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고시조, 고려 말 완성, 3장 6구 45자 4음보 정형시

Jobs 9 2022. 1. 23. 22:12
반응형

고시조

1. 개념 및 형성 발달
- 개념 :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완성된 3장 6구 45자 내외의 4 음보 정형시
- 형성 :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설들이 존재한다. 무당의 노랫가락 기원설, 향가 기원설, 한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는 설, 고려가요 기원설, 특히 <만전춘>에서 보이는 3장 형태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주장 등 다양하다. 그중에서 고려가요의 형태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 되어 새로운 문학 형식인 시조가 만들어졌다는 설이 매우 유력하다.
- 발달 : 고려 중엽에 싹이 트서 말엽에 그 정형이 완성되었다는 것이 통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16세기에 이르러서야 정착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본격적인 유엉은 조선시대 들어와서의 일이다.

2. 형식상 특징

- 일반적 형식은 3장 6구 45자 내외의 정형이 기본형이다.
- 음수율은 3.4조 또는 4.4조가 기조로 되어 있으나 한두 음절의 가감은 무방하다.
- 4음보의 율격을 이루며, 종장의 첫 음보는 엄격한 제약이 따라서 3음절로 고정되어 있다.
- 종장의 첫음보에 감탄사(어즈버, 아희야 등)가 빈번한 것은, 10구체 향가의 낙구에 나오는 감탄사(아야, 아으)의 영향으로 보기도 한다.


3. 고려 말기 시조

① 시조의 발생기
② 대표 시인 : 이조년, 이색, 최영, 정몽주, 이방원 등.
③ 시조의 형태 : 평시조 중심

4. 조선 전기 시조

① 시조 형식의 간결함이 사대부의 검소하고 소박한 정서를 표현하는 데 알맞은 형태였기 때문에, 국문 서정시의 주류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연시조의 형태가 출현하기도 함.
② 주제가 충의에서 출발하여 점차 애정과 도학의 세계에까지 확대되어 나아감.
③ 자연미의 발견 : 노, 장의 무위자연의 영향으로, 한가롭고 평화로운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서의 삶을 노래함.
④ 강호가도의 형성 :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의 경지를 추구하는 강호가도가 뚜렷한 흐름을 형성하면서, 영남 가단과 호남 가단을 형성함.
- 영남가단 → 심성을 닦는 것을 우위로 내세움. 이현보, 주세붕, 이황, 권호문 등
- 호남 가단 → 풍류 쪽에 기울어짐.   송순, 김인후, 김성원, 정철 등.

5. 조선 후기 시조

① 평민의식과 산문정신의 성장으로 사설시조가 등장함.
② 시조창과 전문 가객의 등장
- 시조창 : 18세기에 새로 등장한 대중적 창법으로 전문 가객이 아니더라도 쉽게 부를 수 있음
- 전문 가객의 출현 : 18세기 무렵 중인보다 낮은 서리 정도의 가객이 등장하여 시조를 가곡의 곡조에 얹어서 부름. 이들은 시조를 창작하고 부르는 한편 가단을 형성하고 시조집을 편찬하여 시조 부흥에 기여함.
③ 가단의 형성 : 평민들의 활발한 가단 활동으로, 조선 전기에는 음영을 주로 하던 시조가 창곡 위주로 변함.
- 경정산 가단 → 김천택, 김수장 중심
- 승평계 가단 → 박효관, 안민영 중심
④ 단가의 대가인 고산 윤선도의 출현
- 특징 : 자연미가 순수 서정으로 승화되었고, 시어의 조탁미가 뛰어나 시조 문학사상 으뜸의 위치를 차지하게 됨.
- 작품 : <견회요><우후요><산중신곡><어부사시사> 등.

6. 시조의 종류

- 평시조 : 시조의 기본형으로 단형시조라고도 한다.
- 엇시조 : 평시조의 초장, 중장 중 어느 한 구가 길어진 시조로, 영정조 시대에 많이 발달하였다. 중형시조라고도 한다.
- 사설시조 : 3장 중 두 구 이상이 평시조보다 훨씬 길어진 시조로, 영정조 시대에 많이 발달하였다. 장형시조라고도 한다. 대개는 중장 부분에서 길어진다.
① 형식상 특징 : 가사투와 민요풍이 혼입되었고, 대화가 많고 설화식으로 길어짐
② 내용상 특징 : 일상 생활에서 소재를 취해 구체적인 이야기와 비유를 도입하였으며, 현실 풍자와 애정의 직서적 표현으로 평민성을 강조함.
③ 평시조의 균정된 틀과는 전혀 다른 형태를 통해 평민적 익살, 풍자와 분방한 체험을 표현함으로써 조선 후기 문학사의 새로운 국면에 중요한 몫을 함.
④ 웃음의 미학 : 현실의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반어, 중세적 고정관념을 거리낌없이 추락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에 대한 해학 등
⑤ 조선후기라는 시대의 상황 속에서 종래의 관습화된 미의식과 규범적 세계상으로부터 벗어난 인간의 모습, 욕망, 갈등을 시의 세계 안에 이끌어들이고 갖가지 추한 것과 비천한 것들까지도 적극적으로 다룸으로써 새로운 문제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⑥ 사설시조 생성에 대한 소수의 견해 → 사설시조가 시조의 파격 · 변형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조선 중기 이전부터 존속해 온 민간 가요의 영역으로부터 나왔으리라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그들은 사설시조라는 이름 대신 "만횡청(蔓橫淸)"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부류의 작품들은 평시조와 달리 하층민들의 가요로부터 전이되어 주로 평민층의 생활 체험과 의식을 표현하는 별도의 시가로서 18세기 초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형성되었을 터인 바, 그것이 사설시조로 불린 것은 시조창의 곡조 · 장단을 채용한 음악상의 요인 때문이라고 보았다.  
⑦ 사설시조는 그 동안 관습적으로 인식되어 온 세계상을 버리고 자아에 누적된 관념도 씻어내기 위하여 생활을 통해서 나날이 부딪치는 갖가지 사물을 가져와 비유의 매체로 삼았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하는 말이라도 예사롭지 않은 의미를 함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도록 하는 충격도 아울러 전했다. 사설시조의 해학과 풍자는 관습적인 설명을 젖혀 버리고 삶의 실상이 부조화스럽고 불합리한 대로 그대로 그냥 노출할 때 생긴다. 서술자는 순진하고 무식한 듯 가장하고서 소견이 모자라고 이치에 어긋난 소리로 웃음이 나게 해서 표현 효과를 더욱 높였다. 

7. 주요 시조집

시조집 연대 편찬자 작품 수 특징
청구영언 영조4 (1728) 김천택 998수 곡조별로 분류했으며, 유명씨를 전반에 싣고 간단히 작자 소개를 함.
해동가요 영조 39 (1763) 김수장 883수 작가별 분류.  자작시 117수가 포함됨.
고금가곡 영조 40 (1764) 송계연월옹 302수 주제별 분류
병와가곡집
(악학습령)
정조 ? 이형상 1,109수 곡조별 분류.  1956년에 발견된 시조집
가곡원류 고종 13 (1876) 박효관, 안민영 800수 곡조별 분류.
근화악부 정조 ? 미상 394수 주제별 분류.
남훈태평가 철종 14 미상 224수 순국문으로 표기됨. 음악적 의도에서 종장 넷째 음보를 생략하였음.
반응형


8. 작가층
조선 전기까지는 양반 사대부 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17세기 이후부터는 평민 가객의 활동과 시조창의 보편화로 인해 계층의 확산과 중심 이동 현상이 나타나, 양반 사대부는 물론이고 기생들과 평민층에 이르기까지 창작에 참여함으로써 국민문학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