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국어 1521

머지않아, 멀지 않아, 멀지 않은, 멀지 않다, 맞춤법

‘머지않아’인가, ‘멀지 않아’인가: ‘머지않아’가 맞음 (가) 머지않아, 곧. 불원간(不遠間). (나) 멀지 않은 장래 / 여기선 학교가 멀지 않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회계 연도, 회계 년도, 설립연도, 년도, 맞춤법

‘회계 연도’인가, ‘회계 년도’인가: ‘회계 연도’가 맞음 (가) 설립 연도, 회계 연도 ※ 붙여 쓰더라도 ‘설립연도, 회계연도’임 (나) 신년-도, 구년-도 (다) 1998 년도 ※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서 의존명사로 쓰이는 말은 ‘년도’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욕구欲求,물욕物慾,욕망欲望,망각忘却,망막茫漠,망연자실茫然自失,바랄 욕(欲),욕심 욕(慾),바랄 망(望),망할 망(亡),망령될 망(妄),잊을 망(忘),아득할 망(茫),기출한자

欲 골짜기(谷)처럼 입 벌린 사람(欠)이 하는 것은 바랄 욕(欲) 욕망(欲望: 바람), 욕심(欲心), 욕구(欲求) 慾 바라는(欲) 마음(心)은 욕심 욕(慾) 욕심(慾心: 무엇을 바라는 마음), 욕망(慾望), 욕구(慾求) 欲’과 ‘慾’은 혼용하기도 欲求* 구할 구 慾 ‘욕심’ 欲 ‘바라는 마음’ 物慾 물건(物件) 욕심(慾心) 私慾 곡물(禾)을 사사롭게(厶) 가지는 사사로울 사(私) 欲望* 욕망 望* 바랄 망/보름* 망 없어지는(亡) 달(月)에게 빌어 짊어지워(壬) 바랄 망(望) 亡 (刀)칼이 부러져 망할 망(亡) 妄 여자(女)가 죽으면(亡) 망령될 망(妄) 망령(妄靈), 망발(妄發), 노망(老妄), 妄動, 妄言 忘 마음(心)에서 없어지는(亡) 것은 잊을 망(忘) 忘却* 망각 妄X 忘 잊을 망 却 물리칠 각..

여유餘裕,용납容納,용서容恕,용인容忍,용인容認,인식認識,용모容貌,남을 여(餘),넉넉할 유(裕),얼굴 용/용서할 용(容),모양 모(貌),들일 납(納),용서할 서(恕),참을 인(忍),인정할 인/알 인(認),기..

容 집(宀)에 계곡(谷)물로 씻는 얼굴 용/용서할 용(容) 容貌* 맹수(豸해태 태) 얼굴(皃얼굴 모)로 꾸민 모양 모(貌) 모양(貌樣: 겉으로 나타나는 생김새), 용모(容貌), 외모(外貌) 容納* 실(糸)을 안(內)으로 들일 납(納) 容恕* 같은(如) 마음(心)로 용서할 서(恕) 容忍* 칼날(刃)에 베인 마음(心)으로 참을 인(忍) 너그러운 마음으로 忍참음 容認 말(言)을 참는(忍) 것은 인정할 인/알 인(認) 용납(容納)하여 인정(認定)함 認識*, 認定 裕 옷(衤)에 골(谷)같은 빈 곳이 있는 것은 넉넉할 유(裕) 餘裕* 밥(食)이 집(나 여/남을 여 余)에 남을 여(餘) 여분(餘分), 잔여(殘餘)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협곡峽谷,유곡幽谷,풍속風俗,속세俗世,민속民俗,산림욕山林浴,계곡溪谷,풍속 속(俗),목욕할 욕(浴),시내 계(溪),골짜기 협(峽),그윽할 유(幽),기출한자

谷 첩첩산중의 골(ㅁ)은 골짜기 곡(谷) 溪谷 물(氵)이라 어찌(奚어찌 해) 하겠는가 싶은 시내 계(溪) 峽谷 산(山)에 끼인(夾낄 협) 골짜기 협(峽) (夾낄 협) 大(사람)가 양 옆구리에 물건을 끼고 있음 幽谷 작디(幺작을 요)작게 보이는 산(山)골짜기는 그윽할 유(幽) 俗 사람(亻)이 골짜기(谷)에 모여 살면 생기는 풍속 속(俗) 俗世* 속세 俗物 속물 民俗 민속 風俗* 풍속 浴 물(氵) 흐르는 골짜기(谷)에서 목욕할 욕(浴) 沐浴 물(氵)에 목(木)을 내고 머리 감을 목(沐) 沭 내 이름 술 山林浴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

골짜기 곡(谷),풍속 속(俗),목욕할 욕(浴),얼굴 용/용서할 용(容),넉넉할 유(裕),바랄 욕(欲),용모容貌,계곡溪谷,속물俗物,목욕沐浴,욕망欲望,기출한자

谷 첩첩산중의 골(ㅁ)은 골짜기 곡(谷) 溪谷 물(氵)이라 어찌(奚어찌 해) 하겠는가 싶은 시내 계(溪) 峽谷 산(山)에 끼인(夾낄 협) 골짜기 협(峽) (夾낄 협) 大(사람)가 양 옆구리에 물건을 끼고 있음 幽谷 작디(幺작을 요)작게 보이는 산(山)골짜기는 그윽할 유(幽) 俗 사람(亻)이 골짜기(谷)에 모여 살면 생기는 풍속 속(俗) 俗世* 속세 俗物 속물 民俗 민속 風俗* 풍속 浴 물(氵) 흐르는 골짜기(谷)에서 목욕할 욕(浴) 沐浴 물(氵)에 목(木)을 내고 머리 감을 목(沐) 沭 내 이름 술 山林浴 容 집(宀)에 계곡(谷)물로 씻는 얼굴 용/용서할 용(容) 容貌* 맹수(豸해태 태) 얼굴(皃얼굴 모)로 꾸민 모양 모(貌) 모양(貌樣: 겉으로 나타나는 생김새), 용모(容貌), 외모(外貌) 容納* 실(..

혈족血族,사주使嗾,겨레 족(族),부추길 주(嗾),관중觀衆,군중群衆,무리 중(衆),피 혈(血),기출한자

血 한 방울( ´ )씩 그릇(皿)에 받는 피 혈(血) 血液 물(氵)인데 밤(夜)처럼 시커먼 진 액(液) 血族 기(㫃나부낄 언)에 화살(矢)을 가지고 모이는 겨레 족(族) 嗾 입(口)으로 겨레(族)를 부추길 주(嗾) 使嗾* 사람(亻)에게 관리(吏)가 하는 부릴 사(使) 남을 부추기어서 시킴 敎唆 敎 가르칠 교 唆 부추길 사 입(口)으로 준수하다며(夋) 부추길 사(唆) 血統 탯줄(糸)이 사이를 채우는(充) 것은 태아를 거느릴 통(統) 充分 充 찰 충 分 나눌 분 衆 제물 피(血)를 보는 많은 사람들(乑)은 무리 중(衆) 血(혈) 人+人+人많은 사람 大衆 民衆 觀衆 부엉이(雚)처럼 보는(見) 것은 볼 관(觀) 觀衆席 관중석 群衆 임금(君)을 양(羊)떼같이 따르는 무리 군(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

권익權益,손익損益,맹호猛虎,용맹勇猛,맹수猛獸,맹자孟子,더할 익(益),더할 익(益),사나울 맹(猛),기출한자

益 그릇(皿)에 물(水)이 넘치는 모습은 더할 익(益) 有益 利益 벼(禾)는 잘 드는 칼로(刂) 베어야 이로울 이(利) 權益* 나무(木)에 앉아 부엉이(雚)가 누리는 권세 권(權) 差益 양(羊)탈을 만들어(工) 쓰면 다를 차(差) 차이(差異: 다름), 차별(差別), 격차(隔差) 損益* 손(扌)으로 관원(員)이 재물을 가져가는 것은 덜 손(損) 생계(口)를 위해 돈(貝)을 받고 일하는 인원 원(員) 國益 孟 아이(子)인데 그릇(皿)을 물려받는 맏 맹(孟) 孟子 맹자 猛 개(犭)처럼 소리치는 맏이(孟)는 사나울 맹(猛) 猛虎* 범 호 號 입(ㅁ)으로 숨(丂)을 범(虎)이 내뱉는 부르짖을 호(號) 호령(號令: 부르짖어 명령함), 칭호(稱號), 번호(番號) 諡號 諡 시호 시 號 이름 호 죽은 뒤에 공덕을 칭송하..

가정란, 가정난, 독자란, 투고란, 학습란,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난(gossip欄), 작업량(作業量), 인용례(引用例, 가정란(家庭欄, 장롱(欌籠), 두음법칙

‘가정란’인가, ‘가정난’인가: ‘가정란’이 맞음 (가) 가정란, 독자란, 투고란, 학습란, 답란 ※ 작업량, 인용례 (나) 어린이난, 어머니난, 가십난(gossip欄) ☞ 고유어, 외래어 뒤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됨 【두음법칙】두음법칙이 적용되는 단어는 그 앞에 다른 말이 와서 새로운 단어의 일부가 될 적에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는다. 여성(女性) 신여성(新女性) 직업여성(職業女性) 다만, 한자어 뒤에 오는 1음절 한자어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작업량(作業量) 인용례(引用例) 가정란(家庭欄) 장롱(欌籠) [붙임] 앞뒤가 짝을 이루는 한자성어도 그 뒷말을 두음법칙에 따라 적는다. 장삼이사(張三李四) 남존여비(男尊女卑) 부화뇌동(附和雷同)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

두음법칙(頭音法則), 두음규칙, 유음(流音), 비음(鼻音)

‘두음규칙’이라고도 한다. 국어의 두음법칙을 조목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유음(流音) ‘ㄹ’이 어두에 올 수 없다. [i]나 [j] 앞에서 ‘ㄹ’은 ø(영 零)이 되며, ‘ㅏㆍㅓㆍㅗㆍㅜㆍㅡㆍㅐㆍㅔㆍㅚ’ 앞에서 ‘ㄴ’으로 변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량심(良心)→양심:개량(改良) 리학(理學)→이학:원리(原理) 락원(樂園)→낙원:쾌락(快樂) 로인(老人)→노인:경로(敬老) 루각(樓閣)→누각:고루(高樓) 래일(來日)→내일:거래(去來) 뇌성(雷聲)→뇌성:춘뢰(春雷) ② 비음(鼻音) ‘ㄴ’이 어두에서 [i]나 [j] 앞에 올 수 없다. 이때의 ‘ㄴ’은 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한자어에서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냥반(兩班)→양반:한냥(一兩) 녀자(女子)→여자:자녀(子女) 뇨소(尿素)→..

살상殺傷,쇄도殺到,당도當到,답지遝至,상쇄相殺,척살刺殺,형극荊棘,죽일 살/감할 쇄(殺),이를 도(到),이를 지(至),모일 답(遝),찌를 척/찌를 자(刺),기출한자

殺 죽일 살/감할 쇄*, 빠를 쇄* 베어서(乂) 짐승 몸(木)에서 머리(丶)를 쳐(殳) 죽일 살(殺) 殺伐 사람(亻)을 창(戈)으로 칠 벌(伐) 殺傷 사람(亻)이 화살(矢) 맞으면 열(昜) 나서 다칠 상(傷) 殺到* 殺 빠를 쇄, 到 이를 도 세차게 몰려듦 이르러(至) 칼(刂)처럼 박히는 이를 도(到) 화살(矢시)자가 땅에 꽂힌 모습 이를 지(至) 이르도록(至) 치는(攵) 이를 치(致) 遝至* 遝 뒤섞일/모일 답 至 이를 지 뒤따라(眔뒤따를 답) 가서(辶) 한군데로 모일 답(遝) 한군데로 몰려듦 當到* 當 마땅 당 到 이를 도 높은(尙) 곳을 밭(田)으로 일굼은 마땅 당(當) 어떤 한 곳이나 일에 닿아서 이름 相殺* 殺 감할 쇄 상반되는 것이 서로 영향을 미쳐서 효과가 없어지는 것 刺殺 刺 찌를 척/자 ..

단계段階,단락段落,타락墮落,추락墜落,수단手段,방역防疫,검역檢疫,면역免疫,떨어질 락(落),떨어질 타(墮),떨어질 추(墜),층계 단(段),전염병 역(疫),기출 한자

段 언덕(阝) 측면을 쳐(殳몽둥이 수) 만든 층계 단(段) 段階* 언덕(阝)에 여러(比) 돌을 박아놓은(白) 섬돌 계(階) 段落 풀(艹)잎에서 물(氵)방울이 각각(各) 떨어질 락(落) 일이 다 된 끝 긴 문장(文章) 중(中)에 크게 끊는 곳 墮落* 땅(土)으로 떨어지는(隋떨어질 타) 것은 떨어질 타(墮) 품행(品行)이 나빠서 못된 구렁에 빠짐 墜落* 흙(土)에 무리(隊무리 대)지어 떨어질 추(墜) 階段 섬돌 계 手段* 목적(目的)을 이루기 위(爲)한 행동(行動) 방도 特段 特 특별할 특/수컷 특 段 층계 단 일본한자어로 특별(特別) 권장 소(牛)를 관청(寺)이 잡는 것은 특별할 특(特) 疫 병(疒)인데 창(殳)을 들고 통제하는 전염병(傳染病) 역(疫) 疫病 병(疒)들어 불덩어리(丙)처럼 되는 병 병(病)..

설치設置,설계設計,설정設定,건설建設,가설假說,가설架設,베풀 설(設),둘 치(置),거짓 가(假),시렁 가(架),기출한자

設 말(言)로 지시하고 몽둥이(殳)로 치면서 하는 베풀 설(設) 設置* 그물(罒)을 곧게(直) 펴서 둘 치(置) 設立 設計* 말(言) 열(十) 개로 셀 계(計) 設定* 집(宀)이 바르도록(正) 자리를 정할 정(定) 建設* 붓(聿)을 길게 걷게(廴) 하려고 세울 건(建) 假說* 거짓 가 說 말씀 설 사람(亻)이 빌려서(叚) 쓰는 것은 거짓 가(假) 가면(假面: 거짓 얼굴), 가짜(假짜), 가장(假裝) 말(言)인데 기쁘게(兌) 하는 것은 말씀 설(說) 사실을 통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임시로 세운 이론 架設 물건을 더하려고(加) 달아놓은 나무(木)는 시렁 가(架) 전선(電線)ㆍ다리 따위를 건너질러 설치(設置)함 架設權가설권 假設 假 거짓 가 設 베풀 설 임시(臨時)로 설치(設置)함 假設登記가설등기 假設工事가..

투자投資,투옥投獄,투숙投宿,투입投入,역할役割,할부割賦,역군役軍,역군逆軍,면역免役,면역免疫,던질 투(投),부릴 역(役),기출 한자

投 손(扌)에 창(殳)을 들고 던질 투(投) 投資** 사람 버금(次)으로 돈(貝) 벌 때 중요한 재물 자(資) 投入 들 입 投書 投獄 개(犭) 두 마리가 으르렁거리며(言) 싸우는 옥 옥(獄) 投宿 집(宀)에 많은(百) 사람(人)들이 잘 숙(宿) 投宿客투숙객 役 걷도록(彳) 몽둥이(殳)로 치는 부릴 역(役) 役割* 해하려고(害) 칼(刂)로 벨 할(割) 제가 하여야 할 제 앞의 일 割賦* 割 벨 할 賦 부세 부 돈(貝)을 굳센(武) 사람이 달라고 하는 것은 부세 부(賦) 役軍 일정한 부문에서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는 일꾼 逆軍 역적(逆賊)의 군대(軍隊) 거꾸로(屰) 가는(辶 ) 것은 거스를 역(逆) 免役 토끼(兔)가 꽁지(丶) 빠지게 뛰어 위험을 면할 면(免) 병역, 부역을 면제(免除)함 免役錢면역..

던질 투(投),부릴 역(役),베풀 설(設),층계 단(段),전염병 역(疫),죽일 살(殺),투입投入,면역免役,설립設立,단락段落,역병疫病,살벌殺伐,기출단어

投층계 단(段) 손(扌)에 창(殳)을 들고 던질 투(投) 投資** 사람 버금(次)으로 돈(貝) 벌 때 중요한 재물 자(資) 投入 들 입 投書 投獄 개(犭) 두 마리가 으르렁거리며(言) 싸우는 옥 옥(獄) 投宿 집(宀)에 많은(百) 사람(人)들이 잘 숙(宿) 投宿客투숙객 役 걷도록(彳) 몽둥이(殳)로 치는 부릴 역(役) 役割* 해하려고(害) 칼(刂)로 벨 할(割) 제가 하여야 할 제 앞의 일 割賦* 割 벨 할 賦 부세 부 돈(貝)을 굳센(武) 사람이 달라고 하는 것은 부세 부(賦) 役軍 일정한 부문에서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하는 일꾼 逆軍 역적(逆賊)의 군대(軍隊) 거꾸로(屰) 가는(辶 ) 것은 거스를 역(逆) 免役 토끼(兔)가 꽁지(丶) 빠지게 뛰어 위험을 면할 면(免) 병역, 부역을 면제(免除)..

소비消費,낭비浪費,사비私費,불경佛經,불경不敬,부처 불(佛),쓸 비(費),기출 한자

佛 사람(亻)이 아닌(弗) 부처 불(佛) 활(弓)의 시위가 이동하는(亅亅) 것은 내 것이 아닐 불(弗) 佛敎 산가지(爻) 놓는 아이(子)를 때리는(攵) 것은 가르칠 교(敎) 佛經 실(糸)이 베틀(巠물줄기 경)에 지날 경(經) 經世세상(世上)을 다스려 이끎 不敬 개(苟구)를 매(攵칠 복)로 다스려 공경할 경(敬) 費 돈(貝)이 더 이상 아닌(弗) 것은 쓸 비(費) 消費* 물(氵)을 닮은(肖) 기체가 되어 사라질 소(消) 解消, 消費者,소멸(消滅), 소진(消盡), 소실(消失) 不肖 不 아닐 불 肖 닮을 초 작게(小) 몸(月)을 나타냄은 대상과 닮을 초(肖) 초상화(肖像畫) 닮게(肖) 하려고 칼(刂)로 깎을 삭(削) 삭제(削除: 깎아서 덜어냄), 삭감(削減), 절삭(切削) 朔 朔 초하루 삭. 매월 1일, 屰(..

출석률, 출석율, 행렬, 결렬, 운율, 비율, 백분율, 분열, 우열, 맞춤법

‘출석률’인가, ‘출석율’인가: ‘출석률’이 맞음 (가) 법률, 능률, 출석률; 행렬, 결렬 (나) 운율, 비율, 백분율; 분열, 우열 ※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서는 ‘열, 율’로 적음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함으로, 함으로써, -하므로, -(으)므로, 공부함으로(써), 부지런하므로, 맞춤법

‘-함으로(써)’와 ‘-하므로’의 구분: ‘-으로’는 조사, ‘-(으)므로’는 어미 (가) 그는 열심히 공부함으로(써) 부모님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한다. / 동호인 회장에게 일괄 배부하여 관리케 {함으로써, 하므로써} 사용과 보존에 철저를 기하고자 합니다. ※ “수단”을 나타내는 조사 ‘(으)로’는 그 뜻을 강조할 경우에 그 뒤에 조사 ‘써’가 붙는다. (나) 그는 부지런하므로 잘 산다. / 그는 매일같이 열심히 공부하므로(*하므로써) 시험에 꼭 합격할 것이다. / 훌륭한 학자이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다. ※ ‘-(으)므로’는 “이유, 까닭”을 나타내는 어미로서 그 뒤에 조사 ‘써가’ 붙을 수 없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

아니요, 아니오, 예 ↔ 아니요, 아뇨, 응 ↔ 아니, ‘예, 아니오’로 대답하시오, 어서 오시오, 맞춤법,

‘아니요’와 ‘아니오’의 구분: ‘아니오’는 서술어, ‘아니요’는 감탄사 (가) “숙제 다 했니?” “아니요, 조금 남았어요.” [참] 예 ↔ 아니요(아뇨). (가)′ “아니, 조금 남았어.” [참] 응 ↔ 아니 (나) 그것은 내 잘못이 아니오. ※ 어떤 문제를 내고 그것의 맞고 틀림을 물을 때에는 “다음 문제에 대하여 ‘예, 아니오’로 대답하시오”처럼 쓴다. 이때 ‘예’는 맞다는 말이고 ‘아니다’는 틀리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 경우의 ‘아니오’는 감탄사가 아니라 서술어 용법이 화석화된 것이다. (나)′ 어서 오시오. ※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나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는 ‘요’로 적음. ‘이것은 책이요(←이고), 저것은 공책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존속存續,존속尊屬,존폐存廢,병폐病廢,병폐病弊,생존生存,의존依存,건재健在,재직在職,재배栽培,배재학당培材學堂,있을 존(存),높을 존(尊),이을 속(續),붙일 속(屬),폐할 폐(廢),폐단 폐(弊),..

在 재주(才)껏 땅(土)에서 하는 것은 세상에 있을 재(在) 在職 재직 不在 부재 健在 사람(亻)이 설(建) 수 있는 것은 굳셀 건(健) 붓(聿)을 길게 걷게(廴) 하려고 세울 건(建) 栽 삽(𢦏)으로 나무(木)를 심을 재(栽) 栽培* 흙(土)에 (잎을 늘어뜨린) 식물(咅)을 심으려 북돋을 배(培) 培材學堂 배재학당(최초 근대식 중등 교육기관) 存 재주(才)껏 아이(子)가 하는 것은 세상에 있을 존(存) 存立 存在* 존재 存續* 실(糸)처럼 팔(賣)기를 이을 속(續) 계속(繼續)하여 존재(存在)함 반대 廢止 폐지 尊屬 부모(父母) 및 그와 같은 항렬(行列) 이상(以上)의 혈족(血族) 술(酋)을 손(寸)으로 바치는 대상은 높을 존(尊) 꼬리(尾미)에 애벌레(蜀)를 미끼로 붙일 속(屬) 存廢 집(广)을 떠나..

재치才致,재능才能,재기才氣,재기再起,야기惹起,소재素材,소재所在,제재題材,취재取材,재산財産,축재蓄財,재물財物,능할 능(能),곰 웅(熊),가질 취(取),재물 재(財),기출한자

才 땅(一)에 뿌리(亅)내려 씨앗(丿)이 뻗는 재주 재(才) 才能* 머리(厶)와 몸통(月)과 다리(匕)로 된 곰은 재주 능할 능(能) 熊* 능력(能)있고 성질 불(灬)같은 곰 웅(熊) 才致 이르러(至) 치는(攵) 것은 이를 치(致) 송치(送致:정해진 곳에 이르게 함), 일치(一致), 극치(極致) 致傷罪 치상죄 才氣 기운(气)인데 쌀(米)밥을 지을 때 나는 기운 기(氣) 再起 再 두 재 起 일어날 기 달리려(走) 몸(己)을 펴서 일어날 기(起) 惹起* 惹 이끌 야, 가벼울 약 起 일어날 기 心 若(같을 약. 반야 야) 무슨 일이나 사건(事件) 따위를 끌어 일으킴 材 나무(木)인데 재주(才)껏 쓰는 재목 재(材) 核 나무(木)로 된 뼈(亥 돼지 해)는 씨 핵(核) 핵심(核心), 핵폭탄(核爆彈), 과핵(果核:..

재주 재(才),재목 재(材),재물 재(財),있을 재(在),있을 존(存),재능才能,재료材料,재물財物,재직在職,존립存立,기출한자

才 땅(一)에 뿌리(亅)내려 씨앗(丿)이 뻗는 재주 재(才) 才能* 머리(厶)와 몸통(月)과 다리(匕)로 된 곰은 재주 능할 능(能) 熊* 능력(能)있고 성질 불(灬)같은 곰 웅(熊) 才致 이르러(至) 치는(攵) 것은 이를 치(致) 송치(送致:정해진 곳에 이르게 함), 일치(一致), 극치(極致) 致傷罪 치상죄 才氣 기운(气)인데 쌀(米)밥을 지을 때 나는 기운 기(氣) 再起 再 두 재 起 일어날 기 달리려(走) 몸(己)을 펴서 일어날 기(起) 惹起* 惹 이끌 야, 가벼울 약 起 일어날 기 心 若(같을 약. 반야 야) 무슨 일이나 사건(事件) 따위를 끌어 일으킴 材 나무(木)인데 재주(才)껏 쓰는 재목 재(材) 核 나무(木)로 된 뼈(亥 돼지 해)는 씨 핵(核) 핵심(核心), 핵폭탄(核爆彈), 과핵(果核:..

주십시요, 주십시오, 주(십시)오/주오, 먹어(요), 맞춤법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요, 주십시오}. ☞ ‘주십시오’가 맞음 (가)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오, 주십시요}. (가)′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오. (가)″ 공사 중이니 돌아가 주{십시}오/주오. ※ ‘-오’는 어미로서 생략될 수 없으며 그 앞에 ‘-십시-’ 등과 같은 다른 어미체가 올 수 있음. (나) 밥을 잘 먹어요. ※ ‘요’는 조사로서 생략될 수 있음. (나) 밥을 잘 먹어.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

나는, 날으는, 노는, 놀으는, 맞춤법

‘나는’인가, ‘날으는’인가: ‘나는’이 맞음 (가) 하늘을 {나는, *날으는} 원더우먼 (나) 길가에서 {노는, *놀으는} 아이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탁주濁酒,수작酬酌,수매酬價,혼탁混濁,청탁淸濁,청탁請託,탁본拓本,개척開拓,흐릴 탁(濁),부탁할 탁(託),박을 탁(拓),넓힐 척(拓),기출 한자

濁 물(氵)에 애벌레(蜀)가 있는 것은 흐릴 탁(濁) 濁流 濁酒 酒筵 酒 술 주 筵 대자리 연 주연 : 술자리 竹, 延(늘일 연) 酬酌* 수작 술잔을 서로 주고받는다. 말을 서로 주고받음, 엉큼한 속셈 酬 갚을 수 酌 술 부을 작 酬價 : 보수(報酬)로 주는 대가(代價) 酉(닭 유) 勺(구기 작) 混濁* 물(氵)에 벌레(昆)가 들어 있는 것은 섞을 혼(混) 淸濁 맑음과 흐림 請託 請 청할 청 託 부탁할 탁 말(言)을 건네(乇건넬 탁) 부탁할 탁(託) 拓 손(扌)으로 금석문(石)에 박을 탁(拓) 손(扌)으로 돌(石)을 치워가며 밭을 넓힐 척(拓) 拓本 탁본 금석(金石)에 새긴 글씨 그대로 종이에 박아 냄 開拓 개척 開 열 개 拓 넓힐 척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

독창獨唱,독선獨善,독립獨立,속(屬)하다,직속直屬,배속配屬,소속所屬,귀속歸屬,종속從屬,홀로 독(獨),붙일 속(屬),기출한자

獨 개(犭)나 애벌레(蜀)가 하는 홀로 독(獨) 獨立* 독립 獨唱* 부를 창 獨善 독선 屬 꼬리(尾미)에 애벌레(蜀)를 미끼로 붙일 속(屬) 속(屬)하다 所屬 바 소 어느 곳에 속함 直屬 직접적(直接的)으로 예속(隸屬)됨 配屬 술(酉)을 몸 굽혀(己) 나눌 배(配) 배치(配置)하여 딸리게 함 歸屬 쌓기(阜)를 그치고(止) 비(帚)를 드는 이유는 돌아갈 귀(歸) 從屬 걸어(彳) 앞사람(人)을 뒷사람(人)이 발(止) 따라 좇을 종(從)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촉매觸媒,촉감觸感,촉각觸覺,접촉接觸,촉발觸發,화촉華燭,촉루燭淚,닿을 촉(觸),촛불 촉(燭),중매 매(媒),깨달을 각(覺),눈물 루(淚),기출 한자

觸 뿔(角)로 애벌레(蜀)가 사물에 닿을 촉(觸) 그물(罒)에 싸인(勹) 벌레(虫벌레 훼)는 애벌레 촉(蜀) 觸發* 활(弓)이나 창(殳)을 나아가게(癶) 하는 것은 필 발(發) 觸媒 여자(女)를 아무개(某아무 모→매)와 만나게 중매 매(媒) 觸感* 다(咸함→감) 맘(心)으로 느낄 감(感) 觸覺* 배우려고(學) 보면(見) 깨달을 각(覺) 接觸* 손(扌)으로 첩(妾)을 만지니 이을 접(接) 燭 불(火)인데 애벌레(蜀)처럼 꿈틀대는 촛불 촉(燭) 촉화(燭火: 촛불), 화촉(華燭) 燭淚 물(氵)인데 어그러질(戾) 때 나는 눈물 루(淚) 집(戶) 앞에 개(犬)가 있으면 어그러질 려(戾)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닿을 촉(觸),촛불 촉(燭),홀로 독(獨),애벌레 촉(蜀),붙일 속(屬),흐릴 탁(濁),촉발觸發,촉화燭火,독립獨立,소속所屬,탁류濁流,기출 한자

觸 뿔(角)로 애벌레(蜀)가 사물에 닿을 촉(觸) 그물(罒)에 싸인(勹) 벌레(虫벌레 훼)는 애벌레 촉(蜀) 觸發* 활(弓)이나 창(殳)을 나아가게(癶) 하는 것은 필 발(發) 觸媒 여자(女)를 아무개(某아무 모→매)와 만나게 중매 매(媒) 觸感* 다(咸함→감) 맘(心)으로 느낄 감(感) 觸覺* 배우려고(學) 보면(見) 깨달을 각(覺) 接觸* 손(扌)으로 첩(妾)을 만지니 이을 접(接) 燭 불(火)인데 애벌레(蜀)처럼 꿈틀대는 촛불 촉(燭) 촉화(燭火: 촛불), 화촉(華燭) 燭淚 물(氵)인데 어그러질(戾) 때 나는 눈물 루(淚) 집(戶) 앞에 개(犬)가 있으면 어그러질 려(戾) 獨 개(犭)나 애벌레(蜀)가 하는 홀로 독(獨) 獨立* 독립 獨唱* 부를 창 獨善 독선 屬 꼬리(尾미)에 애벌레(蜀)를 미끼로 ..

각인刻印,인쇄印刷,직인職印,인감印鑑,억압抑壓,억류抑留,억제抑制,누를 억(抑),도장 인(印),인쇄할 쇄(刷),직분 직(職),누를 압(壓),절제할 제(制),머무를 류(留),기출한자

印 손(爫)으로 잡고 찍는 막대(卩)는 도장 인(印) 印鑑 금속(金)인데 볼(監) 때 쓰는 거울 감(鑑) 대조용(對照用) 관공서(官公署) 도장(圖章) 印刷 몸(尸) 굽혀 천(巾)에 칼(刂)로 새긴 문양을 인쇄할 쇄(刷) 刻印* 돼지 뼈(亥)에 칼(刂)로 새길 각(刻) 職印 귀(耳)에 새겨(戠)들으며 하는 일은 직분 직(職) 직무職務 도장圖章 抑 손(扌)으로 높은(卬) 이가 누를 억(抑) 앉은 사람이 무릎을 굽히는(卩) 이는 높을 앙(卬) 抑制* 나무 가지(未)를 칼(刂)로 절제할 제(制) 抑壓** 싫은(厭) 상대를 땅(土)쪽으로 누를 압(壓) 바위굴(厂)에서 물리도록(猒) 있으면 싫을 염(厭) 날(日)마다 개고기(肰)를 먹으면 물릴 염(猒) 抑留 갈라서(卯) 밭(田)을 일군 곳에서 머무를 류(留) 공무원..

세 살배기, 세 살바기, 나이배기, 맞춤법

‘세 살배기’인지 ‘세 살바기’인지? (가) 세 살배기 아이 (나) 나이배기: 보기보다 나이가 많아 보이는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 국어의 각 단어는 다른 단어들과 여러가지 관계를 맺고 있는데, 서로 연관된 단어들은 표기상으로도 그 관련성이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의미상으로 관련된 단어는 표기상으로도 관련되게”라는 원리가 존재한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그런데 이 단어와 관련된 단어로 “겉보기보다 나이가 많이 든 사람”을 가리키는 ‘나이배기’가 있다. 따라서 이 단어의 표기는 기존의 ‘나이배기’를 고려하여 ‘-배기’ 형태를 표준으로 정하였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