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 500

10차 개헌, 쟁점, 제7공화국

10차 개헌 10차 개헌이란 9차 개헌에 의한 현행(제10호) 대한민국 헌법을 개정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다음 개헌이 확정될 시 10차 개헌, 제11호 헌법이라고 불릴 것이다.  대한민국 제7공화국10차 개헌을 통해 헌정체제의 현저한 변혁이 이루어질 경우, 그때부터는 "제7공화국"이라고 불릴 것이다. 제1공화국 이승만 정부 시기의 발췌 개헌과 사사오입 개헌, 제2공화국 장면 내각의 소급입법 개헌, 제3공화국 박정희 정부의 3선 개헌은 일부 개헌이 위주였기 때문에 별도의 공화국으로 분리되지 않았다. 단, 10월 유신은 제3공화국 헌법의 중단과 동시에 체제의 현저한 변혁이 이루어졌기에 제4공화국으로 별도 분리되었다. 노태우 정부기까지는 대통령 1명당 1개의 헌정체제를 갖추었을 정도로 개헌이 잦았기..

공화국 기준, 공화국 구분, 헌법 9차개헌, 공화국 6공화국,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전환, 대통령 선출 방식, 개헌

공화국 기준 대통령제에서 의원내각제로 전환되거나, 대통령 선출 방식이 바뀌는 개헌 시점을 기준으로 공화국을 구분하는 방식 이런 기준에 따를 때 이승만 정권 때가 1공화국, 의원내각제가 도입된 3차 개헌 이후가 2공화국, 다시 대통령제로 돌아갔던 5차 개헌 이후가 3공화국으로 분류 공화국을 분류하는 기준1차 개헌과 2차 개헌은 이승만 정권하에서 이뤄졌다. 이승만은 초대 대통령에 한해 3선 연임 제한을 철폐하는 등 이승만의 장기 집권을 위해 개헌을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차 개헌은 4.19 혁명의 결과였다. 1960년 6월,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나고 소집된 국회는 우리나라의 통치 구조를 대통령제에서 의원내각제로 바꾼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반민주행위 처벌에 대한 소급..

출판 편향, publication bias, 발표편향,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 출판된 학술 연구에서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은 실험이나 연구 결과가 출판이나 배포 결정에 편향을 줄 때 발생한다. 중요한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만 게시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선호하는 결과의 균형이 깨진다. 출판 편향에 대한 연구는 메타과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유사한 실행 및 디자인 품질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진 논문은 결과가 없는(null result) 논문보다 출판될 가능성이 3배 더 높다. 이는 연구자들이 데이터 준설(data dredging)과 같이 통계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자신의 관행을 조작하도록 부당하게 동기를 부여한다.   데이터 드레징(data dredging), 데이터 스누핑(data snoopi..

제6공화국, 1987년 6월 항쟁, 9차 개헌,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한국의 공화국 기준대통령제에서 의원내각제로 전환되거나, 대통령 선출 방식이 바뀌는 개헌 시점을 기준으로 공화국을 구분하는 방식이런 기준에 따를 때 이승만 정권 때가 1공화국, 의원내각제가 도입된 3차 개헌 이후가 2공화국, 다시 대통령제로 돌아갔던 5차 개헌 이후가 3공화국으로 분류  대한민국 제6공화국  1987년 6월 항쟁으로 인해 개정된 9차 개헌 이후 출범한 대한민국 정부 체제를 가리킨다. 제6공화국 초대 정부는 노태우 정부이며 2024년 기준 윤석열 정부도 제6공화국에 해당한다. 대통령 직선제로 헌법이 개정된 연도를 따서 1987년 체제, 87년 체제라고도 부르며 약칭으로 6공(六共)이란 표현도 쓰인다.좁은 의미로는 제6공화국 출범 후 첫 정부인 노태우 정부를 나타내는 표현이기도 했다. 하지만 ..

민주주의 의미, 엘리트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 공화제, 군주제

민주주의정치 체제로서의 개념 민주주의의 의사결정 방식 민주주의(民主主義)란 국민이 주인 되는 정치 체제민주주의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공산주의를 왕왕 떠올리지만, 공산주의는 경제 체제. 사유 재산을 긍정하냐를 기준으로 자본주의와 대립. 민주주의와 대립하는 개념은 엘리트주의(독재주의). 구분 기준은 의사결정 방식. 누가 어떻게 결정. 민주주의의 의사결정은 ‘주인’인 국민에 의해. 그 인권적 가치도 중요하지만, 정치적으로 주목할 것은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주체(주권자)의 수. 민주주의가 국민 다수에 의해 의사가 결정되는 통치 방식이라면, 엘리트주의는 소수에 의해 의사가 결정되는 통치 방식.  군주제와의 비교 가장 전통적인 정치 체제이자 엘리트주의는 군주제. 흔히 왕정으로 불리는 왕에 의한 통치참고로 지칭은 정치 ..

신사 참배, 신사(神社), 12만 곳, 토리이(鳥居), 신사참배 고집, 야스쿠니 신사

신사 참배  일본의 국가 종교인 신도(神道)의 신사(神社)를 찾아 참배하는 행위. 신사는 신도의 사당(祠堂)이다. 신도는 일본 고유의 사상으로 조상 숭배나 일왕 숭배를 핵심으로 하는 국수적인 일본 토착 종교였다. 이러한 신도가 천황제를 지탱하는 국가신도(國家神道)로 변한 것은 메이지 유신 이후 새로운 정치 질서가 등장하면서 자국민을 통합할 상징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대내적으로는 신도를 통해 일왕을 중심으로 자국민의 단결을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타민족을 지배하고 동화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일제가 점령한 곳마다 신사를 세운 것은 이러한 의도를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 총독부는 한국 강점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전국에 신사를 세웠다. 특히 1917년에는 하세가와 요세미치(長谷川好道) 총독이 “조선통치상..

자원의 저주, 발생 원인, 자원 제외 제조업 가격우위 상실, 수출 망함, Resource curse, Paradox of plenty, 네덜란드병

자원의 저주발생 원인 - 자원 제외 상품 가격우위 상실, 수출 망함 Resource curse, Paradox of plenty, 資源의 詛呪 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경제성장률이 오히려 자원이 부족한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한 현상을 지칭하는 단어. 경우에 따라 당장은 경제적 풍요를 만끽하지만 이후 파국으로 떨어지는 파급효과를 포괄해서 지칭하기도 한다. 실제로 1995년 이후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에 가입한 국가들로는 대한민국,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칠레,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콜롬비아 등이 있는데 칠레와 콜롬비아만 자원 수출국이다. 이런 부류의 국가들은 대다수가 국민소득만 높고 산업 다각화가 취약한데 대표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

민주주의, 공화국, 차이, 비교, 입헌공화국, 의원내각제 공화국, 대통령제 공화국, 신권공화국

민주주의와 공화국의 차이점 정치학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는 사회에서 권력이 어떻게 분배되고 행사되는지와 관련이 있기 때문 민주주의와 공화국의 차이점 민주주의와 공화국의 차이점민주주의와 공화국의 차이점은 아래 표 형식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민주주의공화국민주주의의 경우 권력은 국민의 손에 있습니다.공화국의 경우 권력은 개별 시민의 손에 있습니다.민주주의에는 직접 민주주의, 대의 민주주의, 입헌 민주주의의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공화국에는 입헌공화국, 의원내각제 공화국, 대통령제 공화국, 신권공화국 등 5가지 유형이 있습니다.민주주의에서는 법은 다수에 의해 만들어집니다.공화국에서는 법은 국민이 선출한 대표자들에 의해 만들어진다.한 나라 안에는 여러 유형의 민주주의가 존재할 수 있다.한 국가에는 ..

민주공화제, 민주정 공화정 결합, 다수 국민 의사결정 주체(민주), 왕에 의한 통치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공화국), Democratic republican system

민주공화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대한민국 헌법 제1조 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에서 ‘민주공화국’이라는 표현이 밝히는 정치적 의미는 무엇일까?다수 국민이 의사결정 주체이며(민주) 왕에 의한 통치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공화국)다.   민주공화제(民主共和制, Democratic republic)는 민주정과 공화정이 결합된 정체를 이르는 말이다. 21세기 기준 세계의 상당수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정치제도이다. 오늘날의 민주공화국은 대개 선거 제도를 이용하여 대표자를 선출하는 대의민주주의 형태이지만, 반드시 대의민주주의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공화국과의 차이민주공화국이라는 말은 '민주정'과 '공화정'의 결합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사실 공화정과 민주정이라는 말은 굉장히 비슷한 단어이다. 공..

요하, 랴오허, 遼河, 요하 강, 1,345km, 요택(遼澤), 요서회랑, 고구려 서부 하천, 석유

요하(랴오허) 遼河 | liáohé Liaohe 요하 강 이칭 요하(랴오허), 랴오 강, 요수 국가 중국유출 발해 황해 길이 1,345km 유역 면적 232,000㎢  요하(중국식 발음 '랴오허')는 중국의 동북지역에 있는 강이다. 중국 7대강 중 하나로 규모가 꽤 크다. 랴오닝 성을 중심으로 내몽골 자치구와 랴오닝성, 지린성등을 지나 발해만으로 흐른다. 하류의 서쪽은 쌍태자하, 동쪽은 대요하 쪽으로 흐른다. 과거에는 대개 혼하, 태자하와 만나는 대요하 쪽으로 흘렀지만, 20세기 들어 대부분의 물이 쌍태자하 쪽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지리요하는 요수(遼水)라고도 불렀으며, 발원지를 크게 두 방향으로 나누자면 동북쪽으로는 동요하, 혼하, 태자하 등의 지류가 요동반도와 지린성 일대를 적시면서 흘러나오고..

자유지상주의, libertarianism,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미국 3당 자유지상당, 우파 자유지상주의 이론

자유지상주의(自由至上主義, libertarianism)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이에 대한 최대한의 보장을 주장하는 이념이다. 한국어에서 자유지상주의는 '자유의지주의'로 번역되기도 하며, 일본어에서는 '완전자유주의(完全自由主義)'로 번역하고 '리버테리아니즘(リバタリアニズム)'으로 불리기도 하며, 중국어에서는 '방임자유주의(放任自由主義)' 및 '자유의지주의(自由意志主义)' 로 번역되기도 한다. 일본어와 중국어 모두 '자유인주의(自由人主義)'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2013년에는 경희대학교 철학과 정연교 교수가 '자유지선주의'를 제안하기도 하였으며,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에서는 '완전자유주의', '순수자유주의', '자유원칙주의', '자유중심주의'를 제안한 적도 있었다. 그 밖에도 '절대자유주의'..

3저 호황,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플라자 합의

3저 호황 三 석 삼 低 낮을 저 好 좋을 호 況 하물며 황 3가지 숫자가 낮아 호황을 누린 시기. 전두환 정부 임기 후반인 1986년부터 노태우 정부 임기 초인 1989년까지 나타난 경제흐름으로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를 뜻한다. 전두환이 박정희 전 대통령이 쌓아놓은 기반 덕분에 거저먹은 것뿐이라는 평가가 있는 원인이기도 하다. 전두환 임기 초는 2차 석유파동으로 물가상승률이 30%에 달하는 악재가 있었던 시기로 당시 전두환은 물가안정책을 실시하여 물가상승률을 3%까지 낮췄으며 3저 호황은 전두환 임기 후반기에 나타났다. 3저 호황은 1989년에 끝났지만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지기 직전인 1997년 초까지 한국 경제는 비교적 순탄하게 굴러갔다. 3저호황의 배경 1985년 플라자 합의 제2차 세계 대..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지도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유명한 속담이지만 이 속담이 사실이라는 걸 나타내는 인포그래픽이 제작됐다. 물론 엄밀하게 말하자면 지구상 모든 길이 로마로 통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유럽에선 도로 대부분이 실제로 로마로 통하고 있다. 제작자들은 유럽 전체 이미지를 2,650만 3,452km2를 48만 6,713개 셀로 분할했다. 그런 다음 오픈 스트리트 맵(OpenStreetMap) 내 간선 도로 데이터와 경로를 계산하는 엔진인 그래프호퍼(GraphHopper)를 이용해 48만 6,713개소 출발점과 이탈리아 로마 사이를 잇는 가장 빠른 경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물론 가장 가까운 길이라고 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와 스웨덴 같은 곳에선 대부분 경로가 로마를 향해 똑바로..

민주주의, 데모스(다수), demos(민중), cratos(지배), democracy, 이념(ism)아닌 통치체제, 군주제(monarchy), 과두제(oligarchy), 민주주의 분파

정부의 형태 권력 구조에 따른 분류 종속상태자유연합속령보호국자치령괴뢰국봉신국조공국부왕령위성국군장국가연방주의연방제연합제권력하방단일주의패권제국단방제 권력의 양태에 따른 분류 민주정(다수의 지배)직접민주정간접민주정준민주정기타과두정(소수의 지배)귀족정군정금권정무단정훈벌정신정판관정당주정이두정삼두정사두정독재정(1인 통치)전제정참주정무정부(지배의 부재)무정부 상태자유연합무국가사회 권력의 소재에 따른 분류 군주정 vs. 공화정전제군주정입헌군주정의회통치제법가정치위원회공화국의회공화국이원집정부제대통령중심제 권력 이념 권위주의 vs. 자유지상주의(사회경제적 이념)파시즘무정부주의식민주의독재주의공산주의분배주의봉건주의사회주의전체주의부족주의세계 vs. 지역(지리문화적 이념)중앙정부도시국가거국중립내각세계정부민주주의는 전제 정치(Au..

왕정복고, Restoration of the Monarchy, 복벽(復辟)

왕정복고 王政復古 | Restoration of the Monarchy  외국군에 의한 침략 혹은 나라에서 벌어진 쿠데타나 시민 혁명 등으로 합법적인 군주가 강제로 퇴위당하고 군주정이 강제로 종료된 나라에서 폐지되었던 군주제를 부활시키는 일. 반드시 옛날에는 군주정이었던 나라가 군주정이 폐지되어 공화정이 된 상태에서 군주정으로 회귀하는 경우에만 왕정복고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 기존의 왕가가 다른 가문에게 왕위를 뺏길 경우에는 찬탈이라고 하는데, 기존 왕위를 찬탈한 신왕가를 무너뜨리고 다시 구(舊)왕가를 복고하는 것은 정확히 말해서 복벽(復辟)이라고 표현해야만 하는데, 복벽은 왕정복고라는 개념을 포함하기 때문에 현대에는 왕정복고와 복벽이란 단어를 딱히 구분해서 쓰지 않는다. 전근대 시대에는 군주정이 기본..

유대인, 공산주의, 공산주의자

유대인, 공산주의자 Christian Rakovsky  유태인 駐佛 소련대사“아니오, 무슨 비교(秘敎)라 할 것도 없습니다. 실은 정반대요. 내가 아주 명료하게 설명하죠. 마르크스주의는 하나의 철학적, 경제적, 정치적 시스템이기 이전에 혁명을 일으키기 위한 하나의 음모요. 그리고 오직 혁명만이 유일한 절대적 진리인 우리에게는 오직 혁명에 이르게 하는 철학과 경제, 그리고 정치만이 참된 것이오.  경제나 정치, 혹은 도덕윤리에서 절대 진리(내말이 주관적인 것이라고 합시다)는 존재하지 않소. 과학적 추론에 의하면 그것은 진리가 될 수도 있고 오류가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혁명적 변증론을 신봉하는 우리에게 마르크스주의는 유일무이한 절대 진리요. 이것은 마르크스를 비롯하여 그 이후의 모든 혁명가들에게 공통된 ..

공화제, Republic, 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 공공의 것), 국민주권주의, 공화제 유형, 민주공화국, 연방공화국,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공화국(평의회 공화국), 이슬람 공화국, 왕정공화국, 대통령제, 의회공화제(의회제), 이원집정부제, 민주집중제, 귀족공화제

공화제, 共和制, Republic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 공공의 것) 민주공화국, 연방공화국, 인민공화국,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공화국(평의회 공화국), 이슬람 공화국, 왕정공화국대통령제, 의회공화제(의회제), 이원집정부제, 민주집중제, 귀족공화제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정치체제 군주제와는 상대되는 제도로 국가를 시민권자들이 협의하여 공동으로 소유하는 체제를 말한다. 공화주의에 의하여 통치된다.보통 군주가 없는 국가 체제를 가리키는데, 공화국이라는 말 자체는 '공공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 "Res publica"를 어원으로 하는 것으로 키케로는 이 표현을 '국민의 것'을 일컫는 '레스 포풀리'(res populi)로 풀이하여 오늘날 국민주권주의를 의미한다.   공화제를 주장하고 실현하려는..

공포정치, La Terreur, 로베스피에르, 프랑스 혁명

공포정치공포정치(恐怖政治)란, '공포'정치라는 이름대로 대중에게 공포감을 조성하여 정권을 유지하는 정치형태로, 프랑스 혁명 직후 로베스피에르를 위시한 자코뱅파가 반대파에게 처형이나 고문 등의 폭력적인 수단을 동원하여 탄압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프랑스에서는 'La Terreur'라고 하면 공포정치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로베스피에르가 집권했던 시기를 일컫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폭력적인 정치형태는 바로 공포주의, 즉 테러리즘이라는 파생어로 나왔다. 테러리스트들이 하는 테러의 목적은 바로 대중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폭력적인 수단을 동원함으로서 대중들에게 공포심을 야기하고 대중을 움직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테러와 공포정치는 종이 한 장 차이며..

자코뱅주의, Jacobinism, 로베스피에르주의, 고전적 급진주의, 좌파의 시초

자코뱅주의 Jacobinism로베스피에르주의Robespierrism 고전적 급진주의에서 파생된 이념. 로베스피에르주의라고도 불리며 좌파의 시초로 여겨진다.  성향과 역사1979년 이전까지 자코뱅주의는 클뢰브 데 자코뱅과 로베스피에르의 정치 방식을 의미했다. 고전적 자유주의(급진주의)에서 파생된 사상이나 지롱드파는 여기에 포함돠지 않으며 보통 몽테뉴파의 과격하고 혁명주의적인 정치형태를 의미했다. 로베스피에르 주도 몽테뉴파는 지롱드파나 푀양파 같은 다른 부르주아적 중심 정치단체들과 달리 상퀼로트 등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전통적, 고전적인 자코뱅주의자들은 부르주아 계급 자체는 부정하지 않았다. 또한 실질적인 자유를 위한 재산 분배를 긍정하면서도 사유재산권과 능력과 필요에 따른 분배를 옹호한다는 측면에서..

그랑제콜, 프랑스, 엘리트, 대학, 나폴레옹, Grandes Écoles

그랑제콜(프랑스어: Grandes Écoles [ɡʁɑ̃d.z‿ekɔl] )  프랑스 특유의 소수정예 고등교육기관 체계를 가리키는 용어로, 프랑스의 최고 엘리트 과정의 학교라고 할 수 있다. 프랑스 사회에서는 일반 공립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와 구분되어 있다. 프랑스 교육부는 그랑제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법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법적 기준에 의해 그랑제콜 기관으로 공인받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다음을 충족시킴으로써 사회적 공인을 받는다: 첫째로, 대학입시 이후 2년의 그랑제콜 준비반(Classes Préparatoires aux Grandes Écoles) 또는 이에 준하는 교육과정을 수료해야 입학할 수 있다. 둘째로, 소수정예 경쟁선발을 통한 우수 인재 육성과정을 지향..

사회과 부도, 社會科 附圖, Atlas, 사회 과목 부록 지도

사회과 부도 社會科 附圖, Atlas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쓰이는 교과용도서이다. 사회과 과목의 부록으로 제공되는 지도를 축약해서 '사회과 부도'라고 부른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지리 부도와 역사 부도로 나누어지는데, 제4차 교육 과정에서는 지리부도와 역사부도로 분리되지 않고 사회과 부도로 합쳐져 있었다. 참고로 교과서는 맞지만 과목은 아니다.   활용책 안에는 대한민국과 세계 곳곳의 지도, 통계들이 있는 지도, 통계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용도는 사회과 교과에 있어서 지도자료(인문지리)와 통계자료는 절대 빠질 수가 없는 부분인데, 그걸 교과서에 일일이 그려줄 수는 없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참고하라고 만들어 놓은 책이다. 고등학교의 지리부도와 역사부도는 취급하는 시대의 인문 지리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분리..

그리스-튀르키예 관계, Greece–Turkey relations

그리스-튀르키예 관계 이웃 국가인 그리스와 튀르키예는 튀르크의 서진이 시작된 무렵부터 줄곧 앙숙이었지만 NATO의 회원이자 미국과의 동맹 관계로 인해 같은 서방 진영에 묶인다. 과거부터 사이가 극도로 좋지 않지만 최근 들어 양국 간 사이가 개선되기 시작했다.  역사적 관계 전근대그리스인이 주축이 된 동로마 제국과 튀르키예의 전신인 셀주크 제국, 룸 술탄국, 오스만 제국 등 튀르크계 국가들은 전쟁을 끝없이 반복해 왔다. 특히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동로마군이 참패하고 1204년 4차 십자군까지 연타당하며 쇠망하고 오스만 제국이 14세기 이래 소아시아와 발칸반도를 점령하면서 1453년 동로마 제국이 완전히 멸망하고 트레비존드 제국까지 합병당한 뒤 헬레니즘의 후예인 '그리스 세계' 전역이 튀르크의 판도..

던바의 수(Dunbar's number), 사회적 관계, 사람 수, 150명

던바의 수(Dunbar's number), 사회적 관계, 사람 수, 150명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의 수를 말한다. 100에서 230 사이로 제안되었고 통용되는 값은 150이다. 이 값은 지능에 따라 달라지며, 고릴라의 던바의 수는 50 정도이다. 인간이 안정적으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적정한 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평균 지인 150명을 던바의 수라고 부른다. 영국의 인류학자, 진화심리학자인 로빈 던바가 1993년에 발표한 연구로서 일반적인 경우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적정한 수는 150~200명 정도가 최대치라고 한다. 던바의 수는 지능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릴라는 인간보다 훨씬 낮다. 실험 결과 사회성이 뛰어난 상위 2%는 던바의 수가 230까지도 산..

친위 쿠데타, self-coup, 親衛, 사례, 권력 쿠데타, 정권을 잡고 있는 세력, 입법 장악

친위 쿠데타, self-coup친위, 親衛 합법적 수단을 통하여 권력을 소유하고 있던 국가 지도자가 쿠데타를 일으켜, 입법부를 해체하거나 헌법을 무효화하여, 정상적 상황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극도로 강력한 권력을 쟁취하는 체제 전복 행위를 말한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그 지도자는 독재자가 된다. 친위 쿠데타란 이미 권력을 쥐고 있는 측이 더 큰 권력을 얻거나 요구하기 위해 스스로 벌이는 쿠데타이다. 독일의 프로이센 쿠데타, 장검의 밤, 대한민국의 사사오입 개헌, 박정희의 10월 유신, 전두환의 5.17 내란,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북한의 8월 종파사건, 러시아의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일본의 2.26 사건[, 중국의 4.12 쿠데타 등이 대표적이다. 영어로는 self-coup이라고 한다.  흔히 쿠..

멕시코 만류, 서유럽 온난, 북대서양 아열대 순환, Gulf stream

북대서양 아열대 순환 북대서양을 순환하는 해류의 흐름시계방향으로 멕시코 만류, 북대서양 난류, 카나리아 해류, 북적도 해류가 있다.  멕시코 만류멕시코 만류의 흐름이다. 이 해류의 시작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데, 위 사진처럼 멕시코만에서 시작한다는 설이 주류지만, 멕시코 만류와의 산소량 차이에 의한 북대서양 북동부의 고기압성 자이르라는, 북대서양 해류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설이 있다. 만약 이 해류가 멕시코만류의 연장이라면, 카나리아해류까지 합쳐져 세계에서 가장 큰 해류가 된다. 대부분의 해류는 바람을 따라 이동하지만, 이 해류는 바람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게 가능한 이유는, 북극해에서 차가운 물이 대거 침강하고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중위도에서 온수가 올라오는 해류가 생긴 것. 이런 형태로 인해 멕시코..

대통령, 탄핵소추,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 탄핵 절차

대한민국에서의 탄핵은 국회에서 소추 및 의결을 실시하며, 의결 통과시 대상자의 권한이 소추서의 송달시 정지되고 이후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의 최종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완성된다. 국회에서의 필요정족수는 피소추인의 신분에 따라 다르며 그 조건은 다음과 같고, 헌법재판소에서는 6인 이상의 인용의견이 있어야 한다. 대통령 : 국회재적의원 과반수 발의,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 대한민국에서의 탄핵 제도대한민국 헌법 제65조 ① 대통령·국무총리·국무위원·행정각부의 장·헌법재판소 재판관·법관·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감사원장·감사위원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때에는 국회는 탄핵의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가 있..

수렵채집 진화, 진화 심리, 진화한 마음, 분산적, 순간적, hunter-gatherer evolution, evolutionary psychology, evolved mind

인간의 뇌와 마음은 수렵채집 생활에 적응해 있다.   인간의 본성과 역사와 심리를 이해하려면 수렵채집인 조상들의 머릿속으로 들어가는 수밖에 없다. 우리 종은 존속 기간의 거의 대부분을 수렵채집인으로 살았다. 물론 지난 2백 년간 도시 노동자나 사무직 직원으로서 일용할 양식을 얻은 사피엔스의 숫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났고, 이에 앞선 1만 년 동안 대부분의 사피엔스는 농부와 목축인으로 살았다. 하지만 이 기간은 우리 조상들이 수렵과 채취를 한 수만 년에 비하면 눈 깜짝할 새에 지나지 않는다. 오늘날 번성하는 진화심리학에 따르면, 현대인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 중 많은 부분이 이처럼 농경을 시작하기 전의 기나긴 시대에 형성되었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우리의 뇌와 마음은 수렵 채집 생활에 적응해 있다고 이 분야 학..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혼혈, 식민, 네덜란드령 동인도

네덜란드령 동인도800년부터 1949년까지 현재의 인도네시아에 존재했던 네덜란드의 식민지1800년 1월 1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국영화되면서 형성되었다. 19세기부터 네덜란드는 패권주의적인 확장을 통해 수마트라섬, 자와섬, 보르네오섬, 소순다 열도, 술라웨시섬, 말루쿠 제도, 파푸아섬 등 인도네시아에 위치한 여러 섬들을 식민지로 통치하였으며 20세기 초반에는 이 지역이 최대 면적에 이를 정도로 확장되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였던 1942년 2월부터 1945년 8월까지는 일본 제국에 점령되기도 했으며 1945년 8월 17일에는 인도네시아의 민족주의자들이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의 결과로 네덜란드는 1949년 12월 27일에 인도네시아의 독립과 주권을 인정하게 된다.    인도..

환적항, 1위 싱가포르항, 2위 홍콩항, 3위 부산항

환적항, port of transshipment , 換積港 환적항이란 항만 시설이 발달해있어서 다른 소규모 항만으로부터 화물을 받은 후 모선이 되는 수송량이 많은 대형 선박으로 옮겨 적재하는데 이용되는 항만을 의미한다. 환적항을 거쳐서 화물을 운송하는 까닭은 운송거리가 멀다면 모항으로부터 소형선박으로 목적지까지 직접 운송하는 것보다 대형선박 하나에 화물을 몰아실어 운송하는 것이 더 수송비가 절감되기 때문이다. 환적 항만, 환적 화물부산항에서 처리되는 컨테이너는 수출입 화물과 환적 화물로 구성된다. 수출입 화물은 우리나라 화물인 반면 환적 화물은 제3국 화물이다. 환적 화물은 교통에 있어서 마을버스를 타고 지하철로 갈아타는 환승 여객과 같다. 미주, 유럽 등 주요 경제권역을 연결하는 대형 선박이 기항하지 ..

자기이해, 다중지능이론,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다중지능이론,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인간의 지적 능력을 다양하게 바라보는 시각으로 인간의 다양한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계발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1970년대 말부터 학문적으로 체계화되기 시작했으며, IQ 및 EQ의 개념을 아우르고 단점을 극복하는 지능 이론이 성립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다중지능이론이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지교육학 교수, 하워드 가드너( Howard Earl Gardner , 1943~ )는 어떤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언어 지능이나 논리 수학 지능만이 영향을 주는 게 아닌데도 불구하고 두 지능만 지나치게 강조하고 다른 지능을 등한시했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지능 검사가 논리수학 지능, 언어 지능, 공간 지능만 측정하고 다른 지능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