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악장, 조선 초기 송축가, 신도가, 감군은, 상대별곡, 화산별곡,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Jobs 9 2022. 1. 29. 01:31
반응형

악장

1. 개념

- 개념
조선 왕조의 창업과 번영을 송축하기 위해 15세기에 주로 만들어진 궁중 악가(樂歌)이다. 즉 종묘 제향이나 공사 연향(公事宴享)에서 불리던 조선 초기의 송축가를 이르는 말이다.
- 발생 배경 및 발달 과정
이 태조의 건국 창업을 처음에는 반대도 하고 방관하던 사람들이 국기(國基)가 공고히 다져지고 모든 제도가 정비 개혁되면서부터 차차 조선의 건국과 문물제도를 찬양하고, 임금의 만수무강과 자손의 번창을 축원하는 노래를 지어 부르게 되었다.
악장의 창작은 특권층 귀족의 목적성을 띤 문학이었기 때문에, 조선조 초기로 일단락되고 그 이후에는 극히 드물게밖에 작품이 추가되지 않았으며, 성종 때에 이르러 그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2. 형식 및 내용
- 형식상 특징
① 일정한 형태도 없이, 형태적 · 구조적 다양성을 보인다.
② 순수한 한시로 된 것, 한시 형태에 국문으로 토를 단 것, 우리말의 표현력을 잘 구사한 국문시가로 된 것, 경기체가의 형식을 빈 것, 고려가요류의 여음을 넣은 단형가요의 형태를 취한 것 등 그 형식이 실로 다양하다.
③ 다채로운 언어와 형태를 지닌 작품들이 하나의 장르를 이룬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나, 악장의 경우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들이 공유하는 기능적 특수성의 지배가 예외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그것을 하나의 특이한 갈래로 인정하는 관행이 통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 내용상 특징
① 조선 개국의 창업이나 왕업, 조선의 도읍인 한양의 신성함, 조선이 이룩한 문물 제도의 혁혁함을 송축하고 찬양함.
② 천명론(天命論)과 유교적 덕치주의의 이념으로 왕조 건국의 필연성을 강조하면서 개국 시조들을 일종의 문화적 · 도덕적 영웅으로 예찬하는 성향을 보임.

 

3. 특성
- 목적성(조선 왕조의 체제 확립과 유지)을 띤 장르로 문학성이 높지 못함.
- 향유층은 귀족이며, 왕권과 체제가 확립됨과 동시에 그 존재 이유가 없어짐으로 인해 일찍 소멸됨.
- 정해진 음악에 맞춘 교술장르임.
- 작자층은 대부분 조선조의 권신(權臣)들이었으며, 진정한 국민문학으로 성장하기에는 결정적인 취약점을 지님.
- 유교적 충의 사상을 그 사상적 배경으로 함.
 

4. 작품

 작품 작자 연대 형식 내용 출전
문덕곡 정도전 태조 2 한시체 조선의 창업 가운데 문덕(文德)을 찬양함. 악학궤범
정동방곡 정도전 태조 2 한시체 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한 무공곡 악학궤범,
악장가사
납씨가 정도전 태조 2  한시체 태조가 야인(몽고의 나하추)을 격퇴한 무공을 찬양한 작품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봉황음 윤 회 세종 11  한시체 조선의 문물과 왕가의 축수(祝壽)를 노래함. 악학궤범
신도가 정도전 태조 3  속요체 태조의 성덕과 창업을 기리며, 신도 한양의 형승(形勝) 및 상복(祥福)을 노래함. 악장가사
감군은 상 진 명종 3  속요체 임금의 성덕과 성은의 그지없음을 칭송 악장가사,
고금가곡
상대별곡 권 근 세종 1  경기체가체 상대 사헌부에서의 생활을 통하여 조선 창업의 위대함을 노래함. 악장가사
화산별곡 변계량 세종 7  경기체가체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함. 악장가사
용비어천가 정인지, 안지,
권제
세종 27  신체 조선 6조의 위업 찬양과 후대의 왕에게 권계의 뜻을 일깨운 악장의 대표작. 서사시. 단행본
월인천강지곡 세종 세종 29  신체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그림. 단행본





공인중개사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