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 437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네옴시티, NEOM CITY, 가장 큰 아랍국가, 사우드 가문, 아람코, 빈 압둘아지즈 국왕, 빈 살만 왕세자, 수도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아랍어: ٱلْمَمْلَكَة ٱلْعَرَبِيَّة ٱلسُّعُوْدِيَّة, 영어: Kingdom of Saudi Arabia, KSA) 중동 및 서아시아에 있는 전제군주국 2,207,651 km2 에 달하는 영토를 자랑하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아랍국가이며, 북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체 아랍권 국가들 중에서는 알제리에 이어 두번째로 면적이 넓은 국가이기도 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북쪽으로는 요르단과 이라크가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쿠웨이트가 있고, 동쪽으로는 카타르, 바레인, 아랍에미리트가 있으며 남동쪽에는 오만, 남쪽에는 예멘이 있다. 다만 이집트와 이스라엘과는 아카바 만으로 인하여 서로 분리되어 국경을 접하고 있지 않다. 사..

하얼빈, 哈尔滨, 안중근, 부여, 고구려, 발해, 얼음 도시

하얼빈 하얼빈(만주어: ᡥᠠᠯᠪᡳᠨ, 중국어 간체자: 哈尔滨, 정체자: 哈爾濱, 병음: Hā'ěrbīn, 러시아어: Харби́н 하르빈[*], 중국조선어: 할빈)은 부성급시이자 중국 헤이룽장성의 성도이다. 쑹화 강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공업 도시이다. 하얼빈은 중국에서 10번째로 큰 도시로 만주 지방의 정치, 경제, 과학, 문화, 통신의 중심지이다. 2020년 11월 1일 인구는 1000만명, 면적은 53,796km2이다. 하얼빈은 만주어로 "그물을 말리는 곳"을 뜻한다. 하얼빈은 "백조 목 위의 진주"라는 별명이 있는데 이는 아무르 강이 흐르는 모양이 백조를 닮았기 때문이다. 또 길고 추운 겨울 때문에 "얼음 도시"라는 별명도 있다. 하얼빈은 겨울의 빙등 축제로 유명하고 러시아와의 무역 관문으..

이그 노벨상(Ig Nobel Prize), 이그노블(ignoble), 수상자

이그 노벨상(Ig Nobel Prize) 노벨상을 패러디하여 만들어진 상이다. 1991년 미국의 유머과학잡지인 《기발한 연구 연감》(Annals of Improbable Research)에 의해 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반복할 수 없거나 반복해선 안 되는”(that cannot, or should not, be reproduced) 업적에 수여되며, 매년 가을 진짜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기 1~2주 전에 하버드 대학의 샌더스 극장에서 시상식을 가진다. 진짜 노벨상 수상자들도 다수 참석하여 시상에 참여하며, 논문 심사와 시상을 맡고 있다. 이 상의 이름은 "불명예스러운"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이그노블(ignoble)과 노벨(Nobel)을 합성하여 만들어졌다. 주최측은 농담 차원에서, 노벨상의 창시자..

이그 노벨상, 성교 중 여성이 흥분상태에 있을 때 남녀성기의 MRI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Male and Female Genitals During Coitus and Female Sexual Arousal

의학상 네델란드 인류학자 Ida Sabelis ( 여 ) 내용: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 ( MRI )에서 공동 저자인 남성과 성교하는 영상을 촬영한 다음 연구 논문을 작성하였다. 논문 제목은 '성교 중 여성이 흥분상태에 있을 때 남녀성기의 MRI 영상'이고 이 논문은 1999년 영국 의학저널에 발표되었다. 영문 논문 제목은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Male and Female Genitals During Coitus and Female Sexual Arousal.' [Published in British Medical Journal, 네덜란드 의사들은 성관계중인 커플을 상대로 자기공명조영법(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실험을 사상 처음으로 실시했으며..

용산, 용산 대통령실, 이태원, 일제시대 공동묘지

용산 서울특별시의 중앙부에 위치한 자치구. 북쪽으로는 중구, 동쪽은 성동구, 남쪽은 한강을 마주보고 영등포구와 동작구, 서초구, 강남구와 인접해 있다. 서쪽으로는 마포구와 접한다. 한때 서초구 반포동의 이름을 딴 반포로가 있었지만, 용산구 구간은 녹사평대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원효로의 경우엔 남영역에서 출발하여 원효대교까지 뻗어있고, 이후 꺾어져 마포대교 방향으로 이어진다. 신분당선 연장선이 관통될 지역으로도 물망에 올라서 강남으로의 접근성도 기존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름이 용산(龍山)인지라 우스갯소리로 드래곤 마운틴 (Dragon Mountain)이라고 부르면서 드립을 하는데, 사실, 용산의 어원은 정말로 '높은 언덕' 을 의미하는 '산(山)' 에서 따온 이름이며, 실제로 용산구는 서울 시내..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 사대주의, 문화 상대주의

● 자문화 중심주의 자신의 문화가 가장 우월하다고 보기 때문 에 자신의 문화를 깆준으로 다른 문화를 모두 열등한 것으로 보는 관점 ● 문화 사대주의 다른 사회의 문화만을 좋은 것으로 믿고 그것을 동경하거나 숭상하는 나머지 오히려 자기의 문화를 업신여기거나 낮게 평가하는 태도 ● 문화 상대주의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고 어떤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환 경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평가하려는 태도 각 문화는 그 문화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각 문화의 가치를 존중하고 어떤 특정한 기준의 가치관으로 타문화를 평가하거나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 ● 극단적 상대주의 상대주의를 강조한 나머지 인간의 존엄성과 같은 인류 공통의 보편적 가치 기준에 위배되는 행위를 타당하다고 보는 것은 극단적 상대주의로, ..

재해발생 이론, 하인리히 도미노 이론, 버드 신 도미노 이론, 아담스 연쇄 이론, 웨버 사고 연쇄반응 이론, 자베타키스 연쇄성 이론

● 재해발생 이론 관리 책임, 불안전 상태, 불안전 행동, 환경 등의 원인을 규명하여 동종·유사재해의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 재해발생 이론 종류 1. 하인리히 도미노 이론 2. 버드 신 도미노 이론 3. 아담스 연쇄 이론 4. 웨버 사고 연쇄반응 이론 5. 자베타키스 연쇄성 이론 ● 재해 구성 비율 1. 하인리히 1 사망 또는 중상 29 경상 300 무상해 사고 :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사망 또는 중상자가 1명 발생하면, 같은 원인으로 경상자가 29명,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법칙이다. 2. 버드 1 중상 10 경상 30 무상해 사고 600 무상해 및 아차 사고 : 중상자가 1명 나오면, 같은 원인으로 경상은 10명, 무상해 사고는 30명, 아차 사고는 600명이 발생한다. ● 재해발생..

하인리히의 사고 연쇄이론, 하인리히의 법칙(Heinrich's law), 도미노 이론

하인리히의 사고 연쇄이론 하인리히의 법칙(Heinrich's law) ​ 1:29:300의 법칙 이라고도 한다. 어떤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그와 관련된 수십차례의 경미한 사고와 수백번의 징후들이 반드시 나타난다는 것을 뜻하는 통계적 법칙이다. ​ 업무 성격상 수많은 사고 통계를 접했던 하인리히는 산업재해 사례 분석을 통해 하나의 통계적 법칙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바로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사망자가 1명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뻔한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즉 큰 재해와 작은 재해 그리고 사소한 사고의 발생 비율이 1:29:300이라고 하는 것이다. ​ 도미노 이론 1) 사고는 연쇄적으로 일어난다고 하는 이론 2) 사고를 ..

의식, Consciousness, 감각질(感覺質), 퀄리아(qualia)

의식, 意識, Consciousness깨어 있는 상태에서 자기 자신이나 사물에 대하여 인식하는 작용. 뇌에서, 정확하게 말하면 대뇌겉질에서 만들어진다. 의식에는 깊음과 얕음이 있으며, 또 그 영역이 있다. 모든 정신활동의 기초가 되는 중추신경계의 기능. 타인은 경험할 수 없지만, 체험자 자신은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느끼고 있는 경험을 말하며, 사람은 누구나 깨어 있을 때 무언가를 항상 느끼고 생각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총칭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의식은 현실에 있어서 인간 개개인이 직접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의 전체를 말한다. 19세기의 심리학은 자기 자신의 의식을 관찰하고 그것을 심리적 요소로 분석하는 내적 관찰을 주요한 방법으로 삼았다. 이에 대해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생활은 의..

호구, 虎口, patsy, 바둑 용어, 거절 못하는 성격

호구, 虎口, patsy, 바둑 용어 30분동안 포커를 치면서 누가 호구인지 모르고 있다면 바로 당신이 호구입니다. 워렌 버핏. "If you've been playing poker for half an hour and you still don't know who the patsy is, you're the patsy." by Warren Buffett 호구(虎口) 바둑에서 바둑돌 석 점이 둘러싸고 한쪽만 트인 속을 호랑이의 입과 같다고 한 데서 유래 어수룩해서 이용하기 좋은 사람 혹은 이용을 잘 당하는 순진한 사람을 의미하는 말 요즘은 그냥 '바보', '병신' 등의 대체어로도 쓰인다. 방금 전에 말했듯 국어사전에 따르면 비속어가 아닌 표준어이다. 아주 적절한 사용례로는 "야 이 호구 새끼야!"가 있겠다..

미국 서부 해안 캘리포니아 허리케인 드문 이유, 서쪽 이동, 수온

동 태평양 퍼시픽 허리케인 시즌 허리케인이 미국 서부에 형성됨 매년 5 월 15 일부터 11 월 30 일까지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이 시작되기 직전에 동부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인 다른 시즌에 대한 언급을들을 수 있습니다. 동 태평양의 허리케인 시즌은 미국 대륙의 서쪽, 태평양 해안선과 국제 날짜 표시 줄 (140 ° W) 사이에 형성되는 열대성 저기압 과 관련이 있습니다. 시즌은 5 월 15 일부터 11 월 30 일까지이며, 7 월부터 9 월까지 활동이 절정에 이릅니다. 평균적으로 한 시즌이 15 개의 폭풍우를 일으키며 그 중 8 개는 허리케인으로 강화 될 것이며 그 중 절반은 주요 허리케인으로 강화 될 것입니다. 이 숫자를 기반으로 동 태평양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활동적인 허리케인 지역으로 간주됩니다...

펫로스 증후군(animal/pet loss), 극복 방법

펫로스 증후군(animal/pet loss) 펫로스 증후군은 개, 고양이 등 각종 반려동물들이 죽거나 교통사고 또는 도난 등을 당하게 하고 있는 시점부터 생겨난 상실감을 계기로 일어나는 각종 질환 및 심신 증세를 말한다. 주요 증세를 살펴보면, 좀 더 잘 돌보지 못하게 되는 죄책임감을 필두로 하여 반려견 및 반려묘 등과 같은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 다양한 이유를 가진 죽음의 원인들에 대한 분노 조절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고 슬픔의 결과까지 초래하게 되는 우울함을 겪는 우울증이다. 이와 같이 펫로스 증후군은 보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속하게 되며, 심할 경우 자살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정신적 고통을 겪는 현상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애완동물이 주인과 깊은 교..

아스퍼거 증후군, 자폐증(카너 증후군, Kanner Syndrome) 비슷, 정상적 언어발달 지능 다른 점, Hans Asperge, 정확한 원인 및 치료제 아직까지 없어

Hans Asperger (한스 아스페르거, 1906~1980) 1944년, 오스트리아의 소아의였던 한스 아스페르거에 의해 최초로 정의되었다. 그는 당시 정신질환 판단 기준으로 '자폐성 정신질환'(Autistic Psychopathy)을 진단받은 남아 4명에게서 이와는 다른 질환에 해당되는 듯한 몇 가지 패턴과 행위를 발견한다. 이는 훗날 자신의 이름을 본딴 질환명이 탄생하는 것에 영향을 주었다. 그가 관찰한 특수한 패턴에는 '공감 능력의 결여, 교우관계 구축 능력 결여, 일방으로 경도된 대화, 특정한 흥미에 강하게 몰두, 어색한 동작' 등이 있었는데, 자신이 겪은 흥미로운 일들을 아주 상세히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그 아이들을 '작은 교수들'이라 불렀다. 한스 아스페르거의 발견은 그의 성격과 관련있다. 그..

크림 대교, 크림대교 폭발 영상, 크림스키 모스트, 러시아 본토 타만 반도와 크림 반도 연결, 크림대교서 화물열차 유류탱크 폭발

크림 대교(러시아어: Крымский мост 크림스키 모스트) 또는 케르치 해협 대교(러시아어: Мост через Керченский пролив)는 케르치 해협을 건너 러시아 본토의 타만 반도와 크림 반도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2014년 크림 위기 이후 러시아에서 적극 건설을 추진하였으며, 완공되었다. 길이는 유럽 최장인 18.1km(철도교), 16.9km(철도교). 제2차 세계 대전 케르치 해협 대교의 기본적인 설계는 처음으로 1943년에 나치 독일의 알베르트 슈피어가 시작했다. 하지만 나치 독일이 이 지역을 점령하는 동안 다리 공사가 끝나버렸고, 붉은 군대에 의해 크림 반도가 해방된 후 독일 국방군이 남겨두고 떠난 자재를 이용해 다리를 완공하였지만, 교각을 보호하는 방사제가 없어서 유빙들이 다리..

놀이 4대 요소, Agon(아곤), Mimicry(미미크리), Ilinx(일링크스), Alea(알레아),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유희의 인간

놀이 4대 요소 경쟁(아곤:Agon): 상대를 이기기 위한 경기나 시합 예) 축구, 농구 등 우연(알레아:Alea): 요행을 바라며 하는 놀이 예) 주사위 게임 모방(미미크리:Mimicry): 특정 누군가를 흉내내는 놀이 예) 역할 놀이 현기증(일링크스:Ilinx): 자신의 내부 기관의 혼란과 착란의 상태를 일으키면서 하는 놀이 예) 놀이기구 놀이 4대 요소 Agon(아곤), Mimicry(미미크리), Ilinx(일링크스), Alea(알레아) 네덜란드의 고전 학자인 '요한 하위징아'의 저서인 「호모 루덴스」에서 인간을 '유희의 인간'이라고 칭했습니다. 프랑스의 '로제 카유아'라는 학자는 「호모 루덴스」의 이론을 발전시켜 그의 저서인 「놀이와 인간」 (원제 「Man, plays and games」) 에서 ..

미우새 저주, 미우새 연예인, 미운 우리 새끼의 저주, 김건모 사건, 박수홍 친형 횡령 사건, 돈스파이크 마약 구속, 홍진영 표절

미운 우리 새끼의 저주 김건모 사건부터 지속적인 악재가 끊이지 않는다. 박수홍 친형 횡령 사건, 돈스파이크 마약 구속까지 그야말로 미운 우리 새끼의 저주가 지속되고 있다. 김건모는 위 내용대로 문제가 있었다. 다만, 이 쪽은 무혐의 판정을 받아서 억울한 면이 있다. 홍진영은 표절 시비가 있었다. 그리고 대학 논문 표절 사건으로 인하여 결국 하차했다. 이상민의 어머님이 아프신 후 출연을 못하고 계신다. 이상민 또한 사망여우의 뒷광고 폭로 사건과 본인의 미흡한 대처에 곤혹을 치르는 중이다. 승츠비 컨셉으로 승리도 버닝썬 게이트로 문제가 되었다. 허지웅은 출연 후 큰 병을 앓았고 최근 타 프로그램으로 돌아왔다. 박수홍은 최근 친형의 횡령에 고소전을 시작했다. 토니 안과 어머님은 자의인지 타의인지 사라졌다. 하..

구성의 오류, 구성의 모순, fallacy of composition, 결합의 오류, 집단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 구성의 오류 실제 사례

구성의 오류, fallacy of composition 개인적으로는 가장 합리적인 의사결정이지만 전체로 보면 합리적이지 않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일을 가리키는 경제학 용어. 합성의 오류라고도 한다. 유사한 개념으로 논리학의 결합의 오류가 있다. 어떠한 문제해결에 있어서 개인이 합리적이라 생각하는 행동을 하더라도 전체가 똑같은 행동을 했을 때는 비합리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공유지의 비극, 죄수의 딜레마와도 맥이 닿는다. 정치학에서는 집단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가계의 저축 등이 이에 해당한다. 소득이 일정한 경우 한 가정이 소비를 줄이면 저축액이 증가한다. 이는 한 가정의 지출감소는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그 가계의 수입을..

맘충, 보슬아치, 보관오리, 여혐

맘충 일부 엄마들의 무개념 및 민폐 행태에 공감대 Mom + 蟲(벌레 충). '엄마'라는 입장을 특권처럼 내세워 상대방의 이권을 강탈하거나, 주변 사람들과 사회 전반에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행위를 일삼는 유자녀 여성들을 벌레에 빗대 비꼬는 신조어다. '맘'이라는 칭호는 맘카페 등의 엄마들을 위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철수맘" 등의 예시로 알 수 있듯 아이 엄마들이 자신을 칭하는 말이다. 그런데 남의 처지 또는 상황에 대한 배려도 판단도 하지 않고 무작정 아이의 기를 살리려 하거나 "아이에게 이런 것 하나 못 주나요?" 하는 등 아이를 앞세워 부당하게 이득을 보려는 일부 엄마들의 무개념 및 민폐 행태에 공감대를 형성한 네티즌들이 이들에 대한 혐오감을 담아 멸칭에 붙는 신조어 접미사인 충을 붙여 이들을 ..

86세대 책임론, 86세대 책임론에 대한 비판, 86세대 책임론 원인, 저성장과 경기 침체, 부동산 독점, 위선과 이중성, 친페미니즘의 이중성, 높아진 징병률

대한민국의 세대 갈등론.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1997년 외환 위기 직전 혹은 이후에 태어나 저성장과 높은 실업률 등에 시달리는 1980년대생~2000년대생을 중심으로 발생하기 시작했다. 86세대 책임론은 베이비붐 세대의 일부라고 볼 수 있는 86세대를 대상으로 하나, 광의적으로는 베이비붐 세대 전체에 적용되기도 한다. "50대는 선배들이 이룬 업적을 등에 업고 성장기에 쉽게 부와 권력을 획득했다. 이제는 우리 세대에게 '사다리 걷어차기'를 한다." 이 내용은 86세대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86세대 책임론이 등장하고 확산한 배경은 민주화 이후 이들이 운동권 경험을 바탕으로 2000년 16대 국회부터 굉장히 젊은 30대 중후반, 40대 초반부터 정치권에 진출#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정치 권력의 중심..

벌거숭이 임금님, 권력앞에서 진실을 말하지 못하는 세태를 풍자, 벌거벗은 임금님, 안데르센, 그는 아무것도 입지 않았어, 임금님의 새 옷

벌거숭이 임금님 권력 앞에서 진실을 말하지 못하는 세태를 풍자 《벌거숭이 임금님》 또는 《벌거벗은 임금님》(덴마크어: Kejserens nye Klæder) 1837년에 출판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단편작이다. 원제는 《임금님의 새 옷》(영어: The Emperor's New Clothes)이다. 줄거리 어느 왕국에 새 옷을 좋아하는 호화로운 임금님이 살고 있었다. 왕실에서 근무하는 두 명의 재봉사가 임금님을 만난 자리에서 근사한 옷을 지어주겠다고 하였으나 이들이 지어준 옷은 "눈에 보이지 않는 옷"이었다. 그렇지만 임금님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옷은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는 옷이었다. 임금님이 이 옷을 입고 길거리를 행진하자 사람들은 처음에는 임금님을 칭송하였다. 그렇지만 한 아이가 "임금님이 벌거..

세대 갈등, 세대 갈등 원인, 베이붐 세대, X세대, MZ세대, 경제권, 취업문제,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세대 갈등 한국은 세대 갈등이 주요국들 중에서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특히 민주화 이전 세대와 이후 세대 간의 격차가 주로 문제가 된다. 현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남녀갈등에 대해서도 1980년대 후반생부터 1990~2000년대생은 심각하다고 응답한 반면, 그 이전 세대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라고 응답해 세대 간의 격차가 상당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세대 갈등 원인 기술, 경제가 급발전하면서 사회 구조가 급격하게 변한 것에 비해, 문화가 이를 따라오지 못한, 일종의 세대간 문화 지체가 원인이다. 빠른 기술, 경제 발전의 부작용으로 항상 언급되는 부분. 100년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을 걸려 산업화된 서구권에서조차도 세대갈등이 발생하는데, 한국은 산업화, 민주화를 대략 50..

1968, 요즘 늙은것들은 버릇이 없다

1968년 거리를 뒤덮은 청년들은 단순히 새로운 정치 구조나 사회 제도를 주장한 것이 아니라 삶의 양식과 태도와 가치 전체를 문제삼았다. 그들은 모든 종류의 순응주의를 용납하지 않았다. 50년 전, 세상은 요동쳤다. 젊은이들은 일제히 학교와 일터를 벗어나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서유럽과 미국에서 분출한 거대한 에너지의 파장은 미약하나마 동유럽과 아시아에까지 전해졌다. 젊은이들은 전쟁과 억압, 착취에 반대하고, 온몸으로 기성 질서를 거부했다. ‘혁명’의 기운은 차츰 잦아들었으나, 사회 곳곳으로 스며들어 새로운 사회질서를 만드는 밑거름이 됐다. ‘1968년’의 현재적 의미를 되새겨 본다. ‘요즘 늙은것들은 버릇이 없다.’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와 중국의 한비자, 심지어 수메르 문명의 점토가 남긴 청년들에 ..

68운동, 프랑스 5월 혁명, 금지함을 금지하라, 68세대, 68운동 평가

68운동, 프랑스 5월 혁명, 금지함을 금지하라 1968년 3월 프랑스 파리에서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8명의 청년들이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파리 지사를 습격한 것을 시작으로 프랑스 전역의 대학생 시위와 1,000만 노동자 파업으로 확산된 전례 없던 반체제, 반문화 운동이다. 68혁명으로도 불리며 반체제에는 전통 뿐 아니라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도 포함한다. 파리에서 시작한 시위는 냉전과 베트남 전쟁 등의 시대적 문제와 결부되면서 그 해 미국, 서독, 체코슬로바키아, 스페인, 일본 등 세계의 젊은이들을 저항과 해방의 열망으로 들끓게 했다. 사실 프랑스의 5월 혁명은 60년대 전체를 아울러서 유럽(특히 서유럽)과 미국에 흐르던 운동이 분수령을 이룬 것이다. 60년대 초반부터 미국과 독일..

베아테 클라르스펠트, 쿠르트 키징거 총리, 나치! 꺼져버려

총리의 뺨을 때리며 “나치! 꺼져라!” 20대 여성이 남성 권력자를 후려친 이 사건은 ‘1968년 정신’의 실재 물론, 서구 대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느낀 고통은 대학 행정 당국의 권위주의와 비민주성이었다. 유럽과 미국의 대학은 1960년대 초 급격히 늘어난 학생들을 감당하지 못했다. 강의와 수업도 급진 학생들의 비판적인 지적 관심을 반영하지 못했다. 교수와 대학 직원들은 권위와 효율을 내세워 학생들을 통제하기에 바빴다. 그렇기에 대학생들은 직접 나서 ‘대안 대학’이나 ‘비판 대학’이란 이름으로 새로운 지적 실험과 문화적 전환을 전개했다. 특히 런던과 베를린, 프랑크푸르트의 대학생들은 강의와 학과 운영에서도 일방적 통제와 권위 구조를 깨고 ‘동등한 참여권’을 정착시키고자 노력했다. 1968년 5월13일 ..

스노비즘(snobbism), 문화 허영, 지적 허영, 좆문가, snob, 속물, 구별짓기, 과시소비

스노비즘(snobbism) 스노비즘(snobbism)이란, 어떤 대상의 알맹이에 대해서는 관심도 없으면서 남에게 과시하거나 돋보이게 하기 위해 껍데기만 빌려오는 성향 및 허영을 나타내는 문화사회학 용어이다. 예컨대 상품, 서비스업 등의 서열화, 아파트 브랜드 펫네임이나 상품명(혹은 제품 설명) 등에 남발되는 외국어(영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보그체 등), 그 외 학교의 명문화 등으로 부동산을 제고하려는 시도 등이 있다. 적절한 국어 순화어로는 '문화 허영'이 있다. 세간에서 '얕은 지식으로 허세를 부리는 눈꼴사나운 태도'를 가리키는 의미로 축소해서 쓰는 유행어는, 사실상 이 학술 용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만, 이 유행어는 문화 전반이 아닌 지적인 측면으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상 스노비즘의 허영 ..

보보스, BOBOS, 부르주아(bourgeois) 보헤미안(bohemian) 합성어, 데이비드 브룩스

보보스, BOBOS, 부르주아(bourgeois) 보헤미안(bohemian) 합성어 보보스라는 용어는 미국의 저널리스트인 데이비드 브룩스(David Brooks)가 자신의 저서인 'BOBOS in Paradise'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이 용어는 미국의 새로운 상류 계급을 나타내는 용어로 부르주아(bourgeois)와 보헤미안(bohemian)의 합성어이다. 부르주아와 보헤미안 미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르주아적인 특성들로는 물질주의나 합리주의, 또는 기술주의 같은 것들이 있다. 이러한 부르주아적인 특성들은 세련된 매너와 고상한 취향을 추구한다. 한편 보헤미안적인 특성들로는 예술주의나 비합리주의, 영적 기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보헤미안적인 특성들은 엔틱(antique)가구나 모험정신, 자연스러..

라이베리아 공화국, 아프리카 기니 만 위치, Republic of Liberia, 라이베리아, 리베리아, 아프리카 첫 공화국, 부산 여중생 성폭행 라이베리아 외교관

라이베리아 공화국(Republic of Liberia), 약칭 라이베리아(Liberia, 문화어: 리베리아)는 1847년에 세워진 아프리카의 첫 공화국이다. 기니 만(灣) 서단에 위치하는 비교적 역사가 오랜 독립국으로서, 시에라리온, 기니, 코트디부아르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연 2회 우기가 찾아오는 열대 몬순 기후로 인해 몬로비아의 연간 강우량은 4,920mm이다. 1842년에 미국식민협회가 보낸 해방노예들이 중심이 되어 1847년에 독립했다. 국명 라이베리아는 ‘자유의 나라’를 의미한다. 해방 노예들이 창당한 트루 휘그당의 일당통치가 계속되다가 1980년 쿠데타로 해산되고, 1986년 1월 원주민 출신의 새뮤얼 도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1990년 도가 피살된 뒤에 내전이 확대되었다가 1995년 8월 ..

므두셀라 증후군, 노아의 방주, 퇴행 및 현실 도피 증상

므두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 사람들은 추억을 아름답게 포장하거나 나쁜 기억을 지우고 좋은 기억만 남기려는 심리가 있다. 행동경제학에서는 이를 ‘므두셀라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므두셀라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노아의 할아버지다. 969살까지 살았던 므두셀라는 나이가 들수록 과거를 회상할 때 좋은 기억만 떠올리고, 그때로 돌아가고 싶어했다. 므두셀라 증후군은 과거의 일 중 나쁜 기억은 없애고 행복한 기억만 남기려는 것으로 퇴행 및 현실 도피 증상이다. 좋았던 것만 기억하고, 좋지 않았던 기억은 지우거나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방향으로 왜곡하여 기억한다. 이런 증상은 경기가 나빠질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현실의 삶이 힘들다 보니 과거를 기억하며 그때는 행복했다며 회상하는 것이다. 그리고 ..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 공상적 허언증 환자, 뮌히하우젠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이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믿고 상습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라고 부르는 대한민국의 신조어이다. 미국의 소설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지은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The talented Mr. Ripley, 1955)에서 따온 말로 '리플리병'이나 '리플리 효과'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실제로 의학계에서 병명으로 사용되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다수의 매체에서 마치 실존하는 질병인 양 왜곡된 정보가 유포되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은 거짓말을 하면 개인의 차는 있지만 어느 정도 티가 난다. 눈동자가 희미하게 흔들리거나 손을 떠는 것과 같은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사..

제트기류, Jet stream, 성층권 강력한 바람, 편서풍, 폭염, 한파, 지구의 자전, 대기의 위도별 불균등 가열

제트기류, Jet stream 성층권에 위치한 강력한 바람. 편서풍대에서는 풍속이 30m/s 이상으로 나타난다. 대류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제트기류는 지구를 포함한 몇몇 행성의 대류권이나 대기권의 윗쪽 부분에서 나타나는 빠르고 좁은 공기의 흐름이다. 주요한 제트기류는 대류권 계면 주위의 고도에 위치해 있다. 대체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제트기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어가며, 경로는 대체로 구불구불하다. 제트기류는 두개 이상의 부분으로 시작되거나, 멈추거나, 나뉠 수 있으며, 하나로 합쳐질 수도 있고, 대부분의 제트기류와는 반대로 흐를 수도 있다. 생성 원인 제트기류는 지구의 자전과 대기의 위도별 불균등 가열로 인해 생긴다. 제트기류는 온도풍 관계에 의해 형성되는데, 온도경도가 존재하는 한 고도가 상승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