 거짓 꾸밈으로 정반대의 표현을 통해 오히려 대상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1. 언어적 반어(표현적 반어) : 드러난 말과 실제 의도 사이에 상반된 관계가 있는 표현으로 빈정, 비난, 조롱 등의 경우.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언어적 반어의 예시로는 '잘했네(잘못한 경우).', '똑똑하네(어리석은 상대에게)', '멋있네(못 미더울 때).' 등이 있다. 문학 작품 중 특히 김소월의 시에서 반어 표현이 자주 등장. ​ 2. 상황적 반어(구조적 반어) : 현재 진행 중인 상황과 전혀 ..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사미인곡(思美人曲) 원문 현대어 풀이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ᄒᆞᆫᄉᆡᆼ 緣分(연분)이며 하ᄂᆞᆯ 모ᄅᆞᆯ 일이런가. 나 ᄒᆞ나 졈어 닛고 님 ᄒᆞ나 날 괴시니, 이 ᄆᆞ음 이 ᄉᆞ랑 견졸 ᄃᆡ 노여 업다. 平生(평ᄉᆡᆼ)애 願(원)ᄒᆞ요ᄃᆡ ᄒᆞᆫᄃᆡ 녜자 ᄒᆞ얏더니, 늙거야 므ᄉᆞ 일로 외오 두고 글이ᄂᆞᆫ고. 엇그제 님을 뫼셔 廣寒殿(광한뎐)의 올낫더니, 그더ᄃᆡ 엇디ᄒᆞ야 下界(하계)예 ᄂᆞ려오니, 올 적의 비슨 머리 얼킈연디 三年(삼년)이라. 臙脂粉(연지분) 잇ᄂᆡ마ᄂᆞᆫ 눌 위ᄒᆞ야 고이 ᄒᆞᆯ고. ᄆᆞ음의 ᄆᆡ친 설음 疊疊(텹텹)이 ᄡᅡ여 이셔, 짓ᄂᆞ니 한숨이오 디ᄂᆞ니 눈믈이라. 人生(인ᄉᆡᆼ)은 有限(유ᄒᆞᆫ)ᄒᆞᆫᄃᆡ 시ᄅᆞᆷ도 그지 업다. 無心(무심)ᄒᆞᆫ 歲月(셰월..

한국 문학 특질과 전통, 한(恨)의 정서, 해학과 풍자의 미학, 조화와 풍류의 정신, 선비 기질과 지조

한국 문학 특질과 전통 1. 한국 문학의 특질 1) 한(恨)의 정서 ㉠ 주어진 운명에 대결하지 않고 순응함으로써 슬픔을 승화시키는 것. ㉡ 민족의 역사적 배경(외세의 침략, 신분적 억압 체제, 전통적 도덕주의와 숙명론의 굴레 등)에서 비롯됨. ㉢ 미적 범주 → 우아미 혹은 비장미 ㉣ 갈래 → 향가, 고려가요, 민요, 1920년대 현대시 등. 2) 해학과 풍자의 미학 ㉠ '해학'은 희극적 인물을 통해 고통과 갈등을 화해와 타협의 세계로 변화시키는 웃음의 정신이고, '풍자'는 현실의 부조리와 모순을 빗대어 폭로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부정과 비판 의식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정신을 말한다. ㉡ 지배층의 가렴주구와 불합리한 도덕주의의 질곡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영위하던 서민들의 삶의 애환이 빚어내 결과임. ㉢ 미의식..

한국 문학 개념과 범위, 구비문학, 한문문학, 국문문학

한국 문학 개념과 범위 1. 한국 문학 개념 - 한국어로 된 문학 - 한민족이 자신의 사상, 감정, 감정 등 가치있는 체험을 한국어로 형상화한 문학 - 한민족이 선사 시대 이래 오늘날까지 창조한 문학 전체 2. 한국 문학 범주 3. 한국 문학 시대별 존재 양상 - 구비문학만 존재했던 시대 - 한자 전래 이후 → 구비 문학의 정착, 차자 문학 등장, 한문 문학 형성 시작(신라시대) - 한자 사용의 보편화 → 상층의 한문 문학과 하층의 구비 문학이 병존한 시대(고려시대) - 한글 창제 이후 → 한문 문학, 국문 문학, 구비 문학이 병존한 시대 (조선시대) - 한문 문학, 구비 문학이 약화되면서 국문 문학이 크게 확대된 시대(개화기 이후) 4. 구비문학, 한문문학, 국문문학 1) 구비문학 ⑴ 개념 : 문자로 ..

문예 사조 - 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유미주의, 데카당스, 다다이즘, 주지주의, 실존주의

문예 사조(文藝思潮) 1. 문예 사조의 근원과 개념 (1) 문예 사조의 근원 :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 헬레니즘(Hellenism) ㈀ 발생지 : 그리스 ㈁ 특징 : 인성(人性)을 중시하고, 감성, 지성, 현세, 자아적이다. ㈂ 영향 : 고전주의, 자연주의 등으로 전개된다. ② 헤브라이즘(Hebraism) ㈀ 발생지 : 히브리 ㈁ 특징 : 신성(神性)을 중시하고, 덕성, 내세, 신성적이다. ㈂ 영향 : 낭만주의, 상징주의 등으로 전개된다. (2) 문예 사조의 개념 : 뜻을 같이 하는 문인들이 유파(流派)를 형성하고, 문학 운동을 전개하여 하나의 사상적 흐름을 형성한 것을 일컫는다. 이는 문학사상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시대적. 집단적 사조라는 점에서 문학 사상과는 다르다. 또한 문예 사조는 대체로 서구에..

문학의 요건, 문학의 요소, 문학의 언어, 문학과 현실

● 문학의 요건 문학의 요건이란, 어떤 문학 작품을 좋은 문학이 되게 하는 일련의 속성을 말한다. 1. 감동성 : 작가의 사상, 감정의 요소가 독자에게 감명을 줄 수 있어야 한다. 2. 평이성 : 전문적이거나 일부에 국한된 내용이 아니라 일반 독자에게도 쉬워야 한다. 3. 쾌락성 ; 독자에게 예술적, 미적 감동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4. 언어성 : 언어가 가지는 미적 요소에 주목하여야 한다. 5. 개연성 : 있었던 사실의 나열이 아니라, 있음 직한 사건을 언어적으로 형상화한 것이어야 한다. ● 문학의 요소 문학은 미적 정서, 상상과 창조, 사상성, 형식 등의 네 요소가 작품 속에서 긴밀하게 결합되고 유기적으로 통일됨으로써 이루어진다. 1. 미적 정서 : 정서는 희로애락 애오욕과 같은 인간의 본능적 감정..

문학연구의 방법

문학연구의 방법 1. 역사주의적 방법 문학 작품은 그 자체만으로는 완전히 이해될 수 없고, 그 형성 배경이 되는 작자와 사회 환경 등을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 원전의 확정, 작자의 생애 연구, 시대 상황 연구가 중점을 이룬다. 작품 외적 요소에 치중하여 작품 자체의 미적 가치를 등한히 하는 경향이 있다. 2. 심리주의적 방법 정신 분석학의 이론을 도입하여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 심리주의적 이론에 의해 작중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거나 작자의 개인적 상징을 해명하여, 그 속에 숨은 의미를 파악하려 한다. 심리분석은 작품 뒤에 잠재된 개성과 비밀을 드러내는 장점이 있으나, 작품의 미적 가치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3. 신화주의적 방법 인간의 원시적 경험의 유형이 작자에 의해 어떻게 재현되는가를 탐구하는 방법..

문학 작품의 구조와 존재 양상

1. 문학 작품의 구조 ⑴ 구조란? - 일반적 개념 ① 전체성 : 구조는 그 자체가 하나의 전체를 이룬다. ② 유기성 : 부분과 부분이 유기적 관련을 맺는다. ③ 자기 조정성 : 구조의 내부는 나름대로 고유한 규칙을 지닌 틀에 의해 움직인다. ④ 변형성 : 구조는 요소들을 법칙에 의해 고정시킬 뿐 아니라, 끊임없이 변형을 통해 변화한다. - 문학적 개념 ① 미(美)와 무관한 재료들이 미적인 효과를 얻는 방식이다.(→미적 구조) ②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총괄하는 총체적 형태이다. ⑵ 구조의 특징 - 문학의 자율성 → 문학 작품은 문학 외적인 측면으로 설명되는 것을 거부하는 순수한 예술적 가치가 있다. - 문학적 의미의 총체성 → 작품을 이루는 부분적 요소들은 전체 속에 차지하는 역할과 기능에 따라 독..

문학의 기능, 교시적 기능=교훈적 기능, 쾌락적 기능, 종합적 기능, 당의정설(糖衣錠設)

문학의 기능 1. 교시적(敎示的) 기능(=교훈적 기능) 문학은 독자들에게 교훈을 전달하며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해주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로마 시대 이후 고전주의자나 계몽주의자들은 이러한 문학의 교시적 기능을 중시했다. 우리의 고대 소설들의 권선징악을 주제로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바르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개화기 이후 이광수의 '무정', '흙', '사랑' 등의 소설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었다. 문학의 교시적 기능은 공리성 혹은 유용성의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쾌락적(快樂的) 기능 문학은 독자들에게 고차원적이며 정신적인 쾌감을 준다는 입장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서 다루고 있으며 예술의 목적은 쾌락이며, 진정한 쾌락은 육체적 자극이 아닌 정신적 자극을 통해서 얻..

문학의 기원 - 모방설, 유희설, 흡인설, 자기표현설, 발생학설, 원시종합예술설

문학의 기원 1. 모방설(模倣說) 아리스토텔레스(Aritoteles)의 에 드러난 견해로 인간은 모방의 본능을 지녔기 때문에 문학 또한 현실을 모방하려는 시도라고 주장. 2. 유희설(遊戲說) 칸트(I. Kant) 스펜서(Spancer) 등이 주장한 견해로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즐기려는 본성을 가진 존재(호모 루덴스 homo rudens)로 여기에서 문학이 발생했다는 주장. 3. 흡인설(吸引說) 다윈(C. Darwin) 등의 진화론자들의 견해로 인간이나 동물들은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고 싶어 하는 본능이 있으며, 여기에서 문자로 관심을 얻기 위해 문학이 발생했다는 주장. 4. 자기표현설(自己表現說) 허드슨(W. H. Hudson)의 견해로, 인간은 자기가 표현하고 싶어 하는 본능이 있으며 그 결과로 문..

국어 기출 시인 순위

1위 윤동주(10회) - 1995 수능 - 1998 수능 - 2001 수능 - 2011 수능 - 2020 수능 - 2004.6 모평 - 2004.9 모평 - 2008.6 모평 - 2013.9 모평 - 2017.9 모평 - 2002.10 고3 학평 - 2003.12 고1 학평 - 2004.09 고2 학평 - 2005.06 고2 학평 - 2006.06 고1 학평 - 2006.11 고1 학평 - 2007.03 고2 학평 - 2008.04 고3 학평 - 2009.10 고3 학평 - 2011.07 고3 학평 - 2012.11 고1 학평 - 2013.03 고2 학평 - 2013.07 고3 학평 - 2013.11 고1 학평 - 2013.03 고2 학평 - 2013.07 고3 학평 - 2013.11 고1 학평 - 20..

민요, 구전성, 비전문성, 선후창, 교환창, 일인창, 합창

민요 1. 개념 - 일반 민중의 생활 속에서 전승되는 구비 시가의 총칭 -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적 운율감을 기초로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사람의 입을 통하여 전해지는 노래 2. 특성 - 구전성 : 설화와 마찬가지로, 민요는 문자에 의한 기록과 무관하게 입에서 입으로 전승된다. - 비전문성 : 판소리, 무가, 잡가 등과 달리 비전문적인 가요로, 누구나 쉽사리 익히고 노래할 수 있음. - 서민성 : 서민의 생활, 특히 노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불려지므로 서민의 생활 감정이 잘 표현됨. - 형식미 : 민요는 노래로 불려지기에 적합하도록 그 율격이나 형식이 다듬어져 있어 대체로 그 율격은 일정한 정형성을 띤다. - 민속, 음악, 문학의 복합체이다. 3. 분류 - 기능적 특성에 따라 ⑴ ..

고대 수필, 내간체, 계축일기, 한중록, 인현왕후전, 산성일기, 의유당 일기, 무오연행록, 북관노정록

고대 수필 1. 개념 및 발달 - 개념 : 사회적 변동이나 살아가는 과정에서의 개인적인 체험과 생각 및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글. - 발달 :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기록문학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은 고려 시대 초기부터이지만, 17세기경부터 한글의 광범위한 보급과 함께 일상적 경험을 기술하는 데 있어 국어 문장이 발휘하는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력에 대한 인식이 깊어짐에 따라 많은 한글 수필이 출현하게 되었다. 2. 특성 및 의의 - 특성 ① 수필의 형태는 일기, 기행, 수기, 회고록, 궁정 수상, 내간, 창작 수필 등 다양한 형태를 보임. ② 내간체 → 한글 창제 이후 사대부 여성들을 중심으로 보급되면서 편지와 기행, 생활 기록에서 널리 쓰이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문체로, 한문과 달리 관념성과 규범성을 벗어..

고대 소설, 갑오경장 이전까지 쓰인 옛 소설, 금오신화, 화사, 수성지, 원생몽유록, 호질, 허생전, 양반전

고대 소설 1. 개념 옛날의 설화, 패관문학, 가전체 등을 바탕으로 중국의 전기(傳奇), 화본(話本) 등의 영향을 받아 생겨난 산문 문학의 한 장르로, 갑오경장 이전까지 쓰인 옛 소설을 말한다. 2. 발생 - 한문 소설 ⇒ 김시습의 가 한국 고대 소설의 효시인데, 이 작품은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던 설화, 고려의 패관문학, 가전체 문학 등의 서사적 전통 위에 중국의 전기(傳奇) 소설인 구우의 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전기적 요소를 지닌 한문소설은 고대 소설의 출발을 보여주며, 국문소설이 나오기 전에 임제의 ,

가사(歌辭), 4음보 연속체, 수필적 산문

가사(歌辭) 1. 개념 및 성격 - 개념 : 경기체가의 붕괴에서 발생한 교술장르로, 형식상 4음보(3 · 4조)의 연속체 운문이며, 내용상 수필적 산문이다.(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 - 성격 ① 시가와 문필의 중간적인 형태로,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적 장르.(조윤제) ② 가사는 율문으로 된 수필이다. ③ 율문으로 된 교술문학이다. 2. 형식 및 내용 - 형식상 특징 ① 3 · 4조 또는 4 · 4조를 기조로 한 4음보의 연속체로 이루어짐. ② 행수에는 제한이 없다. ③ 정격가사 : 낙구(작품 마지막 4음보)가 시조의 종장처럼 3.5.4.3의 음수율을 지닌 가사 변격가사 : 낙구가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는 가사 - 내용상 특징 ① 서정성이 강한 작품(상춘곡, 사미인곡 등) ② 실제..

악장, 조선 초기 송축가, 신도가, 감군은, 상대별곡, 화산별곡,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악장 1. 개념 - 개념 조선 왕조의 창업과 번영을 송축하기 위해 15세기에 주로 만들어진 궁중 악가(樂歌)이다. 즉 종묘 제향이나 공사 연향(公事宴享)에서 불리던 조선 초기의 송축가를 이르는 말이다. - 발생 배경 및 발달 과정 이 태조의 건국 창업을 처음에는 반대도 하고 방관하던 사람들이 국기(國基)가 공고히 다져지고 모든 제도가 정비 개혁되면서부터 차차 조선의 건국과 문물제도를 찬양하고, 임금의 만수무강과 자손의 번창을 축원하는 노래를 지어 부르게 되었다. 악장의 창작은 특권층 귀족의 목적성을 띤 문학이었기 때문에, 조선조 초기로 일단락되고 그 이후에는 극히 드물게밖에 작품이 추가되지 않았으며, 성종 때에 이르러 그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2. 형식 및 내용 - 형식상 특징 ① 일정한 형태도 없이,..

가전체 문학, 계세징인, 의인화, 국순전, 공방전, 국선생전, 청강사자현부전, 죽부인전

가전체 문학 1. 개념, 유래 - 개념 :가전(假傳)이란 어떤 사물을 역사적 인물처럼 의인화하여 그 가계(家系)와 생애 및 개인적 성품, 공과(功過)를 기록하는 전기 형식의 글을 말한다. 실전(實傳)이라 하지 않고 가전이라고 한 것은 '가(假)'가 허구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 유래 : 당나라 문인 한유의 , 신라시대 설총(8C)의 등에서 유래된 것으로 봄. - 형성 배경 : 고려 중기 이후 설화를 수집, 정리, 창작하는 과정에서 의인체의 가전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전체 문학의 발달은 무신란 이후에 등장한 사대부들의 의식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객관적 관념론자인 그들이 사물에 대한 관심과 인간 생활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려는 정신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특성 및 의의 ..

패관 문학, 소설의 전신, 수이전, 백운소설, 파한집, 보한집, 역옹패설

패관 문학 1. 개념 고려 후기에 시화(詩話)를 중심으로 민간에 구전되는 이야기를 한문으로 채록하는 과정에서 채록자의 창의가 가미되어 윤색된 것을 흔히 패관문학이라고 한다. 이 장르는 오늘날 수필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며, 패관이란 본디 한나라의 관직명으로, 정치에 참고하기 위해 거리에 떠돌던 이야기를 수집하던 벼슬아치를 가리키는 말이다. 2. 특성 ① 소설의 전신으로서 소설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② 이야기의 내용은 대부분 민담의 영역에 속한다. → 신화와 전설에서 분리된 민담은 구전되면서 창의성이 덧붙여져 문학성을 갖추며, 한문학의 발달에 힘입어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풍성하게 꽃을 피우게 됨. ③ 고려 고종 때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는데,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에도 잡기(雜記), 시화(詩話) 등의 문집류..

고시조, 고려 말 완성, 3장 6구 45자 4음보 정형시

고시조 1. 개념 및 형성 발달 - 개념 :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완성된 3장 6구 45자 내외의 4 음보 정형시 - 형성 :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설들이 존재한다. 무당의 노랫가락 기원설, 향가 기원설, 한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는 설, 고려가요 기원설, 특히 에서 보이는 3장 형태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주장 등 다양하다. 그중에서 고려가요의 형태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 되어 새로운 문학 형식인 시조가 만들어졌다는 설이 매우 유력하다. - 발달 : 고려 중엽에 싹이 트서 말엽에 그 정형이 완성되었다는 것이 통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16세기에 이르러서야 정착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본격적인 유엉은 조선시대 들어와서의 일이다. 2. 형식상 특징 - ..

경기체가, 고려 중엽 조선 초기, 귀족 문인, 정형시가,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상대별곡, 화산별곡, 불우헌곡

● 경기체가 1. 개념 및 성격 - 개념 : 고려 중엽부터 조선 초기까지 귀족 문인층 사이에서 유행하던 정형시가. - 성격 ① 고려 중엽 이후에 등장한 신흥 사대부들의 득의에 찬 삶과 향락적인 여흥을 위하여 창출된 시가. ② 순전히 한문화 사회의 지식층에서만 발달한 기형적인 시가 문학. ③ 교술 장르적 성격 →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행위, 관념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작품 외적 세계의 사실을 작품 안에 옮겨 놓아 이루어진 교술 시가의 일종임. ④ 고려적인 과도기의 문학 → 전시대 향가 문학에 만족하지 못했고, 또 아무리 한문에 능숙하다 하더라도 그들의 정서를 한시에 담기에는 또한 불만스러웠기에, 모색과 몸부림의 결과 이러한 것이 생겨나기는 했으나, 그것이 정당한 문학 ..

고려속요, 3음보, 분절체, 분연(分聯)마다 후렴구, 동동(動動), 처용가(處容歌), 청산별곡(靑山別曲), 가시리, 서경별곡(西京別曲), 정석가(鄭石歌), 사모곡(思母曲), 쌍화점(雙花店), 만전춘(滿殿..

● 고려속요 1. 개념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詩歌). 이는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세련되어 있다. 麗謠, 長歌, 古俗歌라고도 한다. 주로 평민층에서 유행했으며, 귀족층에서는 ‘경기체가’가 유행했다. - 고려가요 = 고려속요, 경기체가, 향가계여요 2. 특징 ①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진솔하다. ② 오랜 시일 전승되는 동안 첨삭되는 과정을 거쳐 세련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③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④ 향가가 쇠퇴한 후 고려의 시가는 사실상 그것을 담을 그릇[문자]을 잃어 정상적인 발전을 하지 못 하다가 다만 입에서 입으로 부르던 [구전시가(..

고대 가요,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 고대 가요 1. 개념 삼국 시대 이전의 노래로서, 오늘날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세 편 뿐인데 그것도 모두 한역되어 전해지고 있다. 음악,무용,시가의 종합이었던 원시 종합 예술(제천의식)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가 분리되어 발생된 것으로 본다. 2. 특성 ① 4언 4구의 한시형으로 번역되어 전해짐. ② 배경설화에 삽입된 형태로 전해짐. ③ 집단적 서사시로부터 개인적 서정시로의 변천 과정을 보여줌. ④ 주술이나 제의적 생활상이 반영되어 있음. ⑤ 작품의 짜임은 극히 단순하나, 어느 정도 대칭 구조의 균형을 이루고 있음. 3. 문헌상의 기록 : 『삼국지 위지 동이전』 ① "부여에서는 은력(殷曆)으로 정월에 하늘에 제사하고 나라 안이 크게 모여서 여러 날 동안 마시며 노래하고 춤추었다. 이를 ..

수필의 종류

● 수필의 종류 1. 태도상의 분류 ① 경수필 : 개인적 수필 * 신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취향, 체험, 느낌, 인상 등을 자유롭게 쓴 수필. * 내용과 분위기가 친근감을 가질 수 있는 개인적인 수필 * 개인적 감성과 정서가 중심이 되며, 개성적이고 신변적인 특성을 지닌다. ② 중수필 : 사회적 수필 * 비교적 보편성이 있는 일정한 주제를, 객관적인 관찰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논리를 세워서 쓴 수필 * 내용과 분위기 면에서 무게와 깊이를 지니며,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수필 * 객관적 관찰이 중심이 되며, 지적이고 사색적이며 논설적인 성격을 지님. 2. 진술 방식에 따른 분류 ① 서정적 수필 * 일상생활이나 자연에서 느낀 것을 솔직하게, 주관적으로 표현한 수필. * 표현 기교에 유의하여 ..

수필의 표현, 구성

● 수필의 표현, 구성 1. 수필의 표현 ㈀ 설명 : 어떤 대상과 관련된 사실이나 지식이나 정보 등 개관적 내용을 전달하여, 그 대상을 알고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 ㈁ 묘사 : 어떤 대상을 말로써 그려 보이는 것으로, 그 대상으로부터 받은 인상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방법 ㈂ 서사 : 시간, 움직임, 의미를 3요소로 하여 이야기 형식으로 어떤 과정을 전달하는 방법 ㈃ 논증 : 의견이나 주장을 진술한 명제를 설정하고, 그 명제의 정당함을 논리적 근거를 들어 일정한 추론 방식에 따라 증명하는 방법 ㈄ 설득 : 작가가 독자로 하여금 믿거나 받아들이도록 하는 진술 방식 2. 수필의 구성 ㈀ 직렬적인 구성 : 수필의 각 부분이 인과나 시간적 순서, 공간적 순서 등의 유기적 관계에 놓이는 짜임으로, '서두, 본문..

수필의 특성, 언어, 감상

수필 ● 수필의 특성, 언어, 감상 인생에 대한 관조(觀照)와 체험을 개성적인 문체로 표현하여 작가 자신을 진실하게 드러내는 문학 1. 특성 - 무형식의 형식(자유로운 형식) : 수필은 시나 소설과는 달리 일정한 형식이 없는 자유로운 산문이다. 형식의 자유는 구성상의 자유로움을 뜻하며, 자유로운 사고 · 상상력 · 관찰력을 동반한다. 그러나 수필의 '무형식'이 아무렇게나 써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정해진 형식이 없을 뿐, 수필은 작품 한 편마다 나름의 형식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제재의 다양성 : 수필은 작가의 개성에 따라 사회 · 역사 · 자연 · 인생 등에서 느끼거나 생각한 모든 것이 제재가 될 수 있다. - 개방성(비전문성) : 수필은 생활인이면 누구나 쓸 수 있는, 전문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나리오, 영화

● 시나리오 작가가 상상하여 꾸며낸 이야기를 일정한 영화적 구성으로 기술한 영화의 대본 1. 특성 ⑴ 영화 촬영을 전제로 한 문학이므로, 예정된 시간에 상영될 수 있도록 장면과 인물의 행동 및 대사가 설정된다. ⑵ 카메라라는 기계를 사용하므로 문학성 위에 과학성과 기술이 첨가된다. ⑶ 장면 전환이 자유롭고 인물 없는 배경만의 장면도 가능하다. ⑷ 주로 대사와 행동으로 표현되며, 장면(scene)이 단위가 된다. ⑸ 최소 단위인 장면이 연계되어 전체 장면을 이룬다. ⑹ 촬영의 대본으로서 특수한 시나리오 용어를 사용한다. 2. 구성 요소 - 플롯을 기초로 장면(scene)을 구성하고, 장면들을 연결하여 시퀀스(sequence)를 설정한다. 이러한 시퀀스들이 모여 한 편의 시나리오가 이루어진다. 3. 갈래 -..

소설의 주제-명시적, 함축적 방법에 의한 주제 제시

● 소설의 주제 소설을 흔히 허구(가공)의 세계를 통해, 삶과 현실의 진실을 드러내는 장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소설의 주제는 바로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는 삶의 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소설을 감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작품 속에 들어있으면서, 작가가 의도하고 있는 인생관 · 삶의 진실을 알아내서, 그것을 나의 삶에 용해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1. 명시적 방법에 의한 주제 제시 → 서술자(작가)가 직접적으로 주제를 제시하는 방법 권선징악적인 고대소설이나,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소설에서 주로 나타난다. 예> 최서해의 : 빈궁에 항거하는 반항적 주제를 주인공의 대사 속에서 직접적으로 표출 2. 함축적 방법에 의한 주제 제시 → 주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배경이나 분위기, 주인공의 대사 ·..

소설의 서술자, 소설의 시점, 소설의 거리, 시점과 거리의 관계

● 소설의 서술자 1. 서술자 ㉠ 작가가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 낸 허구적 대리인 ㉡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화자 ㉢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 방식과 효과가 달라짐. 2. 서술자의 개입 : 서술자가 자신의 입장이나 생각을 드러내는 것 ㉠ 인물의 내면 심리 분석 →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이나 심리를 모두 알고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독자는 인물의 심리와 행동을 직접 알 수 있어 작중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 ㉡ 서술자의 논평 → 서술자가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는 것이다. 주로 "~하지 않으랴. ~이구나" 등의 의문형이나 감탄형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고전소설에서 보이는 서술 방법이다. 3. 서술 방식 ㉠ 묘사 → 서술자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