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45

수렴 진화(收斂進化, convergent evolution), 발산 진화(發散進化, divergent evolution)

수렴 진화(收斂進化, convergent evolution) 본디 전혀 다른 종이, 비슷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하여 결과적으로 외형이나 생활사 등이 비슷하게 된 것을 일컫는 용어이다. 대표적인 것이라면 고래와 물고기, 박쥐와 새로 이들은 생물학적으로는 상당히 다른 생물이지만 물속에서 살기 위해, 날기 위해 진화하다 보니 겉모습이 비슷하게 변했다. 닮은 꼴 다른 계통으로 요약할 수 있다.   수렴 진화의 예. 어류인 청새치와 포유류인 에우리노델피스와 파충류인 에우리노사우루스는 강(綱) 단위에서 다르지만 빠르게 헤엄치기 위해 유사한 모습으로 진화했다. 이처럼 수렴 진화로 인해 다른 종이라도 같은 환경에 살면 비슷한 모습으로 진화할 수도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식물의 경우에는 전혀 다른 종..

폭설 원인, 호수 효과(Lake Effect), 해기차(海氣差), 흑조현상, 원리, 지형 수렴형(산맥형)과 육풍 수렴형(해안형)

호수 효과(Lake Effect), 해기차(海氣差) 해기차(海氣差)는 해수면 온도와 대기 온도의 차이라는 뜻으로, 넓은 의미로는 겨울철 찬 대륙고기압(cP)이 확장하면서 웨스터리(Westerly)에 의해 해상에서 대류운이 발생하여 한반도에 강설을 일으키는 일종의 호수 효과(Lake Effect) 현상을 뜻한다. 이러한 해기차에 의한 강설은 일반적으로 한반도 대설 6종 모델에서 "서해안형"과 "동해안형"으로 구분한다.    기본 메커니즘 겨울철 시베리아 대륙 고기압에 동반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 위를 지나가게 되면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게 되면서, 하층 대기가 불안정지며 대류운이 발달하여 육상으로 유입되면서 강설이 나타나게 된다. 해수면 위를 긴 시간 이동할수록 해수면 부근의 대기는 ..

청색 LED, 빛의 혁명, 노벨상, 나카무라 슈지, 질화갈륨, LED 적색-녹색-청색 순 개발

청색 LED, 빛의 혁명, 노벨 물리학상, 나카무라 슈지, 질화갈륨, LED 적색-녹색-청색 순 개발 더 많은 이들 위해 빛나기에 더빛의 응용이 시작됐다.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조명 세계를 연출하고 있다. 거리의 가로등부터 슈퍼마켓 냉동고와 백화점 매장의 조명등까지 램프가 녹색 바람에 맞춰 변신 중이다. 20세기가 백열등 시대였다면 21세기는 LED 시대. 노벨상위원회는 램프 혁명을 가져온 청색 LED를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선물했다.   노벨과학상 최고 화제는 단연 청색 LED 개발이다. 수상자가 일본인 출신 세 명(아카사키 이사무·아마노 히로시·나카무라 슈지)의 과학자라는 것도 흥미롭지만, 기초과학 분야가 아닌 실용기술 분야에서 노벨상이..

곤드와나(Gondwana), 히말라야, 인도판-유라시아 대륙 충돌

곤드와나(Gondwana)  현재의 남반구의 땅 전체를 포함하던 과거의 초대륙이다. (현재 북반구의 땅 대부분을 차지하는 초대륙인 로라시아(Laurasia)가 동 시대에 존재한다.)  남극,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오스트레일리아-뉴기니, 뉴질랜드를 비롯, 아라비아 반도와 인도 아대륙을 포함한다. 곤드와나라는 이름은 인도 중북부의 지명에서 왔다. 덧붙여 고지자기 분석에 의하면 한반도는 적도 부근에 위치한 곤드와나 대륙의 주변에 위아래가 현재와는 정반대로 뒤집힌 채 존재했었다고 한다. 오스트리아 지질학자 에두아르트 주에스가 인도 중부 곤드와나 지역의 고생대 후기와 중생대 지층에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이 같은 시대의 다른 대륙에서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과 몇 가지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하고 나서 ..

유성생식, 무성생식, 생물의 성, 유전적 변이, 돌연변이, 자연 선택, 진화, Sexual reproduction, asexual reproduction, sex of organisms, genetic variation, mutation, natural selection, evolution

유성생식, 무성생식, 생물의 성, 유전적 변이, 돌연변이, 자연 선택, 진화Sexual reproduction, asexual reproduction, sex of organisms, genetic variation, mutation, natural selection, evolution  유성생식 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유성생식이란, 암컷과 수컷의 생식세포가 유전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자손을 생산하는 생식방법이다. 유성생식의 시작으로 성의 시작과 탄생이 이루어졌다. 약 45억년 전 초기 지구의 바다는 5억년뒤인 40억년쯤 최초의 생명체가 탄생한 장소로 단세포 생물이 무성생식으로 번식하기에 적당한 조건이었는데, 이때는 성이 미분화된 상태였으므로 무성생식을 통해 자손을 번식했었다. 그러나..

미오신(myosin), 근단백질, ATP, ADP, 인, 액틴 필라멘트

미오신(myosin) 액틴(actin)과 함께 근단백질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글로불린단백질의 하나이다. 근절의 굵은 필라멘트는 200~400개의 미오신 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근육의 수축은 이러한 미오신으로 형성된 A-필라멘트의 중심을 향하여 F-액틴으로 형성된 I-필라멘트가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일어난다. 동물들 근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다. 단백질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원섬유 내에서 가늘고 긴 펠라민트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미오신 섬유는 절대적인 기준에서 보면 가늘지만 조직 자체를 다른 단백질을 비교해보면 굵은 편이다. 근원섬유는 이 상대적으로 굵은 미오신 섬유와 얇은 액틴으로 이루어진 섬유가 교차되며 결합된 것이다. 근육의 수축 등 운동이 일어날 때는 섬유 자체가 수축되는 것..

캄브리아기, Cambrian, 캄브리아기 생물, 캄브리아기 한반도, 조선누층군, 웨일스, 아노말로카리스, 캄브리아기 대멸종, Cambrian Substrate Revolution, Agronomic Revolution

캄브리아기 캄브리아紀 | Cambrian 기간 기원전 5억 4200만 년~기원전 4억 8830만 년(총 5370만년.)질소, 산소, 이산화 탄소(4500ppm) 상위 시대 현생누대 고생대 평균 표면 온도 21℃ 해수면 높이 4m→90m 공전 주기 약 400일 자전 주기 약 21시간 정의 애덤 세지윅(Adam Sedgwick), 1835   캄브리아기는 고생대의 첫 번째 시기로, 기간은 기원전 5억 4200만 년~기원전 4억 8830만 년(5,370만년 동안)이다. 명칭은 웨일스의 별칭인 캄브리아(Cambria)에서 유래했다.  시대상 1835년 애덤 세지윅(Adam Sedgwick)이 웨일스에서 후일 캄브리아기로 불리는 시대의 노출된 지층을 발견하고 이를 '캄브리아 시리즈(Cambrian series)'..

해조류, seagweed(algae), 해초류, seagrass, 생식, 번식방법, 해조류(海藻類), 해초류(海草類)

해조류: seagweed(algae)해초류(seagrass)해조류(海藻類)  해초류(海草類)  해조류와 해초류의 차이점 (분류) 해조류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해조류갈조류(예: 다시마, 미역 등), 홍조류(예: 김, 우뭇가사리),  녹조류(예: 파래, 청각).  해초류는 외떡잎식물과에 속하는 해양현화식물(거머리말 등)입니다 (구조) 해조류는 전형적으로 혈관이 없는 식물로, 진정한 뿌리, 줄기, 그리고 잎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 대신, 그것은 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기(haldfast)라고 불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해조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작고 필라멘트가 많은 것에서부터 크고 잎이 많은 것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다양. 대조적으로, 해초류는 뿌리, 줄기, 그리..

전자껍질, Electron shell, 최외각 전자, 주양자수 하나가 전자 껍질 하나

전자 껍질(Electron shell)  원소를 구성하는 최외각 전자가 돌면서 만드는 궤도를 말한다. 주양자수 하나가 전자 껍질 하나를 뜻한다.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를 말한다. 개수는 주양자수의 최댓값과 같으며, 원소의 주기수와 같다. 원자핵에서 멀어질수록 껍질의 에너지 준위가 크며, 보어의 양자 조건에 의해 각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양자화되어 있다. 즉, 불연속적이다.  원자핵에 가장 가까운 껍질이 K껍질이며, 이후로는 L, M, N... 알파벳 순서로 이름 붙는다. 한 원자에서 원자핵에서 가장 먼 전자 껍질의 전자는 최외각 전자라 하며, 화학 반응에 직접 관여한다.    ○ 주기라고 부르는 가로줄은 전자껍질수※ 전자껍질 : 중앙에 원자핵이 있고 첫 번째 껍질, 두 ..

주기, 주기율표, 전자껍질수, 질량 비슷, 성질 다름, 8주기, 주기(period)

주기율표가로줄은 주기(period)세로줄은 족(group)   주기 (주기율표) 원소들을 원자 번호순으로 나열했을 때, 성질이 비슷한 원소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주기율이라고 한다. 주기율표는 주기율에 따라 원소들을 배열한 표를 말한다.  주기율표에서 가로줄은 주기, 세로줄은 족이라고 한다. 주기는 1주기에서 8주기까지 있다.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들에 따라 녹는점, 전기 전도성, 반응성 등의 성질이 변하며 주기가 바뀌면 성질의 변화가 비슷하게 반복된다.  족은 1족에서 18족까지 있다. 같은 족에 속한 원소들은 성질이 비슷하여 동족 원소라고 부른다. 1족은 알칼리족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금속으로 전기 전도성이 있으며 물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17족은 할로젠족이라고 하는데, 모두 ..

전이후 금속, post-transition metal

전이후 금속(post-transition metal, 轉移後金屬)  주기율표의 p-구역에 있는 금속 원소를 말한다. 전이 금속과 준금속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전기음성도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 전이 금속보다 크다. 전이 금속에 비해 녹는 점과 끓는 점이 낮고, 무르다. 전이후 금속에 속하는 원소는 다음과 같으며, 점선으로 표시한 원소들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여기 실린 7주기 원소들의 경우 아직 화학적 성질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전이후 금속의 성질과 비슷한 성질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post-transition metal The metallic elements in the periodic table located between the transition metals to their le..

동위원소, 방사성 동위원소, isotope, 질량이 다른 원소, 핵종(nuclide), 동위원소 이용

동위 원소 isotope 양성자와 전자의 수는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다른 원소 원자를 이루는 양성자와 전자의 수는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질량수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소들을 동위 원소라고 한다. 동위 원소는 자연 상태에 극소량 존재하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화석의 연대를 구별하거나 방사선 연구에 사용한다. 동위원소同位元素 / isotope 원자의 양성자 수는 같으나 중성자 수가 달라 질량이 다른 원소들을 말한다. 특정 원자번호에 해당하는 원소의 원자는 딱 원자번호만큼의 양성자를 가지지만, 중성자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달라지는 중성자 수는 원자마다 다르다. 서로 다른 원자 간에, 중성자 수가 달라도 양성자 수만 같으면 원소명은 같다. 따라서 같은 원소라 하더라도 원자핵(nucleus)의 핵자(..

족, 주기율표, 족(group, 族), 18개 족, 전자 수 동일

주기율표가로줄은 주기(period)세로줄은 족(group)    족 (주기율표)  주기율표에서 세로 로 같은 줄에 있는 화학 원소들을 묶어 족(group, 族)이라고 부른다. 표준 주기율표에는 18개의 족이 있다. 같은 족에 속하는 원소들 간에는 화학적으로 비슷한 성질이 있다. 예를 들어, 수소를 제외한 1족에 속하는 원소들은 은색의 금속이고, 18족 원소들은 반응을 거의 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사성은 같은 족에 속하는 원소들은 원자가 전자 수가 같기 때문에 발생한다.    족 이름 구 IUPAC 구 CAS  1족 원소IAIA알칼리 금속2족 원소IIAIIA알칼리 토금속3족 원소IIIAIIIB(희토류 원소)4족 원소IVAIVAB 5족 원소VAVB 6족 원소VIAVIB 7족 원소VIIAVIIB 8족 원소VI..

미터, meter, SI 단위, 거리, 빛이 진공에서 1/299 792 458 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

미터, SI 단위 거리의 단위. 국제표준표기(영국식)는 metre지만 미국식 영어에서는 meter라고 쓴다. 1 m는 진공 중에서 빛이 1 / 299,792,458 초 동안 전진한 거리로 정의된다. 국가표준기본법 시행령 별표 1도 "빛이 진공에서 1/299 792 458 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라고 미터를 규정한다. 2019년 SI 개정 정의로는 진공에서 빛의 속도를 c = 299 792 458 m/s 가 되도록 하는 길이의 단위며 수학적으로는 같은 말이다. SI 단위(미터법)의 대표적인 단위이다. 미터는 단위로 m으로 표기한다. 착각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으나 소문자로 표기함이 원칙이다.미터라는 말은 그리스어로 '측정'을 의미하는 메트론(μέτρον)에서 유래된 프랑스어 메트르(mètre)이다. ..

인돌, indole, 스카톨, skatole, 똥냄새, 꽃향기

인돌, indole분자식이 C8H7N인 방향족 헤테로고리 유기 화합물인돌은 5원자 피롤 고리와 6원자 벤젠 고리가 융합된 두 개의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인돌은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다양한 세균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세포 간 신호 분자로서 인돌은 포자 형성, 플라스미드의 안정성, 약물에 대한 내성, 생물막 형성, 독력 등을 포함한 세균 생리의 다양한 측면들을 조절한다.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은 인돌의 유도체이며,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전구물질이다. 스카톨, skatole 3-메틸인돌, 3-methylindole인돌 계열에 속하는 유기 화합물고농도에서는 똥냄새가 나며, 대변의 주된 냄새 성분이다. 저농도에서는 꽃냄새가 나며, 오렌지꽃, 재스민, 인도대추(Ziziphus mauriti..

지구 생물체 대멸종, 5대 멸종, 5대 절멸 사건, 5 mass extinction, 오르도비스기 말, 데본기 말, 페름기 말, 트라이아스기 말, 백악기 말, 5차 멸종, 공룡

5대 절멸 사건 (5 mass extinction) 1982년 잭 셉코스키와 데이빗 라우프는 다섯 가지 대멸종에 대한 논문을 냈다. 다섯 가지 대멸종은 원래 현생대 동안 감소하는 멸종 속도와는 크게 관련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이 '5 대멸종'(5 mass extinction)은 많은 데이터와 실험의 통계적인 결과를 통해 비록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대표적인 멸종의 사건들로 여겨진다. 백악기-제3기 대멸종 (백악기의 끝 또는 K-T멸종) - 백악기 66 Ma. 원래 K-T멸종이라 불리었지만, 최근 많은 학자들이 K-Pg(백악기-제3기)멸종이라 부르고 있다. 마아스트리치안기 말에 일어나 17%의 과, 50%의 속, 75%의 종이 멸종하였다. 바다에서는 꽃자루가 없는 생물이 33%로 감소하였으며 대부..

온실가스, 적외선 복사열 흡수 반사, 지구 표의 온도 상승,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메탄, 오존, CFCs, 수증기

greenhouse gases  수증기 Water Vapor H2O 72 %  이산화탄소 Carbon Dioxide CO2 9 %  메탄 Methane CH4 4 %  오존 Ozone O3 3 %     온실가스, 온실 기체, greenhouse gases, GHGs  지구의 지표면에서 우주로 발산하는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 또는 반사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특정 기체를 말하는데 두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원자가 결합된 모든 기체가 이에 해당한다. 다만 일산화탄소(CO), 염화수소(HCl)등은 두개의 상이한 원자로 결합된 분자이지만 대기에서의 잔류 수명이 매우 짧아 온실효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기체이므로 온실가스로 다루지 않는다. 개요 온실기체는 일반적으로 자연·인위적인 지구 대..

원소 목록, 원소 특징, 원소 용도

원소 목록, 원소 특징, 원소 용도 1H수소Hydrogen2He헬륨Helium3Li리튬Lithium4Be베릴륨Beryllium5B붕소Boron6C탄소Carbon7N질소Nitrogen8O산소Oxygen9F플루오린Fluorine10Ne네온Neon11Na나트륨Sodium12Mg마그네슘Magnesium13Al알루미늄Aluminium14Si규소Silicon15P인Phosphorus16S황Sulfur17Cl염소Chlorine18Ar아르곤Argon19K칼륨Potassium20Ca칼슘Calcium21Sc스칸듐Scandium22Ti티타늄Titanium23V바나듐Vanadium24Cr크로뮴Chromium25Mn망가니즈Manganese26Fe철Iron27Co코발트Cobalt28Ni니켈Nickel29Cu구리Copper30Zn..

인산화, phosphorylation, 분자, 인산기, 당 이화작용, 해당과정, 단백질 인산화, ATP

인산화, 燐酸化, phosphorylation  화학에서 분자에 인산기를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인산화와 그 역반응인 탈인산화는 생물학의 많은 과정에서 중요하다. 단백질 인산화는 기능에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인산화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에 존재하는 효소의 거의 절반을 활성화(또는 비활성화)하여 기능을 조절한다. 많은 단백질(진핵생물에서 프로테옴의 1/3에서 2/3 사이)은 많은 탄수화물, 지질, 기타 생물학 관련 분자와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 인산화된다.  포도당 보통 당의 이화작용의 첫 번째 단계는 당의 인산화이다. 인산화는 분자가 운반체를 통해 다시 확산되어 나가는 것을 인산기가 방지하기 때문에 세포에 당이 축적되도록 한다. 포도당의 인산화는 많은 ..

수소 결합, 분자간 정전기력, 분자간 이온결합, F, O, N, 물(H2O), 플루오린화 수소(HF), 암모니아(NH3), 에탄올(C2H5OH), DNA 염기 간 결합, 메탄올(CH3OH), 아세트산(CH3COOH)

수소 결합水素結合 / hydrogen bonding IUPAC에서는 수소 결합을 전기음성도가 수소보다 높은 원자(수소 결합 주개)와 결합한 수소와, 다른 원자 혹은 원자단(수소 결합 받개)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적 상호작용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 과정, 심지어 화학이나 생물학 전공자들 사이에서도 F, O, N에 달린 H가 또 다른 F, O, N과 상호작용하는 것만을 수소 결합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경우가 대부분 강한 수소 결합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 외의 경우 수소 결합이 존재하는지 혹은 얼마나 강한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가 굉장히 어려우며, 수소 결합이 존재하더라도 그로 인한 성질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없기 때문이다.  보통 결합이라고 하면 원자 간 상호작용을 말하..

플루오린, 불소, 弗素, Fluorine, 독성, 앙리 무아상, 테플론, 프레온, 프로작, 플루오린화 나트륨

플루오린, 불소 弗素, Fluorine 비금속기체 원자량 18.9984032 밀도 1.696 g/L 녹는점 -219.67 °C 끓는점 -188.11 °C 용융열 0.26 kJ/mol 증발열 6.51 kJ/mol 원자가 7 이온화에너지 1681, 3374, 6147 kJ/mol 전기음성도 3.98 전자친화도 328 kJ/mol 발견 A. Ampère (1810) CAS 등록번호 7782-41-4 이전 원소 산소(O) 다음 원소 네온(Ne)  형석(CaF2)을 뜻하는 라틴어 fluorite에서 유래하였다. 여기서 '형광'을 뜻하는 접두사 Fluor-가 나왔다. 할로젠(17족)에 속하는 화학 원소다. 과거에는 불소(弗素)란 이름이 널리 쓰였는데, 독일어식 표현인 플루오르(Fluor)로 명명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단백질 구조, 단백질 4가지 구조, 단백질 역학, 단백질 접힘, RNA, 아미노산 서열(Anfinsen's dogma)

단백질의 구조, protein structure 아미노산 사슬에 있는 원자와 분자의 3차원 배열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염기서열에서 형성된 생체고분자(폴리펩타이드)이다. 단일 아미노산 단량체는 중합체의 반복 단위를 나타내는 잔기라고도 할 수 있다. 단백질은 축합 반응을 겪는 아미노산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 아미노산은 펩타이드 결합으로 서로 결합하기 위해 탈수 반응을 통해 물 분자 하나씩을 잃게 된다. 관례상, 아미노산 30개 이하의 사슬은 단백질이 아닌 펩타이드로 식별되는 경우가 많다. 단백질은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반데르발스 힘, 소수성 결합과 같은 다수의 비공유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특정한 공간적 형태로 접힌다. 단백질의 기능을 분자 수..

전자, 음전하, 렙톤 입자, Electron, Negatron, 나트륨 이온(Na+), 염화 이온(Cl-

전자 電子 / Electron, Negatron음전하를 띠며 원자를 구성하여 원자핵 주변을 떠도는 렙톤 입자.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입자이다. 1897년에 조지프 존 톰슨이 진공 중에서의 방전 현상을 연구하면서 발견하였으며, 전자의 발견으로 인해 원자를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입자라 생각했던 존 돌턴의 원자설은 수정되었다. 전자는 원자핵을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존재한다.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가장 완벽에 가까운 구이다. 전자를 지구 크기만큼 키워도 그 오차 범위를 알 수 없으며 태양계 크기만큼 키워야 겨우 머리카락 한 올 수준의 오차가 생기는 정도.   물리적 성질전자가 점입자인지 아닌지는 아직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크기가 0이 아닐 경우 상한선을 10-18 m 정도로 보고 ..

밀란코비치 주기, 이심률, 자전축 경사

밀란코비치 주기 밀란코비치 이론은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지구 자체 운동의 집합적인 효과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구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기술자이며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밀루틴 밀란코비치(1879년 5월 28일 - 1958년 12월 12일)의 이름이 붙여졌으며,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억류되어 있는 동안 이 이론을 연구하였다.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과 자전축 경사의 변화, 세차운동이 지구의 기후 변화 패턴을 결정한다는 수학적인 가설을 세웠다. 지구의 자전축은 도는 팽이처럼 요동을 하면서 약 26,000년마다 한 바퀴 세차운동을 한다. 한편 지구의 타원 궤도의 축도 반대 방향으로 훨씬 서서히 회전한다. 이러한 운동들은 춘분점과 추분점을 23,000년 주기로 서서히 이..

소음과 진동의 구분, 진동 소음과 수학, 공학

소음과 진동의 구분소음과 진동은 파동/음향에서 비롯되는 조금 다른 현상이다. 법적, 공학적으로 이 둘을 구분하기도 한다. 법적 구분소음: 귀로 느껴지는 것.진동: 발로 느껴지는 것. 물리학/공학적 구분소음: 음향에너지가 기체를 통해 고막에 전달되는 현상.진동: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반복적인 변환상태. 매질소음: 기체진동: 고체   진동 소음과 수학, 공학진동은 고체에 의해 전달되는 흔들림이며, 소음은 최종매개체인 공기충의 압력변동에 의해 사람에게 전해지는 불쾌한 음이다. 음향은 불쾌한 의미가 없는 공기압 변동상태이지만 초음파는 고체음과 공기음을 모두 포함하여 말하는, 다시 말하면 20kHz이상의 고주파 진동-소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모든 음과 떨림의 구분은 물리학의 파동(wave)에서 출발하였으며..

액화질소, liquified nitrogen, 끓는점 -196°C(77 K), 냉동치료, 질식 위험

액화질소, liquified nitrogen  '액화석유가스'(LPG)와 같은 단어와는 달리 질소라는 물질이 개념적으로 반드시 기체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기에 '액체질소'라고만 불러도 무방하다. 물론 대부분의 질소가 기체 상태이며 지구의 지표에서 액체질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기체 질소를 액화해서 제작한다.    성질질소의 끓는점은 -196°C(77 K)로 액체질소는 1기압일 때 그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액체질소는 보통은 -200°C 내외이며 드라이아이스(-78.5°C 이하)도 보통은 -80°C, 아무리 낮아봐야 -100°C 정도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질치고는 극저온에 속한다. 더 차가운 액체헬륨은 -269°C(4K)이다. 가격이나 접근성..

탄성(elasticity), 점성(Viscosity), 훅의 법칙(Hooke's law)

탄성(elasticity)힘을 더하면 형태가 바뀌지만, 힘을 빼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고체로 보이는 성질이다. 영어로 elasticity라고 하며, 어원을 따져 보면 그리스어의 "돌아오다"라는 뜻이 된다.많은 물질은 탄성 범위 안에서는 형태를 바꾸어도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 말은 보일이 처음 사용하였다.탄성은 응력(stress)과 변형(strain) 사이의 선형 관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선형 탄성이라고 한다. 고무 밴드와 잘 튀는 공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개념은 처음에 로버트 훅(Hook) 이 1675년에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선형 관계는 훅 법칙으로 불린다. 선형 탄성의 전형적인 모델은 "완벽하게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용수철이다.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상..

인수분해, 인수분해공식, factorization, 因數分解, 소인수분해

인수분해 대수학 Algebra 인수분해, factorization, 因數分解 어떤 원소를 다른 원소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대부분 중3 단원에서 곱셈 공식 & 이차방정식과 함께 나온다고 하지만, 사실 초등학교 5학년 시절 나온 통분과 약분부터 이름만 안 알려졌을 뿐 이 때부터 존재가 알려지다가 중학교 1학년 때 분배법칙이 나오면서 일차식의 인수분해를 알게 되다가 중학교 3학년 때 그 이름이 공개된다.  정수 위에서의 인수분해  소인수분해를 하는 방법이 문단에서는 1보다 큰 어떤 정수  N N이 주어졌을 때, 10진법 표기에서 약수를 찾는 여러 가지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먼저 사람의 입장에서 가장 쉬운 방법은 아래의 배수 판정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정수  N N에 대해서, 2의 배수: 일의 자리 숫..

암모나이트, 중생대 표준화석, Ammonite

암모나이트(국석아강) Ammonite Perisphinctes 학명 Ammonoidea (Zittel, 1884) 분류 계 동물계 문 연체동물문(Mollusca) 강 두족강(Cephalopoda) 아강 †국석아강(Ammonoidea) 암모나이트는 고생대에 나타나 중생대, 나아가 신생대 극초기까지 번성했던 두족류들 중 국석아강에 속하는 이들을 통틀어서 칭하는 말이다. 어원은 이집트 신화의 신인 아문으로, 화석을 아문신의 머리에 있던 숫양뿔이라고 고대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가 생각하고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 ammonis cornua(암몬의 뿔)이라고 쓴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발견되는 삼엽충과 달리 현재까지 암모나이트 화석이 한반도에서 발견된 적은 없다. 한반도에는 데본..

갈륨, Gallium, 전이후 금속, 태양전지, LED, 반도체, 질화 갈륨, 청색 LED, 고출력 초고주파 소자, 중국

갈륨 주기율표 31Ga 갈륨 Gallium 분류 전이후 금속 상태 고체 원자량 69.723 밀도 5.91 g/cm3 녹는점 29.7646 °C 끓는점 2400 °C 용융열 5.59 kJ/mol 증발열 256 kJ/mol 원자가 3 이온화에너지 578.8, 1979.3, 2963 kJ/mol 전기음성도 1.81 전자친화도 28.9 kJ/mol 발견 L. de Boisbaudran (1875) CAS 등록번호 7440-55-3 갈륨, galium 4주기 13족에 위치하는 금속 원소이다. 주로 알루미늄 등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물질로, 주로 반도체나 태양전지, LED에 사용되며 수소 저장용 합금으로서 연구되기도 한다. 순수한 갈륨을 이용해 뉴트리노를 연구한 적도 있다. 1875년 프랑스의 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