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87

원소 목록, 원소 특징, 원소 용도

원소 목록, 원소 특징, 원소 용도 1H수소Hydrogen2He헬륨Helium3Li리튬Lithium4Be베릴륨Beryllium5B붕소Boron6C탄소Carbon7N질소Nitrogen8O산소Oxygen9F플루오린Fluorine10Ne네온Neon11Na나트륨Sodium12Mg마그네슘Magnesium13Al알루미늄Aluminium14Si규소Silicon15P인Phosphorus16S황Sulfur17Cl염소Chlorine18Ar아르곤Argon19K칼륨Potassium20Ca칼슘Calcium21Sc스칸듐Scandium22Ti티타늄Titanium23V바나듐Vanadium24Cr크로뮴Chromium25Mn망가니즈Manganese26Fe철Iron27Co코발트Cobalt28Ni니켈Nickel29Cu구리Copper30Zn..

인산화, phosphorylation, 분자, 인산기, 당 이화작용, 해당과정, 단백질 인산화, ATP

인산화, 燐酸化, phosphorylation  화학에서 분자에 인산기를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인산화와 그 역반응인 탈인산화는 생물학의 많은 과정에서 중요하다. 단백질 인산화는 기능에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인산화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에 존재하는 효소의 거의 절반을 활성화(또는 비활성화)하여 기능을 조절한다. 많은 단백질(진핵생물에서 프로테옴의 1/3에서 2/3 사이)은 많은 탄수화물, 지질, 기타 생물학 관련 분자와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 인산화된다.  포도당 보통 당의 이화작용의 첫 번째 단계는 당의 인산화이다. 인산화는 분자가 운반체를 통해 다시 확산되어 나가는 것을 인산기가 방지하기 때문에 세포에 당이 축적되도록 한다. 포도당의 인산화는 많은 ..

수소 결합, 분자간 정전기력, 분자간 이온결합, F, O, N, 물(H2O), 플루오린화 수소(HF), 암모니아(NH3), 에탄올(C2H5OH), DNA 염기 간 결합, 메탄올(CH3OH), 아세트산(CH3COOH)

수소 결합水素結合 / hydrogen bonding IUPAC에서는 수소 결합을 전기음성도가 수소보다 높은 원자(수소 결합 주개)와 결합한 수소와, 다른 원자 혹은 원자단(수소 결합 받개)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적 상호작용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 과정, 심지어 화학이나 생물학 전공자들 사이에서도 F, O, N에 달린 H가 또 다른 F, O, N과 상호작용하는 것만을 수소 결합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경우가 대부분 강한 수소 결합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 외의 경우 수소 결합이 존재하는지 혹은 얼마나 강한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가 굉장히 어려우며, 수소 결합이 존재하더라도 그로 인한 성질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없기 때문이다.  보통 결합이라고 하면 원자 간 상호작용을 말하..

플루오린, 불소, 弗素, Fluorine, 독성, 앙리 무아상, 테플론, 프레온, 프로작, 플루오린화 나트륨

플루오린, 불소 弗素, Fluorine 비금속기체 원자량 18.9984032 밀도 1.696 g/L 녹는점 -219.67 °C 끓는점 -188.11 °C 용융열 0.26 kJ/mol 증발열 6.51 kJ/mol 원자가 7 이온화에너지 1681, 3374, 6147 kJ/mol 전기음성도 3.98 전자친화도 328 kJ/mol 발견 A. Ampère (1810) CAS 등록번호 7782-41-4 이전 원소 산소(O) 다음 원소 네온(Ne)  형석(CaF2)을 뜻하는 라틴어 fluorite에서 유래하였다. 여기서 '형광'을 뜻하는 접두사 Fluor-가 나왔다. 할로젠(17족)에 속하는 화학 원소다. 과거에는 불소(弗素)란 이름이 널리 쓰였는데, 독일어식 표현인 플루오르(Fluor)로 명명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단백질 구조, 단백질 4가지 구조, 단백질 역학, 단백질 접힘, RNA, 아미노산 서열(Anfinsen's dogma)

단백질의 구조, protein structure 아미노산 사슬에 있는 원자와 분자의 3차원 배열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염기서열에서 형성된 생체고분자(폴리펩타이드)이다. 단일 아미노산 단량체는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나타내는 잔기라고도 할 수 있다. 단백질은 축합 반응을 겪는 아미노산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 아미노산은 펩타이드 결합으로 서로 결합하기 위해 탈수 반응을 통해 물 분자 하나씩을 잃게 된다. 관례상, 아미노산 30개 이하의 사슬은 단백질이 아닌 펩타이드로 식별되는 경우가 많다. 단백질은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반데르발스 힘, 소수성 결합과 같은 다수의 비공유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특정한 공간적 형태로 접힌다. 단백질의 기능을 분자 수..

전자, 음전하, 렙톤 입자, Electron, Negatron, 나트륨 이온(Na+), 염화 이온(Cl-

전자 電子 / Electron, Negatron음전하를 띠며 원자를 구성하여 원자핵 주변을 떠도는 렙톤 입자.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입자이다. 1897년에 조지프 존 톰슨이 진공 중에서의 방전 현상을 연구하면서 발견하였으며, 전자의 발견으로 인해 원자를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입자라 생각했던 존 돌턴의 원자설은 수정되었다. 전자는 원자핵을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존재한다.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가장 완벽에 가까운 구이다. 전자를 지구 크기만큼 키워도 그 오차 범위를 알 수 없으며 태양계 크기만큼 키워야 겨우 머리카락 한 올 수준의 오차가 생기는 정도.   물리적 성질전자가 점입자인지 아닌지는 아직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크기가 0이 아닐 경우 상한선을 10-18 m 정도로 보고 ..

밀란코비치 주기, 이심률, 자전축 경사

밀란코비치 주기 밀란코비치 이론은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지구 자체 운동의 집합적인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구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기술자이며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밀루틴 밀란코비치(1879년 5월 28일 - 1958년 12월 12일)의 이름이 붙여졌으며,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억류되어 있는 동안 이 이론을 연구하였다.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과 자전축 경사의 변화, 세차운동이 지구의 기후 변화 패턴을 결정한다는 수학적인 가설을 세웠다. 지구의 자전축은 도는 팽이처럼 요동을 하면서 약 26,000년마다 한 바퀴 세차운동을 한다. 한편 지구의 타원 궤도의 축도 반대 방향으로 훨씬 서서히 회전한다. 이러한 운동들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23,000년 주기로 서서히 이..

소음과 진동의 구분, 진동 소음과 수학, 공학

소음과 진동의 구분소음과 진동은 파동/음향에서 비롯되는 조금 다른 현상이다. 법적, 공학적으로 이 둘을 구분하기도 한다. 법적 구분소음: 귀로 느껴지는 것.진동: 발로 느껴지는 것. 물리학/공학적 구분소음: 음향에너지가 기체를 통해 고막에 전달되는 현상.진동: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반복적인 변환상태. 매질소음: 기체진동: 고체   진동 소음과 수학, 공학진동은 고체에 의해 전달되는 흔들림이며, 소음은 최종매개체인 공기충의 압력변동에 의해 사람에게 전해지는 불쾌한 음이다. 음향은 불쾌한 의미가 없는 공기압 변동상태이지만 초음파는 고체음과 공기음을 모두 포함하여 말하는, 다시 말하면 20kHz이상의 고주파 진동-소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모든 음과 떨림의 구분은 물리학의 파동(wave)에서 출발하였으며..

액화질소, liquified nitrogen, 끓는점 -196°C(77 K), 냉동치료, 질식 위험

액화질소, liquified nitrogen  '액화석유가스'(LPG)와 같은 단어와는 달리 질소라는 물질이 개념적으로 반드시 기체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기에 '액체질소'라고만 불러도 무방하다. 물론 대부분의 질소가 기체 상태이며 지구의 지표에서 액체질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기체 질소를 액화해서 제작한다.    성질질소의 끓는점은 -196°C(77 K)로 액체질소는 1기압일 때 그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액체질소는 보통은 -200°C 내외이며 드라이아이스(-78.5°C 이하)도 보통은 -80°C, 아무리 낮아봐야 -100°C 정도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질치고는 극저온에 속한다. 더 차가운 액체헬륨은 -269°C(4K)이다. 가격이나 접근성..

탄성(elasticity), 점성(Viscosity), 훅의 법칙(Hooke's law)

탄성(elasticity)힘을 더하면 형태가 바뀌지만, 힘을 빼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고체로 보이는 성질이다. 영어로 elasticity라고 하며, 어원을 따져 보면 그리스어의 "돌아오다"라는 뜻이 된다.많은 물질은 탄성 범위 안에서는 형태를 바꾸어도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 말은 보일이 처음 사용하였다.탄성은 응력(stress)과 변형(strain) 사이의 선형 관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선형 탄성이라고 한다. 고무 밴드와 잘 튀는 공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개념은 처음에 로버트 훅(Hook) 이 1675년에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선형 관계는 훅 법칙으로 불린다. 선형 탄성의 전형적인 모델은 "완벽하게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용수철이다.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상..

인수분해, 인수분해공식, factorization, 因數分解, 소인수분해

인수분해 대수학 Algebra 인수분해, factorization, 因數分解 어떤 원소를 다른 원소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대부분 중3 단원에서 곱셈 공식 & 이차방정식과 함께 나온다고 하지만, 사실 초등학교 5학년 시절 나온 통분과 약분부터 이름만 안 알려졌을 뿐 이 때부터 존재가 알려지다가 중학교 1학년 때 분배법칙이 나오면서 일차식의 인수분해를 알게 되다가 중학교 3학년 때 그 이름이 공개된다.  정수 위에서의 인수분해  소인수분해를 하는 방법이 문단에서는 1보다 큰 어떤 정수  N N이 주어졌을 때, 10진법 표기에서 약수를 찾는 여러 가지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먼저 사람의 입장에서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의 배수 판정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정수  N N에 대해서, 2의 배수: 일의 자리 숫..

암모나이트, 중생대 표준화석, Ammonite

암모나이트(국석아강) Ammonite Perisphinctes 학명 Ammonoidea (Zittel, 1884) 분류 계 동물계 문 연체동물문(Mollusca) 강 두족강(Cephalopoda) 아강 †국석아강(Ammonoidea) 암모나이트는 고생대에 나타나 중생대, 나아가 신생대 극초기까지 번성했던 두족류들 중 국석아강에 속하는 이들을 통틀어서 칭하는 말이다. 어원은 이집트 신화의 신인 아문으로, 화석을 아문신의 머리에 있던 숫양뿔이라고 고대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가 생각하고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 ammonis cornua(암몬의 뿔)이라고 쓴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발견되는 삼엽충과 달리 현재까지 암모나이트 화석이 한반도에서 발견된 적은 없다. 한반도에는 데본..

갈륨, Gallium, 전이후 금속, 태양전지, LED, 반도체, 질화 갈륨, 청색 LED, 고출력 초고주파 소자, 중국

갈륨 주기율표 31Ga 갈륨 Gallium 분류 전이후 금속 상태 고체 원자량 69.723 밀도 5.91 g/cm3 녹는점 29.7646 °C 끓는점 2400 °C 용융열 5.59 kJ/mol 증발열 256 kJ/mol 원자가 3 이온화에너지 578.8, 1979.3, 2963 kJ/mol 전기음성도 1.81 전자친화도 28.9 kJ/mol 발견 L. de Boisbaudran (1875) CAS 등록번호 7440-55-3 갈륨, galium 4주기 13족에 위치하는 금속 원소이다. 주로 알루미늄 등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물질로, 주로 반도체나 태양전지, LED에 사용되며 수소 저장용 합금으로서 연구되기도 한다. 순수한 갈륨을 이용해 뉴트리노를 연구한 적도 있다. 1875년 프랑스의 화..

벡터, vector, 영 벡터(Zero Vector), 단위 벡터(Unit Vector), 위치 벡터(Position Vector),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법선 벡터(Normal Vector), 방향 벡터(Direction Vector), 동경 벡터(Radius Vector)

벡터, vector, 영 벡터(Zero Vector), 단위 벡터(Unit Vector), 위치 벡터(Position Vector),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법선 벡터(Normal Vector), 방향 벡터(Direction Vector), 동경 벡터(Radius Vector) 1. 벡터 (Vector)   ㅇ 이공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학적인 양(量) 표현 기법      - 거리, 무게, 속력 등 크기만을 나타내는 1차원적인 양(量)인 스칼라와는 달리,      - 힘,속도 등과 같이 크기(量) 및 방향(方向) 등 2차원 이상의,      - 즉, 2 이상의 원소(요소)들에 의해, 어떤 양(量)을 표현하는데 유용한 표기법 2. 벡터의 여러 정의들   ㅇ 기하학적인 측면  :  ..

미생물, 세균:인간(B:H)의 세포수 비율 10:1, 장내 세균

미생물微生物, microorganism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한계 영역을 넘어선 0.1mm 이하의 크기인 작은 생물을 말한다. 따라서 생물체의 분류학적 의미는 없는 용어이긴 하다. 세계에서 제일 큰 균류인 버섯은 예외이며, 특히 여과성 미생물이라고 하면 바이러스를 뜻한다. 미생물 하면 생각날 법한 대표적인 것들로 박테리아, 진균, 원생생물, 조류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은 사실 생물의 세 역에 모두 걸쳐있다. 특히 세균역 전체, 고균역 전체, 진핵생물역 중 조류와 원생동물이 이에 속한다. 당연히 현미경의 발명 전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의 생활단위를 유지한다. 이들은 습기만 있으면 지구상 어디에서나 살 수 있으며 생명체들과 매우 밀접한 관계..

오줌, 소변, 뇨, 요, 小便, 尿, Urine, DNA 검사

오줌, 소변, 뇨, 요, 小便, 尿, Urine 인간 또는 동물의 몸에 있는 액체로, 물질대사 중 하나이다. 오줌은 신장을 거쳐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통해 나온다. 오줌의 생성은 신체 내 무기염류와 물 등의 기타 물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과다한 칼슘은 오줌을 통해서 배출된다. 오줌은 또한 체내 축적될 경우 신체에 해로운 요소와 암모니아를 배출해낸다. 에탄올이나 인공감미료 역시 오줌을 통해 신체 밖으로 제거된다. 또한 오줌은 신체의 적정한 수분량을 유지시키는 기작의 결과이다. 오줌의 성분을 추출하여 혈전증의 특효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1968년에 일본에 수출되기도 했다.특성 오줌의 일반적인 색깔은 무색에서 어두운 황색의 범위에 속한다. 오줌의 색깔은 체내의 수분량에 가장 큰 영..

생물학에서의 영생, 단세포, 텔로미어, 해파리, biological immortality

생물학적 영생(biological immortality)  늙어서 죽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자연사 하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사고에 의하거나, 다른 동물에게 잡혀 먹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그야말로 영원히 사는 것을 뜻한다. 즉 시간의 경과 따른 노화가 발생하지 없고, 혹은 일시적으로 발생해도 젊어지는 것에 의해 노쇠에 의한 죽음으로부터 면한 상태이다. 생물학적으로는, 어떠한 외상·질병·독물 등에 의해도 죽을리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불사신은 성립될 수 없기 때문에 불로불사 가운데 불로에 해당되는 개념을 가리켜 영생이라 부른다. 노쇠에 의한 죽음을 면한 개체나 세포의 형질을 가리켜 불사화라고 부른다. 단세포의 경우 (세균의 수명) 수명(노화)에 의한 죽음이라는 것이 단세포생물에..

생명의 기원, 자연 발생, abiogenesis, 화학진화, 배종발달설, 심해 열수구 가설

생명의 기원abiogenesis 자연 발생(론), 자생(自生), 우발a; not, without + bio; 생명  +  gene(gen); 생기다  +  sis; 과정, 활동   유기물 형성 추정원 밀러 실험 막 형성 추정원 코아세르베이트 ㅣ 마이크로스피어 중합체 형성 추정원 유기물 정렬 유전 물질 생성 추정원 RNA 세계 최초의 세포 모든 생물의 공통 조상     생명의 기원(abiogenesis, origin of life)진화생물학에서 단순한 유기 화합물과 같은 무생물로부터 생명이 발생하는 자연적 과정(natural process)   생명이 특정한 환경에서 유기 화합물과 같은 무생물로부터 자연 발생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명은 38-41억년 전에 처음 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간주된다.생..

지방, 중성 지방,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탄수화물, 지방 분자 구조

중요한 점은 지방산은 탄수화물과 달리 비타민 C처럼 체내에서 필요 이상 흡수하지 않고 일부는 케톤(ketone) 체로 변환되어 체내를 순환하면서 에너지 원으로 사용된다. 사용하지 못한 케톤체는 대부분 땀 혹은 소변, 대변 등으로 빠져나간다. 인체는 탄수화물을 먹었을 때, 소화과정을 거쳐, 이를 지방세포로 축적한다. 지방질의 음식(버터, 올리브유, 탈로우, 라드 등등)을 먹는다고 체내의 지방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다. 신체활동 후 남은 칼로리가 몸에 지방으로 저장된다는 것은 반만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다.   지방(화학)脂肪. Fat.중성 지방은 IUPAC 명명법으로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라고 하며, 약어로는 TG라 한다. 우리 몸의 구성물질로, 폭 넓은 분류인 지질의 한 종류이다. 그리..

신생대, Cenozoid era, 파충류 멸종, 포유류 번성, 대륙 이동, 히말라야, 홍해, 한반도, 일본

신생대  (Cenozoid era)新生代 기원전 6,600만 년 이후 지질시대의 최근 시대자연사에서 조류를 제외한 공룡[1]이 멸종된 중생대 이후 포유류(특히 태반류)가 크게 번성하며 인류가 첫 출현하게 되었다. 지질시대 중 가장 짧은 시대이긴 하지만 사실 신생대 또한 인류의 관점에서 보면 매우 긴 시기이며, 중생대와 마찬가지로 여러 단계의 시기가 있었다. 공룡을 연상케할 정도로 거대한 파라케라테리움 같은 동물들이 살던 시기도 있었다. 보통 "신생대"하면 매머드와 스밀로돈이 돌아다니던 빙하시대만을 연상하고는 한다.[2] 하지만 신생대에는 빙하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후변화가 있었으며 빙하기는 신생대의 일부분이자 현재를 기준으로 끝자락의 시기에 불과하다.[3] 그 중에서도 우리가 생각하는 빙하기는 신생대 중..

가수분해, 加水分解, hydrolysis,녹말의 알파 결합, 지방의 에스테르 결합,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

가수분해(加水分解, hydrolysis) 말 그대로 특정 결합에 물을 끼워넣어서 쪼개는 화학반응이다. 이게 먹히는 물질은 결합 시 물을 빼내서 이뤄진 결합(녹말의 알파 결합, 지방의 에스테르 결합,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 등)인 경우가 많다. 생명 활동의 필수요소이며, 그 중에서도 소화기 계통이 대표적.가수분해 자체가 의외로 난이도가 있는지라 효소 하나당 한 종류의 결합만 분해할 수 있다. 소화액의 대표주자인 위액이 지방(triglyceride)을 못 쪼개는 가장 큰 이유. 지방과 수산화 나트륨으로 이뤄지는 비누 제조 과정과 헷갈릴 수 있는데, 이 때는 수산화 나트륨에 물을 끼워넣는 게 아니고 물에 수산화 나트륨을 끼워넣는 것이다. 펩타이드 결합의 대표적인 분해 방법으로 가수분해가 있다.   가수분해 ..

키톤(ketone), 케톤, 케톤체(ketone bodies)

키톤(ketone), 케톤, 케톤체(ketone bodies) 아세톤(acetone), 아세토아세트산(acetoacetate) 및 D-β-하이드록시부티르산(D-β-hydroxybutyrate) 등 3가지 물질의 총칭이다. Ketone. 일반식 RC(=O)R'. 어원은 옛날 독일어로 Acetone을 의미하는 Aketon. 액성은 중성에 가깝다. 탄화수소물의 종류 중 하나로, 키톤(ketone)으로도 불린다. IUPAC 상으로 이름을 붙일 때는 -one을 붙여 alkanone(알칸온, 알카논)으로 불린다. 케톤의 기준점은 카르보닐기와 카르보닐기의 탄소 바로 옆 자리 양쪽에 탄소 사슬(이를 알파위치라 한다.)이 있어야 한다. 즉, 최소 3개의 탄소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알파위치 한쪽에 수소가 있다면 알..

가역성, 가역적, 可逆, Reversible, Invertible, Reciprocal

1. 가역성, 가역적 (可逆)   ※ 우리말로는 본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음, 위치 반전 가능 등 다양한 의미를 함께 갖으나,      - 영어로는 다음 3개가 쓰이며, 각 분야 마다 약간씩 의미를 달리함   ㅇ 가역적(Invertible)      - 주로, 수학에서, 위치 반전이 유일하게 가능함을 의미      - 역 함수(Inverse Function), 역 행렬(Inverse Matrix), 역원(Inverse)이 유일하게 존재하여,      - 입출력 또는 곱셈 순서를 뒤바꿔도 원하는 유일한 것을 얻게됨을 말함         . 例) 가역 행렬   ㅇ 가역적(Reciprocal)      - 주로, 회로이론 등에서, 방향성이 없음, 방향과는 무관함, 송신수신 구분 안됨          . 例) ..

삼투, 삼투압, 반투막, 역삼투, 滲透, osmosis, 반트 호프 법칙, 체내 삼투 현상, 능동수송, TCA 회로, 동물 소화기관

삼투(滲透, osmosis)  1. 삼투현상 ① 삼투 :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있을 때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농도가 높은 용액으로 용매 분자가 이동하는 현상 ② 반투막 : 물과 같은 작은 용매 분자는 자유롭게 통과시키지만 설탕과 같은 큰 용질 분자는 통과시키지 못하는 막예) 셀로판 종이, 세포막, 달걀 속껍질 등.. ③ 삼투현상의 예- 김장을 할 때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배추의 수분이 빠져나가 부피가 줄어들면서 쭈그러듬- 진한 설탕물을 적혈구를 담가 두면 쭈글러 들고, 물에 담가 두면 부풀어 터진다.   2. 삼투압① 삼투압 : 삼투가 일어날 때 반투막에 작용하는 압력            (가) 반투막을 경계로 물과 설탕물을 같은 높이만큼 넣는다.(나) 반투막을 경계로 물에서 설탕물 쪽으로 이동하는 물 ..

탄산수소 나트륨, 베이킹소다, NaHCO3, 식용소다, 용도, 스포츠 보충제, 젖산 중화, 제과, 달고나, 청소, 냄새 제거

탄산수소 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 중탄산 나트륨(sodium bicarbonate) 나트륨의 탄산수소염(중탄산염)으로, 염기성을 띄는 백색의 흡습성 결정화학식 NaHCO3​ '탄산 나트륨'의 이명인 '(탄산)소다'를 따라 '중탄산소다', '중조(重曹)'라고도 하며, 식품에 널리 사용되므로 '식용소다' 또는 '베이킹소다'로도 불린다.  베이킹소다 용도 요리제과: 쿠키를 부풀리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베이킹 소다라고 불리기도 한다. 너무 많이 넣거나 섞이지 않게 되면 쓴맛을 나게 하는 재료이다. 반대로 아이스티에 넣으면 쓴맛을 약하게 한다.  제면: 중화면, 라멘 등의 면을 만들 때 첨가한다. 이런 일반적인 밀가루를 사용함에도 특유의 탄력과 노란색을 띄는 면들의 제조에는 알칼리성..

셰일(Shale), 혈암(頁岩), 쇄설성 퇴적암, 머드암(Mudstone)

셰일(Shale), 혈암(頁岩) 주로 입자의 크기가 작은 진흙이 퇴적되어 오랜 세월 동안 쌓이면서 단단하게 굳어져 형성된 퇴적암의 일종이다. 층리가 발달했으며, 가루로 만들어 벽돌과 시멘트를 만드는 데 쓴다. 미세한 입자들이 층층이 쌓여 굳어진 암석이기 때문에 가벼운 충격에도 얇은 가루로 부스러지는 특징이 있다.  분류 쇄설성 퇴적암 중에서 입자가 1/16 mm보다 작은 세립질의 실트와 점토로 구성된 것을 머드암(Mudstone)이라 하며 보통 머드암 중에서 엽리(lamination)나 쪼개짐(Fissility)이 발달한 암석을 셰일로 간주한다.  한국의 셰일 지층  조선 누층군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 조선 누층군 묘봉층, 화절층, 두무동층과 직운산층은 조선 누층군의 대표적인 셰일 지층이다. 특히 ..

노벨화학상, AI, 구글 딥마인드, 알파폴드2, 3차원 단백질 구조 예측 AI, 알파폴드(AlphaFold)3

노벨화학상, AI, 구글 딥마인드, 알파폴드2 2024 노벨화학상, 데이비드 베이커 교수와 구글 딥마인드 연구자 2인 선정 베이커 교수, 새로운 단백질 만드는 기술 개발…질병 치료 등에 활용도 높아 알파폴드2, '단백질 구조' 2억여개 예측 성공…50년 묵은 학계 숙원 풀었다 올해 노벨화학상은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어내고, 복잡한 3차원 단백질 구조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AI(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한 3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올해는 노벨물리학상에 이어 노벨화학상까지 AI 관련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그간 노벨상위원회가 융합학문보다 순수학문에 초점을 두는 보수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이번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이 된 AI 모델은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2'다.스웨덴 카롤..

양자 컴퓨터, 중첩, 얽힘, 간섭, 큐비트(Qubit), 중첩(superposition), 얽힘(entanglement), 간섭(interference)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빠른 연산 속도로 인해 관심과 기대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 광자와 전자 등의 소립자, 원자와 분자 등의 미시적인 계를 다루는 양자역학의 물리적 현상에 뿌리를 둔 양자 컴퓨터가 기존의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 질문과 관련하여, 양자 컴퓨터에 적용되는 양자역학 관련 세 가지 핵심 기술인 중첩, 얽힘 및 간섭에 대해 살펴본다.  중첩(superposition) 기존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 비트(bit)는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되는 반도체 회로에 의해 결정되는 결과에 따라 0 또는 1이 각각 100% 확률로 나타난다. 반면에, 양자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 큐비트(qubit)는 프로그램으로 구동되는 양자 회로(quantum circu..

큐비트, qubit, 양자 정보시스템 단위, 퀀텀 비트(quantum bit), 중첩, 디락(Paul Adrien Maurice Dirac), 브라-켓(bra-ket) 표기법, 광자의 편광, 전자의 바닥 상태(ground state), 들뜬 상태(excited state)

큐비트, qubit 동의어 : 퀀텀 비트(quantum bit) 양자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정보의 기본 단위. 퀀텀 비트(quantum bit)의 줄임말현대 정보시스템, 특히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단위는 비트(bit)이다. 이와 유사하게 양자 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최소 정보 단위를 퀀텀 비트(quantum bit), 줄여서 큐비트(qubit)라고 한다. 비트(bit)는 두 가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는 경우를 비트 상태 값 '0' (혹은 '1'), 뒷면이 나오는 경우를 비트 상태 값 '1' (혹은 '0')로 나타낼 수 있다. * 이상적인 동전: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이나 뒷면이 나오고 동전이 넘어지지 않고 서 있을 확률은 없다고 ..

동화작용, anabolism, 합성대사(合成代謝), 생합성, ATP, 동화 호르몬, 동화 스테로이드, 인슐린

동화작용(anabolism), 합성대사(合成代謝) 어원동화작용(anabolism)이라는 용어는 "위쪽으로(upward)"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ἁνά"와 "던지다(to throw)"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βάλλειν"로부터 유래동화작용은 더 작은 단위의 분자를 더 큰 단위의 분자로 합성하는 일련의 대사 경로이다. 합성대사(合成代謝)라고도 한다. 이러한 반응에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에너지 흡수반응이다. 동화작용은 물질대사의 합성 과정이며, 이화작용은 물질대사의 분해 과정이다. 동화작용은 일반적으로 생합성과 동의어로 간주된다.  경로핵산, 단백질, 다당류와 같은 거대 분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동화경로는 축합 반응을 사용하여 단량체들을 서로 연결한다. 거대 분자는 효소와 보조 인자를 사용하여 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