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87

물질 순환, 질소 순환(Nitrogen cycle), 탄소 순환(Carbon cycle)

질소 순환(Nitrogen cycle): 질소는 모든 살아있는 조직의 기본 구성요소인 단백질(아미노산)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식물은 질소를 오직 두 가지 화학적 형태인 암모늄 이온과 질산 이온으로만 이용할 수 있다. 지구에서 질소의 가장 큰 저장고는 대기에 존재하는 질소로써, 이는 식물이 흡수할 수 없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성분들이다. 조직의 성장과 유지에 관여한다. 또한 호르몬과 효소, 항체 등의 주요 구성성분이 된다. 각기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족하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지연과 성인의 체중 감소를 유발하고 인체 대사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합성하고, 동물은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먹어서 얻는다. 구성 원자 중에 질소가 들어가 있는데 식..

생태계, 구성요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위도차, 온도차, 수륙분포, 고도차, 개체(individual), 개체군(population)

생태계(生態系, ecosystem) "생태계"라 함은 식물·동물 및 미생물 군락과 기능적인 단위로 상호작용하는 비생태적 요소인 환경(공기, 물, 온도, 빛)의 역동적인 복합체를 말한다.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 제2조(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도 같음) 생태계(生態系, ecosystem)는 상호작용하는 유기체들과 또 그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주변의 무생물 환경을 묶어서 부르는 말이다. 생태계를 연구하는 학문을 생태학(ecology)이라고 한다. 같은 곳에 살면서 서로 의존하는 유기체 집단이 완전히 독립된 체계를 이루면 이를 '생태계'라고 부를 수 있다. 이 말은 곧 상호의존성과 완결성이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는 데 꼭 필요한 요소라는 뜻이다. 생태계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

식물 플랑크톤, 영양염(인삼염, 질산염), 산소, 지구온난화, 부영양화, 조류 대증식(algal bloom), 녹조, 적조

식물 플랑크톤, 영양염(인삼염, 질산염), 산소 식물 플랑크톤은 바다에서 가장 중요한 유기체다. 햇빛이 닿는 바다 표층에 주로 서식하며 광합성을 통해 바다 생물의 먹이인 유기탄소를 합성하고, 인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내놓는다. 지구온난화는 해양의 심층부보다 표층부 바닷물을 더 데운다. 표층수가 따뜻해지면 밀도가 가벼워지며 심층부와 층이 더 명확히 분리(성층화)된다. 식물 플랑크톤은 영양염과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이용하는데, 해양이 성층화되면 심층부에 풍부한 영양염이 표층부에 덜 도달한다. 즉, 지구온난화는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를 줄인다.1) 식물 플랑크톤(Phytoplankton):: 바다 표면에 떠다니는 작은 조류로 해양 먹이사슬의 기초를 형성한다. 광합성을 하는 동안 식물 플랑크톤은 물에 녹은 영양..

양, 羊, 소과, 양의 가축화, 무플런, 기원전 1만년, 메소포타미아, 메리노, 옥스퍼드 다운스, 코리데일, 콜럼비아 양, 염소 비교

양(羊, 학명: Ovis aries)은 우제목 소과에 속하는 가축화된 포유류이다. 양속에는 아르갈리와 같은 야생종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양이라고 하면 가축으로 기르는 양을 가리킨다. 전세계에서 사육되는 개체수는 약 1억 두가 조금 넘고 몇몇 아종과 품종이 있다. 어린양을 뜻하는 한자는 고(羔)이다.양과 가장 가까운 생물로는 무플론이 있으며 중동 지역에서 가축화되어 전세계로 전파되었다. 농업의 시작과 함께 가장 먼저 가축화된 동물 가운데 하나로 양모, 양고기, 양유 등을 얻기 위해 길러졌다. 양모는 동물의 털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는 섬유 재료로 양털깎이를 통해 채집된다. 양고기는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여러 문화의 중요한 단백질원이고, 양은 인류의 여러 문화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 ..

공기(空氣), 성분, 입자, 질소, 산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건조공기, 공기는 대기라는 기체의 아랫부분

공기, 空氣지구를 둘러싼 기체를 말한다. 해수면의 건조한 공기는 대략 78%의 질소, 21%의 산소, 0.93%의 아르곤, 그리고 이산화탄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수증기는 기체에 포함되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나 중세 유럽의 4대원소에서 공기는 네 개의 원소 중 하나 였다. 근대적인 원소의 개념이 정립된 이후도 공기는 일정 기간 원소 중 하나로 여겨졌다. 공기와는 성질이 다른 다양한 기체가 발견되었지만, 그것들은 공기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이라고 생각되었다. 18세기에 와서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공기가 산소와 질소의 혼합물인 것을 알아냈고, 그 후에 공기를 원소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없어지게 되었다. 산업용으로 압축 공기는 다양한 곳에서 사용된다. 압축 공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공압 기계라고 하..

태풍의 회전, 반시계 방향, 지구의 자전, 전향력, 코리올리 효과

● 태풍의 회전태풍은 항상 안쪽으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소용돌이 형태를 띠고 있는데, 그 방향이 언제나 반시계방향이다.  지구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향력(轉向力)’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지구가 항상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으며,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들은 우리 삶에 뗄레야 뗄 수 없는 것들이다. 공전으로 인해 계절이 바뀌며 자전으로 인해 밤낮이 바뀐다. 이는 우리에게 1년, 1일이라는 시간 개념을 갖게 해줬다. 이 외에도 지구의 운동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들은 많은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전향력’이라는 것이다. 태풍의 반시계방향 소용돌이도 이 전향력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전향력이 미치는 영향전향력은 발견한 학자의 이름을 따 ‘코리올리 힘(Coriolis ..

무악류, 無顎類, 무악강, 무악상강, 턱없는 척추동물, 먹장어, 칠성장어, 먹장어 피혁

무악류(無顎類)는 무악강(無顎綱) 또는 무악상강(無顎上綱, 학명: Agnatha)에 속하는 턱이 없는 척추동물을 일컫는 말이다. 먹장어, 칠성장어 등이 있다. 척추동물아문에 속한 동물군이지만, 척색이 일생 동안 사라지지 않는다. 하위 분류 원구류 (Cyclostomes) 먹장어강 (Myxini) - 먹장어 칠성장어류 (Hyperoartia) 칠성장어과 (Petromyzontidae) - 칠성장어 갑주어 (Ostracoderms) † 익갑류 (Pteraspidomorphi) † 강인류 (Thelodonti) † 결갑류 (Anaspida) 두갑류 (Cephalaspidomorphi) † 갈레아스피스류 (Galeaspida) † 피투리아스피스류 (Pituriaspida) † 골갑류 (Osteostraci)  ..

해파리, 어원, 海(바다 해), 파리(蠅), 해타, 海蛇, 자포동물, 단일 개체, medusa, jellyfish

해파리는 해삼(海蔘)처럼 海(바다 해)자를 쓴다. 해파리는 대부분 바다에 살기 때문이다. 해파리를 영어로는 jellyfish 또는 sea jelly라 한다. 그 육질이 마치 젤리처럼 생겨서이다. 이는 한자문화권에서의 해양(海䑋)이란 말과 상통한다. 해양(海䑋)에서의 '䑋(살찔 양)'자는 해파리의 통통하고 식감 좋은 육질을 강조한 말이다. 해파리냉채가 연상되는 긍정적인 명칭이다. 반면, 해파리는 영어로 medusa라고도 하는데, 해양(海䑋)에 비해 부정적이고 무서운 명칭이다. 메두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괴물로 머리카락이 모두 뱀이다. 해파리 머리의 수많은 촉수에서 뱀독처럼 무서운 독을 쏘기 때문에 메두사라는 별칭이 생긴 것이다. 그래서 蜇(쏠 철)자가 곧 '해파리'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한자문화권에서도..

성염색체, XX, XY, 남성 X 염색체 Y 염색체, 성 결정 체계, 상동염색체, 성 전환, XY sex-determination system, 자녀의 성별 결정은 아버지 염색체

성염색체, Sex Chromosome 세포핵에 있는 염색체들 중 상염색체를 제외한 나머지 염색체. 생물의 성별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염색체. 사람의 경우, 전체 23쌍의 염색체 중 1쌍만이 성염색체이다. 인간 여자의 경우 생식세포분열 시 모든 염색체는 자신과 같은 염색체쌍끼리 2가염색체를 이루지만, 남자의 경우는 X와 Y가 서로 접합한다. 그래서 보통 두 성염색체 X와 Y는 크기와 모양 등이 다르지만 상동염색체라고 본다. Y염색체를 발견하고 이것이 태어나는 아이의 성별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낸 사람은 세포생물학자인 네티 마리아 스티븐스(Nettie Maria Stevens)이다. 네티 스티븐스는 1905년에 '부염색체를 중심으로 한 정모발생 연구'라는 논문으로 이를 발표했으나, 같은 해 동일한 연구를 ..

푄현상, 높새바람, 치누크 바람, 100m 상승시 -1° 변화

푄현상. Föhn/Foehn Wind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덩어리가 바람받이 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비를 뿌린 후, 산을 넘어 다시 사면으로 내려올때 고온건조해진 공기의 상태가 지역적으로 가뭄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독일 지역에서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부는 건조한 열풍을 뜻하던 말 Föhn(푄)에서 유래  Föhn(푄)-라틴어로 서풍을 뜻하는 Favonius(파보니우스)가 원형 푄현상은 습윤한 바람이 산맥을 넘을 때 고온건조해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원래 알프스 산지의 풍하 측에 나타나는 고온 건조한 국지풍의 명칭이었으나, 이러한 현상이 세계 도처에서 발견되므로 현재는 일반적으로 산지의 풍하측 사면에서 불어 내리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일컬어진다. 대표적으로 알프스 지역의 푄과 북미 록키산지 지역의 치누크(..

빛, 광자, 가시광선, 전파, 적외선, X선, 전자기파, 물리학, 빛의 성질, 모든 빛은 원자에서, 입자 파동 이중성, 양자이론

빛, 광자, 가시광선, 전파, 적외선, X선, 전자기파, 물리학, 빛의 성질, 모든 빛은 원자에서,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양자이론 빛(light)이란 좁은 의미에서 가시광선,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 볼 수 있는 영역의 전자기파를 의미하고, 넓은 의미에서 전파, 적외선, X선 등 모든 영역의 전자기파를 의미한다. 물리학에서 주로 넓은 뜻으로 쓰인다. 물리학에서 보는 빛 고전 물리학에서 보는 빛은 전자기파이며, 매질 없이 전파한다. 전기 또는 자기를 띄는 물질이 가속 운동하면 전자기파가 전파한다. 그러나 빛은 회절과 간섭의 파동성을 띈다. 양자 물리학에서 보는 빛은 파동뿐 아니라 입자로서 이중성을 갖는다.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에 따라 빛은 일정한 에너지를 갖도록 양자로 되어(개수를 셀 수 있는 단위로 되..

목성 위성, 위성 수 69개, 갈릴레이 위성,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시몬 마리우스

목성의 위성(木星- 衛星, Moons of Jupiter)  2023년 3월 기준 총 95개로, 목성은 태양계에서 2번째로 많은 위성을 지닌 행성이다.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기도 한다. 위성들 중 가장 큰 위성들은 4개의 갈릴레이 위성들로,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시몬 마리우스가 발견하였으며 태양이나 지구를 돌지 않는 천체 중 최초로 발견된 천체들이다. 19세기 말부터, 더 작은 크기의 위성들이 발견되기 시작했고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관련된 이름들이 붙여졌다. 갈릴레이 위성들은 목성의 위성들의 총 질량 중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75개와 고리를 합친다고 해도 질량비는 고작 0.003%밖에 되지 않는다.  목성의 위성들 중 8개는 순행 규칙 위성으로, ..

지구의 물, 우주, 얼음 혜성, 동위원소 비율, 듀테륨, 소행성 기원설, Where Earth Got Its Water

지구에 있는 물의 형성 기원은 혜성이 아니다.소행성일 가능성이 높다.” 지구로부터 5억1천만km떨어진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67P) 혜성 궤도상의 로제타탐사선이 보내온 혜성 성분분석 결과가 지구 바다의 기원설에 또다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美항공우주국(NASA)은 유럽우주국(ESA)이 쏘아올린 로제타탐사선의 로시나계측기로 측정한 결과 67P혜성 수증기의 구성성분이 지구에서 발견된 성분과 엄청나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에따라 지구 상에 있는 물의 기원이 어디인지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구토양의 물이 67P혜성에서 오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로제타탐사선의 이온및중성분석스펙트럼계측기(ROSINA,로시나) 데이터 분석결과는 10일자 사이언스잡지에 실렸다. 과학자들은 로제타가 밝..

천체, 항성, 행성, 소행성, 위성, 혜성, 은하

천체(天體, celestial body)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다. 천체의 대략적인 종류소행성: 항성 주위를 공전하지만, 그 질량이 행성 및 위성보다 작은 천체. (예:주노) 왜행성: 행성과 소행성의 중간 천체. 혜성: 태양 주위를 이심률이 큰 궤도를 그리면서 공전하는 천체. 태양 복사를 통해 핵에서 코마 및 꼬리가 생겨난다. 공전주기가 짧은 것은 몇년에서 몇십년이고, 긴 것은 수천 년에 이른다. (예:핼리 혜성) 위성: 행성 등의 주위를 도는 천체. 천체에서 다루는 위성은 자연위성을 뜻하며, 인간이 만든 인공위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예:달) 행성: 항성의 주위를 도는 ..

지의류, 地衣類, Lichen

지의류(地衣類, Lichen)는 보통 녹조류, 혹은 남조류(시아노박테리아])가 균류(주로 자낭균류)와 공생하는 복합 유기체다. 지의류의 구조, 생리, 그리고 생화학 기능은 격리 집단인 균류와 조류와는 많이 다르다. 지의류는 북극의 툰드라, 사막, 바닷가에 있는 돌, 유독한 화산암 더미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도 자라며, 또한 열대우림이나 온대 지방의 나뭇잎 혹은 가지, 벽이나 묘비 같은 바위에 기착하여 자라기도 한다.  지의류는 지구상 여러 곳에 퍼져있는 강인한 장수 생물이지만, 외부 환경 변화에 약해, 과학자들이 오존층의 손상 정도나 금속의 오염도를 산정하기 위해 지의류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물감, 향수, 민간 약품을 제조할 때도 이용된다.  공생체의 특성 지의류의 황단면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피층 ..

진화는 개체 아닌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

이기적 유전자, The Selfish Gene는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에 출판한 진화생물학 교양서이다. 유전자 중심 진화론과 밈(meme)의 개념을 소개하는 등, 도킨스의 저서 가운데 가장 큰 반향과 논쟁을 불러온 책이며 동시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생물학 교양 서적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책의 하나이기도 하다.도킨스가 직접 연구하여 쓴 책은 아니고 조지 윌리엄즈, 윌리엄 D.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즈, 존 메이너드 스미스 등의 진화생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하여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쓴 책이다. 이들의 연구가 20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신다윈주의 이론이다.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트리버즈의 '호혜적 이타주의', 메이너드 스미스의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칼로리, calorie, 에너지 단위, 물 1그램 1°C 올리는 열량, 온도 높이는 열의 양, 줄(J), 1칼로리(cal)는 4.184J(줄), 킬로줄(kJ)

칼로리, calorie, 에너지 단위, 온도 높이는 열의 양 에너지의 단위로, 온도가 다른 물체 사이에 전해지는 에너지의 양이다. 즉 물질의 온도를 높이는 데 소요되는 열의 양이다. 라틴어의 '"열"을 의미하는 단어인 "calor"에서 유래하였다. 칼로리 단위의 기호는 mcal(1/1000cal), cal, kcal(1000cal)을 쓴다. 영양학에서는 주로 Cal을 사용한다. 1948년의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칼로리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말고 사용할 경우에는 줄(J)을 병기할 것을 결의했다. 에너지, 열량의 국제 단위계(SI)의 표준 단위는 줄이며, 칼로리는 병용 단위로서도 채택되어 있지 않다. 칼로리의 정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의는 "물 1그램을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나, 물의 비열이 온도에 ..

외계생명체 존재, 물, 우주의 가장 흔한 물질이 수소

우주의 가장 흔한 물질이 수소물기둥에 수소가 있다는 건 뭐냐면 물속 어딘가에서 수소가 녹아 나온다는 거그래서 그걸 수열작용이라고 해서 바닷속 어딘가에 녹아있는 곳에 뜨거운 물이 있다는 거뜨거운 물에 의해서 광물에서 물질이 녹아 나오고, 이런 것들이 반응하면서 거기에 수소가 나오는 거이 수소와 더불어 이산화탄소도 발견됐는데, 이산화탄소와 수소가 결합하면 메탄이때 열이 나온다. 이 에너지를 가지고 우리 지구에서도 심해조 같은 곳에서 메탄 균들이 살아간다.심해조 같은 경우에는 햇빛이 안 들기 때문에 에너지를 받을 곳이 없다.그런 곳에서 이렇게 수소와 이산화탄소가 합쳐지는 메탄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가지고 사는 균들도 있다.그래서 뭔가 에너지원이 있고 거기에 액체상태의 물이 있으니까 원시 상태의 생..

물, 생명 근원, 물 분자 구조, 수소 결합, 생명체와 물의 관계, 끓는 점 높다, 물의 탄생

물, 생명 근원 지구 밖 행성에서 생명체를 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행성에 물이 있나 없나를 먼저 따진다. 물은 지구 상에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했고,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물은 어떠한 성질을 가졌기에 생명의 탄생과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 되었을까?  물 분자 구조, 수소 결합물 분자는 산소 원자 ‘O’와 수소 원자 ‘H’ 두 개가 약 104.5도의 각도를 이루며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산소 원자와 수소 원자는 공유 결합을 하는데, 이 결합에서는 원자들이 전자들을 서로 공유한다. 그런데 공유 결합한 원자들이 서로 공평하게 전자를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원자들은 전자를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을 가졌고, 이 인력은 원자마다 차이가 있다. 이..

12진법, 시간 단위, 시계, 달력, 황도 12궁, 십이지 및 갑오개혁 이전의 시간(자시, 오시)

12진법, 十二進法, duodecimal, base 1210진법처럼 숫자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1과 그 자신을 제외하면 2와 5로만 나눠지는 10에 비해, 12는 4 이하의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로, 2, 3, 4, 6으로 나눠지므로 등분이 편리해 일상 생활에서 12를 한 단위로 사용되는 곳이 제법 있었다. 표현법16진법과 마찬가지로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다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수식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호를 사용해야 한다. 12진법은 다른 진법에 비해 수식에서 자주 쓰이지 않기 때문에 12진법이라는 것을 미리 알려야 한다.0, 1, 2, 3, 4, 5, 6, 7, 8, 9, A, B18976은 10×123+11×122+9×12+4이므로 AB94로 나타낼 수 있다. 시간 단위시계, 달력,..

60진법, 약수 12개, 시간 단위, 육십갑자, 최초의 문명, 60진법 숫자체계

60진법, 六十進法, sexagesimal, base 6060을 한 묶음으로 하여 자릿수를 올려가는 방법이다. 예전부터 60진법을 사용해 왔는데, 60이 대표적인 진법 수 10과 12의 최소공배수이며 6 이하의 모든 자연수의 최소공배수라 나누기가 쉽고, 따라서 아래처럼 약수가 12개나 된다. 12진법과 마찬가지로 시간을 재는데에 주로 등장하며 한 단위가 워낙 크다보니 진법을 이용한 계산에는 별로 활용되지 않는 이용한자문화권에서 육십갑자로 사용된다. 십간과 십이지를 함께 사용하여 육십갑자라고 하며, 1갑자는 60년을 뜻한다. 과거 한자문화권의 역사를 새길 때 육십갑자를 사용했다. 옛날 바빌로니아에서 사용된 수를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시간 단위로 사용된다. 60초를 1분, 60분을 1시간으로 ..

원유, 분별 증류, 석유 제품, LPG(액화석유가스), 휘발유(Gasoline), 나프타(Naphtha), 등유(Kerosene), 경유(Diesel Oil, Gas Oil), 중유(Bunker-C Oil), 아스팔트(Asphalt)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석유제품은 원유를 분별 증류해 생산된다.상압증류탑 (Crude Distillation Unit, CDU)에서 분별 증류되는 석유제품들은 아래와 같이 각각의 끓는 점에 의해 가장 가벼운 성분인 LPG부터 가장 무거운 잔류물인 아스팔트까지 여러 제품으로 분리된다.   01│LPG(액화석유가스) LPG는 원유의 채굴 또는 정제과정에서 생산되는 기체상의 탄화수소를 액화시킨 것으로, 리터당 열량이 경유, 휘발유 등 다른 석유제품에 비해 낮다. 따라서 수송용의 경우 경유, 휘발유에 비해 연료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 LNG성분의 도시가스보다는 열량이 높아서 대형음식점 등에서 취사용으로 더 선호된다. LPG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누출되면 주변바닥에 깔려 있게 되므로 인화·..

원유, 분별 증류,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아스팔트, 찌꺼기, Crude oil, fractional distillation, gasoline, kerosene, diesel fuel, heavy oil, asphalt, residue

원유, 분별 증류,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아스팔트, 찌꺼기, Crude oil, fractional distillation, gasoline, kerosene, diesel fuel, heavy oil, asphalt, residue원유는 끓는점이 다른 물질들의 혼합물로, 증류탑에 넣고 가열하면 위쪽에서 끓는점이 낮은 성분부터 먼저 증류되어 나온다유전에서 나오는 원유는 검푸른 빛의 걸쭉한 액체이며, 많은 종류의 물질들이 섞여 있는 복잡한 혼합물이다. 이 원유를 성분별로 분리하려면 분별 증류를 해야 하는데, 많은 양을 신속하게 분리해야 하므로 실험실의 분별 증류 장치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안 되고, 정유 공장에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분리해야 한다. 정유 공장에서는 우선 원유를 물과 염기의 수용액으로 ..

트랩, 근원암, 저류암, 덮개암, 석유 조건, Trap, Source rock, Reservoir rock, Cap rock

석유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4대 부존(賦存) 조건 - 트랩, 근원암, 저류암, 덮개암 01 | 트랩(Trap) 석유나 천연가스 등이 집적 가능한 지질구조를 ‘트랩’이라고 한다. 석유는 물보다 가벼워 지하의 강한 압력에 의해 끊임없이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는데, 트랩의 단단한 지질구조가 석유나 가스 등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밖으로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붙잡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트랩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먼저, 대부분의 석유가 발견되는 ‘구조트랩’은 마치 낙타의 혹처럼 볼록한 배사구조로, 지각변동이나 압력 등에 의해 형성된다. ‘층위트랩’은 석유의 집적을 일으키는 지질조건이 주로 퇴적작용에 의한 것이며, 순전히 퇴적작용만으로 생긴 ‘정층위 트랩’과 퇴적작용으로 만들어졌지만 구조운동으로 단사구조를 가지..

백악기, 白堊紀, Cretaceous, 백악(Chalk), 白 흰 백, 堊 흰흙 악, 분필, Creta, Cretaceous

白堊(흰 백, 흰흙 악). 백악기의 영어 명칭은 라틴어로 분필이라는 뜻에서 유래중생대의 마지막 시대는 “백악기(Cretaceous)” 백악은 분필의 원료가 석회질 암석 백악기의 Creta는 백악(Chalk)를 뜻하는 라틴어이 시기에는 쥐라기에 이어 공룡이 번창. 그러나 그 공룡들도 백악기말에 지구상에서 자취 감춤. 白堊紀 / Cretaceous Period 중생대의 세번째이자 마지막에 해당하는 시기(1억 4500만 년 전 ~ 6500만 년 전). 중생대의 쥐라기와 신생대의 팔레오세 사이에 끼어있다. 백악기는 현재보다 해수면이 높고 기온도 높았다. 그래서 이 당시에는 조개류, 산호류들이 번성하였는데, 백악기 지층은 이들이 분비한 탄산칼슘, 석회질로 이루어진 석회암이 대부분이고, 이 거대한 석회암층은 백악기..

에트레인, 에틸렌, Ethylene, 에텐(ethene), C2H4

에트레인(ethylene), 에텐(ethene)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진 에틸렌계 탄화수소의 하나이다. 주로 다른 화합물 합성의 원료로 사용된다. 성질 상온에서는 무색의 기체상태로 존재한다. 냄새가 나며, 인화성이다. 녹는점은 -169.15°C, 끓는점은 -103.71°C이다. 임계온도는 9.5°C, 임계압력은 49.98atm이다. 밀도는 0°C, 760mmHg에서 1.26g/l이다. 물에 약간 녹는다. 공기 중에서 태울 경우 빛을 발하며 탄다.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는 모두 한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C=C의 결합 길이는 1.35Å, C-H의 결합 길이는 1.07Å이다. H-C-H결합 간의 결합각은 거의 120도에 가깝다.   화학적 성질  에틸렌은 이중 결합의 존재로 인한 활성으로 인해 여러 가..

일주 운동, 지구 자전, 별 회전, 천구 북극 중심, 천구, 天球, celestial sphere

일주 운동(日週運動) 지구의 자전으로 인하여 하늘의 별들이 지구상의 관측자에게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겉보기 운동북극성을 포함한 모든 별은 하루에 한 번씩 천구의 북극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운동한다. 또한 이때 천구에 그려지는 원을 '일주권'이라고 한다. 일주권의 크기는 천구상의 별의 위치가 천구의 남극이나 북극에 가까울 수록 작아진다. 달의 월주운동 또한 있다.   천구, 天球, celestial sphere 천문학 및 항해에서 천체 관측에 이용되는, 관측자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이 무한대인 가상의 구체(球體)로, 하늘에 있는 모든 천체들은 이 천구의 안쪽 벽에 붙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천구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두 점을 각각 천구의 중심(관측자)을 연결하여 생기는 두 직선..

새똥, 하얀색, 오줌, 질소계 배설물, 요산

새똥, 하얀색, 오줌, 질소계 배설물, 요산 일반적인 포유류의 똥은 갈색인데 새똥은 하얀색이다. 그 이유는 새의 경우 오줌을 배설하는 기관이 없어 오줌에 해당되는 질소계 배설물(요산)도 같이 배설하기 때문이다. 이 미끈하고도 하얀 부분에 요산 성분이 많다. 새똥이라고 표현하지만 정확히는 똥+오줌인셈. 수중 생물은 암모니아를 즉각 배설하고, 포유류와 같이 오르니틴 회로가 있는 육상동물은 요소를 배설한다. 조류 외에도 파충류가 요산을 배설한다. 새똥염초(焰硝)(질산 칼륨)를 만들 때 인간이나 동물의 똥보다 요산을 함유한 닭똥 등 새똥이 더 좋다.새똥 중에서 남미에서 가마우지 등이 싼 새똥이 퇴적된 구아노는 잉카제국 시대에는 그 자체로도 에너지원 역할을 했으며, 19세기 들어 비료, 화약등의 주원료가 되는 자..

고기압, 하강기류, 맑음, High Pressure

고기압(高氣壓)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을 가리킨다. 기호는 'H'이다. 고기압권 안에서는 보통 하강기류가 있으므로 날씨가 맑다. 그러나 소멸 단계의 고기압 또는 고기압 후면에서 하층이 가열되면 대기가 불안정하여 적란운이 발생하고 심하면 소나기, 뇌우를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분다. 이때 고기압은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이며 남반구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풍속은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약해진다. 이동성 고기압을 제외하면 대체로 아주 느리게 이동하거나 제자리에 위치한다.   특징 일기도에서 보면 중심 주위가 막힌 등압선으로 에워싸여 있으며 중심이 저기압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지상의 고기압 부분에서는 기류가 발산하여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상공에서 공기가 하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