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45

하버-보슈법, Haber-Bosch process, 하버법, 암모니아 합성 공법, 프리츠 하버, 카를 보슈, 비료, 구아노(guano)

하버-보슈법, Haber-Bosch process, 하버법 현대 산업 현장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암모니아 합성 공법이다. 공법을 발명한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의 이름을 따 지었다. 비료 제작에 사용되어 현대 인류 부양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인류의 숙원사업 산업혁명 이전의 농경중심사회의 주 관심은 농업생산력 증대에 있었다. 의식주 중에 식량은 가장 절실한 문제로 충분한 식량자원 확보는 인류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다. 농경기술 발전을 통해 증산이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기술발전은 더디었고 황무지 개간 등으로는 증산의 한계가 있었다. 결국 곡물 생산량은 인구증가에 미치지 못하여 인류는 항상 굶주림의 고통속에 살아왔으며, 전쟁과 흉년에는 기근으로 인해 아사자가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는 1492년 콜럼버스의 신..

사이안화 칼륨, Potassium cyanide, K+ C≡N-, 青山ゆかり, 청산유카리, 청산가리, 미토콘드리아

사이안화 칼륨Potassium cyanide | 청산가리青山ゆかり → 청산유카리 → 청산카리 → 청산가리 사이안화계의 화합물로, 체내에 흡입될 경우 낮은 반수치사량으로도 세포 호흡을 저해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맹독성 물질. 미국식 발음을 지향하는 대한화학회 권고 명칭은 사이안화 포타슘이지만, 옛 명칭인 시안화칼륨 또는 일본어에서 유래한 명칭인 청산가리(青酸カリ)라고도 불린다. 과거 꿩잡이들 사이에서는 싸이나라는 이명으로도 불렸다.  이 물질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스웨덴 화학자, 약사 칼 빌헬름 쉴레(Carl Wilhelm Scheele, 1742 ~ 1786)가 1782년에 발견하여 화학학회에 보고한 것이 최초다.화학식은 K+ C≡N-. 이온결합성 물질이고, 실제 독성은 CN- 이온이 작..

ABC 추측, ABC conjecture, A+B=C, 모치즈키 신이치

35년간 수학의 난제였던 'ABC 추측(또는 추론)'(ABC conjecture)이 증명됐다고 일본 교토(京都)대가 발표했다.아사히(朝日)신문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 신문(닛케이)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모치즈키 신이치(望月新一·51) 교토대 수리해석연구소 교수가 ABC 추측을 증명했다며 쓴 논문이 올바르다는 것이 확인돼 학술지 '피림스'(PRIMS) 게재가 결정됐다고 교토대가 전날 기자회견을 열어 밝혔다.  ABC 추측은 1985년 스위스와 프랑스의 수학자가 제창한 정수의 덧셈과 곱셈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이를 증명하는 것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맞먹는 난제로 꼽혔다.  보도에 따르면 1 이외의 공약수가 없는 자연수(서로 소) A, B와 이 둘을 합한 C가 있을 때(A+B=C) A, B, C를..

사건의 지평선, 사상 지평, event horizon, 이벤트 호라이즌, 블랙홀 경계면, 슈바르츠실트 해

사건의 지평선, 사상 지평, event horizon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된 개념으로,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이 외부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되는 경계면을 가리킨다. 지평선(horizon)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지평선 밖에서는 어떠한 정보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사건의 지평선을 관측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블랙홀의 경계면으로, 블랙홀이 블랙홀이라고 불리는 이유가 바로 블랙홀 너머로부터 빛을 포함한 어떤 정보도 관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크기사건의 지평선의 크기는 일반 상대성 이론상 아인슈타인 장방정식의 해 중 하나인 슈바르츠실트 해(Schwarzschild solution)를 통해 나타나며, 그 반지름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Schwarzschild ra..

특이점, singularity, 중력 특이점(gravitational singularity), 일반적 물리 법칙 적용되지 않는 지점

특이점(特異點, singularity, singular point)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한다. 한자로는 '특별히(特) 다른(異) 점(點)'으로 해석되는데, 이는 영어의 'singular point'의 역어이다. 영어의 'singular'는 '독보적인, 특이한'이라는 의미를 갖는 단어이고, 궁극적으로 라틴어의 'singularis'(위 영어 단어와 비슷한 의미가 있다)에서 온 단어이다. 영단어 single에서 파생했다기보다, 기본형 singulus에서 파생한 singularis가 통째로 영어에 들어왔다고 봄이 타당하다.  물리  특이점(特異點, singularity)은 일반적인 물리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지점이다. 물리 현상을 수학적으로 나타냈을 때 수학의 특이점이 나타나는 곳도 마찬가지로 특..

치클론 B, Zyklon B, 사이안화 수소(청산가스), 홀로코스트

치클론 B, Zyklon B   핵 무기원자폭탄 · 수소폭탄 · 중성자탄 생물학 무기마버그바이러스 · 보툴리누스균 · 에볼라바이러스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 두창바이러스 (천연두) · 탄저균 · 페스트균 · 디프테리아 화학 무기겨자 가스 (질소 머스터드) · 루이사이트 · 사린 · 소만 · 청산 (치클론 B) · 타분 · 트리코테신 (황우) · CG · VX · 삼플루오르화염소 독가스로 이용된 적이 있는 1920년대 초 독일에서 쓰던 살충제의 상표명. 성분 조성은 사이안화 수소(청산가스), 안정제, 경고용으로 집어넣은 에틸 2-브로모아세타이트, 그리고 가스 흡수제인 규조토다. 깡통을 열면 규조토 과립이 들어 있었고 이 과립에 사이안화수소가 스며 있었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 과립을 쭉 끼얹어 ..

시안, Cyan, Cyanogen(사이아노젠), 시안화합물, 사이안화 칼륨

시안, CyanCyan (사이안(영국식) / 사이앤(미국식)), Cyanogen (사이아노젠)靑素(청소) 고대 그리스어 κυάνεος(꾸안네우스, 코이네: 퀴안네우스), 라틴어 cȳaneus(고전: 키:안네우스, 교회: 치:안네우스)에서 유래한 네덜란드어 cyaan(을 일본어 シアン을 거쳐서)에서 유래했으며, 청록색을 뜻하는 시안(색깔))과 어원이 같다  특성 및 이용옥사마이드를 오산화 인으로 탈수하거나 수은, 은, 금 따위의 사이안화물을 열분해할 때에 생기는 무색의 기체. 독성이 매우 강하고,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불을 붙이면 보라색 불꽃을 내며 타면서 이산화탄소와 질소로 유리된다. 군사용 독가스로 쓴다. 화학식은 (CN)2.시안화합물의 특이한 냄새를 보통 아몬드 냄새라고 일컫는데, 흔히 생각하는 (..

프러시안 블루, Prussian Blue(#003153), 짙은 파란, 현대적 합성안료 최초의 색, Fe4[Fe(CN)6]3, 맹독성 사이안

프러시안 블루 Prussian blue 짙은 파란색색깔                                                                                                       짙은 파란색 계열의 색깔로, 현대적 합성안료 기술로 만들어진 최초의 색이다. 이름의 유래는 원산지인 당대 프로이센 왕국이며 수도의 이름을 따서 '베를린 블루'라고도 부른다.Iron Blue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유는 후술되었듯 주성분이 철이기 때문이다. 단 이쪽은 프러시안 블루만이 아닌 비슷한 색깔의 염료들을 통칭하는 쪽으로 쓰는 편이다. RGB 값은 0, 49, 83.    염료 1704년경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 베를린에서 디스바흐(Diesbach)가 발견한 후 디펠(..

양공, 陽孔, Positive hole ,정공(正孔)

양공, 陽孔, Positive hole ,정공(正孔)양공은 전자들이 본래 자리에서 빠져서 생긴 '구멍'을 마치 양전하를 가진 입자처럼 취급하여 이르는 말이다.전자가 움직이면 본래 전자가 있던 자리는 비어 있게 된다. 빈 허공인 것이다. 전자들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면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빈 허공들이 생겨난다. 화면에서 영상속 물체가 움직이는 원리를 생각해보자. 실제로 움직이지 않지만 화면을 이루는 작은 전구인 픽셀들이 차례로 빛나고, 먼저 빛난 픽셀은 점별하기 때문에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양공도 전자의 흐름 때문에 빈 허공이 마치 실제 입자인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느낌을 준다. 그래서 이를 전자와 반대의 전하인 양전하로 취급한다. 이런 일을 하는 이유는, 모든 전자의 움직임을 일일..

암흑 에너지, 없다, 암흑 물질, 우주 팽창 모델

"암흑 에너지는 없다"...천체물리학 흔드는 주장 또 나와 뉴질랜드 연구팀, 우주 팽창의 새로운 모델 제시 '초신성 빛 곡선' 통해 '덩어리진 우주 팽창' 분석 "우주 최대의 미스터리 10년 내 풀릴 것" 평가도  천체물리학에서 암흑 에너지(dark energy)는 우주의 가속 팽창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이다. 그러나 뉴질랜드 캔터베리 대학교 연구팀은 암흑 에너지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혁신적인 주장을 내놓았다. 이들은 초신성의 빛 곡선을 분석하는 새 접근 방식을 통해 우주의 팽창이 균일하지 않고 더 '덩어리진' 형태라고 주장했다. 데일리갤럭시가 24일(현지시간) 왕립천문학회 자료를 바탕으로 이 같은 사실을 보도했다.  전통적인 우주론 모델인 '람다 냉암흑물질(ΛCDM)' 모델은 암흑 에너지가 필요하다..

사탕수수, 벼목 벼과, 자당(sucrose), 설탕, 럼, 생산량 1위, 대만, 제일제당

사탕수수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를 원산으로 하는 벼목 벼과의 다년생 초본. 사카룸(Saccharum)속에서 단 맛이 나는 몇몇 종을 일컫는다. 높이는 2-6미터로 대나무와 같이 생긴 줄기에는 이당류인 자당(sucrose)이 함유되어 있는 즙이 매우 많은 특징이 있다. 온대기후~냉대기후에서 재배하는 사탕무와 함께 설탕을 만들어내는 주요 작물 중 하나이며 설탕 대체 식품으로 물엿의 원료인 옥수수, 고구마, 카사바, 그리고 감자와 더불어 산업적으로 중요한 열대/아열대 작물이다. 줄기의 액에는 설탕 성분이 있기 때문에 이를 짜낸 후 농축시켜 설탕을 만든다. 사탕수수에서 추출할 수 있는 자당(蔗糖)을 정제해서 설탕(조미료)으로 만들고 남아있는 당밀은 식재료로 쓰거나 발효시켜 술이나 MSG를 만든다. 럼이 바로 사탕..

칼, 자르는 원리, 압력의 과학, 분자 구조 파괴, Knife, cutting principle, science of pressure, molecular structure destruction

칼의 날카로운 모서리는 물체에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을 통해 물체의 분자 간 결합을 끊어내는 역할칼이 물질을 자르는 원리는 물질의 분자 구조를 파괴하는 것입니다. 칼의 날은 매우 날카롭고 단단하여 물질의 분자를 강하게 압축하고 파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물질의 분자가 분리되고 물질이 잘려나가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칼은 다양한 물질을 잘라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칼의 날이 물질을 자르는 데에 가장 적합한 각도로 설계되어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칼은 다른 물질을 잘라내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도구 중 하나    압력의 과학, '칼'…면도날이 털에 무뎌지는 과정은?  칼을 비롯한 날붙이는 다른 물체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해 압력을 높이는 원리로 작동한다. 압력은 단위면적에 가해지는 힘으..

반 데르 발스 힘(van der Waals force), 인력, 노벨 물리학상

반 데르 발스 힘(van der Waals force) 원리모든 물체는 아무리 매끄러워 보이는 것이라 할지라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사실 매우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채 두 물체를 이어 붙이면 그 사이엔 수많은 틈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틈을 채워주는 것이 접착제의 기본 원리이다. 틈을 메워 마치 하나의 물체가 된 듯이 만드는 것이다.  모든 분자 간 혹은 각 분자의 일부분 간에는 ‘반 데르 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이라는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틈을 가득 메운 분자와 물체 사이에 이러한 반데르발스 힘이 작용하여 서로를 붙잡아 둘 수 있는 것이다. 반데르발스 힘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하여 틈을 메우는 물질로는 분자를 많이 함유..

아질산나트륨, sodium nitrite, NaNO2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아질산염(亞窒酸鹽) 주로 식육가공품의 보존제 및 발색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금속공업, 연구 및 의학적 용도로도 널리 사용된다. 질산 나트륨에 납과 함께 가열하거나 수산화 나트륨의 수용액에 산화 질소를 흡수ㆍ농축하여 만든다.화학식은 NaNO2, 비중은 2.17, 녹는점은 271℃, 용해도는 상온에서 84.8 g/100 mL으로, 물에 잘 녹고 흡습성이 있는 흰색의 결정이다. 아질산 나트륨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시금치, 쑥갓, 그린 아스파라거스, 청고추 및 떡잎무우 등에 풍부하다.포유류에 대하여 극독성을 띠는데, 반수치사량은 시궁쥐에 경구 투여시 180 mg/kg이다. 단시간에 과량을 흡입할 경우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켜 사망할 수 있다. 아질산이온에 오염..

방향족성, 芳香族性, aromaticity, 방향족화합물, aromatic compounds

방향족성, 芳香族性, aromaticity 탄소 화합물이 불포화 결합, 홀전자쌍, 빈 오비탈 등에 의하여 완전히 콘주게이션된 평면 고리 모양으로 결합되었을 때, 콘주게이션에 의한 안정화 효과보다 큰 안정화 효과를 보이는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방향족성이라는 단어와 실제 향기를 갖는 분자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지 않지만, 방향족성을 갖는 방향족성 고리는 벤젠과 같이 독특한 향기를 갖는 경우가 많다. 방향족성을 갖는 화합물을 방향족 화합물이라고 한다.   방향족은 분자 전체가 콘주게이션되어 있으므로 그림의 (아래)와 같이 표현하지만, 유기 화학 등에서는 전자의 이동에 대한 엄밀한 표현을 위해서 공명 구조 중 하나를 표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벤젠에 대한 공명 구조의 존재를 착안해 낸 아우구스트 케쿨..

석유, Petroleum, 국가별 매장량, 중생대 해양 플랑크톤, 포화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파라핀, 사이클로파라핀

석유, 石油, Petroleum 자연적으로 만들어져 지층에 자리 잡고 있는, 액체 탄화수소 또는 이를 정제한 물질이다. 정제하지 않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석유는 원유(原油)라고 한다. 분별증류로 얻는 석유 제품 LPG액화석유가스 ~30℃ 휘발유 30~140℃ 나프타 140~180℃ 등유 180~250℃ 경유 250~350℃ 중유 350℃~ 윤활유 잔여물 아스팔트 탄소가 1개인 분자에서 수십개에 이르는 분자까지 여러 종류의 탄소화합물들이 모여있는 검은색의 끈적하고 유동성 있는 액체다. 탄화수소로 되어 있는 만큼, C:H 비율은 대체로 1:1.9, 즉 CH2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 석유는 대부분 포화탄화수소가 50% 이상으로 구성되며, 방향족 탄화수소(aromatics), 파라핀, 사이클로파라핀이 거의 동량..

동지, 동지점, 冬至點, winter solstice

동지(冬至)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다. 대개 팥죽을 먹는다. 양력에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 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동지는 겨울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이때는 지구 북반구에서는 겨울이지만, 남반구에서는 여름이므로, 지구 전체..

리그닌, lignin, 목질소, 방향족 고분자 화합물, 디소듐 4-(아세틸아미노)-5-하이드록시-6-(페닐아조)나프탈렌-1,7-디설포네이트

리그닌 리그닌(lignin)은 특히 식물상에서 세포를 서로 달라붙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축적되면 세포 분열이 멈추고 단단한 조직으로 진행된다. 나무의 껍질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세포벽의 구성성분중 주요한 생화학적 화합물로 다루어진다. 목재, 대나무, 짚 , (곡식의 쌀)겨 등의 단단히 목질화(木質化)된 부분에서 쉽게 찾아볼수있으며 이러한 식물체 속에 대략30%이상 존재하는 방향족 고분자 화합물을 대표한다. 특히 이들 단위 식물체(g)당 리그린계의 화합물 량을 산정하여 리그닌가(lignin價)라고 해서 이를 주요한 지표로 사용할수있다. 한편 리그닌은 바닐린(vanillin)의 주요 제조 원료 성분중 하나이다.   식물의 구조이러한 리그닌 성분은 식물상의 목질화를 담당하는 역할로 인해서 구조..

겨자, 인공선택, 유전자조작생명체(GMO), 겨자 비대화, 식물계의 GOAT, 겨자

우리가 먹는 것은 200년간 개량한 ‘프랑켄 우드’  자연선택 대신에 인공선택 모든 생명은 어렵게 확보한 귀중한 유전자를 온전히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완벽한 보존이란 불가능하고 시간에 따라 점점 손상받기 마련이다. 그래서 성(Sex)이라는 수단으로 유전자를 교환해 더 온전해지거나 더 변형된 개체를 얻는다. 결국 모든 생명의 DNA는 미세하게나마 꾸준히 변형되는데, 이런 유전자 변형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환경이다. 자연환경과 먹이 환경, 경쟁 포식자 환경은 계속 변화했고, 그 환경(자연)에 가장 적합한 객체가 살아남도록 압력을 가하는 자연선택이 이뤄졌다. 그런데 1만 년에 전부터 일부 작물이나 가축은 조금 특이한 방향으로 유전자 변형이 이뤄졌다. 인간의 선택에 의한 변화였다. 인간이 농사와 축산..

종이 100번 접기, 등비수열, 100억 광년, 우주 크기

신문지의 두께를 0.1 mm라고 가정 0.2mm 0.4mm 0.8mm 1.6mm 3.2mm 6.4mm...... 한번 접으면 0.2mm두번 접으면 0.4mm세번 접으면 0.8mm네번 접으면 1.6mm다섯번 접으면 3.2mm여섯번 접으면 6.4mm일곱번 접으면 12.8mm여덟번 접으면 25.6mm아홉번 접으면 51.2mm (약 5센티)신문지를 한 번 접을 때마다 그 크기는 두배로 증가한다. 가장 기본적인 등비수열n번 접은 두께는 0.1mm x 2^n 10번 접으면 0.1mm x 2^10 = 102.4mm (10cm) 20번 접으면 0.1mm x 2^20 = 104857.6mm (104m) 30번 접으면 0.1mm x 2^30 = 107374182.4mm (107km) 40번 접으면 0.1mm x 2^40 ..

열역학적 계, thermo system, 열과 일의 입출입

열역학적 계thermo system  계(System)는 열역학에서 다루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관찰자가 우주로부터 관심있게 관찰하려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이 계를 제외한 영역은 환경(Surroundings)이라 부르고, 이 계의 테두리는 경계(Boundary)라 한다. 왜 굳이 이렇게 경계를 그어가면서 정의를 해야 하는가 하면, 열역학의 본질이 '열과 일의 입출입'에 대해서 논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가령 어떤 가게에 사람들이 얼마나 오는지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그 가게의 현관을 열심히 관찰해야 할 텐데, 같은 이치가 여기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이 계는 물질이나 에너지가 오가는 형태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계의 종류물질일열예시열린계OOO증기기관닫힌계XOO피스톤 ..

4대 역학, 정역학/동역학, 열역학, 고체역학/재료역학, 유체역학

4대 역학 정역학/동역학, 열역학, 고체역학/재료역학, 유체역학    ● 정역학/동역학  동역학(Dynamics)동역학의 ‘동’動은 움직인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걷는 사람, 뛰어가는 캥거루, 날아가는 비행기와 로켓, 움직이는 피스톤 등을 설명한다. 원자 속 전자, 태양의 플라즈마와 흑점 움직임 등도 동역학으로 설명된다. 동역학에 쓰이는 계산방법은 당연히 뉴턴역학이다.  정역학(Mechanics)정역학의 ‘정’靜은 멈춰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방 안에 있는 책상, 벽에 기대어 세워놓은 빗자루, 강 위에 건설된 다리, 바다 위에 떠 있는 배, 초고층건물 등을 정역학으로 설명한다. 정역학에 쓰이는 계산방법도 역시 뉴턴역학이다. 건축학 같은 학문은 정역학에서 연구되던 것이 독립한 학문이다. 동역학과 정역학의 차..

플라스틱, 종류, 용도, PET(PETE), HDPE, PVC, LDPE, PP, PS, 보펙스, FRP, CRFP, 폴리아세탈, ABS

플라스틱, PET(PETE), HDPE, PVC, LDPE, PP, PS, Other  플라스틱 용기에 표기된 재활용 마크를 자세히 보면 안에 적힌 숫자와 글이 제각기 다름을 알 수 있다.    1 PETE (PET)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투명하고 가볍다. 가장 많이 재활용되며 독성에 매우 안전하지만 재사용 시 박테리아 번식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생수병에 매실액을 담는다든지 재활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생수병, 주스, 이온음료 병, 테이크아웃 컵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2 HDPE : 고밀도 폴리에틸렌 화학성분 배출이 없고 독성에 매우 안전하며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하다. 우유병, 영 유아 장난감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3 V (PVC)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평소에는 안정적이나 열에 약해..

품종(品種), 종의 하위 단위, 유전적 형질, 품종개량, 인위선택, 선택교배

인간이 개량한 품종들은 자연 상태에서 생존 경쟁력이 심각하게 떨어져 인간이 사라지면 같이 멸종  품종(品種)은 원래 물품의 종류를 뜻하는 한자어인데, 생물 분류 단계에서는 종의 하위 단위로 쓰여, 유전적 형질에 따라 구분되는 개체군을 뜻한다. 더 세부적으로 아품종이 존재한다.  품종개량품종은 유전적 형질에 따라 구분되는 분류이기 때문에 농업, 축산업 등 동식물을 기르는 산업에서는 재배종 중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형질을 남기고 불리한 형질을 제거함으로써 품종을 바꿔 생산성을 늘일 수 있다. 이것을 품종개량이라고 한다. 생물학적, 유전한적으로도 구분하지만 인간의 자의적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기 때문에 생물학적 종의 차이로 분화되지 않는 생물이여도 품종 단위에서는 분화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축산 온실가스, 메탄 ,육류 가성비, 탄소배출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온실가스 총배출량 중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8%에 달한다. 산업 분야보다 많고, 모든 차량과 선박, 비행기가 뿜어내는 양보다 많다. 2013년 FAO의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축산 분야 온실가스 배출의 41%는 소고기 업계, 20%는 유제품 업계가 차지한다. 돼지고기 업계는 9%, 닭고기와 달걀 업계는 약 8%로 조사됐다.축산 온실가스의 상당량은 메탄이다. 소는 4개의 위를 거쳐 음식을 발효시키는 소화 과정에서 메탄을 만들어낸다. 옥스퍼드대학 식품기후연구 네트워크에 따르면 약 500㎏인 소 한마리가 매년 만드는 메탄의 양은 약 100㎏이다. 대기 중 메탄의 지구온난화 효과는 이산화탄소의 20배에 달한다. 승용차에서 휘발유 1ℓ를 연소할 때 나오는 이산..

메갈라니아, 신생대, 최고 거대, 육지 도마뱀, 5m, 쿠인카나

메갈라니아 Megalania 학명 Varanus priscus 목 뱀목 Squamata 과 왕도마뱀과 Varanidae 속 메갈라니아속 Megalania 왕도마뱀속 Varanus 아속 왕도마뱀아속 Varanus 종 †메갈라니아V. priscus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200만년 전부터 5만년 전까지 호주에 살았던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육지 도마뱀이다. 속명은 '배회하는 거대한 자'라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지금은 왕도마뱀속의 한 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메갈라니아가 페런티에나 알거스왕도마뱀 등 현재 호주에 서식하는 여러 왕도마뱀류와 분류계통학적으로 매우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후 호주의 여러 왕도마뱀들이 왕도마뱀속에 분류되어 있는데 이들과 별 차이도 없는 메갈라니아가 별도의 속으..

비타민B12, 사이아노코발라민, 코발트, 김, Vitamin B12, Cyanocobalamin

비타민B12 유기화합물 -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B B1 (티아민) · B2 (리보플라빈) · B3 (나이아신) · B5 (판토텐산) · B6 (피리독신) · B7 (바이오틴) · B9 (엽산) · B12 (코발라민) 비타민C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A · 비타민D · 비타민E · 비타민K  비타민B12(Vitamin B12) 또는 코발라민(Cobalamin, 코발아민)비타민B 복합체에 속하는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이다. 비타민 가운데 유일하게 코발트를 포함하며, 5,6-다이메틸벤지미다졸이 코발트 원자를 리간드(Ligand)하여 4개의 피롤 구조(테트라피롤, tetrapyrrole)로 이루어진 코린 고리의 중심부에 코발트 이온이 위치하는 형태이다. DNA 합성과 아미노산 및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

색(色), 색깔, 빛의 주파수, 빛의 파장, 색상, 채도, 명도, 색 원인, 분자 레벨,원자 결합력 조절

색(色), 색깔, 빛깔 색각으로 느낀 빛의 주파수(또는 파장)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색상들을 말한다. 갈색, 고동색과 같이 서로 다른 색상들에 대해 붙인 이름들을 말하기도 한다. 한편 물체에 색을 칠하는 행위를 도색이라고 한다.  주요 속성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주요 속성으로는 색상, 채도, 명도가 있다. 색상은 빛의 파장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채도는 빛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명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물질의 색 주변에서 공기·물·유리 등과 같은 색이 없는 것을 헤아려 보면 별로 많지 않음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 주변은 색이 없는 것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천연 또는 인공적인 다양한 색채로 장식되어 있다. 본래 색은 자연적인 것이고, 자연현상에 관련된 것이었다..

연교차, 대륙도, 지역별 기온, 연교차

연교차年較差 / Annual range of temperature 기상요소의 평균 수치가 가장 높은 달과 가장 낮은 달의 차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온의 연교차는 1년중 가장 더운 달인 최난월(最暖月)의 평균기온과 가장 추운 달인 최한월(最寒月)의 평균기온의 차이다. 연교차라는 단어에는 기온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부수적인 단어 없이 '연교차'라는 단어만 쓰는 경우, 기온 얘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의 경우 7~8월의 평균기온에서 1월의 평균기온을 뺀 값이다  * 최난월 평균 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   * 남부 지방에서 북부 지방으로, 해안에서 내륙 지방으로 갈수록 커진다   지역별 기온의 연교차    * 북부 지방 > 남부 지방    * 내륙        > 해안    * 황해안     > ..

큰 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 LLN), 작은 수의 법칙

큰 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 LLN) 경험적 확률과 수학적 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표본집단의 크기가 커지면 그 표본평균이 모평균에 가까워 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취합하는 표본의 수가 많을수록 통계적 정확도는 올라가게 된다. 대수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이는 일본어(大数の法則)를 중역한 용어이므로 한국인에게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고 대수학(algebra)의 대수(代數)와도 헷갈리기에 '큰 수의 법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수학적으로 강법칙과 약법칙은 서로 다른 법칙이고, 실제로 강법칙이 훨씬 증명하기 어렵다. 다만 그 정확한 차이를 설명하는 것은 대학원 수준의 확률론 지식이 필요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의미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를 요약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