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용 과학 Applied Science 460

항공우주공학과, 진로, 취업, 대학, Aerospace Engineering

항공우주공학과航空宇宙工科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 Department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학교 교육과정학교마다 다르지만 항공우주공학을 공기역학, 구조역학, 추진공학, 제어공학 4가지로 분류하여 기본적으로 배우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항공기를 다루는 항공시스템과, 우주선을 다루는 우주발사체 이 두 가지에 대해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체로 1학년 때는 항공우주공학개론, 일반물리학, 미적분학, 프로그래밍 등을 배운다. 오랜 시간 동안 학부 레벨에서의 항공우주공학은 기계공학과 겹치는 내용이 많기에 그 둘은 서로 비슷하지만 결만 다른 학과로 여겨져 왔다. 그렇기에 학문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2000년경에는 국내의 많은 대학교..

회전근개, Rotator Cuff, 돌림근띠,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회전근개(rotator cuff), 돌림근띠 어깨 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한 근육과 힘줄의 조합을 말한다. 이는 7개의 어깨위팔근육(scapulohumeral muscle) 중에 가시위근(supraspinatus),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작은원근(teres minor), 어깨밑근(subscapularis) 총 4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근개(Rotator cuff)를 이루는 근육  근육 기시부 종지부 기능 신경지배 극상근(supraspinatus)견갑골의 극상와상완골의 대결절상완골의 외전Suprascapular nerve(C5)극하근(infraspinatus)견갑골의 극하, 내측상완골의 대결절상완골의 외측회전Suprascapular nerve(C5, 6)소원근(teres min..

감각계통, 피부(Skin) [해부학]

Chapter 13. 감각계통 1. 피부(Skin) 가. 표피(Epidermis)ㆍ중층편평상피층으로 구성ㆍ바깥층부터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가시층, 바닥층으로 구분 나. 진피(Dermis)ㆍ탄력섬유와 함께 혈관과 신경 분포- 유두층 : 지문(손/발바닥의 유두가 일정한 배열)- 그물층 : 분할선(랑거선, 피부표면 부위에 따라 다양한 주름)  다.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ㆍ피부의 일부분에 속하지 않음ㆍ진피와 연결 라. 피부감각의 종류와 수용기ㆍ자율신경조말 : 통각 ㆍ마이스너소체 : 촉각ㆍ루피니소체 : 온각ㆍ파치니소체 : 압각ㆍ크라우제끝망울 : 냉각 마. 피부의 부속기관ㆍ털(Hair), 손/발톱(Nail), 피부기름샘(Sebaceous gland)ㆍ땀샘(Sweat gland)- 작은..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 인체의 면, 시상면(Sagittal plane), 관상면(Frontal plane), 가로면(Transverse plane)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 해부학에서 올바르게 명칭과 방향, 위치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에 대하여 먼저 알아야 한다.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의 부위와 구조에 대해 명료하게 표시하고, 통일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립적으로 통용되는 자세이다. 해부학적 자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똑바로 서서 얼굴은 앞을 향하게 한다. - 발은 자연스럽게 모아 발가락이 앞을 보도록 한다. - 팔은 몸통 옆으로 내리며 손은 펴서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한다.   인체의 면(plane of body)      정중면(median plane)  - 신체의 앞뒤를 정중앙으로 하여 통과하는 수직(세로) 평면- 신체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수직(세로)..

균형(balance), CG(무게중심 ), 안정성(stability), Center of Gravity

균형(balance)이란 항공기의 CG(무게중심) 위치를 의미하며 이는 안정성(stability)과 안전에 중요한 요소이다. 항공기 균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로축에 대한 CG의 전방/후방 위치이다. CG는 고정된 지점이 아니며 항공기 내 무게 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변경될 수 있는 적재 물품들이 이동되거나 소모됨에 따라 CG 위치가 변화한다. CG range(CG 위치에 대한 전방 한계와 후방 한계 사이의 거리)는 제조업체에 의해 증명된다. 만약 CG가 세로축으로부터 너무 앞으로 이동하면 nose-heavy 상태가 발생한다. 반대로 만약 CG가 세로축으로부터 너무 뒤로 이동하면 tail heavy 상태가 발생한다. CG의 위치가 불안정 조건을 만들어내면 조종사가 항공기를 제어하지 못할 수도 있다. [..

나트륨, 신경, 체내 나트륨 역할

소금은 음식의 맛을 내는 조미료이면서도 우리 몸의 체액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체액은 혈액, 간질액 등을 포함하는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소금의 주요 성분인 나트륨 이온은 세포외액에 국한되어 분포하면서 삼투 현상에 의해 세포내액에 있는 수분을 끌어당긴다. 따라서, 나트륨 이온은 개체가 부피 성장을 하는 데 꼭 필요하다.   체내의 나트륨 역할  나트륨은 신체의 전해질 중 하나로, 신체가 비교적 다량으로 필요로 하는 무기질전해질은 혈액과 같은 체액 내에서 용해될 때 전하를 운반대부분의 신체 나트륨은 혈액과 세포 주변 체액에 있습니다. 나트륨은 체액이 정상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인체 수분에 관하여 참조). 나트륨은 신경 및 근육의 정상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활성슬러지법, Activated Sludge Process, 하수처리, 생물학적 수처리, 1914년, 영국, Arden, Lockett

활성슬러지법 Activated Sludge Process 환경공학에서의 하수처리의 기본. 활성슬러지법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처리, 혹은 그 변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역대 하수처리 공법 중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이기 때문에 세계 어느 나라에서건 쓰이는 방식. 기본적으로 활성슬러지를 만들어서, 활성슬러지가 호기성 상태에서 하수 속의 유기물을 저분자 물질인 이산화 탄소, 물로 바꾸는 과정이다. 근대 하수도의 도입은 19세기 영국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데, 산업 혁명으로 도시에 인구수가 늘어남과 동시에 전염병 발병이 늘자, 빈민구호법 수정안이라는 법률로 하수도를 만들기로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런던시가 이를 먼저 도입하게 된다. 18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전세계적으로 폐수의 ..

데시벨(dB), 헤르츠(Hz), 주파수 : 소리의 음색, 데시벨 : 소리의 음고, 소리의 세기 데시벨(dB), 진동수 헤르츠(Hz)

주파수 : 소리의 음색 데시벨 : 소리의 음고   데시벨(decibel, dB) 기준에 대한 비율에 상용로그를 취한 물리량의 단위이다. 비SI 병용 단위에 벨(Bel, B)과 함께 등록되어 있다. 상용로그의 값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차원이 없다. 데시벨의 수치는 기준치에 대한 비율에 상용로그를 취한 것이기 때문에 데시벨 자체는 절대치가 아니라 상대치이다. 일상적으로 절대치처럼 쓰이는 단위들은 기준값이 고정되어 있고 데시벨 뒤에 부가적인 기호를 붙여야 하는데 이걸 보통 생략하고 쓰기 때문에 절대치인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데시벨(dB)라고 한다.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벨의 이름에서 따왔다. 0dB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다...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Perovskite, 차세대 태양전지, 태양전지 분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perovskite solar cell)

태양전지 별 효율연구실에서 측정된 최대 효율 상용화된 태양전지 효율단결정 Si 태양전지(1세대)26.7%20%박막 Si 태양전지 (2세대)14%10%GaAs 태양전지 (2세대)>= 40%30%CIGS (2세대 박막 태양전지)20.1%12%CdTe (2세대 박막 태양전지)10%-염료감응 태양전지 (3세대 유기 태양전지)10%-유기분자 태양전지 (3세대 유기 태양전지)3~5%-페로브스카이트 (3세대 유기 태양전지)단결정 Si 태양전지와 비슷-  태양전지 분류태양전지 시장은 종류에 따라 유기 태양전지와 무기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perovskite solar cell) 태양 전지의 한 종류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물질을 광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태양 전지이다. 납이나 주석을 중심 금속으로 ..

장-뇌 축 이론, 장과 뇌의 상호작용, 장(腸) 건강이 뇌 건강, 장뇌 축 메커니즘, Gut Brain Axis, GBA

장과 뇌의 상호작용 (장-뇌 축) 장(腸)에는 우리 몸의 면역력을 좌우하는 면역세포의 70%가 존재하며 약 100종류, 100조 이상의 균이 서식하고 있다. 장내 미생물은 유익균, 유해균, 중간균으로 나뉘어 균형을 이루는데, 이 같은 장내 미생물의 균형이 깨지면 몸에 이로운 유익균 군집이 붕괴되고 해로운 균이 득세하면서 염증과 스트레스가 발생해 암이나 당뇨 등 각종 질병이 발생한다. 장에는 약 4~6억대의 뉴런이 존재한다. 이를 장 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라 하며, 약 1000억 개의 뉴런으로 구성된 뇌를 제외하고 다른 부위들보다 유독 신경이 많기 때문에 소위 '제2의 뇌'라고 부르기도 한다. 장 신경계는 복잡한 소화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위에 들어온 음식물을 근육 수축으로 장까지 ..

분홍색 때, 곰팡이, 분홍 생물막, 감염성 병원균,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s) 박테리아

변기에 낀 '분홍색 때', 곰팡이 아냐분홍 생물막을 형성하는 감염성 병원균,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s)' 박테리아...호흡기 약하고 면역력 약한 사람들은 주의해야 욕실 샤워실 바닥이나 변기를 보면 어느새 분홍색 물질이 껴있는 걸 발견하곤 한다. 이 분홍색 물질의 정체는 세라티아 마르세센스라는 박테리아로, 습한 환경에서 잘 번식하는 특성에 따라 샤워기, 세면대, 변기 주변 등 물이 있는 곳에서 발견된다. 세균 번식으로 인해 분홍색이나 빨간색의 생물막(biofilm)이 형성된다.욕실 샤워실 바닥이나 변기를 보면 어느새 분홍색 물질이 껴있는 걸 발견하곤 한다. 어떤 이는 화장품 찌꺼기가 쌓인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고, 세제가 남아 생긴 곰팡이 정도로 여기기도 했다. 청소해도 시간..

베르니케 영역, Wernicke's area,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 뇌의 좌반구에 위치하는 특정부위로 청각피질과 시각피질로부터 전달된 언어정보의 해석을 담당한다. 말과 글을 이해하는 기능을 하는 언어중추의 한 부분이다. 독일의 신경정신과의사인 칼 베르니케(Carl Wernicke)가 1874년에 자신의 연구결과를 발표함으로 베르니케 영역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저서 《실어증의 복합증상: 해부학적 기초를 통한 심리학적 연구》를 통해서, 베르니케 영역이 손상되었을 때에는 브로카 실어증과 다른 형태의 언어장애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렸다.[2] 학계에서는 이 부분을 발견자의 이름을 빌려서 베르니케 영역이라 부르고 있다.  언어 중추에서 브로카 영역은 출력을 담당하고 베르니케 영역은 입력을 담당한다.위치와 기..

브로카 영역, Broca's area, 브로카 실어증, 언어 발화(language production), 브로카 영역, 베르니케 영역

브로카 영역(Broca's area)  좌반구 전두엽에 존재하는 뇌의 특정 부위로 언어 생성을 제어하고 말을 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브로카 영역은 인류가 호모 하빌리스였을 때부터 발달해온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프랑스의 인류학자, 외과의사이자 신경해부학자인 폴 피에르 브로카(Paul Pierre Broca)에 의해 밝혀져 브로카영역이라 명명되었다.위치 브로카 영역은 대뇌피질 전두엽에 있는 하전두회의 판개부(pars opercularis)의 뒷부분과 삼각부(pars triangularis)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좌반구의 것만 브로카 영역이라고 하는데, 이는 베르니케 영역도 동일하다. 브로드만 영역으로는 44번과 (논란이 있지만) 45번이 이에 속한다. 브로카는 베르니케 영역과 대뇌궁상..

장경인대, IT band, 장경인대증후군(IT band syndrome)

장경인대(Iliotibial band)  러닝이나 등산, 자전거 타기 같은 종목의 운동을 취미 삼아 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다. 바로 무릎에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충격이 가해진다는 것이다. 이런 충격은 인대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장경인대증후군이 바로 그런 경우이다. 무릎 바깥쪽의 통증을 호소하며 내원하는 환자 중 흔하게 볼 수 있다. 무릎의 과사용이나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한 잦은 마찰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장경인대는 골반에서 시작하여 허벅지 바깥쪽에 붙어 있는 길고 두꺼운 인대이다. 무릎 외측에 붙어 있는 이 인대가 과하게 뻣뻣해지면서 마찰이나 압박이 강해지면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무릎을 30도 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통증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면 장경인대증후군일 가능성이 크다. 이 밖에도 운동이..

베이킹소다, 운동능력향상, 에르고제닉 효과, 스포츠 보충제, 젖산 중화

베이킹소다,베이킹소다, 운동능력향상, 에르고제닉 효과, 스포츠 보충제, 젖산 중화고강도의 운동은 혈액에 젖산을 축적시키고 인체를 산성화시킵니다. 격렬한 트레이닝을 하는 동안 근육은 분해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의 젖산과 수소이온을 만들어 냅니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부산물은 피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우리 몸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러 보호 메커니즘이 있는데 알칼리성인 중탄산나트륨은 산성을 중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탄산나트륨은 빵을 만들 때 반죽을 부풀리는 베이킹소다라는 명칭으로 우리에게 익숙합니다. 우리 몸에서도 만들어지는데 위장은 소화액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중탄산염을 생산합니다.    우리 몸이 운동을 하는 동안 근육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중탄..

패혈증, sepsis, 피[血]가 썩는[敗] 병[症], 미생물 감염, 균혈증(Bacteriamia, 패혈성 쇼크

패혈증(敗血症, sepsis) 인체가 세균 및 기타 미생물에 감염되어 이들이 생산한 독소에 의해 중독 증세를 나타내거나, 전신성 염증 반응, 심각한 장기 손상 및 합병증을 보이는 증후군을 이른다. 말 그대로 피[血]가 썩는[敗] 병[症]으로, 상처, 호흡기, 소화기관 등을 통해 침투한 혈액 내 병원체가 숙주의 면역체계를 뚫고 번식하는 데 성공한 상태이다. 즉 몸이 병원체에게 점령당한 것. 흔히 '패'혈증이 아닌 '폐'혈증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특히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폐렴이 심해지면 패혈증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패'혈증이 아니라 '폐'혈증으로 오인하기 쉽고, 뉴스기사는 물론, 법원의 판례에서마저 '폐'혈증이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이다.(대법원 1982. 10. 12. 선고 81도26..

지질 과산화, 과산화지질, 자유 라디칼, lipid peroxidation

지질 과산화脂質過酸化, lipid peroxidation  지질의 산화적 분해의 연쇄 반응이다. 지질 과산화는 자유 라디칼이 세포막의 지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세포를 손상시키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자유 라디칼 연쇄 반응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된다. 이것은 특히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메틸렌 가교(-CH2-) 사이에 여러 이중 결합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중불포화 지방산에 가장 자주 영향을 미친다. 과산화지질 피부에 유해한 대표적 물질로 불포화지방산이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되어 생긴다. 이것이 증가하면 피부의 섬유가 취약해져 주름살, 색소침착 등의 피부노화가 발생한다. 피부는 자외선을 비롯한 외기의 영향을 계속 받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신진대사가 점차 쇠퇴하기 때문에 과산화지질의 대사가 일어나지 못..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우울증, 활성 산소, 산화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우울증과 연관" 미국 연구진,정신질환자 뇌조직 분석… "상당수 '높은 충격 결실' 발견"  미토콘드리아의 돌연변이가 우울증과 연관돼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가 먹는 음식을 세포가 기능하는 데 필요한 화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공장이다. 각 세포는 원활한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다. 만약 수치가 줄어들거나 복잡한 신진대사 경로를 방해받으면 에너지 부족 때문에 세포들은 죽을 수도 있다. 미토콘드리아 안에 있는 유전자와 세포의 핵 안에 있는 일부 유전자들은 동력실(Power house)들이 계속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전적 위치에서의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유전학에서 염색체의 유전성 물질을..

스타십, 스페이스X, 스타십 추진체 귀환, 스타십 발사 시스템(Starship Launch System), 엔진 수 39개, 일론 머스크, 스타십 우려, 회의적 시선

스타십, 스페이스X호기심과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는, 별 너머로 떠나는 여행. 그것이 우리 인간의 미래입니다. - 일론 머스크, 2019년 9월 28일 스타십 최신 발표회에서 스페이스X에서 개발 중인 다목적 초대형 우주발사체. 단기적으로는 팰컨 9과 팰컨 헤비를 대체하며, 나아가 발전된 재사용으로부터 우주 수송 산업의 새로운 경제적 접근을 구축, 확립하고, 달과 화성 탐사, 그리고 장차 먼 미래에 있을 화성보다 더 멀리 위치한 천체들에 대한 탐사 계획까지 고려해 설계된 기체이다. 스타십(Starship, 2단부)과 부스터(Booster, 1단부), 그리고 재사용 시스템으로서 발사, 정비, 급유, 회수 장비인 OLT/OLM(OLIT)으로 구성된다. 전장 119m, 직경이 9m로, 전장 110.6m인 전대의..

전두엽, 편도체, 인생을 지배하는 뇌, 이마엽, 前頭葉, frontal lobes

전두엽, 前頭葉, frontal lobes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색칠된 부분을 전두엽이라 부른다. 대뇌에서 가장 큰 피질이고, 감각이 처음 도달하는 부위는 아니지만 모든 감각이 이곳으로 모인다. 이 부위는 전전두피질과 운동 피질, 브로카 영역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대략적인 역할은 언어기능, 감정과 논리적 사고 등의 판단이다.최근 해부학 용어 개정을 통해 '이마엽'으로 부르기로 하였다. 사회성, 판단력, 충동 조절, 운동신경, 논리, 감정 조절, 언어 구사 등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데 중요한 여러가지 요소들을 전부 좌우하는 부분이다. ADHD, 사이코패스와 자폐성 장애, 지적장애도 이 부분의 선천적 결함으로 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PTSD는 전두엽의 손상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치매 역시..

뇌전증, Epilepsy, 간질, 간질발작, 간질병, 간질증후군, 뇌 신경세포 일시적 이상 과도한 흥분 상태

뇌전증(Epilepsy) 증상온몸이 떨림, 손떨림, 뇌전증 발작 , 의식 저하, 눈꺼풀의 떨림, 경련관련질환뇌종양, 양성 뇌종양, 뇌 동정맥 기형, 뇌졸중, 저혈당증, 발작, 뇌경색, 외상성 경막하 출혈, 선천성 기형, 저칼슘혈증진료과신경과, 신경외과동의어epilepticseizure,epilepticsyndrome,간질발작,간질병,간질증후군,간질뇌전증(간질)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과 같은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뇌 질환을 의미합니다. 대뇌에서는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들이 미세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습니다. 이러한 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잘못 방출되면 발..

강박장애, 강박증, 강박성의 진화, 소극적 생존 전략, 고통 회피 전략, 건강한 강박, 강박성 성격장애, 확인 강박증

강박장애 강박증 強迫障礙,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신경증의 일종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한 사고나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상태를 말한다.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한다.   강박성 성격장애와 다른점강박성 성격장애(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와는 다르다. 강박장애는 자기 외부에서 떠오르는 강박적인 사고 때문에 환자 본인이 불편감과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이고, 강박성 성격장애는 그 사람의 성격이 매우 빡빡해서 환자의 주변인들에게 피해를 끼친다.    유병강박장애는 의외로 흔한 병이다. 보통 50명 중 1명이 앓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경상국립대 김명옥 교수,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선정,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정, 70억 원 투입

경상국립대 김명옥 교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정 -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에 선정돼 - 5년간 국비 60억, 경상국립대 4억, 기업 6억 등 총 70억 원 투입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는 생명과학부/응용생명과학부 김명옥(신경생물학실험실) 교수가 주도하는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연구단’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가 선정·지원하는 ‘2024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 가운데 80%를 차지하는 중요한 난치성 질환 가운데 하나이며,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급격한 증가 추세로 사회적·국가적·가정적으로 중요성에 비추어 뚜렷한 조기진단과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기진단이 ..

란체스터 법칙, 란체스터 선형 법칙(Lanchester's Linear Law, 현대이전 전투), 란체스터 제곱 법칙(Lanchester's Square Law, 현대전투), 비대칭 전력

란체스터 법칙, Lanchester's laws 영국의 항공공학자인 프레데릭 윌리엄 란체스터(Frederick William Lanchester, 1868 ~ 1946)가 세계 대전의 공중전 결과를 분석하면서 발견한 제1법칙과 제2법칙.결론부터 말하자면 상호간의 성능이 동일할 경우 다수가 소수를 쉽게 이길 수 있으면서 그 피해도 훨씬 적다는 것.이 법칙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의 중요한 전략으로 이용되었으며, 전쟁이 끝나고 1960년이 되자 경영학의 주요 원리로 다시 조명받기 시작한다. 한정된 자본을 어디에 투자해야 경쟁자보다 효율적인 수익을 거둘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업전략의 기반으로 거듭난 것.  세부 원리아래의 법칙들이 성립하기 위한 전제는 다음과 같다.전장에서 정면으로 충돌해야 한다. ..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자기유체역학, 공기역학

유체역학Fluid Mechanics유체. 즉, 전단응력을 받을 때 저항하지 못하고 연속적으로 변형하는 물질의 역학적 상태를 설명하는 학문역사적으로 유체역학의 시초는 뉴턴으로 본다. 물론 아르키메데스의 부력의 원리도 유체역학에 기여하였지만,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시킨 것은 뉴턴의 연구가 처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후로 다니엘 베르누이, 오일러 등의 학자들이 유체역학을 발전시켜 왔으며, 유체역학 관련 학회에서 새로운 논문이 수천수만 편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재에도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학문 분야이다.   오일러 관점유체역학에서는 관찰할 지점은 고정해놓고, 그곳을 지나는 유체에 대해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을 해석하는 오일러 관점을 이용한다. 또한, 오일러 관점을 이용하여 기존의 보존 법칙들을 다시 전..

동화작용 저항성, 가속노화, anabolic resistance, 동화작용(anabolism), 합성대사(合成代謝), 생합성, ATP, 동화 호르몬, 동화 스테로이드, 인슐린

동화작용 저항성, anabolic resistance 늙지 않는 근육을 가진 시니어들이 자주 등장하고 각광받는 것을 볼 수 있다. 80세 몸짱 임종소씨와 70세 몸짱 강현숙씨와 같은 분들이 본인의 근육량을 과시할떄 박수를 치지 않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의학 채널과 의료진들도 ”근감소증“ 예방과 근육의 중요성을 익히 알려준다. 또한 ‘근육을 재태크한다’라는 말을 줄인 ‘근테크"라는 신조어가 생긴 것처럼, 롱텀을 생각해서 근육을 키워야겠다는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졌다.근감소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으로 단백질 섭취를 늘리고 근력운동을 권장한다. 하지만 과연 나이 들어도 이것이 가능할까? 20-30대에 닭가슴살을 먹고 헬스장에서 무거운 것을 들으면 근육이 쉽게 자라지만, 장년기부터는 아무리 헬스장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