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어휘, 한자

공무원 기출 한자 정리 - 틀리기 쉬운 한자, 고사성어, 공무원 국어

Jobs 9 2020. 12. 3. 19:26
반응형

공무원 합격에 한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얼마 전 공무원 인사혁신처에서 공무원의 한자 문맹률이 심각하다며

신입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자교육을 강화한다는 방침과 함께 

공무원 한자 가산점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현행 필기시험 성적에 부여되는 가산점에 공무원 한자 가산점이 생긴다는 의미는 아직 아니지만

혁신처에서 한자능력을 중요시한다면 

향후 국어나 한국사 등의 과목에서 한자 출제가 늘어나거나

공무원 시험 자체에 공무원 한자 가산점이 도입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공무원 기출 한자는 4자 성어와 2자 한자로 주로 구성된다.

분량이 정해진 4자 성어는 크게 어려움이 없다. 문제는 2자 한자다. 

그 양이 방대하고 독음이 헷갈려 변별력을 좌우하는 문제로 출제된다.

 

2자 한자는 무한정한 공부량으로 인해 완벽한 공부는 사실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그간 대부분 포기했고 현실적으로 현명한 결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절대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앞에서 설명했다.

 

'어원 語源 연상 암기법 '만이 '독음' 해결

 

공무원 한자 공부의 핵심은 '기출'과 '독음'이다.

무엇보다 '독음讀音'이 중요하다.

비슷한 한자를 구분하는 문제가 주를 이룬다.

철저히 독음 연상 암기법이 필요하다.

독음은 정제된 '어원語源' 분석으로만 해결 가능하다.

'어원 연상 암기법'만이 독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출된 '禮節(예절)'이라는 한자를 예로 들자.

禮자는 아무리 '예도 예'로 쓰며 외운 들 금세 휘발한다.

"제사(示)를 풍년(豊) 들게 잘 지내 예도 예(禮)"

라고 외워야 한다.

豊(풍성할 풍)으로 인해 '풍'으로 오독할 수 있다.

豊은 "음식(曲)을 제기(豆)에 쌓아 풍성할 풍(豊)"

으로 외워야 한다.

 

節(마디 절)은 櫛(빗 즐)로 바꿔 혼란을 준다.

따라서

"대(竹) 나무에 곧(卽 곧 즉) 떠오르는 것은 마디 절(節)"

"나무(木)에 마디(節 마디 절)를 새겨 머리를 가르는 빗 즐(櫛)"

로 외워야 한다.

 

이에 확장해서

豊(풍성할 풍)은 豊盛의 독음이 헷갈려 자주 출제된다

成, 誠, 城, 盛...

'성이라는 독음은 같은데 의미 연상이 안되면 맞출 수 없다.

따라서

"말(言)을 이루게(成) 하는 것은 정성 성(誠)"

"흙(土)을 쌓아 이룬(成) 성 성(城)"

"그릇(皿)이 넘치(成)도록 성할 성(盛)"

으로 외워야 한다.

 

스마트폰으로 녹음하여 반복해서 들으면 어원과 글자 이미지가 그려지면서 '장기기억'된다. 

한자는 단번에 눈에 '박혀야' 아는 것이다. 대충 보이면 반드시 실패한다.

 

'어원 연상 암기법 '만이 골치 아픈 한자, 특히 '독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응형

 

 

 


자주 틀리는 기출 한자 #07

 

矯正*

교ː정

 화살(矢)을 높이(喬) 날 수 있게 바로잡을 교(矯)

 바를 정  訂(X)

계기류의 정밀도 따위를 표준기와 비교하여 바로잡음

"볼록 렌즈를 착용하여 물체의 상이 망막에 맺히도록 교정(矯正)할 수 있다"

 

校庭 

교ː정 

校 나무(木) 교차하는(交) 법을 배우는 학교 교(校)

庭 집(广)에서 조정(廷)같이 꾸며놓은 뜰 정(庭)

나랏일을 짊어지러(壬) 길게 걸어(廴) 가는 조정 정(廷)

 

校訂*

교ː정 

校 학교 교 

* 바로잡을 정   正(X)

*말(言)에 고무래(丁)질로 바로잡을 정(訂)

출판물(出版物)의 잘못된 곳을 고침. 

校訂本 교정본


 

訂正 

*말(言)에 고무래(丁)질로 바로잡을 정(訂)

서류 내용 정정

 

正定 

번뇌로 인한 어지러운 생각을 버리고 마음을 안정

 집(宀)이 바르도록(正) 자리를 정할 정(定)

 

正丁 

직접 군역(軍役)에 나가는 사람

 

正正 

바르고 가지런하다

丁 고무래 정/장정 정

 

政 

바르게(正) 살도록 국민을 때리는(攵) 정사 정(政)

정사(政事: 나라를 다스리는 일), 정치(政治), 정책(政策)

물(氵)을 기쁘게(台) 흐르게 다스릴 치(治)

 

正 

바를 정

正體性 

정체성. 訂(X), 政(X)

참모습(바른 모습正體) 깨닫는 성질(性質)

 

情 

마음(忄)에서 푸르게(靑) 솟는 뜻 정(情)

 


矯導 

화살(矢)을 높이(喬) 날 수 있게 바로잡을 교(矯)
길(道)에서 손(寸)으로 하는 것은 인도할 도(導)

矯導官 교도관

 

敎徒

산가지(爻) 놓는 아이(子)를 때리는(攵) 것은 가르칠 교(敎)

걷고(彳) 달리기(走)를 함께 하는 무리 도(徒)

종교(宗敎)를 믿는 사람이나 그 무리

 


矯 

화살(矢)을 높이(喬) 날 수 있게 바로잡을 교(矯)

 

일찍 죽을(夭) 만큼 높은(高) 높을 교(喬)

夭折 요절. 나이 젊어서 죽음

 

나무(木)를 높은(喬) 곳에 걸쳐놓은 다리 교(橋)

橋脚 교각

몸(月)에서 가려고(去) 무릎을 굽히는(卩) 곳은 다리 각(脚)

 

말(馬)타고 높으니(喬) 교만할 교(驕)

驕慢 교만

마음(忄)이 늘어지는(曼) 것은 거만할 만(慢)

 

 

틀리기 쉬운 한자

 

見聞견문 謁見알현 見夢현몽 見身현신 讀書百遍義自見독서백편의자현 變更변경 更迭경질 三更삼경 更生갱생 內規내규 內人나인 制度제도 忖度촌탁 晝思夜度주사야탁 讀書독서 句讀點구두점
吏讀이두 洞里동리 洞察통찰 洞燭통촉 確率확률 統率통솔 食率식솔 率直솔직 回復회복 復舊복구 復活부활 重複중복 複雜복잡 否決부결 否運비운 北伐북벌 敗北패배 背信배신 不遜불손 不動부동 不知不識부지불식 索寞삭막 搜索수색 思索사색
探索탐색 要塞요새 梗塞경색 說明설명 說服설복

遊說유세 說樂열락 反省반성 省察성찰 省略생략 冠省관생 從屬종속 囑託촉탁 拾得습득 蔘拾삼십 數學수학 頻數빈삭 罟촉고 食堂식당 簞食단사 知識지식 標識표지 樂器악기 享樂향락
樂山水요산요수 善惡선악 憎惡증오 好惡호오

 

...... 

 

惡寒오한 交易교역 貿易무역 容易용이 平易평이 簡易간이 咽喉인후 嗚咽오열

刺客자객 諷刺풍자 刺殺척살 水刺수라 行狀행장 狀況상황 切斷절단 懇切간절 一切일체 辰宿진수 誕辰탄신 星辰서신 差等차등 參差참치 參拜참배 家宅가택 住宅주택 宅內댁내 暴虐포학 橫暴횡포 暴露폭로 降服항복 投降투항 降等강등 降臨강림 行脚행각 行列항렬 圓滑원활 滑稽골계 避難피난 避亂피란 醵出갹출 攻駁공박 誇張과장 攪亂교란 旗幟기치 缺乏결핍 口腔구강 固陋고루 傀儡괴뢰

矜持긍지 嗜好기호 乖괴팍 奇恥기치 敬虔경건
膏肓고황 內내흥 訥辯눌변 捺印날인 捏造날조
懦弱나약 賂物뇌물 拿捕나포 烙印낙인 難澁난삽 漏泄누설 拉致납치 懶怠나태 鹿茸녹용 鹿皮녹비 落穗낙수 瀆職독직 遝至답지 曇天담천 敦篤돈독 登攀등반 陶冶도야 撞着당착 獨擅독천 煤煙매연 蒙昧몽매 拇印무인 模糊모호 巫覡무격 明澄명징 敏捷민첩 冒險모험 萌芽맹아 矛盾모순 罵倒매도

盟誓맹세 未洽미흡 譬喩비유 憑藉빙자 剝奪박탈 反駁반박 頒布반포 敷衍부연 幇助방조 飛翔비상 不朽불후 頻繁빈번 撒布살포 辛辣신랄 馴致순치 蕭瑟소슬 詐欺사기 羞恥수치 使嗾사주 遡及소급 柴扉시비 奢侈사치 洗滌세척 騷擾소요 諡號시호 羨望선망 朔風삭풍 誓約서약 些少사소 刷新쇄신 相剋상극 阿諂아첨 誤謬오류 斡旋알선 陰崖음애 歪曲왜곡 渦中와중 軋轢알력 猶豫유예 安寧안녕

義捐金의연금 囹圄영어 訛傳와전 怨溝원구
箴言잠언 情誼정의 稠密조밀 造詣조예 遵守준수 眞摯진지 桎梏질곡 叱責질책 咫尺지척 傳播전파 刺戟자극 釣水조수 錯覺착각 斬新참신 慙愧참괴 懺悔참회 闡明천명 聰明총명 尖端첨단 涕泣체읍

推薦추천 剔抉척결 寵愛총애 錯誤착오 參酌참작 燦爛찬란 耽溺탐닉 彈劾탄핵 綻露탄로 攄得터득 妬忌투기 把握파악 破綻파탄 罷業파업 褒貶포폄 抛棄포기 頗多파다 毁損훼손 割引할인 賄賂회뢰 絢爛현란 詰難힐난 海苔해태 建設건설 健康건강 勤儉節約근검절약 儉素검소 身體檢査신체검사
檢擧검거 探究탐구 追求추구 救命구명 救出구출 救恤구휼 勤勞근로 勤愼근신 槪要개요 氣槪기개

慨嘆개탄 到達도달 到着도착 主客顚倒주객전도
謄本등본 昻騰앙등 暴騰폭등 沸騰비등 葛藤갈등 排列배열 羅列나열 分裂분열 四分五裂사분오열
熾烈치열 支離滅裂지리멸렬 浪漫的낭만적
散漫산만 怠慢태만 驕慢교만 買受매수 購買구매

販賣판매 賣票매표 歲暮세모 募集모집 稠密조밀 蜜語밀어 辨別변별 辯護변호 訥辯눌변 復位복위 回復회복 重複중복 複雜복잡 賞罰상벌 鑑賞감상 補償보상 損害辨償손해변상 參與참여 輿論여론
栽培재배 裁量재량 裁判재판 裁可재가 決裁결재 輸入抑制수입억제 管制관제 製作제작 成績성적 業績업적 功績공적 蓄積축적 堆積퇴적 奇蹟기적 遺蹟유적 金樽금준 國憲遵守국헌준수 浚渫준설

陣營진영 陳述진술 徵集징집 徵發징발 懲戒징계 懲罰징벌 勸善懲惡권선징악

貧賤빈천 微賤미천 淺薄천박 實踐실천 透徹투철 徹底철저 不撤晝夜불철주야

撤收철수 前轍전철 畜産축산 貯蓄저축 偏見편견 偏重편중 玉篇옥편 編曆편력

割引할인 管轄관할 王侯왕후 諸侯제후 氣候기후 徵候징후 佛敎徒불교도 徒言도언

無爲徒食무위도식 雨露우로 綻露탄로 發露발로
非違비위 非凡비범 非難비난 善惡선악 善用선용 事大사대 事君以忠사군이충 事件사건 雪山설산
雪辱설욕 雪恥설치 元帥원수 統帥통수 容貌용모 容共용공 容忍용인 容易용이 敵陣적진 匹敵필적 中立중입 的中적중 中佐肩중좌견 重量중량
重複중복 重視중시 疾病질병 疾視질시 疾走질주 却下각하 廓正확정 匡正광정 貢獻공헌 寄與기여 九泉구천 黃泉황천 憐憫연민 蓋然性개연성 可能性가능성 綿延면연 連綿연면 綿綿면면 延連연연

冒頭모두 虛頭허두 序頭서두 市井시정 閭閻여염 祿俸녹봉 食祿식녹 不和불화 陸梁육량 跋扈발호 湮滅인멸 烏有오유 精髓정수 眞髓진수 精華정화 桎梏질곡 羈靡기미 刹那찰나 須臾수유 片刻편각 瞬間순간 天賦천부 天稟천품 品位품위 品階품계 紅塵홍진 風塵풍진 塵世진세 裟사바 人間인간
下界하계 效用효용

 

...... 

 

效能효능 架空가공 實際실제 減少감소 增加증가 感情감정 理性이성 蓋然개연

必然필연 輕薄경박 重厚중후 輕率경솔 愼重신중 高踏的고답적 世俗的세속적 故意고의

過失과실 共鳴공명 反駁반박 灌木관목 喬木교목 歸納귀납 演繹연역 君子군자

小人소인 樂天的낙천적 厭世的염세적 內包내포 外延외연 曇天담천 晴天청천 間歇간헐

保守보수 革新혁신 進步진보 扶桑부상 咸池함지 敷衍부연 省略생략 非番비번

當番당번 貧寒빈한 富裕부유 奢侈사치 儉素검소 永劫영겁 榮轉영전 左遷좌천

偶然우연 必然필연 人工인공 自然자연 資本主義( ) 共産主義(공산주의) 專制主義(전제주의) 厚待후대

斬新참신 陳腐진부 抽象的추상적 具體的구체적 退嬰的퇴영적 進取的진취적 橫斷횡단 縱斷종단

薄待박대 獨斷독단 我執아집 叡智예지 傳承전승 存續존속 保護보호 保存보존

 

...... 

 

기출 고사성어

苛斂誅求(가렴주구).. 세금을 혹하게 받고 강제로 청구하여 국민을 못 살게 구는 일.

刻骨難忘(각골난망).. 남의 은혜가 마음깊이 세겨져 잊혀지지 아니함.

甘言利說(감언이설).. 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붙여 꾀는말.

甘呑苦吐(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사리에 옳고 그름을 돌보지 않고 자기 비위에 맞

으면 좋아하고 맞지 안으면 싫어한다는 뜻.

改過遷善(개과천선). 허물을 고치어 착하게 됨.

隔世之感(격세지감). 세대를 뛰어넘은 것 같은 느낌. 다른 세대와 같이 몹시 달라진 느낌. 세월이 많이 지

난 것 같은 느낌.

隔靴搔痒(격화소양). 신을 신고 가려운 데를 긁는다 함이니 ① 마음으로는 애써 하려하나 실제 효과는 얻

지 못한다는 말. ② 답답하여 안타깝다는 말.

牽强附會(견강부회). 이론이나 이유 등을 자기편에 유리하도록 끌어 붙힘.

犬馬之勞(견마지로). 개와 말의 노력,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

見蚊拔劍(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뺌. 곧 적은 일에 허둥지둥함.

敬而遠之(경이원지). ①겉으로는 공경하는 척하나 속으로는 멀리함. ②존경하기는 하되 가까이 하지는 아나함. 준).敬遠

傾國之色(경국지색). 나라가 기우러질 만큼의 뛰어난 미모. 예).양귀비,서시 같은 여인.

鷄卵有骨(계란유골).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말로 공교롭게 일이 방해됨을 이르는 말.

過猶不及(과유불급).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침은 도리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

管鮑之交(관포지교). 중국의 ‘관중과 포숙아 같은 친교‘라는 뜻으로, 친구사이가 다정함을 일컬음.

敎學相長(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면 서로가 성장한다

救國干城(구국간성). 나라를 구하여 지키는 믿음직한 군인이나 인물.

口尙乳臭(구상유취).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언어와 행동이 매우 유치함을 일컬음.

群鷄一鶴(군계일학). 많은 닭 가운데서 한 마리 학. 곧 많은 사람 중에서 뛰어난 인물.

橘化爲枳(귤화위지). 귤이 변해서 탱자가 됨. 환경의 영향이 크다는 뜻.

錦上添花(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함. ① 좋고 아름다운 것. ② 좋은 일이 겹친다는 뜻.

琴瑟之樂(금슬지락). 부부사이의 화락하고 다정함의 비유.

金枝玉葉(금지옥엽). ① 임금의 집안과 자손. ② 귀한 자손.

亂兄亂弟(난형난제). 형이라 부르기도 어렵고 아우라 부르기도 어렵다. 즉 실력이 비등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

 

...... 

 

泥田鬪狗(이전투구). 진흙 밭의 개싸움. 치열하게 싸우지만 결국 서로에게 아무 이득이 없는 싸움.

酒池肉林(주지육림). 술이 못을 이루고 고기가 숲을 이루었다는 뜻, 곧 호사를 극한 굉장한 술잔치를 두고

이르는 말.

衆寡不敵(중과부적). 적은 수효가 많은 수효를 감당하지 못함.

兎死狗烹(토사구팽). 토끼를 잡고 나면 개를 삶아먹는다.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다가 필요가 없어지면

헌 신짝처럼 버림.

風樹之嘆(풍수지탄).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 곧 나무가 고요하고자하나 바람이

멎지를 않고, 자식이 효도를 하고자하나 어버이는 이미 세상을 떠났다는 말.

昏定晨省(혼정신성). 밤에 잘 때에 부모의 침소에 가서 편히 주무시기를 여쭙고, 아침에 다시 가서 밤새

안부를 살피는 일.

 

...... 

 

유사, 반대, 연관 성어

1). 자기의 속마음까지 알아주는 진정한 친구나 그러한 사귐. ① 知音(지음). : 백아(伯牙).와 종자기(鍾子期). 사이의 고사로부터 (거문고). 소리를 알아듣는다

는 뜻에서 유래. ※ 보충). 伯牙絶鉉(백아절현).은 ‘친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② 水魚之交(수어지교). : 고기와 물과의 관계처럼 떨어질 수 없는 특별한 친분 ③ 莫逆之友(막역지우). : 서로 거역하지 아니하는 친구 ④ 金蘭之契(금란지계). : 금이나 난초와 같이 귀하고 향기로움을 풍기는 친구의 사이의 맺음(사귐). ⑤ 管鮑之交(관포지교). : 관중과 포숙의 사귐과 같은 친구 사이의 허물없는 교재 ⑥ 竹馬故友(죽마고우). : 어릴 때, 대나무 말을 타고 놀며 같이 자란 친구 ⑦ 刎頸之交(문경지교). : 대신 목을 내주어도 좋을 정도로 친한 친구의 사귐

2). 세상이 크게 변함 ① 桑田碧海(상전벽해). :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됨 ② 天旋地轉(천선지전). : 세상일이 크게 변함 ③ 吳越同舟(오월동주). : 서로 원수의 사이인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탐

(참고). 吳越同舟는 ①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 ② 세상일이 크게 변한다. ③ 아무리 원수지간이라도 위급한 상황에서는 서로 돕지 않을 수 없다 의 세 가지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3). 전혀 관계 없는 제 삼자가 이득을 취함. ① 漁父之利(어부지리). : 조개와 도요새가 서로 버티는 통에 어부가 둘을 다 잡아 이득을 봄 ② 犬兎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가 싸우다 지쳐서 둘 다 쓰러져 숨져 있는 것을 지나가던 농부가 주워서 이득을 봄

4). 여럿 가운데서 제일 뛰어난 것. ① 白眉(백미). : 마씨 오형제 중에서 가장 재주가 뛰어난 맏이 마량이 눈썹이 희었다는 데서 나온말 ② 鐵中錚錚(철중쟁쟁). : 같은 동아리 가운데 가장 뛰어난 사람을 비유

5). 어떤 일에 일관성이 없음. ①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 고려의 정책이나 법령은 기껏해야 사흘밖에 가지 못함 ② 早變夕改(조변석개). :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침 ③ 朝令暮改(조령모개). : 아침에 영(명령).을 내리고 저녁에 다시 고침

6).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함. ① 緣木求魚(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 ② 陸地行船(육지행선). : 뭍으로 배를 저으려 함 ③ 以卵投石(이란투석). : “달걀로 바위 치기”

7). 무척 위태로운 일의 형세 ① 風前燈火(풍전등화). : 바람 앞에 놓인 등불,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하는 말. ② 焦眉之急(초미지급). : 눈썹이 타면 끄지 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매우 다급한 일을 일컬음. ③ 危機一髮(위기일발). : 위급함이 매우 절박한 순간.(거의 여유가 없는 위급한 순간). ④ 累卵之勢(누란지세). : 새알을 쌓아놓은 듯한 위태로운 형세. ⑤ 百尺竿頭(백척간두). : 백척 높이의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 몹시 위태롭고 어려운 지경에 빠짐. ⑥ 如履薄氷(여리박빙). : 얇은 얼음을 밟는 것 같다는 뜻으로, 몹시 위험하여 조심함을 이르는 말. ⑦ 四面楚歌(사면초가). : 사방에서 적군 초나라 노랫소리가 들려옴. 사면이 모두 적에게 포위되어 고립된 상태. ⑧ 一觸卽發(일촉즉발). : 조금만 닿아도 곧 폭발할 것 같은 모양. 막 일이 일어날 듯하여 위험한 지경.

9).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① 進退兩難(진퇴양란). : 앞으로 나아가기도 어렵고 뒤로 물러나기도 어려움 ② 進退維谷(진퇴유곡). : 앞으로 나아가도 뒤로 물러나도 골짜기만 있음. 어쩔 수 없는 궁지에 빠진 상태 ③ 鷄肋(계륵). : ‘닭갈비’라는 뜻으로 먹자니 먹을 것이 없고, 버리자니 아까움

10). 아주 무식함. ① 目不識丁(목불식정). : ‘낫 놓고 기역자도 모름’ ② 魚魯不辨(어로불변). : ‘魚’자와 ‘魯’자를 분별하지 못함 ③ 一字無識(일자무식). : 글자 한자도 알지 못함

11). 화합할 수 없는 원수지간. ① 氷炭不相容(빙탄불상용). : 얼음과 숯불은 서로 용납되지 아니함 ② 氷炭之間(빙탄지간). : 얼음과 숯불의 사이(관계). ③ 不俱戴天之讐(불구대천지수). : 하늘을 함께 이고 살아갈 수 없는 원수

12). 평범한 사람들. ① 甲男乙女(갑남을녀). :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 ② 張三李四(장삼이사). : 장씨 세 사람과 이씨 네 사람(당시 흔했던 성씨임). ③ 匹夫匹婦(필부필부). : 한 쌍의 지아비와 한 쌍의 지어미 ④ 樵童汲婦(초동급부). : 나무하는 아이와 물긷는 아낙네

13). 대세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융통성이 없어 무척 고지식함. ① 刻舟求劍(각주구검). : 배에 금을 긋고 칼을 찾음 ② 膠柱鼓瑟(교주고슬). : 이교로 붙이고 거문고를 탐 ③ 守株待兎(수주대토). : 구습을 고수하여 변통할 줄 모름. 진보가 없음을 비유

14). 불치의 병처럼 굳어진 자연에 대한 애착 ① 泉石膏황(천석고황). : 산수를 사랑하는 것이 정도에 지나쳐 마치 불치의 고질과 같음 ② 煙霞痼疾(천석고황). : 깊이 산수의 경치를 사랑하고 집착하여 여행을 즐기는 고질 같은 성격

15). 아무리 실패하여도 그에 굴하지 아니함. ① 百折不屈(백절불굴). : 여러 번 꺾어져도 굽히지 않음 ② 七顚八起(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째는 꼭 일어남

16). 부모님에게 효도를 함. ① 昏定晨省(혼정신성). : 저녁에는 부모님의 잠자리를 정하고 아침에는 부모님께서 안녕히 주무셨는지를 살핌 ② 斑衣之戱(반의지희). : 부모를 위로하려고 색동 저고리를 입고 기어가 보임 ③ 反哺報恩(반포보은). : 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 ④ 風樹之嘆(풍수지탄). :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한 말.

(참고). 이는 “樹欲靜而風不止하고 子欲養而親不待니라”(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은 멎지 아니하고,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는 그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17). 누군가를 그리워하여 잊지 못함. ① 寤寐不忘(오매불망). : 자나깨나 잊지 못함 ② 輾轉反側(전전반측). : 누워서 이리 뒤척 저리 뒤척 잠을 이루지 못함 ③ 輾轉不寐(전전불매). : 누워서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 

 

55). 기쁨, 좋음과 관련된 성어. ①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② 弄障之慶(농장지경). : ‘장(障).’은 사내아이의 장난감인 ‘구슬’이라는 뜻으로, 아들을 낳은 기쁨. 또는 아들을 낳은 일을 이르는 말. ③ 弄瓦之慶(농와지경). : ‘와(瓦).’는 계집아이의 장난감인 ‘실패’라는 뜻으로, 딸을 낳은 기쁨을 이르는 말. ④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 위에 꽃을 놓는다는 뜻으로, 좋은 일이 겹침을 비유. ⑤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을수록 더욱 좋음. ⑥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57). 슬픔과 관련된 성어. ① 哀而不悲(애이불비). : 속으로는 슬프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김소월‘진달래꽃’의사상. ② 哀而不傷(애이불상). : 슬퍼하되 도를 넘지 아니함.

58). 비분(悲憤).과 관련된 성어. ① 天人共怒(천인공노). : 하늘과 땅이 함께 분노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의 불행을 슬퍼한다. ② 含憤蓄怨(함분축원). : 분하고 원통한 마음을 품음. ③ 悲憤慷慨(비분강개). : 슬프고 분한 느낌이 마음속에 가득 차 있음. ④ 切齒腐心(절치부심). :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면서 속을 썩임.

59). 무례와 관련된 성어. ① 傍若無人(방약무인). : 곁에 사람이 없는 것 같다는 뜻. 거리낌없이 함부로 행동함. ② 眼下無人(안하무인). : 방자하고 교만하여 사람을 모두 얕잡아 보는 것. ③ 回賓作主(회빈작주). : 주장하는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함. ④ 厚顔無恥(후안무치). :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름. ⑤ 破廉恥瀚(파렴치한). : 염치를 모르는 뻔뻔한 사람. ⑥ 天方地軸(천방지축). : 함부로 날뛰는 모양.

60). 불행과 관련된 성어. ①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 가 덮인다는 뜻으로, 불행한 일이 거듭하여 겹침을 비유. ② 七顚八倒(칠전팔도). :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거꾸러진다는 말로, 실패를 거듭하거나 몹시 고생함을 이르는 말. ③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61). 행복과 관련된 성어. ① 前途有望(전도유망). : 앞으로 잘 될 희망이 있음. 장래가 유망함. ② 風雲兒(충운아). : 좋은 기회를 타고 활약하여 세상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 ③ 遠禍召福(원화소복). : 재앙을 물리쳐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62). 出衆한 사람. ① 群鷄一鶴(군계일학). : 닭의 무리 가운데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 여럿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사람.

② 棟梁之材(동량지재). : 한 집안이나 한 나라의 기둥이 될 만한 훌륭한 인재. ③ 鐵中錚錚(철중쟁쟁). : 평범한 사람 가운데서 특별히 뛰어난 사람. ④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띄게됨을 이르는 말. ⑤ 泰斗(태두). : 남에게 존경받는 뛰어난 존재. 泰山北斗의 준말. ⑥ 綺羅星(기라성). :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 즉, 실력자들이 늘어선 것을 비유하는 말.

63). 속담과 관련된 성어Ⅰ. ① 得朧望蜀(득롱망촉). : 말 타면 경마(말의 고삐). 잡히고 싶다. 농땅을 얻고 또 촉나라를 탐낸다는 뜻으로 인간의 욕심이 무한정 함을 나타냄. ② 磨斧爲針(마부위침).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도끼를 갈면 바늘이 된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렵고 험난한 일도 계속 정진하면 꼭 이룰 수가 있다는 말. ③ 登高自卑(등고자비). :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일을 하는 데는 반드시 차례를 밟아야 한다는 말. ④ 狐假虎威(호가호위). : 원님 덕에 나팔 분다.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어서 위세를 부림. ⑤ 金枝玉葉(금지옥엽). : 불면 꺼질까 쥐면 터질까. 아주 귀한 집안의 소중한 자식. ⑥ 同族相殘(동족상잔). : 갈치가 갈치 꼬리 문다. 동족끼리 서로 헐뜯고 싸움.

64). 속담과 관련된 성어Ⅱ. ① 螳螂拒轍(당랑거철).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사마귀가 수레에 항거한다”는 뜻으로 자기 힘을 생각하지 않고 강적 앞에서 분수없이 날뛰는 것을 비유한 말. ② 烏飛梨落(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계도 없는 일인데 우연히 때가 같음으로 인하여 무슨 관계가 있는 것처럼 의심을 받게 되는 것. ③ 咸興差使(함흥차사). : 강원도 포수. 일을 보러 밖에 나간 사람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을 때 하는 말. ④ 走馬加鞭(주마가편). : 닫는 말에 채찍질 하랬다. 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잘되어

가도록 부추기거나 몰아침. ⑤ 走馬看山(주마간산). : 수박 겉 핥기.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수를 본다는 뜻으로 바쁘게 대충 보며 지나감을 일컫는 말. ⑥ 矯角殺牛(교각살우). :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 곧 조그마한 일을 하려다 큰 일을 그르친다는 뜻. ⑦ 牝鷄司晨(빈계사신).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집안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활달하여 안팎 의 일을 간섭하면 집안 일이 잘 안 된다는 말.

 

...... 

 

 

기출 한자 어원 암기

 

......

자세한 암기법

 

공무원 한자 공부법 '어원 語源 연상 암기'

 

 

교보문고 바로가기

교보문고 바로가기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