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 445

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국제 핵융합 실험로, 카다라슈(Cadarache)

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국제 핵융합 실험로ITER은 상용화 가능 최소 핵융합 효율의 확실한 달성을 목표로 하는 국제공동 핵융합 실험으로서,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29개국), 중국, 인도, 일본, 대한민국 등 총 35개국이 참여하며 캐나다, 카자흐스탄, 태국, 호주와는 비회원 협력 관계에 있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국제연구개발사업이다. 이에 비견할 만한 국제 합동 프로젝트는 국제우주정거장, LHC, 아르테미스 계획 정도 밖에 없다. 건설단계 사업비로만 약 71.1억 유로(약 9조5천억원), 총 사업비로는 약 131.8억 유로(약 17조 원)가 투입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후 사업 예상비가 200억 유로 넘게 늘었다. 참고..

판구조론, 베게너

판구조론 독일의 기상학자 베게너는 대서양 양쪽 대륙의 암석 및 지질구조, 화석의 상호 유사성을 증거로 대서양 양쪽 대륙이 원래 붙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양쪽 대륙이 지형상으로 잘 맞추어질 뿐만 아니라, 암석의 지질시대와 구조적 방향성 등의 지질학적 유사성, 화석과 고기후 자료, 빙하의 흔적 등 여러 증거를 통하여 현재는 베게너의 학설이 판구조론이라는 더욱 발전된 학설이 되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판구조론은 지구의 겉껍데기는 몇 개의 움직일 수 있는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판의 운동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화산, 지진 등 지구 표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된다고 하는 이론이다.   지구 표면은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이를 알기 위해서는 지구 내부의 구조를 다시 한번 ..

해일, 조석, 기조력

해일해저 지진이나 폭풍 등에 의해 해수면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서 해수가 육지로 넘쳐오르는 현상이다.① 폭풍 해일 : 태풍이 접근할 때 낮은 중심 기압과 강한 바람에 의한 해수의 축적으로 해수면이 크게 상승한다. 이때 발생한 해파가 연안으로 오면서 파고가 매우 높아져 피해를 입힌다. 폭풍 해일은 태풍이 접근할 때 만조 시각과 겹치게 되면 더 큰 피해를 준다. 기압이 1hPa 낮아지면 해수면 높이는 약 1cm 상승한다. 따라서 중심 기압이 963hPa인 태풍에 의해서 해수면은 약 0.5m 상승한다.② 지진 해일(쓰나미) : 해저에서 발생한 화산 폭발, 지진에 의한 단층 작용 등의 갑작스런 지각 변동에 의해 지반의 상하 이동이 일어나는 경우에 발생한 해파가 연안으로 오면서 파고가 매우 높아져 피해를 입힌다. ..

세포골격(cytoskeleton), 세포질

세포골격(細胞骨格, cytoskeleton) 세포 내의 골격기관으로 다른 세포소기관과 마찬가지로 세포질에 포함되어 있다. 세포골격은 모든 세포, 즉 식물 세포나 동물 세포, 혹은 진핵세포나 원핵세포 모두에 존재한다. 유동적인 구조인 세포골격은 세포 형태를 유지하게 해주며, 그럼에도 편모나 섬모와 같은 구조와 함께 세포가 어느 정도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도 하며, 또한 세포내 수송(예를 들어 소포의 이동) 및 세포분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⑴ 세포골격(cytoskeleton) : 진핵생물에만 존재, 미세소관, 중간섬유, 미세섬유로 구분    ⑵ 미세소관(microtubule) : 직경 25 nm.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에 존재① 기능 : 세포의 모양 유지, 세포 수준 운동, 세포 내 수송 소낭○ 중..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세포소기관

물질대사 세포소기관 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 진핵세포의 에너지 생성 세포소기관① 이중막 구조 : 외막과 내막, 막간 공간(intermembrane space)으로 구분② 외막○ 포린(열린 통로) 존재 : 5,000 Da보다 작은 물질(예 : 이온)은 자유롭게 드나듦○ TOM, SAM(sorting and assembly machinery) 등이 존재○ TSPO(translocator protein)○ 콜레스테롤을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수송○ 포르피린 이동, 헴 합성, 스테로이드 합성 등에 이용 ○ apoptosis, proliferation 등에 관여○ 신경 염증, 종양 등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되는 외막 막단백질○ 막간 공간의 고농도의 H+는 포린으로 나가지 못함③ 내막○ 원핵생물의 원형..

글리코겐, glycogen, 포도당(glucose)

글리코젠(glycogen) 또는 글리코겐(독일어: Glykogen) 사람 동물, 균류, 세균에서 에너지 저장의 한 형태로 작용한다. 포도당(glucose)을 기본으로 하며 복잡한 가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다당류, 중합체이다. 글리코젠의 구조는 체내 포도당의 주요 저장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글리코젠은 두 가지 장기 에너지 저장 형태 중 하나로 기능하며, 다른 한 가지 형태는 지방 조직(즉, 체지방)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이다. 사람에서 글리코젠은 주로 간과 골격근의 세포에서 만들어지고 저장된다. 간에서 글리코젠은 장기 무게의 5~6%를 차지할 수 있고, 70 kg 의 체중을 가진 성인의 간은 약 100~120 g 의 글리코젠을 저장할 수 있다. 골격근에서 글리코젠의 낮은 농도(근육 질량의 1~2%)로 발견되..

회귀 분석, 回歸分析, regression analysis,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회귀 분석, 回歸分析, regression analysis,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통계학에서 회귀 분석(回歸分析, 영어: regression analysis)은 관찰된 연속형 변수들에 대해 두 변수 사이의 모형을 구한 뒤 적합도를 측정해 내는 분석 방법이다. 회귀분석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나 어떤 영향, 가설적 실험, 인과 관계의 모델링등의 통계적 예측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가정이 맞는지 아닌지 적절하게 밝혀지지 않은 채로 이용되어 그 결과가 오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통계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분석이 용이해져서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지만 분석 방법의 선택이 적절했는지 또한 정보 분석이 정확한지 판단하는 것은 연구자에 달려 있다. 전개 하나의 종속변수와 하나의 독립..

편서풍, 계절풍

● 편서풍 대부분의 기상현상이 서에서 동으로 변화는 이유는 편서풍 때문입니다. 편서풍이란 서쪽으로 기울어진 풍향을 가진 바람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대기 대순환계에서 중위도에 발달하는, 서에서 동으로 향해 부는 대상류를 말합니다. 즉 남·북반구의 아열대 고압대에서 극쪽으로 부는 바람이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하여 서쪽으로 기우는 바람이 됩니다. 편서풍에는 중위도 지방의 지상에서 대류권 계면으로부터 부는 중위도 편서풍, 겨울철 성층권 부근에서 부는 극야 편서풍, 열대 지방의 상공에서 나타나는 국지적인 편서풍이 있습니다. 중위도 편서풍은 항상 존재하며 북반구에 비해 약하지만 남반구에서도 존재합니다. 즉 편서풍이란 지구의 자전력으로 인해 위도상 30~50도 사이에 서쪽으로 일정하게 부는 상층부의 바람..

3대 학술지, 네이처, 사이언스, 셀

정보의 정확성과 객관성이 중요한 연구자료를 기반지식이 부족한 비전문가가 찾아 볼 때는 어쩔 수 없이 학술지의 수준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그래서 학술지들을 소개하기 전에 먼저 논문의 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인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웹오브사이언스(Web of Science) 웹오브사이언스는 클래리베이트 어낼리틱스(Clarivate Analytics)에서 엄정한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매년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학술지를 선정하여 분류하는 색인 서비스다. 과학 분야 논문이나 학술지의 수준을 따질 때, SCI 급인지를 묻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웹오브사이언스에서 해당 논문이 실린 학술지를 검색해보는 식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색인..

네이처, NCS, 영국, 세계 3대 학술지, 생명과학, 물리, 화학, 지구과학, 천문학

네이처, NCS, 영국, 세계 3대 학술지, 생명과학, 물리, 화학, 지구과학, 천문학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사이언스, 셀과 함께 세계 3대 학술지 (혹은 NCS)로 불리우는 종합 과학 저널(Multidisciplinary Science Journal) 1869년 영국에서 창간되었다. 원래는 다윈의 열렬한 지지자인 토머스 헉슬리(디스토피아 소설 멋진 신세계을 집필한 올더스 헉슬리의 할아버지)가 1864년에 '자연사 리뷰'를 창간했는데, 재정 문제로 폐간된 뒤에 '리더'라는 평론지를 만들었다가 또 폐간되었다. 그러고나서 편집자 중 한 명이던 노먼 로키어가 1869년 다시 창간하게 되었으며, 헉슬리는 창간호의 권두문을 쓰고 로키어는 50년간 편집장을 지냈다. 현대는 대략 5~6만부씩을 발행한다. 게재되..

열역학 법칙, 열역학 제0법칙 - 열평형 법칙, 열역학 제1법칙 - 에너지보존법칙, 열역학 제2법칙 - 엔트로피 증가 법칙, 열역학 제3법칙 - 절대 영도에서 계의 엔트로피는 0

열역학 법칙열역학 제0법칙 - 열평형 법칙열역학 제1법칙 - 에너지보존법칙열역학 제2법칙 - 엔트로피 증가 법칙열역학 제3법칙 - 절대 영도에서 계의 엔트로피는 0  ● 열역학 법칙열역학적 과정에서 열과 일에 관한 법칙 1. 열역학 제0법칙 - 열평형 법칙- 온도가 다른 물체를 접촉시키면 높은 온도를 지닌 물체의 온도는 내려가고 낮은 온도의 물체의 온도는 올라가서 결국 두 물체는 열평형 상태가 된다. 2. 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보존법칙- 하나의 계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는 형태만 바뀔 뿐 에너지의 총량은 일정하다는 것- 고립된 계의 에너지는 일정하다는 것- 에너지의 형태가 바뀌거나 에너지가 다른 곳으로 흘러간다 하더라도 에너지의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 - dU = dQ - dW ( U: 계의 내부에너지, ..

플라즈마, Plasma, 제 4의 물질, 별, 오로라, 번개, 대기권의 전리층(이온층, ionosphere), 쿼크 글루온 플라즈마(Quark Gluon Plasma)

플라즈마, Plasma, 제 4의 물질 제 4의 물질 상태라고 알려져 있는 물질의 형태이다. 강력한 전기장 혹은 열원으로 가열되어 기체상태를 뛰어넘어 전자, 중성입자, 이온 등 입자들로 나누어진 상태. 이때는 전하 분리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음과 양의 전하수가 같아서 중성을 띠게 된다. 전자가 열을 받아 원자에게서 자유로워지면 끝이기 때문에 당연히 어떤 원소든 플라즈마화 될 수 있으며, 전자의 탈출로 인해 전하를 띠기 때문에 전자기장으로 가두거나 특정 방향으로 가속시킬 수도 있다. 이를 실제로 특정 방향으로 가속하는 방법으로 이용한 것이 우주선 등에 쓰이는 이온 엔진이고 적절한 밀도와 열을 가진 플라즈마를 임의의 시간하에 전자기장으로 가두는 것이 핵융합 발전의 핵심이다. 플라즈마 학문적 정의 ..

복잡계, 複雜系, Complex system, 다중 요소 중첩, 정태적 복잡도

복잡계, 複雜系, Complex system, 다중 요소 중첩 일반인이 생각하는 ‘복잡하다’라는 단어는 ‘어렵다’와 같은 의미를 쓰이고 있지만 이는 이해하는 순간 복잡하지 않게 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과학에서의 복잡계란 이해하였다고 하여 복잡성(complexity)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수많은 구성 요소들과 그들이 강하게 영향을 주고받는 상태를 복잡계라 부른다. 복잡계에 대한 해석이나 관점은 각 학문 분야와 학자들마다 다르다. 그러나 공통적인 정의는 분명히 있는데, "다중의 요소들이 중첩적으로 인과관계가 분리가 안되어서 단순한 미분방정식이나 단순한 논리체계로는 환원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삼체문제나 신경세포나 동물 따위가 셋을 넘기만 해도 계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복잡해지며 그 이상으로 넘어..

연소반응, 탄화수소 완전연소반응식, 탄화수소 불완전연소반응식-조건으로 CO, CO2 생성

● 연소반응 탄화수소 + 산소 → 이산화탄소(CO2)+ 물(H2O) 메탄 :CH4 (g) + 2O2 (g) → CO2 (g) + 2H2O (g) 나프탈렌:C10H8 + 12O2 (g) → 10CO2 (g) + 4H2O (g) 에탄:2C2H6 + 7O2 (g) → 4CO2 (g) + 6H2O (g) 부탄 : 2C4H10 (g) + 13O2 (g) → 8CO2 (g) + 10H2O (g) 메탄올 : 2CH3OH (g) + 3O2 (g) → 2CO2 (g) + 4H2O (g) 프로판 : 2C3H8 (g) + 7O2 (g) → 6CO2 (g) + 8H2O (g) ● 탄화수소 완전연소반응식 ● 탄화수소 불완전연소반응식-조건으로 CO, CO2 생성

기압경도,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

⑸ 바람을 일으키는 힘 ① 기압경도력② 전향력③ 원심력④ 마찰력 : 1 km 이하에서만 나타남 ⑹ 기압경도에 따르는 바람① 지균풍(地均風, geostrophic wind)전향력과 기압경도력의 크기가 같을 때 나타나는 이론적인 바람으로, 고도가 1km보다 높은 곳에서 등압선에 나란하게 부는 바람이다.지균풍을 불게 하는 상태를 지균(geostrophic balance)이라 한다. 지균풍은 등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분다. 실제 자연에서는 이런 지균 상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실제 바람은 마찰력 따위 다른 힘들의 작용으로 인해 지균에서 벗어나게 된다. 지균풍이 불기 위해서는 마찰이 없어야 하고 등압선이 완전히 직선이어야 한다. 그러나 열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대기에서 바람은 지균풍에 ..

해수의 운동과 순환, 해파, 풍랑, 너울, 연안 쇄파, 심해파, 천해파

해파, 海波, sea wave해수 표면에서 생긴 교란이 파동의 형태로 퍼져 나가면서 발생하는 물입자의 주기적인 승강 운동. 쉽게 말해 파도. (1) 해파의 발생 주로 해수면 위에서 부는 바람에 의해 발생하며, 해저 지진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2) 해파의 요소 ① 마루와 골 : 해파에서 수면이 가장 높은곳을 마루, 가장 낮은 곳을 골이라고 한다. ② 파장 : 마루(골)와 마루(골) 사이의 수평 거리이다. ③ 파고 :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이다. ④ 주기 : 수면 위의 어떤 지점을 마루(골)가 지나간 후 다음 마루(골)가 지나갈 때까지 걸린 시간이다. ⑤ 전파 속도 : 해파의 파장과 주기를 알면 전파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전파 속도 = 파장/주기 (3) 해파와 물 입자의 운동 바다에서 해파가 ..

일기예보, 기단(氣團), 기단의 분류, 북극기단, 대륙성극기단, 해양성극기단, 대륙성열대기단, 해양성열대기단, 적도기단, 계절풍기단, 상층기단, 기단의 변질

일기예보 ⑴ 일기예보의 필요성 ⑵ 기단의 발생기단(氣團)수평 방향으로 성질이 비슷하며 거대한 공기 덩어리거대한 공기 덩어리가 비슷한 성질을 가져야 하므로 주로 평평하고 넓은 공간에서 생성되는데 드넓은 대륙이나 해양이 일반 예다.또, 바람이 불지 않아 공기가 정체되어야 생성되기 쉽다. 따라서 바람이 적고 약하여 공기 성질이 안정된 고위도나 저위도 지방에서 주로 생성되며, 편서풍이 강하고 전선이 자주 발달하며 기압 배치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중위도 지역에서는 기단이 생성되기 어렵다.  기단은 공기가 발생된 장소의 특성을 띠는데 해양에서 생성된 것은 습기가 많고 육지에서 생성된 것은 건조하다. 또 위도에 따라서 고위도(극지방)에서 생성된 것은 차갑고(한랭) 저위도(적도)에서 생성된 것은 뜨거운(온난..

2차 전지, 二次電池, rechargeable battery, 바나듐 이온 전지, 리튬 이온, 니켈 수소, 니켈 카드뮴, 리튬 폴리머

2차 전지(二次電池, 영어: rechargeable battery, storage battery, secondary cell), 이전 명칭 축전지(蓄電池, 영어: accumulator)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 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메탈 수소 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이차 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primary cell)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모두 제공한다. 이차 전지는 표준 ..

진핵생물, 원핵생물, 미토콘드리아, 색소체, 세포 내 공생설, Eukaryota, Prokaryotes, 세균(bacteria), 고균(archea)

진핵생물, 眞核生物, Eukaryota 세포 구조가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생물. 세포 내 공생설 거의 모든 진핵생물은 미토콘드리아를 세포소기관으로 가지고 있다. 식물과 조류(Algae)를 포함하는 일부 진핵생물은 미토콘드리아와 함께 색소체라는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와 색소체의 염기서열은 핵의 염기서열과 상당히 차이가 나기 때문에 외부의 원핵세포가 고세균에서 진화한 원시진핵세포로 들어와 공생관계를 형성한 것이 시초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에 색소체 내부공생에 대한 새로운 가설이 발표되었다. 그림은 연구결과를 통해 제안된 두가지 내공생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진핵세포의 소기관 공통 핵 소포체 조면소포체 활면소포체 골지체 사립체 리소좀 80s 리보솜 일부 생물만 가짐 색소체 (Plastid - 식..

화학식, 분자식, 실험식, 시성식, 구조식, Lewis 구조식

● 화학식 - 화학식(Chemical Formulas) 원소기호를 사용하여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인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나타낸 식이다. 이 중 실험식은 성분원소의 종류와 그들의 상대적인 비를 나타낸 것, 시성식은 분자의 특성을 알 수 있도록 작용기를 써서 나타낸 식, 분자식은 분자를 이루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나타낸 식, 구조식은 화합물 내에서 원자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결합선으로 나타낸 화학식이다. ≫≫ 물질(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나타낸 식 ≫≫ 원자의 종류는 원소기호로(즉, 영문자로), 원자의 개수는 아라비아 숫자로 나타낸다. ≫≫ 원소기호와 아라비아 숫자로 물질을 간단히 나타내는(표시하는) 방법 예) O2, CH4, H2O - 화학식 종류 ① 분자식 : 각 원소별로 개수를..

대기의 운동, 대기를 움직이는 힘, 대기안정도, 기압, 기압경도력, 전향력

대기의 운동 ⑴ 기압의 측정 ⑵ 바람의 측정 ① 풍속 : 풍속은 보통 로빈송풍속계나 다인즈 풍압계를 써서 관측 ② 풍배도 ⑶ 열의 복사운동 ① 태양복사 ② 지구대기에 의한 태양복사의 감쇠 ③ 지구반사율 ⑷ 대기안정도(atmospheric stability) ① 단열감률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서 단열작용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는 정도 ○ 단열감률선 : 단열감률을 적용하여 얻은 고도에 따른 기온 ② 기온감률 : 외부 요인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는 정도 ○ 기온변화선 : 기온감률을 적용하여 얻은 고도에 따른 기온 ③ 안정 : 단열감률 > 기온감률 ○ 지상 ~ 특정 고도 :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 ○ 특정 고도 ~ :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 ○ 지상 ~ 특정 고도 : 공기 덩어리 상승 ○ 특정 고도 ~ : ..

스모그(smog), 런던형 스모그(황화물 스모그), LA 스모그(광화확 스모그), 자연 발생 스모그, 혼합형 스모그, 우리나라 스모그

스모그(smog) 스모그(smog)는 smoke(연기)와 fog(안개)의 합성어로,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공장에서 내뿜는 연기와 같이 오염된 공기가 안개와 같이 한곳에 머물러 있는 상태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석탄을 태우면 나오는 이산화황과 일산화탄소 등이 안개나 햇빛과 만나 스모그를 일으킨다. 스모그가 발생하면 하늘이 뿌옇게 되고,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가 짧아져 대기오염이 심하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요. 동물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고, 식물은 말라죽을 수 있는 심각한 대기오염의 일종 ​ 스모그 종류 ● 런던형 스모그(황화물 스모그) 런던형 스모그는 공장이나 가정의 난방 시설에서 나오는 오염 물질로 만들어지는 검은색 스모그로, 주로 겨울철에 나타나며, 1952년에 영국 런..

수증기로 인한 현상, 물의 세 가지 상태, 습도, 단열포화온도, 단열변화, 단열감률

수증기로 인한 현상 ⑴ 물의 세 가지 상태 ① 잠열(숨은 열) : 물질의 상태변화가 일어날 때 출입하는 열, 온도변화가 없음 ② 증발 : 물 → 수증기, 잠열을 흡수 ③ 액화 : 수증기 → 물, 잠열을 방출 ④ 융해 : 얼음 → 물, 잠열을 흡수 ⑤ 응고 : 물 → 얼음, 잠열을 방출 ⑥ 물의 순환 : 지구상의 물은 상태변화를 거치면서 지표와 대기 사이를 순환 ⑵ 기온 ⑶ 습도 ① 응결 : 수증기의 양은 한계가 있어서, 그 이상이 되면 물방울을 만드는 것 ② 응결핵과 승화핵 ○ 응결핵 : 흡습성 물질 등 ○ 빙정핵 : 화산재, 그을음 등 ○ 응결핵, 빙정핵이 없으면 포화가 되어도 응결이 일어나지 않아 과포화 상태를 이름 ③ 응결의 원인(냉각의 원인) ○ 접촉냉각 : 공기가 한 지면이나 찬 수면에 접촉할 ..

기상학, 기권의 구성

기상학 기상학은 전통적으로 일기와 기후에 중점을 두고 다루어왔으나, 최근에는 대기의 물리학·화학, 유체역학 뿐만 아니라 지표면, 해양 및 생물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도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이 기상학은 관련 인접 분야와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어, 기상학을 대기과학(大氣科學, Atmospheric Sciences)이라고도 한다. 기상학이 대상으로 하는 내용은 대단히 광범위하므로 순수과학과 응용과학 분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기초기상학으로는 대기역학(Atmospheric Dynamics), 대기물리학(Atmospheric Physics), 종관기상학(Synoptic Meteorology), 기후학(Climatology), 미기상학(Micro Meteorology), 고층기상학(Aerology),..

광물학 성질

광물학 성질 ⑴ 물리적 성질 ① 조흔색 : 광물을 빻거나 조흔판에 긁었을 때 나오는 색깔 ○ # : 표면색 - 조흔색 ○ 금 : 황색 - 황색 ○ 적철석(Fe2O2) : 흑색 - 적색 ○ 황철석(FeS2) : 황색 - 흑색 ○ 자철석(Fe3O4) : 흑색 - 흑색 ○ 석영 : 무색 - 흰색 ○ 황동석(CuFeS2) : 황색 - 녹흑색 ○ 갈철석(Fe2O3·nH2O) : 갈흑색 - 황갈색 ○ Ca 장석, Na 장석, K 장석 모두 조흔색이 같음 ② 굳기·모스경도계가 표준으로 광물의 상대적인 굳기를 나타냄 굳기 광물 1 활석 2 석고 3 방해석 4 형석 5 인회석 6 정장석 7 석영 8 황옥 9 강옥 10 금강석 굳기·모스경도계 ○ 암기 팁. 활이 썩고 방패는 형편없는데 인정없는 석황이 강금했다. ○ 1번...

광물학 분류, 규산염 광물의 분류, 비규산염 광물

광물학 분류 ⑴ 규산염 광물 ① 지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광물은 규산염 광물 : 전체 광물의 92% ② 원인 : 지구의 기원이 그런 방식이었음 ○ 1st. 초기 태양계에 미행성체가 있었음 ○ 2nd. 이들이 모이고 모여 원시 지구를 형성 ○ 3rd. 원시 지구를 형성하면서 열 에너지가 발생 ○ 4th. 액체상태였던 원시 지구에서 무거원 원소(예 : Fe, Ni)는 지구 중심으로 모임 ○ 5th. 지구 전체적으로 풍부한 원소는 Fe이나 지각에서 풍부한 광물은 저밀도 산화 화학종, 즉 규산염 광물임 ③ 보충 : 현재 지각 상황 ○ 지각의 8대 원소 : 지각은 8개의 원소가 99 % 이상을 차지 O > Si > Al > Fe > Ca > Na > K > Mg ○ 산소가 월등히 많음 (질량비 : 45.2 wt%..

오일러 항등식

오일러 항등식의 주인공인 오일러는 스위스 출신으로 독실한 종교 집안의 육 남매 중 첫째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사랑하는 아들이 자신의 뒤를 이어 신학을 공부하길 소망했으나, 오일러는 수학을 너무 좋아했고 늘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 힘을 쏟았다. 결국 당대 최고의 수학자 요한 베르누이가 그의 재능을 눈여겨보고 아버지를 설득해 준 덕분에 오일러는 수학 공부를 시작할 수 있었다. 13살의 어린 오일러는 바젤대학교에 입학했고, 석사와 박사학위를 6년 만에 빠르게 마쳤다. 러시아로 온 그는 24살에 물리학과 교수가 되었고, 외국인임에도 러시아에서 수학 교과서를 집필해냈다. 그 외에도 러시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많은 문제를 해결했는데, 그중 하나가 매우 유명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건너기 문제다. 과거 프..

광물학, 광물학 구조, 6정계, 오일러 항등식, 조암광물

광물학, 鑛物學, mineralogy 물리학·화학 및 지질학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광물을 연구하려면 물리학 및 화학의 기본지식이 필요하며, 광물학의 연구 결과는 지질학 연구에 이용된다. 광물학은 여러 분야를 내포하고 있어서 결정의 형태와 결정구조를 연구하는 결정학(結晶學), 광물의 화학조성에 관하여 연구하는 광물화학, 광물의 물리적 성질을 연구하는 광물물리학, 광물의 화학조성과 결정구조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결정화학, 광물의 체계적 분류를 연구하는 광물기재학, 광물의 생성에 관하여 연구하는 광물생성학, 광물의 경제적 이용에 관하여 연구하는 응용광물학 등이 있다. 최근에 와서 우주광물학·환경광물학·해양광물학·생체광물학 등의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광물을 연구하려면, 우선 광물이 산출되는 지질환경에 대..

진동수, 振動數, 주파수, frequency, Hz(헤르츠)

振動數 / frequency 일반적으로 주파수는 빛이나 전파의 진동수를 나타내거나 측정하는 단위이다. 1초당 진동수를 의미하는 헤르츠(Hz)에 의한 진동수로 저주파, 고주파 등으로 구분한다. 빛에서 진동수가 높아질수록 백색에 가까워지고, 소리 역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고음이 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저음은 힘이 있으며, 주파수가 높은 고음은 세련된 느낌을 주는 소리라고 느끼게 된다. 이러한 소리에 의한 진동 수에 의한 감성의 변화를 형태에서도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으며, 형태의 비례와 여백의 처리 등에서 주파수의 개념을 응용하면,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바를 예를 들면 힘 있고 무거운 느낌, 혹은 세련되고 정교한 느낌 등으로 만들 수 있다는 형태 주파수의 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진동수, 振動..

TCA cycle(Tricarboxylic Acid Cycle), 크렙스 회로(Krebs cycle),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 미토콘드리아

Tricarboxylic Acid Cycle의 약자.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 크렙스 회로(Krebs cycle), 또한 이 회로의 출발물질에서 딴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라 하기도 한다. Tricarboxylic acid란 이름 역시 시트르산이 3개의 카복실기를 가진 데에서 유래하였으며 3개의 카복실기가 1개의 카복실기를 내주고 2개의 카복실기가 되었다가 다시 1개의 카복실기를 얻어 3개의 카복실기가 되는 한바퀴를 TCA 회로 1사이클이라 한다. 회로 자체가 양방항성 회로(Amphibolic)이다. 즉 이화작용(Catabolism)과 동화작용(Anabolism)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말인데, 회로 중간물질(Precursors)들은 거의 모두 생합성(Biosynthesis)에 이용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