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불교와 귀족사회 ▪공덕(功德) 사상 : 국가나 개인의 현세에 있어서의 행복을 좌우하는 현세 이익의 종교로 인식 → 많은 사찰과 불교행사 ▪上元(1월 15일)의 연등회, 仲冬(11월 5일)의 팔관회 - 祈福道場(국왕 생일), 忌辰道場(국왕의 기일), 석가탄신일 법회(4월 8일), 菩薩戒道場(6/15,국왕의 보살계), 㿻蘭盆道場(7/15, 부모 명복), 除夜道場(12/30), 仁王會(국가의 평안 기원) ▪과거제도에 승과제도 창설 - 敎宗選(승통), 禪宗選(대선사) ▪役의 의무에서 면제 → 승려의 수 늘어남 ▪사원전 - 면세의 특권, 경제적으로 부유 → 佛寶·장생고 운영, 상업·양주·목축 시행 ⇨ 승병 양성(재산보호 목적) → 정치적 간섭 ● 고려 불교 정책(초기 국가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