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고대 49

포상8국의 난, 浦上八國의亂, 남해안 8개 소국 가야 침략

Q 다음 자료에 나타난 왕의 밑줄 친 행동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가장 옳은 것은? 왕이 평양을 살피고자 내려오시니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말하였다. ‘왜인들이 가득히 몰려와 성을 부숩니다. 이 종은 왕의 백성으로 도와주시기를 바라옵니다.’ …… 남거성부터 신라성까지 왜가 가득하더니 왕의 군대가 이르자 왜적이 도망을 쳤다. 도망하는 뒤를 급히 쫓아서 임나가라까지 따라가 공격을 하니 항복하였다. - ○○○왕비 - ① 신라에 병부가 설치되었다. ② 고구려가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③ 백제의 국호가 남부여로 바뀌었다. ④ 금관가야 중심의 전기 가야 연맹이 무너졌다. 【해설】 정답 ④ 자료는 광개토대왕릉비에서의 400년에 신라‧가야 지방의 왜구 정벌을 나타낸다. ④ 포상8국의 난 이후 금관가야중심의 가야는 고구려 ..

발해 왕, 신라 왕, 남북국시대 두문자

Q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발해 왕의 재위 기간에 통일 신라에서 일어난 상황으로 옳은 것은? • 대흥이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수도를 중경→ 상경→ 동경으로 옮겼다. •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에 천손(하늘의 자손) 이라 표현하였다 • 당과 친선 관계를 맺으며 당의 문물을 도입하여 체제를 정비하였다. ① 녹읍 폐지 ② 청해진 설치 ③ 『삼대목』 편찬 ④ 독서삼품과 설치 【해설】 정답 ④ 제시된 내용은 발해의 문왕(8세기 후반)에 대한 설명이다. 이 시기 신라의 왕은 경덕왕(8세기) ~ 원성왕(8세기)이다. 남북국 시대 중 8세기 전반과 후반은 발해와 신라의 왕을 묶어서 물어보는 문제들이 여러 번 출제. ① 신문왕(7세기) 때 관료전이 지급된 후 녹읍이 폐지되었다. ②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는 신라 하..

신라 고분 - 초기,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천마도(마구 그림), 금관, 호우총, 호우명 그릇, 광개토왕의 제례품, 황남대총-금관, 김유신 묘 - 굴식돌방무덤

● 신라 고분 - 초기 ▪돌무지덧널무덤. ▪벽화 없음. 여러 부장품 ▪도굴 어려움 ▪천마총-천마도(마구 그림), 금관 ▪호우총-호우명 그릇(광개토왕의 제례품) ▪황남대총-금관 ● 신라 후기(통일 이후) : 굴식돌방무덤 불교발달로 화장, 작고 세련, 둘레 돌, 12지신상 김유신 묘 - 굴식돌방무덤 ● 삼국/발해 고분 초기, 5C 중기, 6C초 후기, 6C후~7C 고구려 돌무지무덤 장군총 → 굴식돌방무덤 강서대묘, 무용총, 쌍용총, 각저총 백제 돌무지무덤 한성 시대, 석촌동 벽돌무덤 웅진 시대, 무령왕릉 굴식돌방무덤 사비 시대, 능산리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황남대총, 천마총 → 굴식돌방무덤 통일 후, 김유신 묘 발해 굴식돌방무덤 돌사자상, 정혜공주 벽돌무덤 당, 정효공주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백제 고분, 한성 시대, 석촌동, 웅진 시대, 벽돌무덤, 무령왕릉, 사비 시대, 굴식돌방무덤, 부여 능산리

● 백제 고분 한성 시대 웅진 시대 사비 시대 ▪(계단식)돌무지무덤 ▪서울 석촌동. 부여 계통 ▪벽돌무덤(남조 영향) ▪무령왕릉. 벽화 없음. ▪송산리 6호분. 사신도. 일월도 ▪굴식돌방무덤(고구려 영향) ▪공주 송산리 고분군1~5 ▪굴식돌방무덤 ▪부여 능산리 고분군 ▪연화문, 비운문, 사신도. 상자식 ● 삼국/발해 고분 초기, 5C 중기, 6C초 후기, 6C후~7C 고구려 돌무지무덤 장군총 → 굴식돌방무덤 강서대묘, 무용총, 쌍용총, 각저총 백제 돌무지무덤 한성 시대, 석촌동 벽돌무덤 웅진 시대, 무령왕릉 굴식돌방무덤 사비 시대, 능산리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황남대총, 천마총 → 굴식돌방무덤 통일 후, 김유신 묘 발해 굴식돌방무덤 돌사자상, 정혜공주 벽돌무덤 당, 정효공주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

삼국의 고분 특징, 굴식돌방무덤, 벽화, 기출문제

● 고구려 굴식돌방무덤 ▪강서대묘(도교, 사신도) ▪무용총(집안, 무용도) ▪쌍영총(서역 영향. 기마도) ▪각저총(씨름, 별자리) ● 백제 고분 한성 시대 웅진 시대 사비 시대 ▪(계단식)돌무지무덤 ▪서울 석촌동. 부여 계통 ▪벽돌무덤(남조 영향) ▪무령왕릉. 벽화 없음. ▪송산리 6호분. 사신도. 일월도 ▪굴식돌방무덤(고구려 영향) ▪공주 송산리 고분군1~5 ▪굴식돌방무덤 ▪부여 능산리 고분군 ▪연화문, 비운문, 사신도. 상자식 ● 신라 고분 - 초기 ▪돌무지덧널무덤. ▪벽화 없음. 여러 부장품 ▪도굴 어려움 ▪천마총-천마도(마구 그림), 금관 ▪호우총-호우명 그릇(광개토왕의 제례품) ▪황남대총-금관 ● 신라 후기(통일 이후) : 굴식돌방무덤 불교발달로 화장, 작고 세련, 둘레 돌, 12지신상 김유신 ..

고구려 수·당 전쟁 순서 암기

Q 다음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대업 9년(613년) 양제가 다시 친히 정벌하였다. 이때는 모든 군대에 상황에 맞게 적절히 대응하라고 하였다. 여러 장수가 길을 나누어 성을 공격하니 적의 군세가 날로 위축되었다. - 수서 - (나) 당태종이 다시 고구려를 정벌하려 했으나, 조정에서 의논하기를 “고구려가 산에 의지하여 성을 만들어 갑자기 함락할 수 없습니다. …… 지금 소부대를 자주 보내어 그 지방을 피곤하게 하고 쟁기를 놓고 보루에 들어가게 하여 1,000리가 쓸쓸해지면 인심이 저절로 떠나 압록강 이북은 싸우지 않고도 얻을 수 있습니다.”하니 이에 따랐다. - 삼국사기 - ① 영양왕이 요서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②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위만조선 두문자 암기-국토상조

국/토/상/조 위만(衛滿)이 연나라(燕) 아닌 조선사람인 근거 : 국/토/상/조 국호 고조선 토착민 등용 상투 조선옷 상투를 틀고 조선 옷을 입었다(魋結蠻夷服)”고 묘사되어 있다. 또한 위만은 당시 조선의 정권을 뺏은 이후 국호를 그대로 조선이라 한 것으로 보아 위만을 조선인 계통의 자손으로 본다. ‘위씨조선(衛氏朝鮮)’·‘한씨조선(韓氏朝鮮)’이라고도 칭한다.『사기』조선전(朝鮮傳)과 『한서』조선전 등의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우리 나라 최초의 고대국가로, 서기전 194년에서 서기전 108년까지 존속하였다. 기록에 따르면 연왕(燕王) 노관(盧綰)이 한(漢)나라에 반(叛)하다 실패하여 흉노로 도망하자 그 밑에 있던 위만은 무리 1,000여 명을 모아 동쪽으로 패수(浿水)를 건너 상하장(上下障)이라는 곳에 정착..

삼국 통일 과정-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소부리주 설치(671)→매소성 싸움(675)

Q 삼국 통일 과정의 역사적 사실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자 웅진에 있던 의자왕이 항복하였다. ㄴ.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평양성을 지키던 연개소문의 아들인 남산이 항복하였다. ㄷ.신라는 사비성을 탈환하고 웅진도독부를 대신하여 소부리주를 설치하였다. ㄹ.신라군이 당나라 군대 20만 명을 매소성에서 크게 물리쳤다. ① ㄱ→ㄴ→ㄷ→ㄹ ③ ㄴ→ㄱ→ㄹ→ㄷ ② ㄱ→ㄷ→ㄴ→ㄹ ④ ㄴ→ㄹ→ㄱ→ㄷ 【해설】 정답 ① ㄱ.백제 멸망(660) → ㄴ. 고구려 멸망(668) → ㄷ. 소부리주 설치(671) → ㄹ. 매소성 싸움(675)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나·당 동맹 백제 의자왕의 잦은 신라 공격 → 김춘추의 활약(고구려에 구원 요청 실패 → 당에 구원 요청 성..

삼국의 사상(불교, 도교, 풍수지리) 두문자, 법흥왕 불교 공인, 담징, 겸익, 아직기, 쇼오토쿠태자 초상

● 불교 공인 왕 - '신흥고수빡침' ▪ 신라 : 법흥왕 6c ▪ 고구려 : 소수림왕 4c - 전진, 순도 ▪ 백제 : 침류왕 4c - 동진, 마라란타 ● 불교 전파 ▪ 고구려 ~ 보덕(열반종), 혜자(일본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 담징(일본 호류사 벽화·먹·붓·맷돌·5경·종이 전함), 혜관(삼론종), 도현(일본세기) ※일본서기는 일본인이 저술 ▪ 백제 ~ 겸익(성왕·율부 72권 번역), 관륵(일본 천문·역본·불교 전함), 왕인(근초고왕 때·일본 논어 천자문 등 한학 전함), 아직기(근초고왕 때· 토도치랑의 스승), 노리 사치계(성왕 때·일본에 불교를 전함) 아좌태자가 쇼오토쿠 태자의 초상을 그렸다. (아 쇼 초) ▪신라 ~ 원광(수에서 열반종, 세속 5계, 걸사표), 자장(당에서 계율종 전함), 의상(..

구석기 신석기 비교 두문자 암기

역사시대 : 문자 [○] → 사료 중요 선사시대 : 문자 [×] → 유물, 유적 중요★ Q 다음 중 구석기 시대 유적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경기 연천 전곡리에서는 아슐리안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방대한 석기가 출토되었다. ② 부산 동삼동에서 출토된 조개 가면은 국자 가리비에 사람의 눈과 입 모양으로 구멍을 뚫은 형상으로, 집단의 공동체 의식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③ 충북 제천 점말동굴에서는 사람 얼굴을 새긴 동물의 뼈가 출토되었다. ④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에서는 주먹도끼와 외날찍개가 출토되었다. 【해설】 정답 ② 구석기 유적지 경기 연천 전곡리(1978): 주먹도끼(아슐리안형: 양면핵석기, 동아시아 최초의 희귀성)와 4000 점 이상의 방대한 석기 출토, 전기 구석기 말 충북 제천 점..

원시공동체 사회,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고대 #02]

제 1편 선사.고대 제2장 원시공동체 사회 역사시대 : 문자 [○] → 사료 중요 선사시대 : 문자 [×] → 유물, 유적 중요★ ★ 암기 구석기 '금굴흥'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후기 - 흥수동 달제양 ★ 암기 신석기 유물 - 신갈빗가눌 이른덧 신석기 유적지 - 신고수 암오동미궁 구석기 신석기 ● 구석기 유적지 전기 - 금연석 검 최초 그늘 금 단양 도담리 금굴유적지 연 경기도 연천 전곡리 석 공주 석장리 검 평남 상원 검은모루동굴 최초 남한최초인골 그늘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 구석기 중기 - 굴역심 상승 빌점 굴 웅기 굴포리 서포항 역 평양 역포 대현동 심 강원도 명주 심곡리 상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 승 덕천 승리산 빌 제주 빌레못 동굴 점 제천 점말동굴 ● 구석기..

역사 학습의 목적,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고대 #01]

제1편 선사.고대 제1장 역사 학습의 목적 ●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1. 객관적 의미의 역사 2. 주관적 의미의 역사 "현재" 사실로서의 역사 (事) 1) 어원 ▪ 동양 : ‘역(歷)’ - 과거에 있었던 모든 사실,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 ▪ 서양 : 독일어의 Geschichte - 과거에 일어난 일, 사건 2) 의미 -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 실증주의 사관 (객관성 강조) 3) 특징 – 절대성 (역사가에 의해 바뀌지 않음) 4) 연구범위 - 과거의 모든 사실 기록으로서의 역사 (史) 1) 어원 ▪ 동양 : ‘사(史)’ ▪ 서양 : 영어 history, 그리스어 historia (탐구를 통해 획득한 지식) 2) 의미 ▪ 조사에 의해 기록된 자료, 상대주의 사관(해석강조) = 역사적..

역사의 의미, 역사 학습 목적,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역사관 2가지 : 사실, 기록 ● 객관적 의미의 역사 사실로서의 역사 (事) (1) 어원 1) 동양 : ‘역(歷)’ - 과거에 있었던 모든 사실,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 2) 서양 : 독일어의 Geschichte - 과거에 일어난 일, 사건 (2) 의미 - ‘사실로서의 역사’ = 객관적 사실, 실증주의 사관 (객관성 강조) (3) 특징 – 절대성 (역사가에 의해 바뀌지 않음) 연구범위 - 과거의 모든 사실 랑케 (L. Ranke) (1) 역사의식 “역사가는 자신을 숨기고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하라.” (∵ 주관 배제) “역사는 실제 본래 ~ 보여준다.”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2) 실증주의 - 객관적, 역사적 사실만 묘사 이병도 – 진단학회, 조선사편수회 ● 주관적 의미의 역사 "현재" 기록..

삼국시대 불교와 도교

삼국시대 불교와 도교 ▶ 불교의 수용: 왕실의 권위 향상과 국민 정신 통일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수용 → 호국 신앙의 역할 수행 ▶ 불교 예술 구분 탑 불상 고구려 주로 목탑이라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음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백제 익산 미륵사지 석탑,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신라 신라 황룡사 9층 목탑, 경주 분황사 석탑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 삼국의 불교는 왕실과 귀족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국가적 신앙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음 불교가 확산되면서 사찰이 세워지고, 탑과 불상 등 여러 불교 예술품이 등장하였음 도교의 전래 ▶ 산천 숭배나 신선 사상과 결합하여 귀족 사회에 유행 → 사신도(고구려), 산수무늬 벽돌(백제), 백제금동대향로 삼국 시대에는 불로장생을 추..

삼국시대 왕 업적 두문자 암기

● 불교 공인 왕 - '신흥고수빡침' 신라 : 법흥왕 고구려 :소수림왕 백제 :침류왕 ● 나제 동맹 체결 왕 - '비눌나제' 비유왕(백제), 눌지왕(신라) ● 고대국가 기틀 고구려 태조왕 백제 고이왕 신라 내물왕 ● 율령 반포 고구려 소수림왕 백제 고이왕 신라 법흥왕 ● 한강유역 점령 고구려 왕 장수왕 백제 왕 고이왕 신라 왕 진흥왕 한강이북 점령 고구려 왕 광개토대왕 웅진 천도 문주왕 사비 천도 성왕 고구려 고국원왕 죽인 왕 백제 근초고왕 백제 개로왕 죽인 왕 고구려 장수왕 백제 성왕 죽인 왕 신라 진흥왕 신라 내물왕 도운 왕 고구려 광개토대왕 결혼 동맹으로 강화한 왕 동성왕(백제), 소지왕(신라) 나제 동맹을 와해시킨 왕 성왕(백제), 진흥왕 고구려 광개토대왕 연호 영락 신라 법흥왕 연호 건원 발해 ..

단군 역사서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 동국통감, 응제시주

●단군 사서 - 유제세동응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통감 응제시주 단군기원을 뒷받침해 주는 고문헌으로는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가장 오래된 것이며, 후대의 것으로는 『세종실록』 지리지·『동국통감』, 권람(權擥)의 『응제시주(應製詩註)』 등이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고대 문화의 발달과 대외 교류

삼국의 국제 교류와 문화 발달 1. 중국과의 교류 고구려 고분 벽화에 중국 신화의 내용 등장, 백제 풍납토성에서 중국 토기 발견 2. 서역과의 교류 고구려 고분 벽화에 서역 계통의 인물 등장, 신라 돌무지 덧널무덤에서 유리 그릇, 상감옥 목걸이, 금제 장식 보검 등 발견 3. 불교·유교 전래 불교 예술의 발달과 지식을 갖춘 승려들의 활약, 유교 이념에 입각한 역사서 편찬(→ 고구려(유기, 신집 5권), 백제(서기), 신라(국사)), 한자의 전래 → 이두, 향찰 사용 4.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근초고왕(왕인이 한문, 논어, 천자문 전파), 성왕(노리사치계가 불교 전파) → 고대 아스카 문화가 성립하는 데 이바지함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를 보여주는 유물 무령왕릉에서 나온 구리거울과 6세기 후반 일본 군마..

고조선, 부여, 고구려, 옥저와 동예, 삼한

● 고조선 건국 1. 고조선 건국과 발전 건국 : 기원전 2333년 단순왕검이 건국 발전 : 요령지방(랴오닝 성 일대)를 중심으로 성장 → 한반도로 발전, 부왕 · 준왕이 등장해 왕위 세습, 관직 설치, 연(燕)과 대립 위만의 집권 : 이주민 세력을 기반으로 왕위 찬탈(기원전 194년), 본격적인 철기 문화의 수용, 예·진과 한을 연결하는 중계무역으로 번성 멸망 : 한 무제의 침략으로 멸망(기워전 108년) → 한군현 설치 2. 고조선 건국 이야기 청동기 문화를 배경으로 한 고조선 성립의 역사적 사실 반영 고조선 관련 문화 범위는 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이 공통으로 분포하는 지역과 대체로 일치한다. 3. 고조선 사회 8조법 : 노동력 중시, 사유 재산 보호, 형벌과 노비 발생, 가부장적 사회 한 군현..

암사동 유적, 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 돌도끼, 그물추간, 돌화살촉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돌도끼 등이 출토된 집터.주거유적. 사적. ㅜㅜ1979년 7월 26일에 사적 제267호로 지정되었다. 유적은 한강 아래쪽의 하안단구에 위치하며 강 건너에는 아차산성이 마주한다. 1925년의 대홍수로 유물 포함층이 드러나면서 널리 알려졌고, 이때 황산장삼랑(橫山將三郞)나 등전양책(藤田亮策) 등 일인학자들이 엄청난 양의 토기·석기를 채집하였다고 한다. 광복 후에도 여러 차례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1966년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조사단에 의해 정식 발굴되었다. 이 때에는 원형 움집 2기와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돌도끼[石斧], 그물추[漁網錘], 간돌화살촉[磨製石鏃] 등이 출토되었다. 1967년에는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각 대학박물관의 연합발굴이 있었으며 1971∼19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