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용 과학 Applied Science 460

비대칭 전력, asymmetric power, 비대칭전, asymmetric warfare

비대칭 전력(非對稱戰力, asymmetric power) 비대칭전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개발 및 보유되는 전력을 가리킨다. 비대칭 전력의 정의는 비대칭전에서 파생되었다. 군사학상 '비대칭전(非對稱戰, asymmetric warfare)'이란 '양 교전 세력간 조건의 차가 매우 커서, 한 세력이 상대와 같은 전략 및 전술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패하게 되는 전쟁'을 말하며, 비대칭전을 유발하는 조건으로는 재래식 전력의 보유 및 군사 기술에 대한 격차를 뜻하는 '능력의 비대칭성'과 '기술의 비대칭성', 교전 세력이 처한 상황을 가리키는 '전투시간의 비대칭성', '전투공간의 비대칭성', 이외에 외교적 카드나 지원을 포함하는 '방법의 비대칭성' 등이 있다.  비대칭전에서는 각 세력이 취하는 전략이나 전술에 ..

탄성(elasticity), 점성(Viscosity), 훅의 법칙(Hooke's law), 점성계수(viscosity coefficient)

탄성(elasticity)힘을 더하면 형태가 바뀌지만, 힘을 빼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고체로 보이는 성질이다. 영어로 elasticity라고 하며, 어원을 따져 보면 그리스어의 "돌아오다"라는 뜻이 된다. 많은 물질은 탄성 범위 안에서는 형태를 바꾸어도 원래대로 돌아간다. 이 말은 보일이 처음 사용하였다.탄성은 응력(stress)과 변형(strain) 사이의 선형 관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선형 탄성이라고 한다. 고무 밴드와 잘 튀는 공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개념은 처음에 로버트 훅(Hook) 이 1675년에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선형 관계는 훅 법칙으로 불린다. 선형 탄성의 전형적인 모델은 "완벽하게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용수철이다.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

햄스트링, 넓적다리뒤근육, hamstring, ham(무릎 뒤), string(힘줄),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m.), 반막근(semimembranosus m.), 반힘줄근(semitendinosus m.)

햄스트링 넓적다리뒤근육, hamstring햄스트링은 넓적다리의 뒤칸(posterior compartment of thigh)에 분포하는 세 개의 근육,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m.), 반막근(semimembranosus m.), 반힘줄근(semitendinosus m.)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허벅지를 펴고 무릎을 굽히는 역할을 한다. 뭉치거나 부상을 당하기 쉽고 뭉쳤을 때 요통이 일어나기 쉽다.  이름의 의미햄스트링이란 단어는 ham(무릎 뒤)[과 string(힘줄)의 두 단어가 합성된 단어다. 17세기 중엽부터는 '무릎 뒤쪽의 힘줄'이라는 뜻과 함께 '햄스트링을 끊어 다리를 불구로 만든다'라는 동사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햄스트링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세 근육들에는 공통점들이 ..

저속노화식단, 가속 노화 음식

저속노화식단육류 대신 렌틸콩 등으로 대체 혈당 안 올려 최대 10년 수명↑ 단순당류, 정제곡물,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먹으면 혈당수치를 급격히 올려 노화를 가속한다. 또 인슐린저항성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당뇨, 전신염증, 혈관손상 등 합병증이 발생한다. 하지만 식단만 바꿔도 노화속도를 10년은 더 늦출 수 있다. 저속노화식단은 식습관을 고쳐 노화속도를 늦추고 수명을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저속노화식단은 ▲브레인포그 ▲우울감 ▲집중력 저하 ▲건망증 ▲부기 ▲염증 등을 개선한다. 저속노화식단은 단순당류, 정제곡물, 육류 대신 통곡물, 콩류, 녹색채소, 견과류 등으로 식단을 대체하는 것이다. 특히 식물성단백질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을 거의 올리지 않는 렌틸콩이 각광받는다. 서울..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노르아드레날린, 교감신경계 자극,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은 교감신경의 말단과 부신 속질(adrenal medulla)의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이다. 교감신경 말단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우세하고, 부신 속질에서는 에피네프린의 분비가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약 4:1 정도로 우세하다. 화학식은 C8H11NO3이다.  교감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교감신경계를 자극하므로 이것이 분비되면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등의 효과노르에피네프린은 에피네프린에 비해 전신의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크게 상승시키지만 에너지 대사나 심장에 대한 작용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조울증, 조증, 우울증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증상높아진 자존심,  말을 많이 함,  망상,  우울,  사고의 비약관련질환우울증,  기분부전증진료과정신건강의학과, 소아정신건강의학과동의어조울병, 조울증 양극성 장애(조울증)는 조증 삽화와 우울증 삽화를 보이는 질환으로, 기분 장애의 일종입니다. 삽화는 증상이 계속 지속되지 않고, 일정 기간 나타나고 호전되기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증이란 평소와 달리 기분이 매우 좋고 고양된 상태를 말합니다. 환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처음 보면 매우 즐겁고, 자신감이 넘치는 상태로 보입니다. 그러나 환자를 잘 아는 사람들이 볼 때 이러한 기분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단순한 기분 기복과 조울증을 구별하는 점..

F-35 가격, 대당 1,850억원 정도

대당 1,850억원 정도다. 최초 록히드마틴은 대한민국 예산안에서 60대와 절충교역의 내용으로 제시했지만, F-35의 가격상승으로 계약은 40대로 하게 되었다. 2018년 3월에 대한민국 공군 소속 F-35 1호기가 공장에서 출고되었다. F-35가격 70% 폭락 우리 공군도 도입중인 F-35A 스텔스기의 대당 가격이 지난해말 7790만 달러(942억원)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F-35가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13년 전 F-35가 처음 도입될 때 대당 2억 달러가 넘었던 데에 비해 70% 가량 싸진 것이다. F-35 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중·러·일 등 주변강국들이 스텔스기 개발 및 도입에 열을 올리면서 일각에선 추가도입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절반 스텔스기’로 국내 개발중인 KF-X(한국형..

십이지장(十二指腸), 샘창자, Duodenum, 길이 손가락 12개, 이자, 쓸개, 3대 영양소 모두 소화

샘창자, Duodenum, 십이지장(十二指腸)소장의 앞부분 이자에서 생성된 이자액, 십이지장 표면에서 나오는 장액, 간에서 생성된 쓸개즙으로 3대 영양소 모두 소화가 이루어진다. 십이지장은 길이가 손가락 12개 두께정도 된다고 붙여진 이름이지만, 사실은 그것보다 조금 더 길다. 샘창자는 위를 지나면 나오는 작은창자의 첫번째 부분이다. 전체 길이는 25~30cm 정도로 작은창자 뒤쪽의 빈창자(jejunum)나 돌창자(ileum)보다 훨씬 짧지만 지름은 가장 크다. 시작 지점 끝부분을 제외하면 뒤배벽에 고정되어 있어 후복막(retroperitoneal) 장기로 분류된다. 구조 샘창자를 주행하는 방향에 따라 위부분(superior part), 내림부분(descending part), 아래부분(inferior ..

FBI, 연방수사국, 일반 경찰, CIA, 차이, 국수본

FBI, 연방수사국(聯邦搜査局)미국 법무부 산하의 법집행기관(law enforcement agency)미국법상에서는 FBI가 경찰이 아니라고 한다. 엄밀히 말해서 미국 연방정부는 행정경찰권을 가지지 않고, 이를 주의 고유한 권한으로 위임한다. 방범, 순찰 등의 질서유지는 주정부의 소관이며, 이를 위한 공권력도 주정부에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 경찰국은 주법에 따라 자치하는 로스앤젤레스시와 시의회에서 지휘, 감독한다. 반면에 FBI를 포함한 연방의 법집행기관들은 연방법에서 규정하는 사안, 주 상호간의 문제에 관한 사안, 미국과 외국에 관한 사안만을 처리하는 업무만을 맡는다. 하지만 대륙법적인 관점에서는 FBI도 경찰(그 중에서도 사법경찰-일반사법경찰)에 해당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FB..

뇌, 칼로리 소비, 뇌 체중 2%, 혈액 산소 20% 사용, 뇌 세포 145억 개

뇌는 체중의 약 2%만을 차지하지만, 심박출량 (심장에서 한번 박동 시 분출되는 혈액의 양)의 15~20%를 받으며, 체내 산소공급의 20% 이상을 소비   뇌는 인체를 지배하는 중추 센터이다. 약 145억 개라고 일컬어지는 뇌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산소가 필요하다. 활동 시와 정지 시에 산소 소비량에 큰 차이가 있는 근육과는 달라, 뇌는 다량의 산소를 상시 필요로 한다     뇌, 칼로리 소비, 뇌 체중 2%, 혈액 산소 20% 사용, 뇌 세포 145억 개 밥 한 공기는 보통 열다섯 숟가락 분량이다. 물론 밥그릇 크기나 숟가락에 얼마만큼의 양을 담느냐에 따라 숟가락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편의상 열다섯 숟가락의 밥을 먹는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세 숟가락 정도에 해당하는 열량, ..

모사드(Mossad), 이스라엘 대외 정보기관, 신 베트, 결과지상주의 일처리, 불도저식 공작 능력, 놀라운 정보수집 능력

모사드(Mossad) 이스라엘의 대외 정보기관이스라엘 정부의 적대 세력을 감시하고 파괴 및 암살 등 필요한 공작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모사드에 대응하는 이스라엘의 내무정보기관으로는 신 베트가 있다. '모사드'는 히브리어로 '기관', '국(局)', '청(廳)'이라는 뜻의 일반명사이며, 영어의 'institute', 'agency'에 대응된다. 이스라엘 국내에서 모사드를 지칭할 때는 정관사를 사용하여 '하모사드(המוסד)'라고 읽는데, 이는 '그 기관(the Institute)'이라는 암시적 의미로, 정식 명칭인 '정보특수작전국(Institute for Intelligence and Special Operations, המוסד למודיעין ולתפקידים מיוחדים)'의 이름조차 직접 드..

알코올 금단 증상, 알코올 중독, 환각, 환청, 진전섬망(震顫譫妄), 델리리움 트레멘스(delirium tremens, DTs), 알코올 진전섬망

진전섬망(震顫譫妄), 델리리움 트레멘스(delirium tremens, DTs), 알코올진전섬망 일반적으로 알코올 금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섬망 상태이다. 이 질병이 발생하면 3일을 금단 증상을 보이며 2~3일 지속된다. 또, 다른 사람들이 보거나 듣지 않은 것을 듣거나 보는 증세를 보일 수 있다. 육체적으로는 미진, 전율, 불규칙한 심박, 발한을 보일 수 있다. 간혹 열중증, 발작이 심하면 죽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알코올은 가장 위험한 금단 증상을 일으키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진전섬망 (Delirium tremens)증상  - 혼란, 다른사람이 보거나 듣지 못하는 것을 듣는 것, 흔들림, 떨림, 불안정한 심박, 발한 합병증  - 고열, 발작 개시  - 급성 기간  - 2–3 일 원인  - 알코..

식물인간, 뇌사, 차이, Vegetative state, brain death, 뇌간, 장기이식

죽음 생명체의 삶이 끝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생명체의 모든 기능의 영구적인 정지로 말미암아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것이다.  기준과 판단상술한 '생명체의 모든 기능의 영구적인 정지'라는 정의에는 애매한 점이 있다. 기능이 정지했더라도 종종 회복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것이 아니라 영구히 회복되지 않는 상태인 것은 어느 시점부터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과거에는 이 판정이 엄밀하지 못했기 때문에 죽었다고 생각하고 장례를 치렀어도 사실은 죽은 게 아닌 경우도 있었다. 과거에는 심장이 정지하는 심장마비가 오면 살릴 방법이 없었으므로 심장사(心臟死)가 되돌릴 수 없는 죽음의 기준이었다. 따라서 목이나 가슴의 맥을 짚어 본 뒤 박동이 느껴지지 않으면 죽은 것으로 판단했다.  이후..

내성, 耐性, Tolerance, 저항성(resistance), 항생제

내성, 耐性, Tolerance 어려움에 견디는 성질. 또는 병원균이나 체세포 따위가 어떤 약품에 대하여 나타내는 저항성의 한 가지로, 질병 치료를 위해 약물을 투약했을 때 병원체(박테리아, 바이러스 등)나 질병(암 등)이 그 약물을 이겨내고 살아남는 것을 의미.耐 견딜 내 뜻을 나타내는 寸(마디 촌)과 소리를 나타내는 而(말이을 이)가 합쳐진 형성자. 다만 而 자도 뜻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이 글자가 원래 수염을 본떠 만든 글자이기 때문이다. 耐는 원래 구레나룻을 깎는 형벌을 나타내는 글자였으나, 이후에 뜻이 바뀌어 '견디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개념 구별내성이란 용어는 다음의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각자가 많이 다른 개념이지만, 전부 내성이라 표현하는 이들이 많으니 확실히 구별저항성(r..

멜라토닌, 코르티솔, 밤 10시, 생체시계, 일주율, 월주율, 일년율, 항상성, 생체시계 교란, 식물 미모사

생체시계, 生體時計, biological clock 생명체가 갖는 일주율, 월주율, 일년율 등의 주기성을 갖는 생체 시계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타이머(timer) 같은 역할 즉 특정시간으로부터 얼마간의 시간이 흘렀는지를 체크하는 타이머 기능도 포함한다. 유전자 생명체의 생체시계와 관련된 단백질로는 TIM , CLK, PER 등의 유전자들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항상성 항상성(恒常性,constancy)은 생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생명 현상이 제대로 일어날 수 있도록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또는 그런 현상을 가리킨다. 생명체는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조건이 바뀌어도 친숙한 대상은 항상 같게 지각하려는 항상성을 갖고있다. 물체의 크기ㆍ모양ㆍ빛깔, 또는 소리를 들은 거리나 빛의 명암 따위..

아데노신, adenosine, 아데노신 쌓이면 잠, 수면 압력, 카페인, 아데노신 삼인산(ATP), 이인산(ADP),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

멜라토닌 분비,  아데노신 쌓이면 잠. 수면의 원리  우리 몸에는 언제 잠을 자야 하는지, 언제 깨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다. 멜라토닌은 척추동물의 경우 뇌 속에 위치한 솔방울샘(pineal gland)에서 분비된다. 사람의 경우 멜라토닌은 생후 2~3개월부터 분비하기 시작해 점차 증가한다. 다만 영아기에는 충분한 멜라토닌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자라는 부분은 모유 수유를 통해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불면증을 앓는 환자의 70%가 50대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가 노화됨에 따라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대한의학협회의 조사에 따르며 50대엔 멜라토닌 분비량이 청소년기의 절반에 불과하며, 65세 이상이 되면 3분의 1로 감소하..

글림프 시스템, 뇌청소, 수면 질, glymphatic system, glymphatic clearance pathway

잠을 자면서 뇌의 노폐물을 처리하는 뇌청소 글림프 시스템 복잡하고 많은 일을 처리하는 인간의 뇌가 지치지 않고 지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은 뇌 청소 시스템인 바로 “글림프 시스템”이다. 글림프 시스템, 뇌청소, glymphatic system, 각성 중인 뇌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찌꺼기를 배출한다. 잠을 잘 때 뇌를 순환하는 물(뇌척수액)이 뇌세포 사이사이로 들어가 이 찌꺼기를 씻어낸다. 이를 ‘글림프 시스템’(Glymphatic System)이라 한다.글림프(glymph)는 뇌내 교세포(glia)와 림프(lymph)의 합성어다. 동맥과 이를 둘러싼 교세포 사이의 공간을 흐르는 뇌척수액이 뇌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해 쌓여있는 노폐물을 쓸어내고, 정맥과 이를 둘러싼 교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노폐물이 들..

가까운 이에 화 내는 이유, 뇌과학, 동일시(同一視), 그 사람과 나를 동일시

가까운 이에 화 내는 이유, 뇌과학,  그 사람과 나를 동일시  가까운 사람을 나와 다른 사람이라고 인정하는 게 진짜 사랑이다. 화를 내는 건 상황에 대한 통제권이 없는 사람이 통제권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화를 내는 전략은 현대 사회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 전략이다. 화를 낸 상대방과 관계를 계속 이어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가까운 사람에게 화를 내는 이유는 그 사람과 나를 동일시하기 때문이다. 나를 인지하는 뇌 영역이 있고, 타인을 인지하는 뇌 영역이 있다. 나와 가까운 관계일수록 나를 인지하는 영역에 가깝게 저장돼 있다. 한국인들은 어머니와 자신을 동일시한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나라고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기 때문에 통제하고 싶어한다. 어른이 된다는 것을 "내 마음대로 ..

테트라포드, Tetrapod, TTP, 4(tetra), 발(pod), 파도 에너지 흡수, 방파제, 20톤, 60만원, 항만법상 출입금지 규정, 과태료 100만원

테트라포드, Tetrapod, TTP, 발(pod), 넷(tetra) 달린 마름쇠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가리킨다. 방파제 등 해안 구조물에서 물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구조적 특징파도를 감쇄시키는 각각의 구조물을 여러 개 쌓아 방파제를 건설하는 것을 '소파 블록(消波-, wave-dissipating block)' 방식이라고 하는데, 테트라포드는 소파 블록 중에서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 형태의 소파 블록은 1949년 프랑스의 공업 회사 NEYRPIC에서 처음 생산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방파제 건설에 이용된다. 무게는 소형이 2톤 이상,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중형은 20톤 정도, 아주 거대한 대형은 80톤 이상이다. 방파..

뉴런, 시냅스, Neuron, Synapse, 미엘린, 수초(Myelin), 다발경화증

I. 뉴런의 개요뉴런은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신경세포의 일종 뉴런은 신경말단에서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를 처리하고,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  II. 뉴런의 구조전형적인 뉴런의 구조뉴런은 세포체, 축삭, 수상돌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A. 세포체(cell body)세포체는 뉴런의 핵과 다른 세포 구성 요소들이 모여 있는 부분 뉴런의 대부분의 생물학적 기능은 세포체에서 이루어진다.B. 축삭(axon)축삭은 뉴런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길이 긴 부분 축삭은 뉴런의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신경전달물질인 뉴로트랜스미터(neurotransmitter)를 분비하여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C. 수상돌기(dendrite)수상돌기는 뉴런에서 신호를 받아들이는 부분수상돌기는 축삭과 달리 짧고 분..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뇌, 척수, 감각 수용 조절, 운동, 생체 기능 조절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우리 몸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추 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몸에서 느끼는 감각을 수용하고 조절하며 운동, 생체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 위치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는데 뇌는 머리뼈의 안쪽에 위치하고 척수는 척주관 안에 위치구조뇌는 대뇌, 간뇌, 중뇌, 소뇌, 연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수의 끝은 척수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뇌는 두개골로 둘러쌓여있고 뇌척수액이 흐르고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고 있습니다. 대뇌 단면의 바깥부분은 회백질로 이루어져 있고 신경세포체가 많이 모여있습니다. 속부분은 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경섬유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척수는 척주관속에 위치하고 있으..

시상하부, 체온조절 중추 시상하부, 신체 에어컨, 시상하부 호르몬

체온조절의 중추는 시상하부신체 에어컨, 시상하부 더위를 느끼는 것은 뇌의 아래쪽에 위치한 시상하부 때문이다. 시상하부는 뇌 전체 부피의 300분의 1정도로 콩 하나의 크기에 불과하지만 자율신경계의 중추가 모여있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부위이다. 시상하부는 감정을 조절하고 음식의 섭취량을 결정하며 뇌하수체의 호르몬 분비에 관여하 는 등 자율신경계의 활동에 빠져서는 안 되는 기관으로 특히 우리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 신체 온도계다. 사람은 변온동물인 파충류와는 달리 체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동물이다. 따라서 정상적이라면 항상 섭씨 36.5도를 유지한다. 이 체온의 근원은 세포에 있다. 세포가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섭취해 대사를 진행하면서 활성화되는 것이 ‘UCP(Uncoupling Protein)’이다..

성, 城, castle, 성채, 城砦, citadel, 성관, 城館

성채, 城砦, citadel   마을, 읍, 소도시 등 거주지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요새다. 유사시 도시 방어의 핵심 역할을 하는 곳이다. "시타델"이라는 말은 "작은 도시(시티)"라는 뜻이다.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를 비롯한 도시국가들에서부터 이런 형태의 방어시설이 나타난다. 성채는 거주지 요새화에서 가장 강력한 부분이다. 도시 성곽 내부에 지어지기도 하지만 때로 성곽 경계 또는 성곽 밖에 지어지기도 한다. 성채는 도시의 최후 방어선으로, 다른 방어시설들이 모두 뚫렸을 때 시민과 방어군이 성채에 틀어박힌다. 한편, 성관에서 다른 곳보다 방벽이 높은 부분을 성채라고 칭하기도 한다. 성관의 성채는 성주가 거주하는 핵심부인 아성 바로 앞의 최후 방어선이다. 성. 城, castle 적을 방어하기 위한 거점으로 ..

어댑터, 충전기, 어댑터(Adaptor) 필요 이유, AC 전류, DC 전류

전원 어댑터, 충전기 차이점전자 장치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전원 어댑터와 충전기라는 용어는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두 용어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장치의 안전과 최적의 기능을 보장하려는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입니다 . 전원 어댑터는 벽면 콘센트의 고전압 AC 전류를 전자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전압 DC 전류로 변환하도록 설계된 장치입니다. 기본적으로 전기 콘센트와 전자 장치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전원 어댑터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공되며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와 함께 작동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노트북 전원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노트북이 작동하는 데 더 많은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전원 어댑터보다 더 높은 전압 출력을 공급..

스웜 전술, Swarm Tactics, 무장 기병 히트 앤 런 전술, 스웜(Swarm), 벌떼, 유목민 스웜 전술, 카르헤 전투

화기가 보편화 되기전 냉병기 시대의 전장에서 궁기병을 주로 운용하던 군대가 주로 사용하던 전술. 영단어 Swarm은 벌같은 곤충들이 떼지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어유목민족이 은근히 전투종족 취급 받는 이유가 그들의 장기인 기병을 이용한 스웜 전술의 막강함과 기동성에 있다.  전술 개념스웜 전술은 활, 투창 등 투사병기로 무장한 기병의 히트 앤 런 전술을 말한다. 기병의 기동력을 이용해 빠르게 접근과 후퇴를 반복하고, 접근 시 투사무기를 이용해서 공격한다. 기병은 정밀한 진형 구성이 어렵고 신속한 이탈이 중요한데 스웜 전술에서는 정밀한 움직임 대신에 무리지어 움직여서 치고 빠지는게 중요하며, 이 때 기병 무리의 움직임이 벌레떼가 뭉쳐서 움직이는 것과도 같아 이것이 곧 전술의 어원이 된다. 말을 타고 화살..

유목민, 스웜 전술, 궁기병, 약탈경제

유목민, 스웜 전술, 궁기병말에 올라탄 튀르크족 병사 1천 명이 나란히 달리면서 한꺼번에 화살을 쏘면, 반드시 1천 명의 적들을 죽이고 말 것이다. 어느 군대도 그들의 공격에 맞서 싸울 수 없다. 말에 탄 채로 화살을 쏘는 실력으로는 튀르크족 병사가 아랍인 병사보다 더 뛰어나다. 튀르크족 병사들은 말에 탄 채로 전후좌우 사방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화살을 쏘면 사람과 동물들을 반드시 맞춘다. 아랍인 병사가 화살을 한 번 쏠 동안, 튀르크족 병사는 화살을 무려 10번이나 쏠 수 있다. - 아랍의 문인인 알 자히즈(Al-Jahiz 767~869년)가 서술한 튀르크족 궁기병들에 대한 내용(투르크인들은) 자신들이 프랑크인과 한 뿌리에서 나온 종족이라고 하면서 프랑크인과 투르크인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기사로 태어날..

할힌골 전투, 만주국 몽골 국경 분쟁, 할하강, 소련군·몽골군, 관동군·만주국군, 주코프, Battles of Khalkhin Gol

할힌골 전투, Battles of Khalkhin Gol  1939년 5월부터 8월까지 몽골 인민공화국과 만주국의 국경 지대인 할하강 유역에서 소련군·몽골군과 관동군·만주국군 간의 국경 분쟁으로부터 시작된 전투를 말한다. 관동군이 만주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동북부 외몽골과 인접한 할하 강변 노몬한 부근은 국경선이 확실치 않아 잦은 분쟁이 일어났다. 1939년 5월 11일 몽골군 기병 70 ~ 90명이 할하강을 건너오자 일본군은 이를 불법 월경으로 간주하였고, 이는 양측 간의 선전포고 없는 전쟁으로까지 번졌다. 전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5월에는 제한된 병력들이 교전하였으며 일본군이 패배했다. 7월에 펼쳐진 일본군의 공세는 실패로 끝났으며, 마지막으로 8월에 소련군이 공..

미국, 목조 주택, 이유, 경제성, 공사기간 단축, 재료 가용성

왜 콘크리트로 짓지 않고 가벼운 나무로 지을까경제적인 이유  미국에서는 콘크리트 기술자가 별로 없습니다.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콘크리트 관련 인건비가 비쌉니다.​반면 대부분의 기술자들이 목조주택을 짓기 때문에 인건비가 저렴합니다.게다가 미국에선 나무가 풍족한 건축자재이기 때문에 저렴합니다. ​미국의 경우 2020년 미국의 산림 면적은 약 3억 1천만 헥타르로 전 세계 면적의 8%를 차지하며 년간 약 3억 7천만 톤의 나무를 생산합니다.​​​공사기간 단축​건물을 지을 때 공사비와 가장 맞닿아 있는 부분이 공사기간입니다.공사기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건축비가 줄어듭니다.​​• 30평 콘크리트 주택의 경우 설계, 인허가, 토목, 구조, 외장, 내장, 인테리어 등의 공정과 날씨, 자재, 인력, 예산 등의 조건을 포..

체온 상승, 운동 능력 하락, 여름철 운동능력 감소 이유, 말초혈관 확장, 근육 피 감소, 젖산 축적, 심장 피 감소, 심박수 증가

체온 상승, 운동 능력 하락 여름철에는 운동능력도 쉽게 떨어지고 지치기 쉽게 되는데, 이는 운동 시 근육으로 보내져야 할 혈액이 체온조절을 하기 위해 피부로의 혈액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땀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이 많이 배출 되어 혈액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혈도 감소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심장에서 뿜어내는 혈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인체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박수가 증가되어 더 빠르고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    여름철 운동능력 감소 이유  우리 인간은 항온동물입니다. 이는 체내의 온도가 일생 동안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말합니다.체온의 변화는 대부분 1°C 이내의 범위에서 이루어 집니다.하지만 장시간의 힘든 강도의 운동이나 더운 여름철 운동은 체온을 정상범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