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패관 문학
1. 개념
고려 후기에 시화(詩話)를 중심으로 민간에 구전되는 이야기를 한문으로 채록하는 과정에서 채록자의 창의가 가미되어 윤색된 것을 흔히 패관문학이라고 한다. 이 장르는 오늘날 수필과 유사한 성격을 지니며, 패관이란 본디 한나라의 관직명으로, 정치에 참고하기 위해 거리에 떠돌던 이야기를 수집하던 벼슬아치를 가리키는 말이다.
2. 특성
① 소설의 전신으로서 소설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② 이야기의 내용은 대부분 민담의 영역에 속한다. → 신화와 전설에서 분리된 민담은 구전되면서 창의성이 덧붙여져 문학성을 갖추며, 한문학의 발달에 힘입어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풍성하게 꽃을 피우게 됨.
③ 고려 고종 때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는데,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에도 잡기(雜記), 시화(詩話) 등의 문집류는 꾸준히 등장하였다.
3. 의의 : 소설 문학의 기원이 됨
고대의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대 소설
4. 작품(문헌)
작 품 | 작 자 | 연 대 | 내 용 |
수이전 | 박인량 | 고려 문종 | 부전(不傳), 최초의 순수 설화집. 그 가운데 연오랑 세오녀, 호원 등 9편이 <삼국유사>와 <해동고승전>에 전함. |
백운소설 | 이규보 | 고려 고종 | 시화, 문담, 시평, 시작 이론 등 28편이 홍만종의 <시화 총림>에 전해짐. |
파한집 | 이인로 | 고려 고종 | 선현들의 명문장이나 명구를 채록하고, 시화, 문담, 기사(紀事), 자작(自作), 고사, 풍물 등을 기록함. |
보한집 | 최 자 | 고려 고종 | 파한집을 보충한 수필 시화집. 시평, 거리에 떠도는 이야기, 흥미있는 사실 등을 기록함. |
역옹패설 | 이제현 | 고려말 | <익재난고>의 권말에 수록됨. '소악부'에 고려 속요가 한역되어 있음. 이문(異聞), 기사(奇事), 시문(詩文), 서화, 인물에 관한 이야기 |
동인시화 | 서거정 | 조선 성종 | 역대 시문에 대한 일화, 수필, 시화 등을 모아 엮은 비평서 |
필원잡기 | 서거정 | 조선 성종 | 임금 및 학자들의 일화, 한담(閑談) 등을 모아 엮은 책 |
태평한화골계전 | 서거정 | 조선 성종 | 시정(市井)에 떠돌아다니는 이야기를 수집, 기록한 일화집 |
촌담해이 | 강희맹 | 조선 성종 | 소화집(笑話集) |
용재총화 | 성 현 | 조선 중종 | 문화(文話), 시화, 서론(書論), 사화(史話) 등이 실림. |
패관잡기 | 어숙권 | 조선 명종 | 각종 설화, 시화 등을 편집한 것. |
순오지 | 홍만종 | 조선 숙종 | 시화를 곁들인 일종의 문학 평론집 |
어면순 | 송세림 | 조선 중기 | 한문 소화집(笑話集) |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