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민요, 구전성, 비전문성, 선후창, 교환창, 일인창, 합창

Jobs 9 2022. 1. 29. 11:01
반응형

민요

 

1. 개념
- 일반 민중의 생활 속에서 전승되는 구비 시가의 총칭
-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적 운율감을 기초로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사람의 입을 통하여 전해지는 노래

2. 특성

- 구전성 : 설화와 마찬가지로, 민요는 문자에 의한 기록과 무관하게 입에서 입으로 전승된다.
- 비전문성 : 판소리, 무가, 잡가 등과 달리 비전문적인 가요로, 누구나 쉽사리 익히고 노래할 수 있음.
- 서민성 : 서민의 생활, 특히 노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불려지므로 서민의 생활 감정이 잘 표현됨.
- 형식미 : 민요는 노래로 불려지기에 적합하도록 그 율격이나 형식이 다듬어져 있어 대체로 그 율격은 일정한 정형성을 띤다.
- 민속, 음악, 문학의 복합체이다.

3. 분류

- 기능적 특성에 따라
⑴ 기능요
① 노동요 : 농부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던 노래로 모찌기소리 · 모심기소리 · 논매기소리 · 벼타작 소리 · 방아찧는소리 · 보리타작소리 등, 어부들이 고기잡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로 즐꼬기소리 · 배내리기소리 · 노젓기소리 · 그물당기기소리 · 고기푸는소리 · 멸치후리는소리 등, 부녀자들이 집 안에서 생활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로 시집살이노래 · 애기어르는소리 · 나물뜯기노래 · 바느질노래 · 빨래노래 ·  물레소리 · 베틀소리 · 방아노래 등, 농업과 어업을 제외한 다른 노동을 하면서 부르던노래로 꼴베기소리 · 나무내리는소리 · 망건뜯기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② 의식요 : 결혼의식이나 장례의식에서 부르던 노래로서, 발인소리 · 운상소리 · 자진운상소리 · 달구 소리 · 지신밟기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③ 유희요 : 수자풀이 · 아이구 뜨거워 · 줄넘기 · 얼굴 그리기 · 경상도 기와밝기 ·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 대문놀이 · 쥔쥐잡기 · 두껍아두껍아 · 소굽놀이 · 대문놀이 ·  군사놀이 등 어린이들의 놀이에 불리는 노래
⑵ 비기능요
① 특정한 일과 관련이 없이 흥이 나면 언제 어디서나 부르는 노래로, 내용 및 형태상의 제약이 별로 없으며, 대개는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기능요보다 더 다듬어져 있다.
② 일반적인 주제로는, 삶에서 부딪치는 문제들에 대한 소망, 괴로움, 슬픔, 기쁨 등이 주류를 이룸.
③ 예 : 정선 아리랑, 밀양 아리랑, 도라지 타령 등.

 

- 가창 방식에 따라
⑴ 선후창 : 한 사람의 선창자가 의미있는 가절(歌節)을 부르고, 후창자들(다수)은 반복적인 후렴으로 이를 받아서 부르는 노래이다. 즉흥성과 개인적 창의가 많이 허용됨.
예> 강강수월래, 쾌지나 칭칭 나네 등.
⑵ 교환창 : 대등한 입장에서 서로 양편으로 나뉘어 서로 주고받는 노래
⑶ 일인창 : 혼자서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노래

4. 형식

- 민요는 두 연이 대칭 구조를 이룬다.
- 민요는 3.4조 또는 4.4조의 운율을 가진다.
- 민요는 가창 형식과 시가 형태가 긴밀한 관련을 지닌다. 즉 후렴구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가창 방식이 달라지고, 교환창이냐 선후창이냐에 따라 시가 형태가 결정된다.
- 민요의 가창 방식은 선후창, 교환창, 독창, 합창으로 구분된다.

5. 내용

- 민요에는 민중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삶에 대한 정한이 잘 나타나 있다.
- 노동요에는 일하는 즐거움과 보람이 꾸밈없이 소박하게 나타난다.
- 생활상의 고통도 함께 드러나는데, 시집살이 노래에는 시집살이하는 젊은 여성들의 고뇌에 찬 삶이 묘사되고 있다.
- 비기능요에는 남녀 이별의 정한이 주조를 이룬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