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론(征韓論) 정조론(征朝論), 세이칸론(征韓論) 1870년(고종 7)을 전후로 일본에서 제기된 조선정벌론. 내용1868년 메이지 유신을 단행한 일본 신정부가 왕정복고를 조선 정부에 통고하는 서계를 발송했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서계의 격식이 이전과 다르다는 이유로 접수를 거부했다. 그러자 일본에서는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이를 정한론이라 한다. 정한론은 고대 일본의 신공왕후(神功王后)가 삼한(三韓)을 정복했다는 전설에 기초한 것으로, 19세기 후반 메이지 정부의 체계를 확립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스승인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1830~1859)의 대외 침략 사상이 정한론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서계 문제로 조선과 갈등이 심화되자, 1870년에 조선과의 교섭에 임했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