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사회, 문화 Social, Culture

각성 이론, 오귀인 효과

Jobs 9 2020. 9. 17. 15:47
반응형

더튼과 아론 실험은 각성 이론의 오귀인 (misattribution of arousal theory)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이것은 심리학의 가장 큰 고전 중의 하나이다. 이 실험은 두 사람 사이의 매력과 관련이 있고 인간의 뇌가 얼마나 놀라운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매력과 사랑은 감정, 교육, 태도를 포함하는 복잡한 감정이다. 하지만 여기에게는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라는 더 많은 것들이 있다.

더튼과 아론 실험은 우리가 뱃속에서 느끼는 나비가 얼마나 오해를 살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진실은, 조건이 때때로 끌리는 것은 개인의 취향보다 뇌 화학 때문이라는 것이다.

각성 이론의 오류는 1958년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 프리츠 하이더 (Fritz Heider)가 추정한 귀인 이론을 도출한 것이다.

이것은 리 로스의 근본적인 귀인 오류 이론과 리언 페스팅어의 인지 부조화 이론을 낳았다. 어떤 식으로든 더튼과 아론은 이러한 논문을 토대로써 이용했다.



귀인 이론

프리츠 하이더의 귀인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자연적으로 우리가 목격하는 사건/변경에 대한 인과적 귀인을 만드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왜 사람들이 그 일을 하고 왜 모든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심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자동으로 하는 것이다.

요점은 우리가 잠시 멈춰서 이러한 속성이 얼마나 타당한지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각성 이론의 오귀인은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 사람들의 내부 상황을 크게 만든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다른 외부 요인보다 성격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 대신 우리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때, 우리는 내부적인 동기보다 외부적인 요인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한다.

인지 부조화 현상은 이것을 표현한다. 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

만약 우리가 신념이나 행동 중 두 가지가 충돌하는 상황에 부닥치게 된다면, 우리는 그것들을 조화시킬 이유를 생각해내는 경향이 있다.


더튼과 아론 실험

도널드 더튼과 아서 아론이 수행한 실험은 흔히 카필라노 현수교 연구로 알려져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두 심리학자는 그들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두 개의 다리를 사용했다.

첫 번째 다리는 작고 견고하며 현대적이었다. 반면, 다른 하나는 지상 230피트 높이의 카필라노 협곡에 있었다. 바람에 흔들리며 발걸음마다 몸을 떨던 낡은 다리였다.


두 그룹의 남자들이 있었다. 더튼과 아론은 각 그룹에 두 다리 중 하나를 건너 달라고 부탁했다.

이제, 두 그룹은 각각의 다리 한가운데에서 매우 매력적인 여성을 만났다.

그녀는 그들에게 풍경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는데, 그것은 그들이 본 것 중 일부를 묘사해 달라고 부탁하는 것이었다. 결국 그녀는 그들에게 바람기 어린 태도로 전화번호를 알려주었다.

결과는 어땠을까? 기본적으로, 짧고 안전한 다리를 건넌 남자들은 그 여자를 두 번 쳐다보지 않았다.

위험한 다리를 건넌 사람들은 그 여자에게 전화를 걸었고 그녀에게 많은 관심을 느꼈다.

이 두 가지 다른 행동의 배후에 무엇이 있을까?


각성 이론의 오귀인
이 실험에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때때로 뇌가 매우 기만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위험한 다리를 건넌 사람들은 안전한 다리를 건넌 사람들보다 더 아드레날린을 느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의 여행 도중에 매력적인 여성을 발견하는 것이 그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그들이 여인에게 매력을 느끼는 실제 이유를 속였다.


인지 부조화 이론은 이 경우에 완벽하게 적용된다. 그 공포감은 매력적인 여자의 자극으로 대치하게 되었다.

그 실험의 지원자들은 여러 가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 여자의 야한 태도에 아드레날린을 투여한 것이 그녀에게 강한 매력을 가져다주었다. 요컨대 두 가지 감각이 합쳐져서 그런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가까운 사람들과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물론 이는 극한적인 위험이 아니라 통제된 위험을 가리킨다. 상황이 끔찍하거나 공황상태에 빠지면 그 반대가 일어나기 마련이다. 개인은 주변 사람들을 위협으로 보고 이를 거부하기 쉽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