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 440

영국 도시 이름, -ham, -ton, -shire, Buckingham, Nottingham, Tottenham, 토트넘

● -ham hamlet 의 준말 Village (마을) 이라는 뜻. 고딕어인 haims, 독어인 heim(고향, 마을, 자택, 집)과도 관련. home 이라는 단어도 같은 어원 Buckingham(버킹엄), Nottingham, Tottenham(토트넘), Rathfarnham 등 ● -shire (영국의) 주(州)(현재의 county에 해당되는 행정 구역) Hampshire, Yorkshire ● -ton 영어의 'town'으로 발전 '마을'의 의미 ● -ter 영국이 로마의 지배를 받은 시기 로마인들은 영국 남부에 군대병영(castra) 형태의 도시 건설 -caster, -chester, -cester 랭커스터, 돈카스터, 윈체스터, 도체스터, 사이렌스터 등

미국, 영국, 불란서, 로서아, 덕국, 이태리, 희랍, 서반아, 한자 국가명

한자식 표기는 표음문자가 아닌 한자로 외국 발음을 표기 미국 아메리카 메리카 메이궈 미국(美國) 출애굽기 출애굽 이집트 탈출 애굽 애급(埃及) 이집트 독일 獨逸(독일) 德國(덕국) 도이칠란트 프랑스 佛蘭西(불란서) 法國(법국) 러시아 露西亞(로서아) 俄羅斯(아라사) 이탈리아 伊太利(이태리) 오스트리아 奧地利(오지리) 스위스 瑞西(서서) 瑞士(서사) 그리스 希臘(희랍) 스페인은 西班牙(서반아) 스웨덴 瑞典(서전) 캐나다 加奈陀(가나타)·加拿大(가나대) 네덜란드 和蘭(화란) 터키 토이기(土耳其) 필리핀 비율빈(比率賓) 영국 잉글랜드 英蘭(영란) 英(영) 國(국) 영란(英蘭)은행 Bank of England(잉글랜드은행) 랜드 란 蘭 아일랜드 愛蘭(애란) 핀란드 芬蘭(분란) 폴란드를 波蘭(파란) 코리아(Kor..

아이스 버킷 챌린지, ALS 아이스 버킷 챌린지,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루게릭 병

아이스 버킷 챌린지 혹은 ALS 아이스 버킷 챌린지는 사회 운동으로,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이른바 루게릭 병)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 사람이 머리에 얼음물을 뒤집어 쓰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있다. 2014년 여름에 시작된 이 운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급격히 퍼져나가 하나의 유행이 되었다. 이 운동의 방식은 참가자가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시작된다. 참가자는 우선 동영상을 통해 이 도전을 받을 세 명의 사람을 지목하고, 24시간 내에 이 도전을 받아 얼음물을 뒤집어 쓰든지 100달러를 미국 ALS 협회에 기부하든지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그 후 참가자가 얼음물을 뒤집어 쓰는 간단한 방식이다. 그러나 얼음물을 뒤집어 쓰는 것이 하나의 사회 유행으로 퍼져, 기부를 하면서도 얼음물을 뒤집어 ..

세계 3대 폭포, 이과수 폭포(Iguassu Falls), 나이아가라 폭포(Niagara Falls), 빅토리아 폭포(Victoria Falls)

세계 3대 폭포대륙이름국가높이넓이수량북아메리카나이아가라 폭포캐나다, 미국52m1.2km240만~830만㎡남아메리카이과수 폭포브라질, 아르헨티나70m2.7km175만~1280만㎡아프리카빅토리아 폭포잠비아, 짐바브웨108m1.7km109만~708만㎡1. 이과수 폭포(Iguassu Falls)브라질과 파라과이 국경지대인 이과수 강에 있고 북미의 나이아가라 폭포보다 4배가 크다. 크고 작은 270여개의 폭포가 동시에 초당 1만 2천톤의 물을 쏟아내고 폭이 4.5km 평균 낙차가 70미터라고 한다. 브라질 파라나주 남부를 따라 흘러온 이과수강이 파라나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부터 36km 상류에 있다. 이과수 폭포의 70% 이상은 아르헨티나 영토에 있지만 이외 대부분의 폭포는 브라질과 면하고 있다. 폭포 인근 지대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이탈리아어파, 우랄어족, 슬라브어파, 바스크어(Euskara)

● 인도유럽어족 - 게르만어파 영어(English), 독일어(Deutsch), 룩셈부르크어(Lëtzebuergesch), 네덜란드어(Nederlands), 프리지아어(Frysk), 덴마크어(Dansk), 스웨덴어(Svenska), 노르웨이어(Norsk), 아이슬란드어(Íslenska), 페로어(Føroyskt), 스코트어(Scots) - 이탈리아어파(로망스어군) 라틴어(Latina), 이탈리아어(Italiano), 프랑스어(Français), 스페인어(Español/Castellano), 포르투갈어(Português), 카탈루냐어(Català), 갈라시아어(Galego), 루마니아어(Română), 로망슈어(Rumantsch) - 슬라브어파 러시아어(Русский), 벨라루스어(Беларуская), 우..

플라자 합의, Plaza Accord, 일본 버블 경제

플라자 합의, Plaza Accord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의 플라자 호텔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으로 구성된 G5의 재무장관들이 달러화 강세를 시정하기로 결의한 조치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의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5개 선진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회의를 통해 맺어진 협의. 주요 내용은 미국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의 평가절상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이 합의가 나온 배경에는 미국의 재정 적자와 무역수지 적자의 심화와 일본과 독일의 급성장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오일쇼크를 거치면서 대미 흑자 폭을 크게 늘려나가고 있는 중이었는데 미국이 이에 대해 제동을 건 것이다. 다시 말해, 플라자 ..

3T 이론, Tolerance, Talent, Technology, 포용성, GCI

3T 이론이란 포용성(Tolerance / 3T)이 재능 있는 사람들(Talent / 2T)을 불러모으고, 재능 있는 사람들이 모인 곳에 기술혁신(Technology / 1T)이 일어난다는 가설 이 3T 이론을 바탕으로 만든 종합 지표가 '글로벌 창의성 지수 (GCI / Global Creativity Index)' 이 지수를 통해 3T가 경제적 성과 및 경쟁력, 인적자원개발, 행복 등과 밀접한 관계 Technology의 변수로는 R&D investment, research, innovation의 세 가지를 이용했고, Talent는 human capital, creative class population의 두 가지, Tolerance의 변수로는 갤럽의 설문조사 결과(소수인종, 게이와 레즈비언에 대한 허용..

지정학 이론, 地政學, geopolitics

지정학(地政學, 영어: geopolitics)은 지리적인 위치 관계가 정치,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1. 지정학 이론의 의미 지정학 이론은 국제정치학에 있어 오래된 이론 중 하나이며 현실주의 이론들이 정립되기 전에 이미 존재했다. 지정학적 요소는 과거는 물론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요시 된다. 특히 지리적 요건은 오랜 기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상수로서 가지는 의미가 크다. 특히 한반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두고 지정학적 분석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유라시아 대륙에서는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러시아의 유라시아경제연합 등이 국제적 이슈에 오르며 과거 맥킨더의 '심장지역이론'을 새삼 상기시킨다. 이외에도 미국의 대외정책론, 제 2차 세계대전 당..

탈동조화(decoupling, 디커플링), 재동조화(recoupling, 리커플링)

'디커플링(Decoupling)'이란 말은 쉽게 말하면 동조화의 반대말입니다. 그래서 디커플링을 '비동조화' 혹은 '탈동조화'라고도 표현합니다. 그럼 동조화(coupling, synchronization, 同調化)란 어떤 뜻일까요? '서로 닮아간다'는 뜻입니다. '미국 증시가 재채기하면 한국 증시가 독감에 걸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국내 증시의 취약성을 지적한 문장인데 글로벌 증시가 동조화되고 있음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최근 증권 기사에 보니 '글로벌 증시가 동반폭락'이라는 제목을 읽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세계 증시가 동조화에 의해 연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을 기폭제로 해서 심각한 신용경색과 달러약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이것이 미국내 기업실적 악화, 주택시장 침체, ..

지진 규모, 진도

지진을 나타낼 때 가장 중요한 정보는 지진의 '규모'입니다.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는 기준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 '리히터 규모'입니다. '리히터'라는 이름은 1935년 지진의 강도를 절대적 수치로 나타내자고 제안한 미국의 지질학자인 찰스 리히터C. Richter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리히터 규모: 지진에 의해 리히터 지진계에 기록된 지각의 진동 수치이다. 지표상 한 지점에서 나타나는 진동의세기에 관한 척도로, 측정된 지진파의 최대 진폭으로 방출된 에너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한마디로 얘기하면, 지진의 강도를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수치로 표현한 것이 리히터 규모입니다. 5.0의 지진은 4.0의 지진보다 강하겠죠. 그런데 여기서 규모의 수치가 얼마..

불쾌한 골짜기-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휴머노이드

'불쾌한 골짜기'라는 게 있다. 인간이 로봇 등 타 존재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관련 있다. 1970년 일본 로봇 과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처음 주창했다. 불쾌한 골짜기에 따르면, 로봇은 사람과 닮을수록 호감도가 높아진다. 그 수준이 어느 정도 도달하면 급격한 거부감을 가지게 된다. 로봇 모습이 사람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흡사해지면 다시 호감도가 증가한다. 인간을 대하는 느낌과 비슷한 수준으로 접근한다. 급격한 거부감을 느끼는 구간이 바로 불쾌한 골짜기다. 산업용 로봇(팔) 경우 인간이 특별한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 제품을 조립하는 기계 팔에 감정을 이입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휴머노이드, 인간형 로봇은 상황이 좀 다르다. 처음에는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호감을 가진다. 하지만 너무 닮게 되..

미국 대통령 선거제도-간접선거, 선거인단, 경합주

간접선거와 선거인단(Electoral college) 1792년 제정된 연방법에 따라 4년 주기로 실시되는 미국 대선은 11월 첫 번째 월요일 하루 뒤인 화요일로 선거일이 정해져 있다. 선거권을 가진 국민이 대통령 후보에게 직접 투표하는 한국과 달리, 미국은 주(state)별로 선거인단을 통해 실시하는 간접선거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즉, 국민이 대통령 후보에게 직접 투표하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가 먼저 선거인단을 뽑고, 그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다. 때문에 미국 대선에서는 단순히 유권자들로부터 표를 가장 많이 얻었다고 해서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많은 '선거인단'을 확보해야 승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선거인단(electoral college)이란 무엇일까. 미국에서 대통령 선거인단은 말 그..

행동경제학

행동경제학은 일반경제학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일반경제학이 설명할 수 없는 합리적이지 못하거나 공정하지 않은 선택 등과 같은 문제를 설명하려고 한다. 경제학은 합리적이고(rational), 계산적이며 이기적인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에 기반한 학문이다. 그러나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은 인간이 제한적으로 합리적이며 때론 감정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행동경제학은 인간이 엄청난 계산능력을 가지고 있고, 구조적인 실수도 하지 않는다는 기존 경제학에 인간적인 요소를 넣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적 인간의 선택이 항상 옳지는 않아 경제학은 1776년에 발간된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國富論, An Inquiry into the Nat..

우울증, 슬픔과 맞서 싸우지 말라

우울증은 감정조절 시스템의 이상 ​ 임상심리학자 폴 길버트는 우리 인간에게는 위협을 탐지하고 보호와 안전을 추구하는 위협시스템, 친화에 초점을 두고 웰빙과 평화로움 등 긍정적인 감정을 일으키는 만족시스템, 좋은 것을 찾고 성취하는 욕구시스템의 세 가지 감정조절 시스템이 있다고 합니다. 그는 우울증을 위협시스템의 작동이 증가하고, 욕구시스템과 만족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결과라고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떨 때 위협시스템을 증가시키고 욕구시스템과 만족시스템을 억제하게 될까요? ​ 우선 우리의 유전적 기질은 좋은 일에는 기쁨으로 반응하고 원치 않는 일이나 위협에는 놀람, 걱정, 분노, 좌절 등으로 반응하도록 진화되어 왔습니다. 그러므로 삶에서 스스로 감당할 수 없다고 느끼는 스트레스를 만나게 되면..

행복 3요소

​ 약 20년간의 심리학 연구들 끝에 연구자들은 ​ ㄱ) 유전이 행복의 반 정도를 결정하고 ​ ㄴ) 환경(돈, 좋은 집, 좋은 주거 환경 등의 물리적 환경들)이 10% 정도를 결정하고 ​ ㄷ) 의도적 활동들(좋은 친구들과의 사귐, 여가 활동 등)이 40% 정도를 결정 ​ ​ 행복의 반이 유전에 의해 정해진다. = 행복의 반이 내 성격에 의해 정해진다. ​ "행복의 40% 정도만 내 노력으로 바꿀 수 있다" ​ 많은 연구들을 보아 온 결과 "좋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만큼 여러분의 인생을 풍성하고 행복하게 해 주는 일이 없어 보입니다. ​ 우리는 뼛속까지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과학적 연구/증거 ​ ㄱ) 외로운 사람들이 건강이 안 좋고, 빨리 죽고, 우울증 등 각종 정신 질환 및 신체적 질병에 취약하고 하는 ..

슬픔

슬픔은 크게 다섯 요소로 구성된다고 한다. 열망(격한 보고싶음, 그리움), 절망(삶이 끝나버린거 같고 아무것도 할 수 있는게 없다는 좌절), 앞으로에 대한 불안, 믿기지 않음-충격이 그것이다(Jacobs, Kasl, & Ostfeld, 1986). ​ 또한 사람마다 슬픔을 겪는 ‘패턴’이 다르다고 한다. 흔히 슬픈 일이 발생한 시점에 가장 큰 충격과 슬픔을 겪었다가 점차 슬픔이 사그라드는 패턴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일반적이라고 여겨지는 패턴은 생각보다 흔치 않다는 보고가 있었다(약 10%). 205명의 기혼 커플을 대상으로 배우자와의 사별 전, 사별 후 18개월까지 추적한 연구에 의하면, 슬픔을 겪고 해소하는 과정이 사람마다 크게 다르며 일반적 형태 외에도 다양한 패턴이 나타난다고 한다(..

각성 이론, 오귀인 효과

더튼과 아론 실험은 각성 이론의 오귀인 (misattribution of arousal theory)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이것은 심리학의 가장 큰 고전 중의 하나이다. 이 실험은 두 사람 사이의 매력과 관련이 있고 인간의 뇌가 얼마나 놀라운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매력과 사랑은 감정, 교육, 태도를 포함하는 복잡한 감정이다. 하지만 여기에게는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라는 더 많은 것들이 있다. 더튼과 아론 실험은 우리가 뱃속에서 느끼는 나비가 얼마나 오해를 살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진실은, 조건이 때때로 끌리는 것은 개인의 취향보다 뇌 화학 때문이라는 것이다. 각성 이론의 오류는 1958년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 프리츠 하이더 (Fritz Heider)가 추정한 귀인 이론을 도출한 것이다. 이것은..

인종 분류, 민족, 종족 분류, Caucasoid(코케이선, 코카서스 인종, 코카소이드, 백인), Mongoloid (몽골로이드 황인), Negroid(흑인), Congoid race (오스트렐리안 등 남태평양상 흑인), Capoid race (아프리카 남부지역 토종 흑인), Australoid(오스틀레리안 원주민/남태평양 폴리네시안 원주민 등)

● 인종 분류 기준- 형태적 기준: 피부의 빛깔 (白 ·黃 ·黑 등), 머리털의 형태와 빛깔, 눈빛 (靑 ·黑 ·灰 등)과 생김새 등- 계측적 기준: 키 ·머리 모양 ·코 ·혈액형 ·지문 등- 안면 계수 기준: 안면 계수란 (Facial Index) 이마 넓이 미간 거리 인중 거리 등 얼굴 형태- 편두 지수 기준: 편두란(Cranial Index) 두개골 형태에 의한 분류 각 인종 간에 혼혈이 많아 엄밀히 분류하기에 곤란한 점이 많다. ● 피부색 분류Asian people(황인종)Black people(흑인종) White people(백인종)● 인류학적 분류Caucasoid(코케이선 백인)Mongoloid (몽골로이드 황인)Negroid(흑인) 흑인종 : Congoid race (오스트렐리안 등 남태평양..

선한 사마리아인의 법(Good Samaritan Law), 구조거부죄, 불구조죄

착한 사마리아인의 법(Good Samaritan Law) 또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법은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위험에 빠지지 않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구조 불이행(Failure-to-Rescue)을 저지른 사람을 처벌하는 법규이다. 구조거부죄 또는 불구조죄라고도 하며, 사형 제도, 신념에 의한 병역 거부와 함께 찬반 양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법적 쟁점 가운데 하나이다. 신약성경 누가복음서 10장 30절~37절에서 유래된 것이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다가 강도를 만나게 된다. 제사장, 레위인은 이 다친 사람을 보고 지나가게 되지만 유대인들에게 멸시당하며 사는 사마리아인은 이를 보고 구제해준다. 법적인 의무는 없지만, 도덕적 차원에서 인간이 당연히 해야할 일이라는 의미..

대만 종교 비율과 코로나 바이러스

대만은 다 종교 국가로 주요 종교는 불교, 도교, 개신교, 천주교, 이슬람교, 일관도 등이다. 국민 2명 중 1명 비율로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종교의 밀도도 상당히 높다. 대만인들은 다양한 토착신앙을 숭배하고 있다. 주요 종교의 신자 비율을 보면 불교 35% 도교 33% 기타 24.3% 일관도 3.5% 개신교 2.6% 천주교 1.3% 이슬람교 0.3% 무엇보다 도교적 특색이 강하다. 집에 신을 모셔놓은 곳도 많이 있다. 반면 개신교, 천주교 비율이 낮다. 코로나 바이러스 시국에 선방한 주요 원인일 수 있다. 이는 싱가포르, 일본과 같은 양상이다. 그 반대인 프랑스, 스페인, 이태리, 미국을 보면 더욱 분명하다. 신천지 같은 폭탄이 터지지 않은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