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학
기상학은 전통적으로 일기와 기후에 중점을 두고 다루어왔으나, 최근에는 대기의 물리학·화학, 유체역학 뿐만 아니라 지표면, 해양 및 생물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도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이 기상학은 관련 인접 분야와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어, 기상학을 대기과학(大氣科學, Atmospheric Sciences)이라고도 한다. 기상학이 대상으로 하는 내용은 대단히 광범위하므로 순수과학과 응용과학 분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기초기상학으로는 대기역학(Atmospheric Dynamics), 대기물리학(Atmospheric Physics), 종관기상학(Synoptic Meteorology), 기후학(Climatology), 미기상학(Micro Meteorology), 고층기상학(Aerology), 대기화학(Atmospheric Chemistry), 우주기상학(Cosmic Meteorology), 기상측기 및 관측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Observations)등이 있고, 응용기상학으로는 항공기상학(Aeronautical Meteorology), 해양기상학(Marine Meteorology), 수문기상학(Hydrometeorology), 생기상학(Biometeorology), 농업기상학(Agrometeorology), 기상재해론(Meteorological Disasters), 도시기상학(Urban Meteorology) 등이 있다.
기권의 구성
⑴ 대기의 성분
① 주거의 난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방출은 동력 설비로 인한 이산화탄소 방출의 1/5에 해당
② 대기 중 70-80%의 산소가 수중식물에서 생성
⑵ 대기의 진화
① 질소 : 반응성이 낮아 지구 전 연령에 걸쳐 그 양이 일정했음
② 이산화탄소 : 초기에는 질소보다 많았으나 탄산칼슘을 형성하거나 물에 녹아 양이 점점 줄어듦
③ 산소 : 광합성 생물의 등장으로 점점 증가. 21억 년 전 산소혁명이 일어남
⑶ 기권의 구조
① 대류권
② 성층권
③ 전리층
⑶ 음파의 이상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