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78

강장동물(腔腸動物), 해파리, 산호, 말미잘, 섭취 기관 배설 기관 같다

강장동물(腔腸動物)  강장동물이 가지는 특이한 신체 구조로, 강장동물 체내의 체강을 말한다. 고등 동물들의 위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소화관으로서 세포 외 소화를 하며, 강장에 있는 영양세포는 세포내 소화를 한다. 강장 동물이란 해파리, 산호, 말미잘과 같은 종류의 생물을 말하고, 특별한 배설기관이 없이 섭취 기관과 배설 기관이 같다. 따라서 섭취기관을 이용해 섭취하고, 강장에서 소화시킨 후, 다시 섭취 기관을 이용해 배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강장동물(腔腸動物) 고생대 캄브리아기로부터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현재는 약 1만 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색체가 다양하여 바닷속을 아름답게 장식한다. 강장동물에는 해면동물에서 볼 수 없었던 신경계·근육계·감각기가 발달되어 있어서, 보다 진화된 동물로 여겨진다. 그..

역치, 閾値, 閾 문지방 역, threshold, 문턱값, 물리량의 최소치, 최소한도의 자극의 세기, 역치 이상의 자극(suprathreshold)

역치閾値, threshold, 문턱값 閾 문지방 역 물리학에서 어떤 현상을 일으키게 하기 위하여 계(系)에 가해야 하는 물리량의 최소치를 말한다. 생물학, 생화학 및 의학 분야에서는 생물체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자극의 세기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흔히 '역치를 넘기다', '역치 이상의 자극'(suprathreshold)과 같은 표현으로 사용되며, 일상생활에서도 비유적인 표현으로서 '참을 수 있는 한계'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생물학적 역치 생물은 모든 자극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강도 이상의 자극이 가해지지 않으면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없으며, 생물이 갖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 역시 생명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항상성이 존재하여 미약한 강도의..

진공, 眞空 ,Vacuum, Free space, 양자 진공 요동, 에너지와 시간의 불확정성

진공 眞空 / Vacuum, Free space 고전적인 진공은 "물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가리킨다.  영어 등에서 진공을 가리키는 단어인 베큐엄(vacuum)은 '비어 있다'는 뜻의 라틴어 단어 '바쿠스(vacuus)'에서 유래한 것이며, 우리말과 한자의 '진공(眞空)'은 '진짜로 텅 비었다'는 의미. 일반인들도 진공관이나 진공 청소기, 진공 보온병 같은 용어를 통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도 친숙한 단어이다. 그러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진공은 진짜 진공이 아니다. 진공 청소기는 진공은커녕 대기압의 80퍼센트 정도이며, 대개는 1/1000 mmHg 정도 이하의 저압이면 진공이라고 불러준다. 과학 실험이나 정밀공학 등을 위해 초저기압 상태를 만드는 경우에도 완전한 0기..

에스터, ester, 에스테르, 카르복시산-에스터(R'-C(=O)-O-R2)

에스터, ester, 에스테르 유기 화합물의 하나로, 유기 라디칼이 산의 수소 분자 자리에 치환된 것을 말한다. 에스터라는 이름은 독일어 에시히에테르(Essigäther, 식초 에테르)에서 유래되었다. 에스터의 가장 공통적인 전형은 카르복시산-에스터(R'-C(=O)-O-R2)이며 다른 에스터로는 인산, 황산, 질산과 붕산 에스터 등이 있다. 휘발성 에스터는 대개 향기를 지니며, 향수, 에센스(필수기름)와 페로몬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많은 과일들에 그 향을 준다. 에틸 아세테이트와 메틸 아세테이트는 중요한 솔벤트이며 지방산 에스터는 지방과 지질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터는 중요한 플라스틱이다. 순환 에스터는 락톤이라 불린다.  에스터는 에스테르화라는 산과 알코올 사이의 축합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다.  에스터의..

지방산, fatty acid,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릴 에스터, 에너지원, 세포 구성 성분

지방산, fatty acid  화학, 특히 생화학에서 포화 또는 불포화된 긴 지방족 사슬을 가지고 있는 카복실산이다.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대부분의 지방산들은 4~28개까지의 짝수 개의 탄소 원자들로 구성된 가지가 없는 사슬을 가지고 있다.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생물에서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릴 에스터의 3가지 주요 부류의 에스터의 형태로 주로 존재한다. 이러한 에스터 형태에서 지방산은 동물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세포에서 중요한 구조적 구성 성분이다.역사지방산의 개념은 미셸 외젠 슈브뢰이에 의해 도입되었지만, 처음에는 "acid fat"과 "oily acid"라는 몇 가지 변형 용어를 사용했다.   지방산의 종류 지방산의 길이 지방산은 길이에 따라 다르며, 짧거나 ..

페로몬, Pheromone, 생명 의사소통 수단, 호르몬

페로몬Pheromone 동물들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발산하는 화학물질.  한 동물의 개체 '내'에서 생명활동을 관장하는 것이 호르몬이라면, 동종의 동물 개체 '간' 집단활동[행동적 혹은 생리적 특정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물질 총칭을 페로몬이라고 한다.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종류가 무궁무진하게 다양하며, 특이적인 수용체 역시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양한 동물들은 물론 식물들도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한다. 다만 식물의 경우 페로몬이라고 하지 않고 따로 용어가 있다. 개미 같은 곤충류의 페로몬이 제일 유명하지만 페로몬은 간단한 단세포 생물들은 물론 복잡한 구조의 수많은 척추동물도 분비한다. 상당수의 박테리아들은 이 페로몬을 통해 서로의 수를 헤아리고 공동 사냥을 나서는 등 군체 활동을 하는 단세포 생물들도..

코퓰린, Copulin, 여성 질 분비 호르몬, 코퓰린 향수, 암내, 향합(香盒)

코퓰린 체내 성호르몬 농도에 따라 이성을 유혹하는 냄새가 분비된다. 남성이 땀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분해물인 안드로스테놀과 안드로스테논을 분비한다. 안드로스테놀은 사향이나 백단향나무 향기와 비슷한 냄새를 나게 해서, 여성들이 이 냄새를 맡으면 각성 반응을 일으키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가 급격히 증가해 혈압이 올라가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성적으로 흥분하게 만든다. 반면 안드로스테논은 오줌 지린내가 나기 때문에 보통 악취로 여겨지는데 정작 일부 여성은 이 냄새를 꽃이나 바닐라 향기로 느끼기 때문에 향수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성 역시 질을 통해 코퓰린을 분비한다. 코퓰린은 아로마 향과 비슷한 냄새를 나게 해서, 남성들이 이 냄새를 맡으면 성적 흥분을 일으킨다.   코퓰린 향수 코퓰린..

먹이 사슬, food chains, 먹이 연쇄, 생물농축, 포식-피식 관계의 복잡성

먹이 사슬(food chains)  먹이 연쇄는 생태계 내에서 종 간의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인 먹이 그물(food web)을 일차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유기체들이 섭취하는 유기체에 생물군계나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으로 화살표로 연결된다. 이를 근거로 에너지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종속영양생물)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먹이사슬 또는 먹이그물은 연결된 그림만을 의미하며, '먹이 네트워크' 또는 '생태 네트워크'는 굵기를 달리 하여 전달되는 영양분이나 에너지의 양을 나타낸다. 먹이사슬은 특정한 동물이나 식물이 과밀하게 늘어나는 것을 막아주어 동물과 식물들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먹이 사슬의 분류 포식연쇄(捕食連鎖,predatic chain): 식물-1차 소비자-2차 소비자로 차례..

기각류, 지느러미 기(鰭), 다리 각(脚), 물개, 강치, 바다표범, 바다사자

기각류지느러미 기(鰭), 다리 각(脚)식육목 개아목에 포함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곰과 가까운 친척이다. 초기 기각류들은 올리고세에 등장했는데, 수달과 비슷한 체형과 생활양식을 지녀 민물이나 강 하구에서 어류를 포식했다. 이후 마이오세 초기에 기각류는 바다로 진출하며 진정한 해양 포유류로 진화했다.   특징과 생태 기각류는 고래와는 달리 완벽히 수중 생활에 적응한 동물은 아니라서 모든 종이 물과 뭍을 오가며 활동하며 쉴 때에는 육지에서 쉰다. 담수에 적응하지 못하는 해양 파충류와는 달리 삼투압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피부도 튼튼해서 담수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그래서 동물원에서 키우는 바다사자아과, 물개, 바다표범의 수조에는 바닷물이 아닌 일반 수돗물이 쓰이거나 소금을 풀어서 희석시킨 인공 소금물을 쓰기도 ..

범고래, 솔피, Orca, Killer whale, 백상아리 사냥, 인간 공격

범고래, 흰줄박이물돼지, 솔피虎鯨魚 | Orca, Killer whale 학명Orcinus orca(Linnaeus, 1758) 동물계(Animalia)척삭동물문(Chordata)포유강(Mammalia)우제목(Artiodactyla)참돌고래과(Delphinidae)범고래아과(Orcinae)범고래속(Orcinus)범고래(O. orca) 멸종위기등급IUCN DD  범고래는 매우 포악한, 식인종 같은 고래다.범고래는 사냥된 적이 없다.모비 딕 범고래는 우제목 참돌고래과의 포유류로 높은 지능과 뛰어난 신체 능력 및 무리지어 다니는 습성으로 인해 바다 생태계 피라미드에서 최상위에 있는 생물이다. 분류상으로는 "참돌고래과"이지만,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돌고래로도 또는 고래로도 취급한다. 한국어 정식 학술 명칭이..

LC 회로

LC 회로는 문자 L로 표시되는 인덕터와 문자 C로 표시되는 축전기로 이루어진 전기 회로이다. 공진 회로, 탱크 회로, 동조 회로 라고 불리는 이 회로는 공진 주파수에서 진동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아날로그 형식의 전기 공명기로 쓸 수있다. LC 회로는 또한 특정 주파수에서 신호를 생성하거나, 더욱 복잡한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골라 내기 위해 사용된다. LC회로는 많은 전자 장치, 특히 무선 기기의 주요 구성요소로 발진기, 전자 필터, 튜너, 주파수 혼합기 같은 것들에서 사용된다. 저항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없다는 가정 때문에 LC 회로는 이상적인 모델이다. 실제 LC 회로의 항상 구성 요소와 전선에서 작지만 0이 아닌 저항으로 인한 손실을 포함한다. LC 회로의 목적은 최소한의 감쇠(damp..

산화물(oxide), 수산화물(hydroxide), 수화물(hydrate)

■ 산화물(oxide) : 한 개의 원소에 한 개 이상의 산소(O)가 공유결합된 2원 화합물의 총칭.​특성으로 구분하면 산성산화물, 염기성산화물, 양쪽성산화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형태로 구분하면 아산화물, 일산화물, 이산화물, 과산화물 등으로 구분​▶ 산성산화물(acidic oxide) : 주로 비금속원소와 산소가 결합된 화합물. 산성산화물은 물과 반응하면 옥소산(산소산)이 되고, 염기와 반응하면 염을 형성한다. 산의 무수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롬산은 H2CrO4이고, 무수 크롬산은 산의 무수물로써 CrO3이다.​산성산화물 예) CO2, N2O5, SiO2, Cl2O7, SO3, P4 O10...​N2O5 + H2O → 2HNO3산성산화물이 물과 반응하여 옥소산(산소산) 화합물인 질산(..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 하이드록시기(hydroxy group)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 하이드록시기(hydroxy group) 유기화학에 있어 구조식이 "−OH"으로 표시되는 일가의 작용기이다. 수산기(水酸基)라고도 한다.알켄과 알카인 등 벤젠 고리 이외의 탄소 위에 수소를 하이드록실기로 치환한 화합물을 알코올, 벤젠 고리의 수소를 하이드록실기로 치환한 화합물을 페놀이라고 부른다. 이 작용기는 작용기끼리 수소 결합이 가능한 것이 큰 특징인데, 수소 결합에 의하여 물과 친화성을 띠기 때문에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화합물, 특히 저분자량인 것들과 복수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것에는 물에 녹기 쉬운 것이 많다. 중성 라디칼 •OH는 하이드록실 라디칼이라고 불린다. 일가 원자단하이드록실기는 한 개의 수소 원자와 한 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일가(一價)의 원자..

카복실기(carboxyl group), –COOH, 카보닐기 하이드록실기 조합

카복실기(carboxyl group) 화학에서 탄소, 산소, 수소로 이루어진 작용기의 하나로, 카복실산의 작용기인 –COOH로 표시된다. 카복실기라는 명칭은 포함하고 있는 두 가지 요소인 카보닐기와 하이드록실기의 조합으로 만들어졌다.  카복실기의 구조는 오른쪽의 그림에서처럼 중심의 탄소 원자에 하나의 산소 원자가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하이드록실기가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분자식에서 보면, 카복실기는 –C=O–의 형태의 카보닐기에 하이드록실기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산소와 탄소 사이의 전기음성도의 차이 때문에 탄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양전하를 띤다. 따라서 카복실 탄소 원자는 친핵체의 공격을 받기 쉽다. 카복실기의 하이드록실 부분은 상대적으로 산성이며 양성자는 적절한 파트너에게 쉽게 공..

필수아미노산, 먹이사슬, 신경전달물질,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8종

필수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음식을 통해 직접 먹어야 하는 아미노산이다. 비필수 아미노산 중 불필수 아미노산은 체내 합성이 용이한 것을 말하고,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은 몸이 정상적인 상태라면 체내 합성이 되지만, 비정상인 상태일 경우 체내 합성이 어려운 것이다.   신체에서 필요한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필수 아미노산은 신체에서 합성하려면 매우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등의 이유로 충분히 생산되지 못하거나 심지어 아예 합성이 불가능한 것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음식물을 통해 합성과정을 건너뛰고 '직접' 섭취해야 한다. 안 그러면 죽는다.  필수 아미노산은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의 8종류가 있다. 어린이의..

아미노산, Amino Acid, 아미노기(-NH2), 카복실기(-COOH), 펩타이드 결합, 구성 아미노산(20종), 필수 아미노산(9종), 비필수 아미노산(11종) ,불필수 아미노산(5종),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6종), 비단백 아미노산

아미노산 Amino Acid    보통 아미노산이라고 하면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성분들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단백질의 구성 요소가 아닌 비단백 아미노산이라는 것도 존재한다. 조직의 성장과 유지에 관여한다. 또한 호르몬과 효소, 항체 등의 주요 구성성분이 된다. 각기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족하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지연과 성인의 체중 감소를 유발하고 인체 대사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합성하고, 동물은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먹어서 얻는다. 구성 원자 중에 질소가 들어가 있는데 식물은 공기 중의 질소 분자를 사용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일부 질소 고정 세균류가 합성하는 암모늄, 질산염, 아질산염 등을 흡수해 사용한다. 그 외에도 번개가 칠 때도 질산염이 합성되며..

포도당, C6H12O6, 육탄당(hexose),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로스(dextrose)

포도당, C6H12O6, 육탄당(hexose),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로스(dextrose) 포도당(葡萄糖, grape sugar) 또는 글루코오스(glucose) 또는 덱스트로스(dextrose)란 육탄당(hexose)의 주요한 단당류중 하나로, 단맛이 있고 물에 잘 녹으며 환원성이 있다. 생물 조직 속에서 에너지원으로 소비된다. 분자식은 C6H12O6이다. 이름대로 과일인 포도에 매우 풍부하게(10~15%) 들어있기도 하다. 하지만 포도에 많이 있어서 포도당으로 이름이 붙여진 건 아니다.  1747년 독일 화학자, 발명가 안드레아스 지기스문트 마르그라프(Andreas Sigismund Marggraf, 1709~1782)가 건포도에서 뽑아낸것에서 유래한다. 즉, 포도에서 처음 발견되어서 ..

고분자(Polymer), 단량체(Monomer), 중합(Polymerization)

고분자(Polymer), 단량체(Monomer), 중합(Polymerization)  고분자 (Polymer) 란 Polymer = Poly (多) + mer (개체) Macromolecules = Macro (巨) + molecule(분자) 고분자(polymer)란 같은 종류의 분자개체가 반복적으로 많은 수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크기가 큰 분자를 일컫는다. 또한 이러한 기본 반복단위를 가지고 연결된 분자란 의미로 중합체라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고분자는 단순히 많은 수의 원자가 결합되어 큰 분자를 이루었다는 보다 포괄적 의미를 지니는 거대분자(macromolecule)와는 비교되는 의미를 가진다.    단량체 (Monomer) 와 중합 (Polymerization)  단량체(monomer)란 고분자(po..

핵산, 유전 정보, DNA, RNA, 생물 설계도, 복제, 생식, 이중나선

핵산, 유전 정보, 생물 설계도, 복제, 생식, 이중나선 核酸 / nucleic acid 생물 세포에 존재하는 고분자 물질. 생명의 유전 정보를 기록하는 역할을 하는 생물의 설계도다. 대표적인 핵산으로는 DNA와 RNA가 있다. 생명을 구성하는 물질로 지질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지니고 있다. 뉴클레오타이드의 중합체로 구성된다. 또한 세포에서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이다. 단위체는 인산, 당, 염기가 각각 1:1:1의 비율로 결합한 뉴클레오타이드이며, 뉴클레오타이드의 인산이 다른 뉴클레오타이드의 당과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폴리뉴클레오타이드라는 긴 사슬 모양의 물질이 나온다. 여기서 DNA와 RNA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DNA는 이중나선구조, RNA는..

생명은 어떻게 작동, 생명, 전자의 이동 과정, 물질대사, 해당작용, 발효, 당신생, TCA, 전자전달계

생명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생명, 쉴 곳을 찾아가는 전자의 이동 과정 생명 진화의 단계 생명은 전자, 양성자, 광자 상호작용의 중첩된 현상이다 | 수소 원자핵은 빅뱅에서 생성된다 | 생명의 원자들은 별의 핵융합에서 만들어진다 | 생명 진화의 10단계 | 생화학의 결정적 지식은 주기율표와 최외각 전자수이다 |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 생명의 출현을 보는 8개의 프레임 | 생화학 분자식 50개를 기억하면 생명이 보인다 | 한 장에 정보를 모으면 상호 관계가 드러난다 |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가 출현한다  광합성과 호흡 미토콘드리아의 산소 호흡이 다세포 생물을 만들었다 | 시아노박테리아의 물 분해형 광합성이 대기 중 산소의 기원이다 | 혐기성 박테리아는 무산소 호흡으로 에너지를 얻는다 | 물과 이산화탄소 그리..

포도당 신생합성, Gluconeogenesis(GNG)

포도당 신생합성, Gluconeogenesis(GNG), 葡萄糖新生合成 탄수화물이 아닌 물질을 가지고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동식물부터 진균, 세균 같은 미생물까지 존재하는 과정이며, 척추동물에서는 주로 간에서 일어난다. 공복, 단식, 저탄수화물식단, 또는 격렬한 운동 같이 탄수화물이 부족해지는 상황에서 혈당 수치를 유지한다. 몇몇 중간 과정에서의 예외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는 해당과정의 역과정이며, 당합성(glycogenolysis)과는 다르다. 탄수화물이 아닌 물질로 당을 만드는 과정이기는 하지만 아쉽게도 지방산 그 자체는 재료로 쓸 수 없다. 지방산의 베타 산화 과정에서 나오는 아세틸 CoA는 2개의 이산화탄소로 완전 산화되어 배출되기 때문. 대신 이 때 인체는 지방을 분해하여 지방산의 연..

백색왜성, 白色矮星, white dwarf, 백색잔별, 다이아몬드, 루시

백색왜성  백색왜성(白色矮星, 영어: white dwarf, 문화어: 백색잔별)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항성이 핵융합을 마치고 도달하는 천체이다. 이러한 종류의 항성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질량 때문에, 중심핵이 붕괴되어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탄소 핵융합을 일으킬 만큼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다. 대신, 헬륨 융합 과정 동안 적색거성이 된 다음에, 외부 대기는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며 행성상 성운을 형성하고, 대부분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핵만이 남아 백색왜성을 형성하게 된다. 백색왜성에서는 핵융합이 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점차 식어가게 되며, 또한 핵이 중력에 의해 붕괴하는 것을 막지 못하고, 결국 매우 밀도가 높은 상태가 된다. 대개는 지구 정도의 부피에 태양..

고초균, 枯草菌, Bacillus subtilis, 아이소발레르산, 청국장, 치즈냄새, 발냄새

고초균(Bacillus subtilis)枯草菌枯: 마를 고草: 풀 초菌: 버섯 균마른풀에 서식바실러스는 막대기라는 뜻인데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기다랗게 생긴 세균을 통칭하는 말로서 그 종류는 수없이 많으며 지금도 새로운 바실러스들이 분리되고 있다고초균이라고도 부르는데 마른풀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로서 볏짚에 서식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콩은 단백질의 보고인데 콩을 삶아서 벽돌 모양의 메주로 만든 다음 지푸라기로 엮어 처마에 매달아 놓았던 모습을 많이 보았었다. 그런데 지푸라기에 서식하고 있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스멀스멀 기어나와 콩의 주성분인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만들어내는데 아미노산은 감칠맛을 내는 성분이다. 그래서 화학조미료의 성분이기도 하다.아미노산의 구조를 살펴보면 모든 아미..

말, 기원전 3500년 중앙아시아 가축화, 조상 에오히프스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말목 과: 말과 속: 말속 종: 야생말 아종: 말 (E. f. caballus) 학명 Equus ferus caballus 말馬, horse 말목 말과의 동물이다. 학명은 Equus caballus이며, 조상은 지금으로부터 4,500-5,500만 년 전에 존재했던 에오히푸스이다. 가축으로 길들여진 이래로 사람들과 친숙하게 지내온 동물 중 하나로 사람을 위해 많이 봉사해 왔다. 어린 말은 망아지라고 부른다. 프랑스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등장했다. 마콩 근처의 솔뤼트레에서 발견된, 일 헥타르 이상이나 되는 말 무덤에서 증거를 찾을 수 있다.    말은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으로 보아 약 5800만 년 전의 에오히푸스(Eohippus)에서 차츰 진화된 것이라고 한다..

샴푸, shampoo, 바디워시, Body wash, 비누, 계면활성제

샴푸, shampoo 세제의 일종으로, 머리카락과 두피를 깨끗하게 하는 데 쓰인다. 어원은 '씻다'라는 뜻을 가진 힌디어 Champo로서 당시 무굴 제국의 마사지와 함께 사용하는 헤어 오일에서 유래하여 1762년 영어권에 소개되었다. 이후 19세기에 단어의 뜻이 현재의 머리감는다는 뜻으로 되었으며, 현대식 합성 샴푸는 1934년 미국 프록터앤드갬블사(P&G)가 드린(Drene) 샴푸를 출시하면서 등장하였다. 1. 샴푸의 목적 샴푸에는 크게 두가지 목적이 있다. 하나는 모발의 때를 씻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발의 때를 씻음과 동시에 두피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모발의 육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두부의 때에는 땀샘이나 피지선으로부터의 분비물에 의한 내부로부터의 때와 두발 화장품이나 대기중의 먼지같은 외부로부..

레진(Resin), 수지(樹脂), 송진, 호박(Amber), 합성수지(synthetic resin), 치아, 투수, 피규어

레진(Resin), 수지(樹脂) 樹脂(수지 : 나무 수, 기름 지)  사전적 의미로는 나무의 수액이나 그게 굳어서 만들어지는 고분자 중합체를 의미하며 현대에는 합성수지(synthetic resin), 즉 고무나 플라스틱을 일컫는 넓은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하는 공예를 레진 공예(resin craft, 국내에서는 레진 아트라고 하기도 함)라고 부른다. 오랜 옛날부터 쓰여왔던 송진(소나무, 전나무 , 잣나무 등의 진, rosin)이 대표적인 천연 수지이다. 이것을 곱게 빻아 만든 가루는 야구(투수), 암벽등반, 기계체조 등 여러 운동 경기에서 손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데 쓴다. 바이올린 등 현악기의 활이 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데에도 송진은 꼭 필요하다. 참고로 송진 등의 ..

지구의 역사, 명왕 누대, 시생 누대, 원생 누대, 현생 누대

지질시대(地質時代, Geological history)는 약 46억 년 전 지구가 형성된 시기부터 현세까지의 시간을 지질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대이다. 지질 시대의 구분 기준에는 화석, 대멸종, 부정합 등 지층의 특성이 있으며, 그 절대 연도는 방사성 동위 원소로 측정한다. 각 시대는 누대(累代), 대(代), 기(紀), 세(世), 절(節)로 세분된다. 보다 이전에는 지각이 안정된 약 38억 년 전을 지질 시대의 시작으로 보았으나, 이는 지구의 탄생 직후부터 지각이 안정되기 전까지를 포함하는 명왕누대(Hadean eon)가 추가되면서 수정되었다. 또 인류 역사가 시작된 약 1만 년 전 이후의 현세는 지질 시대에 포함시키지 않고, 따라서 역사 시대가 시작되면서 지질 시대가 끝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India-Australian Plate,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India-Australian Plate)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인도 아대륙, 인도양 동부, 태평양 남서부를 이루는 판이다. 최근의 연구 결과,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히말라야산맥에서 유라시아판과 충돌 결과 생긴 변형력으로 인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고 있다 한다. 인도 아대륙과 메가네시아(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섬, 태즈메이니아섬), 뉴질랜드, 누벨칼레도니 등은 고대의 곤드와나 초대륙이 갈라져서 만들어졌다. 해양저의 확장을 통해 육지가 갈라졌으나, 그 움직임이 멈추고 하나의 판으로 굳어졌다 최근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GPS 측정 결과, 북쪽에서 35도 동쪽 방향으로 1년에 67mm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이 속도는 오클랜드, 크리스마스섬, 남부 인도 등에서도 ..

번개, 양전하, 음전하, 전자, 전자기파(가시광선), 질소고정 메커니즘, 섬전암(fulgurite), 번개 형성 원리, 천둥, 예방

번개 구름과 구름,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공중 전기의 방전이 일어나 만들어진 불꽃이다. 전정이라고도 한다. 기상현상 중 하나다. 이 중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발생한 번개를 벼락 혹은 낙뢰라고 한다. 즉, 위 사진은 엄밀히 말하면 낙뢰를 찍은 것이다. 번개가 치면 공기의 파열음이 들리는데, 이를 천둥 또는 우레라 부른다. 번개는 대기의 질소를 땅으로 환원시키는 질소고정 메커니즘의 중요한 요인이다. 번개가 자주 치면 공기 중의 질소가 토양으로 환원되는 양이 늘어나서 지력(地力)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번개가 내리치는 속도(음전하가 지상으로 내리 꽂히는 속도)를 뇌속(雷速)이라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시속 약 3억 6천만 km, 초속으론 약 10만 km으로 광속의 약 33%이다. 흔히 번개가 빛의 속도라고 생..

물질대사, metabolism, 신진대사, 대사(代謝), 주요 생화학 분자

물질대사, metabolism, 신진대사, 대사(代謝) 생물의 세포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모든 물질의 변화로, 생체내 물질의 분해 · 합성과 같이 에너지를 소모하는 화학적 작용이다. 효소가 반응을 촉매하며, 대사를 통해 생물은 성장하고 번식하며, 구조를 유지하고 환경에 반응한다. 대사라는 단어는 소화와 세포 간에 물질 수송 등을 포함하여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 반응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경우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일부를 중간 대사(영어: intermediary metabolism, intermediate metabolism)라 한다. 대사는 대개 두 부류로 나뉜다. 이화작용(catabolism)은 세포 호흡을 통하여 유기 분자를 분해하고 에너지를 얻는 반응이다. 동화작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