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 Humanities/언어, 문자, 글쓰기 Writing 76

구조적 독해(Paragraph Reading Comprehension)

구조적 독해(Paragraph Reading Comprehension) 1-1. 우리말과 글은 대체로 ‘주어+서술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 모든 영웅은 / 죽는다. = 모든 영웅은 (주어: Subject) + 죽는다 (서술어: Verb). 그런데, 우리말과 글은 ‘주어’보다는 ‘서술어’가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서술어’를 중심으로 말과 글이 엮어진다고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예) 나는 / 멋있다.[왜냐 하면 생긴 것은 주윤발을 닮았고, 옷을 입는 것은 유덕화를 닮았 고, 목소리는 장국영을 닮았기 때문이다.] 위 예문에서 ‘뒷받침 문장( [ ]친 부분)’은 ‘주어(나는)’을 풀어 주는 것이 아니라, ‘서술어(멋있다.)’를 풀어 주는 것입니다. 요컨대 이렇게 우리말과 글은 ‘주어+서술어’ 구조에서 ‘..

글쓰기 방법

글의 짜임 글속에 담긴 글쓴이의 생각이나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글의 내용을 질서 있게 조직해 놓은 것 1. 글의 구성 요소 : 단어 --> 문장 --> 문단 --> 글 2. 문단의 짜임 󰋯문단 : 하나의 완결된 생각의 덩어리 (1) 중심 문장 : 그 문단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 내용이 담긴 문장 (2) 뒷받침 문장 : 중심 문장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쓰인 문장 3. 글의 짜임을 파악하는 방법 : 글쓴이 → 글 → 독자 (1) 문단의 중심내용, 요점정리 (핵심어나 중요어구를 찾음) (2) 관련 문단 묶기(지시어, 접속어 살핌) (3) 글을 세부분으로 나누기(처음, 중간, 끝) 4. 중심 내용의 위치에 따른 글의 구성 방식 (1) 두괄식 구성 : 중심 내용이 글의 앞부분..

너도밤나무(Beech), 나도밤나무 의미,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이렇게 너도나 나도가 들어가는 것은 식물의 어떤 특징이 다른 식물의 특징과 부분적으로 비슷할 때, 식물학자들이 이름을 붙이게 됩니다.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밤나무나 나도밤나무와는 다르다. 나도밤나무의 경우 아예 거리가 먼 식물이고, 밤나무는 같은 참나무과의 가족이다. 너도밤나무는 우리나라 어느 곳에도 없고 오직 울릉도 성인봉의 높은 곳에만 자라는 특별한 나무입니다. 우리 땅에서야 울릉도로 밀려나 버린 비운의 나무이지만 세계적으로는 널리 자라고 쓰임새가 많아 이름을 날리는 영광의 나무입니다. 조그마한 세모꼴의 도토리를 달고 있어서 상수리나무나 떡갈나무와는 같은 집안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으며 비슷한 열매를 달고 있는 밤나무와는 먼 친척뻘입니다. 잎은 밤나무보..

부바키키 효과, Bouba-Kiki Effect, 소쉬르-기의 기표 자의적 부정

부바키키 효과 Bouba-Kiki Effect 부바키키 효과는 1929년 독일-미국계 심리학자 볼프강 쾰러가 처음 관찰했다. 테네리페 섬(주언어는 스페인어)에서 최초로 행한 심리학 실험에서, 쾰러는 오른쪽 예시와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면서 어느 형태가 "타케테"고 어느 형태가 "발루바"인지 피실험자에게 물었다. 데이터에 의하면, 삐죽삐죽한 형태는 "타케테"와, 둥글둥글한 형태는 "발루바"와 짝짓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2001년 빌라야누르 라만차드란과 에드워드 후바드는 "키키"와 "부바"란 어휘를 사용하여 쾰러의 실험을 재현하는데, 미국 대학 학부생과 인도 타밀어 주민에게 "어느 모양이 부바고 어느 모양이 키키인가?" 질문했다. 영어권 피실험자와 타밀어 피실험자 양쪽 모두, 95%내지 98%가 곡선 형태를 ..

반도 일본어설, 고구려어(부여어족), 야요이, 알렉산더 보빈, 원시 한반도어설, 일본어족 조몬어 기원설

반도 일본어(半島日本語; Peninsular Japonic)설이란, 과거에 한반도 중남부에서 일본어족(Japonic) 계통의 언어가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학설을 의미한다. 현재 한국 학계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다. 영어 명칭이 Peninsular Japonic인데, Japanese가 아닌 Japonic임에 유의할 것. 즉, 상기했듯이 한반도에서 일본어(Japanese)가 쓰였던 것이 아니라 일본어족 계통의 언어(Japonic 계열의 언어)가 쓰였을 것이라는 학설이다. Japanese는 일본어 그 자체를 뜻하지만 Japonic은 일본어를 포함한 류큐어 등의 일본어족 계통의 언어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1] 반도 일본어설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학자로는 알렉산더 보빈(Alexander Vovin)이 있고,..

한국 대중문화 성격, 한중일 연관

한국 대중문화의 혼성적 성격 I. 한국 대중문화 형성의 혼성성 2006년 현재 한국에서 한, 중, 일 문화공동체를 논하는 것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를 놓고 볼 때 대단히 흥미로운 일이다. 실제로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는 곧 수입된 해외 대중문화의 역사로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중심으로 일본의 대중문화가 사실상 한국대중문화를 그 기초적 형태부터 형성시켜왔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대중문화는 또한 1930년대 일본의 중국대륙 침략기에 중국문화의 요소들을 그 안에 받아들여 또 다른 의미에서의 한, 중, 일 문화교류와 혼성 현상마저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나타났던 한, 중, 일의 문화적 혼성과 교류는 2006년 현재의 맥락에서 한국 정부와 지식인들이 논의하고 싶어 하는 문화적 교류 또는 문..

깐부, 친한 친구, 짝꿍, 깜보, 깜부, 오징어 게임. Gganbu, close friend, mate, Ggambo,Ggambu, squid game

깐부, 깜보, 깜부 친한 친구, 짝꿍, 동지를 뜻하는 은어·속어다. 같은 의미로 깜보, 깜부 등이 있다. 주로 어린이들 구슬치기나 딱지치기를 하면서 같은 편을 맺을 때 "깐부(깜보)하자"라고 한다. 깐부치킨의 깐부도 이 의미에서 따온 이름이다. 어원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원형은 깜보로, 깐부나 깜부는 깜보가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1959년 세기문화사에서 간행한 이주홍의 동화집 제목 '외로운 깜보'에 쓰인 예가 있으며 1968년 3월 21일자 동아일보 어린이 언어생활에 미치는 전파광고의 영향력이란 기사에서는 '깜보'가 약속을 뜻하는 어린이 은어로 소개되었다. 1986년 영화 깜보[2]가 제작되었고, KBS 상상플러스에는 메인 캐릭터 깜부가 등장했다. 친구 사이의 깊은 우정을 뜻하는 관포지교..

요지경(瑤池鏡, Peep show) 어원

요지경(瑤池鏡) 瑤 : 아름다운 옥 요 池 : 못 지/강 이름 타/제거할 철 鏡 : 거울 경 요지경(瑤池鏡)의 뜻은 요지의 경치, 즉, 매우 아름다운 경치 확대경을 장치하여 놓고 그 속에 있는 여러 가지 재미있는 그림을 돌리면서 구경하는 장난감 내용이 알쏭달쏭하고 복잡하여 이해할 수 없는 일(세상은 요지경) 요지경(瑤池鏡)의 요지(瑤池) 요지(瑤池)는 기원전 1000년경 중국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탄생한 주(周)나라 5대왕인 목왕(木王)이 여신인 서왕모(西王母)와 만났다는 선경(仙境)인 곤륜산(崑崙山)에 있는 신화속의 연못

곰탕 유래, 몽골, 공탕(空湯), 곰탕 설렁탕 차이

● 공탕(空湯) 몽골음식이었던 고기를 넣고 삶은 맑은 국물을 ‘공탕(空湯)’이라고 하는데, 공탕을 ‘슈루’라고 발음한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로 전해지면서 공탕(空湯)이 곰탕, 슈루가 설렁탕으로 불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영조 때 간행된 몽골어 사전인 몽어유해(蒙語類解)에는 ‘공탕은 전쟁터에서 (고기를 조금 넣고도 많은 양을 만들 수 있어서) 군사들의 식사를 해결하는 유용한 수단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곰탕이 ‘푹 고아서’ 곰탕이 아니라 고깃덩이는 안 보이는 맑은 국물인 공탕(空湯)이었던 것이다. 설렁탕도 조선시대 선농단(先農壇)에서 제사를 지내면서 소고기를 국에 넣어 끓여서 나눠먹었다고 해서 선농탕(先農湯)이란 설이 있다. 눈처럼 진한 국물이라고 해서 설농탕(雪濃湯)이 설렁탕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 ..

낙동강 오리알 어원, 영어

낙동강 오리알 아무런 관심을 받지 못하고 한쪽에 존재감 없이 있는 것, 또는 고립무원의 외톨이 상태를 가리키는 관용어. 그 중 하나는 낙동강 갈대숲 둥지의 오리알이 장마로 갑자기 불어난 물에 떠내려 가는 모습에서 따온 관용구라고 한다. 다른 설로는,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남측에서 한국군이 기관총과 박격포를 쏴대면 인민군이 거기 맞고 하나하나 낙동강 물속으로 퐁당퐁당 빠져들어가는 상황이 계속되었고, 이를 보며 병사들을 독려하던 12연대 11중대장 강영걸 대위가 "낙동강에 오리알이 떨어진다!"라고 했다고 한다. 비슷하긴 하지만 다른 소문도 있는데, 인민군과 한국군이 낙동강에서 고착상태에 있던 도중 지원으로 미군의 폭격기가 폭격을 시작했고, 이때 강영걸 대위가 폭격기에서 폭탄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야!..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 포합어, 언어유형론, 형태론

형태론적 유형 분석어 -고립어 종합어 -굴절어 -교착어 -포합어 고립어(孤立語, isolating language) 고립어(孤立語, isolating language) 또는 분석어(分析語, analytic language)는 대부분의 형태소가 그 자체로 낱말이 되는 언어를 말한다. 고립어에서는 낱말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낱말의 통사적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어순이 중요하다. 고립어의 대표적인 예로 중국어가 있다. “내 친구가 달걀을 먹고 싶어 한다.”한자한어병음한글 발음의미 我 的 朋友 想要 吃 鸡 蛋 wǒ de péngyou xiǎngyào chī jī dàn 워 더 펑여우 샹야오 츠 지 단 나 소유격 친구 원하다 먹다 닭 알 위와 같이 중국어에서는 한두 개의 음절이 하나의 개념에 해당한다. 또한 중..

한자, 한문 차이

漢字(한:자)와 漢文(한:문) 한자는 낱낱의 글자 그 자체를 말하며, 한문은 여러 한자로 이루어진 文章(문장, sentence)을 말한다. 한자는 그 자체로 하나의 낱말(word)이 되기도 하고, 다른 글자와 더불어 새로운 낱말을 구성하는, 즉 낱말의 구성 요소로 쓰이기도 한다. 이를테면 ‘山’이라는 글자는 그 자체로 ‘뫼’(mountain)라는 낱말이 되는가 하면, ‘脈’(맥)이라는 글자와 더불어 ‘山脈’(산맥, mountain range)이라는 또 하나의 낱말을 구성하기도 한다. 한문은 한자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기로 하자. 知行合一說(지행합일설)을 주장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명나라 때의 철학자 王陽明(왕양명)이 쓴 책인 ≪傳習錄≫(전습록)의 上卷(상권)에 유명한 구절이 있다. ..

사실, 진실, 불안, 분노, Fact, Truth, Anxiety, Anger

불안不安은 사실을 알고자 하는 감정이고, 분노憤怒는 진실을 알려는 감정이다. 광우병 사태의 본질을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꼰대가 넘친다. 광우병에 불안 아닌 분노했다. 사실을 지겨우리만치 알려주는 정은경 본부장은 우리의 불안을 잊게 하고 불편을 불평 없이 받아들이게 한다. 우리는 몇 단계 진화했다. 사실을 알리는 힘이다. 이와 다르게 사실과 진실이 충돌한다. 180석 여당의 잇단 행보에 불안감이 인다. 조국, 윤미향, 김두관을 절대 비난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둔함이 두렵다. 청년 분노의 야기 지점, 언제든 보수로 퇴행할 약한 고리를 보지 못하고 있다. 사실로만 보면 이들이 무슨 죄인가. 하지만 지금의 분노는 진실을 보고 싶은 것이다. 분노하는 것이다. 그것을 모른단 말인가? Anxiety is the fe..

놈코어, 미니멀리즘- 마크 주커버그 회색 티, 스티브 잡스 청바지 검은색 티, 아인슈타인 회색 정장

스티브 잡스 - 청바지와 검은색 티 마크 주커버그 - 회색 티 아인슈타인 - 회색 정장 천재들은 질서가 회복된 단순성을 선호하는데 옷을 입는 습관 역시 '단순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커버그의 명언이다. "입을 옷을 고르는 것은 집중력을 흐트러 트릴뿐이다. 그 에너지를 좀 더 좋은 제품&서비스를 만드는데 쏟고 싶다." '놈 코어' 놈코어는 표준을 뜻하는 `놈(norm)`과 핵심을 뜻하는 `코어(core)`를 합성한 말이다. 쉽게 말해 `평범함을 추구하는 패션`을 의미한다. 기능성을 최우선시하면서 남에게 과시하기 위한 고급 패션에 거리를 두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방증이다. 꾸미지 않은 듯한 자연스러움이 포인트지만 평범한 느낌을 주기 위해 고도로 계산된 스타일. 데님 팬츠, 흰색 셔츠, 회색 티셔츠, 운..

메시지와 메신저, 논쟁 이기는 술수, 쇼펜하우어 토론 법칙

‘메시지를 반박할 수 없을 때는 메신저를 공격하라.’ 정치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술수(術手)다. 하지만 그 지적을 오롯이 나의 발전으로 삼는 것이 큰 사람의 대처법이다. 그 지적만 스폰지처럼 흡수하라. 고마움의 말까지 전할 수 있다면 더 멋질 것이다. 사람이란 항상 잘못을 범하는 존재다. 하지만 잘못을 저질렀다는 자체보다는 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이 더 큰 허물이라 했다.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 잘못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이 바로 잘못이다) - 논어 위령공편 - 나아가 잘못이 있는데 고치기를 주저하면 같은 잘못을 다시 범할 위험이 있고 잘못은 또 다른 잘못을 낳을 수 있으므로 잘못을 고치는 데 꺼리지 말고 즉시 고치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했다. 과즉물탄개 (過則勿憚改 : 잘못을 했을 때는..

동양이 서양에 뒤쳐진 이유 - 붓과 펜의 차이가 문명의 차이

동양은 어찌하여 서양에 뒤쳐지게 되었나? 17세기 이전에는 동양이 서양보다 우위라는 것은 역사적 팩트다. 서양의 근대적 농업, 근대적 조선, 근대적 석유산업, 근대적 천문대, 근대적 음악 십진법, 지폐, 우산, 릴낚시, 일륜차, 다단 로켓, 총, 수뢰, 독가스, 낙하산, 열기구, 비행, 브랜디,, 위스키, 장기, 인쇄술, 심지어 증기기관의 기본 구조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동양에서 가져왔다. 배의 키, 나침반, 이중의 돛대가 있는 선박과 항해의 기술이 중국에서 전달되어 콜럼버스의 항해와 식민지 제국 건설이 가능하게 되었다. 아시아에서 발명된 등자로 인해 서양인들이 말을 안정적으로 탈 수 있었고 이것이 아니었다면 유럽의 기사도 없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동양은 어찌하여 서양에 뒤쳐지게 되었나? 막스 베버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