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ㄴ' 첨가,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얄긋얄긋[얄근냘귿/얄그댤귿], 얄찍얄찍[얄찡냘찍/얄찌걀찍], 얄팍얄팍[얄팡냘팍/얄파걀팍], 얇실얇실..

Jobs 9 2022. 10. 26. 09:05
반응형

● 'ㄴ' 첨가

합성어, 파생어, 구 등에서 앞 형태소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 형태소의 두음이 '야, 여, 요, 유, 이, 예'일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어, [냐, 녀, 뇨, 뉴, 니, 녜]로 발음될 수 있다. 첨가 현상은 어휘의 차이에 따라 일어나는 수의적 음운현상이므로 단어나 구에 따라 일어나지 않기도 한다.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배:봉냑] 한-여름[한녀름] 남존-여비[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색-연필[생년필] 직행-열차[지캥녈차]
늑막-염[능망념] 콩-엿[콩녀ㄷ] 담-요[담:뇨]
눈-요기[눈뇨기] 영업-용[영엄뇽] 식용-유[시굥뉴]
국민-윤리[궁민뉼리] 밤-윳[밤:뉴ㄷ]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검열[검:녈/거:멸] 욜랑-욜랑[욜랑뇰랑/욜랑욜랑]
금융[금늉/그뮹]

[붙임 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소리는 [ㄹ]로 발음한다.

들-일[들:릴] 솔-잎[솔립] 설-익다[설릭따]
물-약[물략] 불-여우[불려우] 서울-역[서울력]
물-엿[물려ㄷ] 휘발-유[휘발류] 유들-유들[유들류들]
[붙임 2]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는 이에 준한다.
한 일[한닐] 옷 입다[온닙따] 서른 여섯[서른녀섣]
3연대[삼년대] 먹은 엿[머근녀ㄷ] 할 일[할릴]
잘 입다[잘립따] 스물 여섯[스물려섣] 1연대[일련대]
먹을 엿[머글려ㄷ]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6·25[유기오] 3·1절[사밀쩔] 송별연[송:벼련]
등용-문[등용문]

 

(1)합성어, 파생어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늦익다[는닉따], 설익다[설릭따], 막일[망닐], 겉여물다[건녀물다], 늦여름[는녀름], 된여울[된녀울], 삯일[상닐], 맨입[맨닙], 맨이름[맨니름], 헛일[헌닐], 헛열매[헌녈매], 꽃잎[꼰닙], 업신여기다[업씬녀기다], 한여름[한녀름], 올여 름[올려름], 불여우[불려우], 백여우[뱅녀우], 짓이기다[진니기다], 콩엿[콩녇], 물엿[물 렫], 밤윷[밤뉻], 참윷[참뉻], 물약[물략], 내복약[내봉냑], 두통약[두통냑], 서울여고[서 울려고], 금산여고[금산녀고], 남존여비[남존녀비], 신여성[신녀성], 직업여성[지검녀성], 색연필[생년필], 색유리[생뉴리], 수학여행[수항녀행], 졸업여행[조럼려행], 서울역[서울 력], 설립연도[설림년도], 대전역[대전녁], 출생연도[출쌩년도], 교육열[교융녈], 향학열 [향항녈], 직행열차[지캥녈차], 늑막염[능망념], 장염[장념], 그림엽서[그림녑써], 우편엽 서[우편녑써], 중급영어[중금녕어], 초급영어[초금녕어], 구속영장[구송녕짱], 징집영장 [징짐녕짱], 기본예절[기본녜절], 우편요금[우편뇨금], 공공요금[공공뇨금], 궁중요리[궁 중뇨리], 청요리[청뇨리], 영업용[영엄뇽], 비축용[비충뇽], 식용유[시굥뉴], 휘발유[휘발 류], 국민윤리[궁민뉼리], 개인윤리[개인뉼리], 겉욕심[건뇩씸], 된욕[된뇩], 단풍잎[단풍 닙], 담요[담뇨], 눈요기[눈뇨기], 샛요기[샌뇨기] 

 

(2)구

두 어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구는 이어서 발음하면 'ㄴ' 첨가가 일어나는데, 끊어서 발음하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다.

한 일[한닐], 옷 입다[온닙따], 서른 여섯[서른녀섣], 먹은 엿[머근 녇], 할 일[할릴], 이런 일[이런 닐], 잘 입다[잘립따], 스물 여섯[스물려섣], 일 연대[일련대], 먹을 엿[머 글렫], 김 여사[김녀사], 김 약국[김냑꾹]

 

▣주의할 점

▶ 'ㄴ' 첨가가 일어나기도 하고 일어나지 않기도 하는 것: 같은 음절이 반복되는 다음 의태어가 이에 해당한다.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얄긋얄긋[얄근냘귿/얄그댤귿], 얄찍얄찍[얄찡냘찍/얄찌걀찍], 얄팍얄팍[얄팡냘팍/얄파걀팍], 얇실얇실[얄씰랼씰/얄씨랼씰], 욜랑욜랑[욜량뇰랑/용량욜랑], 유들유들[유들류들/유드류들], 이죽이죽[이중니죽/이주기죽], 얄기죽얄기죽[얄기중냘기죽/ 얄기주걀기죽] ※용용[용뇽](○) [용용](×), 의기양양[의기양양](○) [의기양냥](×), 전도양양[전도양양](○) [전도양냥](×)

▶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 말: 2음절 한자어는 일반적으로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고, 3음절 이상의 한자어나 '고유어+한자어'로 짜여진 일부 단어도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있다.

절약[저략], 활약[화략], 독약[도갹], 안약[아냑], 결여[겨려], 금연[그면], 인연[이년], 발열[바렬], 흡열[흐별], 촬영[촤령], 강요[강요], 활용[화룡], 굴욕[구룍], 물욕[무룍], 함유[하뮤], 경유[경유], 중유[중유], 석유[서규], 송별연[송벼련], 등용문[등용문], 3.1절 [사밀쩔], 월요일[워료일], 목요일[모교일], 금요일[그묘일], 6․25[유기오], 몰이해[모리 해], 몰인정[모린정], 불이익[부리익], 역이용[여기용], 눈인사[누닌사], 첫인사[처딘사], 첫인상[처딘상], 그림일기[그리밀기]

※ 'ㄴ' 첨가가 일어나기도 하고 일어나지 않기도 하는 2음절 한자어: 검열[검녈/거멸], 금융[금늉/그뮹]

▶사람 이름에 쓰는 '룡(龍)'과 '용(用 , 容)'의 발음: '룡(龍)'은 사람 이름의 끝에 쓸 때에는 '룡'으로 쓰고 [룡], [뇽]으로 발음한다. '용(用 , 容)'은 사람 이름의 끝에 쓸 때에는 ‘용’으로 쓰고 발음을 [룡], [뇽]으로 하지 않는다.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유성용(柳成用)[유성용], 유성룡(柳成龍)[유성뇽], 이헌용(李憲容)[이허뇽], 이헌룡(李憲 龍)[이헐룡], 이을용(李乙用)[이으룡], 이을룡(李乙龍)[이을룡], 박일용(朴日容)[박이룡], 박일룡(朴日龍)[박일룡], 김성용(金成容)[김성용], 김성룡(金成龍)[김성뇽], 김창용(金昌 用)[김창용], 김창룡(金昌龍)[김창뇽]

 

반응형

 


 Q  ㉠ ~ ㉣에 해당하는 예로 옳지 않은 것은?

 

「표준 발음법」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예) 색-연필[생년필] 
○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 ㉠
예)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
○ [붙임 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음한다. ······························ ㉡
예) 서울-역[서울력]
○ [붙임 2]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
예) 잘 입다[잘립따]
○ 다만,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 ㉣
예) 3.1절[사밀쩔]


① ㉠: 혼합약   ② ㉡: 휘발유
③ ㉢: 열여덟   ④ ㉣: 등용문

【해설】 정답 

표준발음법에 나온 예시의 문장과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가를 물어보는 문제. 표준발음법에서 ‘ㄴ’첨가의 경우를 물어보고 있다.

예) 야금-야금[야금냐금/야그먀금]은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라는 밑줄의 내용을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 혼합약 : ‘혼합+약→혼합냑→혼함냑’으로 음운의 변동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비음화가 더 첨가되어 있다.

②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음한다. 예) 서울-역[서울력] : 서울녁(ㄴ‘첨가)→서울력(유음화)’

㉡: 휘발유[휘발류] : 휘발뉴(ㄴ‘첨가)→휘발류(유음화)

③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예) 잘 입다[잘립따] : 잘닙따(ㄴ‘첨가, 된소리)→잘립따(유음화)

㉢ : 열여덟[열여덜] : 열녀덜(ㄴ‘첨가)→열려덜(유음화)

④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는 ‘ㄴ(ㄹ)’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예) 3.1절[사밀쩔]

㉣: 등용문[등용문]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