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행정론-행태론과 실증주의에 대한 반대 명제-행정이 사회적 적실성과 실천성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 ● 신행정론 특성⑴새로운 가치로서의 사회적 형평⑵격동에의 대응과 능동적 행정의 중시: 적극적 행정인을 중시⑶정책 및 문제지향성⑷실증주의 및 행태론에 대한 비판과 현상학의 추구①규범주의 및 가치주의를 지향②철학적 관점에서 내부 주관성이나 감정이입을 통한 상호인식 작용을 중시하는 현상학적 접근법 수용⑸사회적 적실성·기술성(처방성) 중시*신행정론은 과학적 연구를 반대한 것은 아니며, 과학적 지식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자고 주장함*신행정론의 연구방향:응용적, 처방적, 수익자 지향적, 가치지향적, 철학적이어야 한다.⑹조직과 개인의 통합과 계층제의 타파(후기 관료제 모형)⑺고객지향적 행정과 민주적 행정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