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 Humanities 1203

러시아, 노르만 족, 슬라브 족, 루스인, 키예프 공국, 러시아 민족, 러시아인, 로시스키예, 루스키예

러시아의 시작 : 9세기 키예프 공국(노르만 족+슬라브 족) 러시아의 기원 * 러시아의 뿌리로서 문헌에 등장하는 최초의 민족은 슬라브족 * 이중에서도 동슬라브인이 러시아역사의 주인공* 러시아국가의 기초를 다지기 시작한 사람들은 난폭한 성격의 북방 이민족인 노르만족* 흔히 ‘루스인’이라고 불리었던 그들은 슬라브민족의 터전을 자주 침략해 무역을 담당하고 막강한 무력으로 슬라브인들을 지배 1. 슬라브인들의 이동과 정착1) 슬라브인의 조상들은 기원후 200년 무렵부터 약 500여 년 동안 지금의 루마니아와 체코슬로바키아에 걸쳐 있는 카르파티아 산맥 동북쪽 삼림지대에 정착하여 생활: 외세의 잦은 침입으로 이동 2) 서슬라브인(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인), 남슬라브인(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

유럽, 근대 국가 성장, 신항로 개척, 유럽 세계의 확대, 대서양 연안 국가 번영

유럽, 근대 국가 성장 1. 신항로 개척과 유럽 세계의 확대 (1) 신항로 개척 ∙ 배경:지리 지식의 확대와 항해술의 발달, 국왕의 지원 ∙ 포르투갈:바르톨로뮤 디아스(희망봉 도착, 1487), 바스코 다 가마(인도 항로 개척, 1498) → 아시아의 향료 무역 독점 ∙ 에스파냐:콜럼버스(아메리카 대륙 발견, 1492), 마젤란(최초로 세계 일주 성공, 1518~1522) → 아즈테크, 잉카 문명 파괴, 식민지 개척(금-은 광산, 사탕수수 농장)   (2) 신항로 개척의 결과 ∙ 무역 중심지 이동:지중해 → 대서양, 대서양 연안 국가 번영 ∙ 동양 물품, 새로운 작물(담배, 코코아, 감자) 유입∙ 상공업과 금융업의 발달:상업 혁명 → 세계적 규모의 시장 형성 2. 절대 왕정과 중상주의 (1) 절대주의 국..

메르센 조약,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동프랑크 왕국), 프랑스(서프랑크 왕국, 870년

메르센 조약,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동프랑크 왕국), 프랑스(서프랑크 왕국, 870년메르센 조약메르센 조약으로 로타링기아 왕국은 서프랑크 왕국과 동프랑크 왕국에 양분되었다. 메르센 조약(독일어: Vertrag von Meerssen, 프랑스어: Traité de Meerssen)은 동프랑크 왕국의 루트비히 2세와 서프랑크 왕국의 카를 2세가 870년 8월 8일 메르센(오늘날 네덜란드 남부 림뷔르흐주에 있는 도시)에서 맺은 국경획정조약이다. 프랑크 왕국은 루도비쿠스 1세(재위: 814년 ~ 840년) 사후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세 아들 로타르 1세, 루트비히 2세와 카를 2세에게 분할되어 중프랑크 왕국,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으로 나뉜다. 큰 아들 로타르 1세(재위: 818년 ~ 85..

고대 지중해 세계, 그리스, 에게 문명, 알렉산더 제국, 헬레니즘 문화, 로마

고대 지중해 세계   1.  민주 정치가 발달한 그리스 (1) 에게 문명 크크레타 문명, 미케네 문명 → 오리엔트 문화를 그리스에 전파 (2) 그리스의 발전 ① 폴리스(도시 국가)의 성립:해안선 복잡, 산간 분지 지형(기원전 8세기), 올림피아 제전(그리스 인들의 동족 의식) ② 아테네의 민주 정치 ∙ 발전 과정:귀족 정치 → 금권 정치(솔론) → 참주 정치(클레이스테네스의 도편 추방법) → 민주 정치(페리클레스) ∙ 특징:민회 중심, 직접 민주 정치, 제한된 민주 정치(노예, 부녀자, 외국인 제외) ∙ 전성기:페리클레스의 지도 아래 정치․경제적 번영 ③ 스파르타:강력한 군사력을 갖추고 아테네와 경쟁 ④ 그리스의 쇠퇴:펠로폰네소스 전쟁(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전쟁) 이후(3) 그리스 문화 인간 중심의 문화 ..

굴비낚시, 김영하, 영화이야기

굴비낚시 김영하 영화이야기  21세기 한국문학을 이끌어갈 차세대 문학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작가 김영하의 영화 들여다보기. 그가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은 단순히 추억속에 젖어들게 만드는 감상평이 아니다. 영화속에서 비춰지는 삶의 문제, 인간의 내면을 파헤치고, 이 사회를 비판하는 … 한마디로 속시원하면서 씁쓸한 우리들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그의 문체는 명쾌하면서 때론 섬뜻하고, 솔직해서 단숨에 읽어내려갈 수 있는, 읽는 재미를 느껴지게 한다.  소설가 김영하가 영화산문집을 냈다. 그는 「당신의 나무」, 「사진관 살인 사건」,「바람은 분다」,「호출」 등의 단편소설에서 보여준 깔끔한 문체와 도시적 우울함, 재기 발랄함을 통해 이미 한국 문학의 차세대 대표작가로 인정받은 바 있다. 그가 썼다면 못해도 실망할 수..

산문, prose, 운문(시), verse, 차이, 散文, 韻文, 散 흩을 산, 韻 운 운

산문, prose, 운문(시), verse, 차이  散 흩을 산 文 글월 문 韻 운 운 prose 글자의 수나 운율 같은 형식을 따르지 않고 소설, 수필 등과 같이 자유롭게 쓴 글.A writing such as a novel, an essay, etc., which is created without following a fixed rule like the number of words or metrical format.  verse 시와 같이 일정한 규칙이나 리듬에 따라 지은 글.A writing created according to a certain rule or rhythms, such as poetry.    산문과 시를 뜻하는 영어의 prose와 verse처럼 의미심장하게 들리는 말도 아마 드물 ..

김영하, 소설가, 1968년, 화천, 무종교, 딩크족, 연세대 대학원 경영학, 검은 꽃, 살인자의 기억법, 문학동네, 알쓸신잡, 이한열, 해운대, 연희동

김영하 金英夏 | Kim Young-ha 1968년 11월 11일 강원도 화천군소설가 서울잠일국민학교 (졸업) 신천중학교 (졸업) 잠실고등학교 (졸업)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 대한민국 육군 제51보병사단 병장 등단 1995년 《거울에 대한 명상》 무종교 예술가가 될 수 없는 수백 가지의 이유가 아니라, 되어야만 하는 자기만의 단 한 가지 이유가 한 사람을 예술가로 만드는 거예요. 될 수 없는 이유는 중요하지 않아요. 대부분의 예술가가 그렇게 해서 예술가가 된 겁니다. 일출을 백 번 보든 천 번 보든 내 삶에 무슨 상관이 있겠어요. 먹고 사는데 아무 상관 없을지라도 아름다운 것을 보고 감동할 때 내가 인간이라는 것을 알게 돼요. 대한민국의 소설가. 1990년부터 하이텔 등 PC통신을 통해 집필..

아제아제 바라아제, 뜻, 의미, 반야심경, 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로 완전히 건너가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의 마지막 구절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가버리게 하네! 가버리게 하네! 부처님 세계로 완전히 건너가네!깨달음이여, 아~만세!한문으로 읽혀지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는 음역된 것으로 우리말로는 그대로 번역 할 수 없다. 그 뜻을 알고자 하면 인도의 고대 글자인 산스크리트어의 원음을 알아야 한다.산스크리트어 원음은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드히 스바하(gate gate pragate prasam.gate bodhi svh)’이 문구는 일반적 문장이 아니라 진언 혹은 주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진언이나 주문은 주로 번역을 하지 않으나 보기 드물게 이 문장은 번역을 하기도 한다.진언이란 ..

관상(觀想), 가톨릭 명상, 플라톤

관상(觀想) 가톨릭의 명상법 - 관상 觀想 플라톤이 주장하고 직접 솔선수범한 금욕적이고 경건한 관상(觀想, θεωρία)적 삶의 태도는 그리스도교와 함께 이후 유럽인들의 인생관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관상 (Contemplation) 이란 기도의 한 경지를 나타내는 말로서, 마음이 사색적으로 활동하지 않고 단지 단순하게 집중되는 형태의 기도를 의미한다. 영혼은 관상 안에서 하느님의 현존에 고요하게 머문다.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교의 신비 신학 전통에서는 관상의 기도가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얻어지거나 혹은 은총의 도움으로 미리 예측될 수 있었던 것이라면 습득 관상 (Acquired contemplation) 이라 부르고, 스스로의 노력이 아니라 순수한 하느님의 은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주입 관상 ..

아제아제 바라아제, 한승원, 임권택, 강수연, 반야심경,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아제아제 바라아제한승원 줄거리 비구니들의 절인 청정암의 여승 진성은 신비스러움의 세계와 이상을 좇는 인물이다. 같은 절에서 행자 생활을 하고 있는 순녀는 은선 스님의 남다른 보살핌을 받아 대중들의 입에 오르내릴 정도임에도 아직 계를 받지 못하고 있다.  순녀는 남다른 과거를 앓고 있다……. 어머니, 오빠와 살아온 그녀는 스님인 아버지를 고등학교 때 처음으로 만나지만 그 스님은 자신의 지난날을 후회하는 가운데 '너희 아버지는 실패했다'는 말을 남기고 다시 떠나 버린다. 아버지의 입적(入寂)과 대학 입학시험에 떨어진 오빠의 자원 입대 이후, 순녀는 새로 부임한 국어 선생 현종을 보고 그에게서 아버지의 모습을 찾으려 한다. 고독하고 우울한 분위기의 현종 선생은 전교생의 관심 대상이 되며 순녀도 늘 그의 행적에..

한승원, 소설가, 한강, 이상문학상, 아제아제 바라아제, 장흥, 1939년

한승원 1939년 10월 13일전라남도 장흥군 대덕면 신상리장흥중학교 (졸업) 장흥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 / 전문학사)데뷔작 가증스런 바다 (1966) 최근작 사람의 길 (2023) 종교 불교 대한민국의 소설가. 1939년 10월 13일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면 신상리(現 장흥군 회진면 신상리) 신덕마을에서 아버지 한용진(韓瑢鎭)과 어머니 박귀심(朴貴心) 사이에서 10남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누나 두 명과 형 한 명이 있었으며, 아래로 남동생과 여동생이 각각 세 명 있었다. 장흥중학교와 장흥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1966년 신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가증스런 바다」가 입선하여 등단했으며, 이어 1968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목선(木船)」이 당선..

김주혜 작가, 톨스토이 문학상, 작은 땅의 야수들,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1987년, 인천, 프린스턴대학 미술사학

김주혜 작가, 톨스토이 문학상, 작은 땅의 야수들,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1987년, 인천, 프린스턴대학 미술사학 세계가 열광하는 한국적 서사를 다룬 데뷔 소설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1987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아홉 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로 이주해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미술사학을 공부했다. 친환경 생활과 생태문학을 다루는 온라인 잡지 《피스풀 덤플링》의 설립자이자 편집자다. 2016년 영국 문학잡지 《그란타》에 단편소설 「보디랭귀지Body Language」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슬라이스》 《인디펜던트》 등 여러 신문과 잡지에 소설과 수필, 비평 등을 기고했다. 미래 한국을 배경으로 한 단편소설 「바이오돔Biodome」은 TV 시리즈로 제작 중..

악법도 법이다, 실정법주의, 소크라테스, 일본 법철학자 오다카 토모오

악법도 법이다?소크라테스는 직접적으로 위와 같은 말을 남긴 적이 없다. 악법도 법이다 라는 말은 일본의 법철학자 오다카 토모오가 1930년대에 출판한 그의 책, 《법철학》에서 실정법주의(實定法主義)를 주장하며 쓴 글이다. 실정법주의란 서양의 철학에서 실증주의 맥락에서 나온 것인데, 좋은 법 나쁜 법을 따지는 것은 법률가의 영역이 아니고, 오로지 지금 존재하는 법들을 놓고서 법학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일종의 법학의 과학화를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빠르게 와전되어서 법은 존재하기 때문에 지켜져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가면서 일본의 잔혹한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데 이용되었다. 뿐만아니라 독일의 나치, 대한민국의 군부독재에서도 그 통치를 합리화하고, 국민들에게 재갈을 물리기 위한 명언으로 요긴하게 ..

안성재, 모수 서울, 르 꼬르동 블루, 궁중 요리 전수자 할머니, 우라사와, 종합격투기, 이치로, 통제형 인간, 미쉐린 가이드 3스타

안성재 Sung Anh| Anh Sung-jae1982년 (42세) 국적 미국 가족 배우자 에이미 안(Amy Anh) 딸 안시영(July Anh)(2014년생) 아들 안은기(Caleb Anh)(2016년생) 학력 르 꼬르동 블루 LA 캠퍼스모수 서울 (MOSU Seoul)취미 종합격투기 대한민국의 한국계 미국인 요리사. 2024년 기준 국내 유일의 미쉐린 가이드 3스타 레스토랑이었던 파인 다이닝 '모수 서울'의 오너셰프이다. 1982년 한국에서 태어나 만 12살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가족을 따라 미국 캘리포니아 주로 이민가서 자랐다. 궁중 요리 전수자였던 할머니의 요리를 자주 먹으며 자랐고 학창 시절 미국에서 부모님이 미국식 중화 요리 식당을 운영해서 식당 일을 주기적으로 도왔다고 한다. 전직 미국 육..

권성준, 나폴리 맛피아, 요리사, CU, 밤 티라미수, 신한대학교, 흑백요리사 우승자, 비아 톨레도 파스타바

권성준, 요리사, 나폴리 맛피아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우승자Kwon Seong-joon 나폴리 맛피아 1995년 1월 1일 (29세)비아 톨레도 파스타바 (오너셰프)재현고등학교 신한대학교 (호텔조리학 / 학사) 대한민국의 양식 요리사.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에 출연하면서 생긴 '나폴리 맛피아'라는 별명으로 유명해졌다. 별명대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요리 학교를 다니고 요리사로 일했던 경력이 있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에서 리소토 광인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이탈리아 요리 문화, 특히 나폴리를 메인으로 한 남부 이탈리아 문화에 강한 애호를 표하고 있는데, 현재의 식당을 열기 전 운영했던 카페는 에스프레소를 주력으로 밀던 이탈리안 에스프레소 바였으며, 카페 아메리카노를 메뉴판에서 아예 논커..

한강, 소설가, 노벨 문학상, 채식주의자, 연세대 국어국문, 소년이 온다, 부커 상

한강(소설가)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韓江 | Han Kang1970년 11월 27일 전라남도 광주소설가, 시인, 아동문학가광주효동국민학교풍문여자고등학교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89/ 학사)아버지 한승원, 어머니 임강오오빠 한규호, 남동생 한강인배우자 홍용희, 슬하 1남등단1993년 계간 『문학과사회』 「서울의 겨울」 외 4편 (시)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붉은 닻」 (소설)서울예술대학교 문예학부 문예창작전공 전임교수 (2007~2018)한강 작가네가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다.네가 방수 모포에 싸여 청소차에 실려간 뒤에.용서할 수 없는 물줄기가 번쩍이며 분수대에서 뿜어져나온 뒤에.어디서나 사원의 불빛이 타고 있었다.봄에 피는 꽃들 속에, 눈송이들 속에. ..

에드워드 리, 이균, 1972년, 뉴욕대 영문학, 흑백요리사, 한국계 미국인 요리사, 작가, 사회운동가.

에드워드 리 Edward Kyun Lee LeeEdward 한국명 이균 (Kyun Lee)1972년 7월 2일 서울특별시켄터키주요리사, 작가뉴욕 대학교 (영문학 / 학사)배우자 다이앤 리딸 아든 리 수상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 세미파이널리스트 (2008 - 2010) 아이언 셰프 아메리카 시즌 8 28화 승리 (2010) 탑 셰프 시즌 9 5위 (2011)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 베스트 셰프 최종 후보 (2011 - 2017)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 도서 부문 수상 (2019) IACP 어워드 최종 후보 (2019) 무하마드 알리 인도주의 상 수상 (2021)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준우승 (2024)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미국인 요리사, 작가, 사회운동가.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고 1세 때 가족과 함..

경기도교육감, 임태희, 노벨상, 한강 책 폐기, 유해 도서 지정, 경기교육청, 청소년 유해 성교육 도서

임태희경기도교육감 제21대 경기도교육감 임태희 任太熙 | Yim Tae-hee1956년 12월 1일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판교리 (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대한민국의 관료 출신 정치인, 교육인. 16-1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이명박 정부의 고용노동부 장관 및 청와대 대통령실장을 지낸 인물로 박형준, 이동관과 함께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다. 이후 제7대 국립 한경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고 제5회 주민직선 경기도교육감(2022~)에 당선되어 재임 중이다.  권익현 전 민주정의당 대표가 그의 장인이다. 또한 김태기 단국대학교 교수가 그의 손윗동서이다. '노벨상' 한강 책 폐기시켰다…'유해 도서' 지정한 경기교육청소설가 한강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가운데, 11일 온라인상에서는 경..

윤현준, JTBC PD, 흑백요리사, 크라임씬, 슈가맨, 싱어게인, 신화방송, 한끼줍쇼, 캠핑클럽

윤현준 소속 스튜디오 슬램JTBC 소속의 PD이자 CP. 1997년 KBS에서 PD로 입사해 해피투게더 시즌 1&2(프렌즈), 상상플러스 시즌2인 상상더하기, 김승우의 승승장구를 연출했다. 이후 2011년 KBS를 퇴사한 후 JTBC에 입사했고 대표 간판 예능 대부분이 그의 손을 거쳐 만들어졌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대표작은 사건을 추리하여 범인을 잡는 포맷으로 수많은 마니아층을 형성한 크라임씬 시리즈, 유재석의 jtbc 진출작이자 추억의 스타들을 소환하여 추억을 이야기를 하는 슈가맨 시리즈, 실력자와 잊혀진 가수들의 재기를 한 번 더 도와주는 오디션 프로인 싱어게인 시리즈가 있다.  이 외에도 신화방송, 한끼줍쇼, 캠핑클럽 등을 제작했다. 초대박 터진 '흑백요리사' 기획한 PD   "나..

복잡계 용어

복잡계 용어Emergence (창발) 창발이란 시스템의 각 부분들의 성질만을 이해해서는 예측하기 어려운 성질이 시스템 전체의 수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개미나 꿀벌의 집단이 보여주는 놀라운 사회적인 질서는 이들이 한 마리씩 떼어놓고 관찰할 때에는 유추해내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금융 시장의 복잡한 메커니즘이나 인터넷 상의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놀라운 현상들은 거래인 한 사람, 네티즌 한 사람씩을 따로 떼어놓고 본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이며 이를 ‘창발’이라고 한다.    Emergent behavior (창발 현상)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즉, 미시적인 부분의 각각의 특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전체로써 나타나는 복잡한 현상이 있다. 이를 창발 현상이라고 한다.  Self-o..

간섭, 조언, 차이, 내 말 안 들어 괴로우면 간섭, 욕심, 원

"간섭과 조언의 차이는 딱 한개 밖에 없어" "내가 괴로우면 간섭하는거야. 내 말 안 들어서 괴로우면 내가 간섭하고 있는거야. 내가 이렇게 예기했는데 상대가 들으면 좋은일이고, 안 들어도 그만이지 뭐."   "욕심과 원의 차이도 마찬가지야.   내가 뭘 하고 싶다라고 다 욕심이라 생각하면 안 돼.  내가 뭐 유명한 인기인이 되고 싶다 이런 거 욕심 아니야. 근데 그게 안 된다고 자기가 괴롭단 말이야 그러면 그게 바로 욕심인거지.   "그래서 우리가 남 한테 얘기할 때, 대부분 부부간의 대화가 안 되는건 남편이 고집이 세서 내 말을 안들어줘서 대화가 안된다는데, 심리적으로 분석하면 절대 그렇지 않아. 그냥 욕심인거지. 내 말을 들어주지 않아 괴로우니까."

혼돈의 가장자리, 자기조직화, 복잡성, 스튜어트 카우프만

혼돈의 가장자리 자기조직화와 복잡성의 법칙을 찾아서 스튜어트 카우프만 생명의 기원에서 현대의 기술혁명에 이르기까지 복잡계를 관통하는 생명과 진화의 자발적인 법칙 생명은 맨 처음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그리고 어떻게 지금과 같은 복잡한 생물계를 이루게 되었을까? 과연 다윈의 진화론이나 지금까지 밝혀진 다른 유전학 이론으로 이것을 설명할 수 있을까? 생명의 탄생에서부터 다세포 생물의 출현, 캄브리아기의 대폭발, 그리고 거대한 문명의 출현과 쇠퇴에 이르는 크고 작은 복잡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는 질서를 발견하는 것이 이 논의이 핵심이다. 복잡계 연구의 세계적 중심지인 미국 산타페 연구소의 연구원인 스튜어트 카우프만은 이 책에서 복잡계 과학이 어떻게 자연선택에 의한 다윈의 진화론을 확장시키는지, 그리..

불편한 것 잘해야 행복, 행복은 상태가 아닌 태도

저는 어떻게 하면 행복해지는지 (그) 이유를 이제 알았어요. 어떤 비밀 열쇠키인데, 불편한 것을 잘해야 돼요. 불편한 걸 감수하고 해내야 돼요. 아침 일찍 일어나는 거, 전화 영어 안 해도 되잖아요. 그런 걸 몇 개를 딱 해놓으면, 시스템이 딱 구축되면 그다음 게 자동으로 탁탁탁 다 따라와요. - 코미디언 김영철  행복은 상태가 아닌 태도

접신술, 초혼, 강신술, 샤머니즘

접신술은 초혼 또는 강신술과 같은 개념으로서 그 원리는 성경의 진리와 무관하며 무한지(無限知, infinite intelligence)의 존재에 대한 믿음에서 출발한다. 이는 현재 원거리에 있는 산 사람이나 과거에 죽은 사람과 영접(靈接)을 이루며 미래의 예언을 행하는 사탄의 사술이다. 이들은 영접 상태의 언어녹음과 영상촬영을 행하기도 한다. 그들은 하나님을 모독하고 사탄의 종노릇을 하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한다. 구약성서에서 엔돌의 신접 여인이 사울 왕의 요청으로 사무엘의 죽은 영혼을 불러내어 대화하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무녀의 주술은 사탄에게 이용되어 지옥의 악령을 사무엘의 모습으로 불러온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하나님은 누구의 입술을 이용하시든 사울에게 징계의 말씀을 전할 수 있다. 하나님은 ..

유럽 세계 성립, 게르만 족 이동, 서유럽, 노르만 족 이동, 비잔틴 제국, 동유럽

1.  게르만 족의 이동 (1) 게르만 족의 생활 ∙ 원 거주지:발트 해 연안 → 라인 강, 다뉴브 강 북쪽 삼림 지대 ∙ 로마 시대:로마 문화 수용, 용병․소작농으로 정착 (2) 게르만 족의 대이동 ∙ 원인:4세기 말 훈 족의 압박 → 서로마 제국의 영토로 대거 이동 ∙ 결과:서로마 멸망(476), 여러 왕국의 수립 → 유럽의 중세 시작 2.  서유럽 세계의 형성 (1) 게르만 족의 여러 국가 대부분의 세력이 일찍 멸망, 프랑크 왕국은 유럽 세계의 중심 세력으로 성장 (2) 프랑크 왕국의 발전 ① 성장 배경:유리한 지리적 조건, 크리스트 교로 개종 ② 클로비스(5세기 말):로마 가톨릭으로 개종, 영토 확장 ③ 카롤루스 마르텔(8세기 전반):이슬람 세력 격퇴 ④ 카롤루스 대제(8세기 후반) ∙ 활발한 정..

제국주의, 제국주의 열강의 식민지 분할

제국주의 국가의 출현 1. 제국주의(1) 제국주의의 성립 배경    ① 자본주의의 발달 : 19세기 말, 과학 기술이 진보하고 제2차 산업 혁명이 진전되면서 자본주의가 크게 발달하였다.    ② 해외 시장 확보의 필요성 : 자본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은 상품의 원료를 얻고, 상품을 팔거나 자본을 투자할 새로운 시장이 필요하였다.(2) 제국주의    ① 의미 : 자본주의가 발달한 국가들이 자기 나라의 이익을 위해 약소국을 무력으로 침략하여 이를 식민지로 지배하려는 경향을 제국주의라 한다.    ② 제국주의의 성격 : 제국주의는 자국의 세력을 팽창시키려는 잘못된 민족주의와 정치, 사회적 불안을 대외 팽창으로 덮어보려는 의도가 숨어 있었다.  2. 제국주의 국가들의 팽창 정책(1) 제국주의 ..

알렉산드로스 대왕, 마케도니아, 아리스토텔레스 제자, 독살설, 헬레니즘

알렉산더의 제국 마케도니아 왕 필립포스의 뒤를 이은 알렉산더(기원전 336~323)는 기원전 334년에 동방 원정의 장도에 올랐다. 그는 페르시아를 정복하고 멀리 중앙 아시아와 인도의 인더스 강까지 진격하여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의 3대륙에 걸친 대제국을 세웠다. 그리고, 정복한 지역에 그리이스 인을 이주시키고 각지에 도시를 세움으로써 그리이스 문화를 보급시키는 한편, 그리이스 인, 마케도니아 인과 페르시아 인의 혼인을 장려하는 등 동서 융합을 꾀하였다.  그러나, 기원전 323년에 그가 요절하자, 그의 뒤를 이으려는 부하 장군들의 싸움이 잇달아 일어나다가 기원전 3세기에는 마케도니아, 시리아, 이집트의 세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그 뒤 기원전 1세기에 로마에 정복당할 때까지 경제, 문화의 중심이 동방으..

소크라테스, 철학의 아버지, Σωκράτης, Socrates, 기원전 470년, 너 자신을 알라, 나는 내가 아무 것도 모른다는 걸 안다

소크라테스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철학자.  너 자신을 알라.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 가치가 없다.소크라테스의 변명밀레토스의 탈레스와 더불어 "철학의 아버지"로 칭송된다. 탈레스가 자연철학 분야를 개척했다면, 소크라테스는 인간 내면으로 눈을 돌렸다. 그의 생애와 사상은 경건하고 윤리적이며 보편성과 객관성을 열망하는 면모가 강하면서도, 신비적, 감성적, 권위적이기보다는 이성적, 비판적, 반성적인 자세와 토대를 추구한 것이었다. 그는 이러한 태도를 타자에게 설교하기보다 자기자신이 우선 체화하고자 노력했고, "나는 내가 아무 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깨달음을 얻으며 오늘날 말하는 메타인지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개인의 성격은 소탈하고 친절했으며, 대화에는 해학이 있었으므로, 그의 추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플라톤, Platon, 소크라테스 제자, 이원론, 이데아, 철인, 아카데메이아

플라톤, Platon, 소크라테스 제자, 이원론, 이데아, 철인, 아카데메이아 플라톤 Platon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대화편”을 다수 씀. 이원론적 세계관을 주장하며 이데아의 세계를 실재(實在)라고 보았고, 철인 정치를 주장함.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Platon, B. C. 428?~B. C. 347?)은 스승의 주지주의적 윤리 사상을 더욱 심화하여 발전시켰다. 플라톤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제시하였다. 그는 세계를 눈으로 통해 볼 수 있고 감각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의 세계와 오직 이성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는 이데아의 세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현상의 세계는 참다운 세계가 아니며, 오직 이데아의 세계만이 참다운 세계라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플라톤은 현상의 세계는 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