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 Humanities/동양사 Asian History 106

몽골 제국의 성립과 원의 지배

몽골 제국의 성립 1. 몽골 제국 성립 ▶ 테무친(칭기즈 칸)의 몽골족 통일 2. 원 건국 ▶ 쿠빌라이 칸의 대도 천도, 국호를 '원'으로 정함, 남송 정복→ 중국 통일 3. 멸망 ▶ 한족의 반란으로 멸망 원의 중국 지배 ▶ 몽골 제일주의(몽골 인·색목인 우대, 한인과 남인 차별, 추천제 실시), 역참제(교통·통신과 효율적 물자 운반을 위해 역참 설치) ▶ 패자 원은 100리(약 40km)마다 역참을 설치하여 통행자에게 숙식과 말을 제공. 이용할 때 패자와 칸의 특허장이 필요 동서 문화의 교류 ▶ 다양한 종교의 전래, 이슬람의 자연 과학 전래, 마르코 폴로("동방견문록" 저술) 경제와 문화의 발달 1. 상업 발달 ▶ 교초 사용, 대운하 이용 2. 서민 문화 발달 ▶ 소설("삼국지연의", "수호전" 등이 ..

인도 굽타 왕조-힌두교, 이슬람 왕조

굽타 왕조의 성립 ▶ 갠지스 강 유역에서 토착 세력이 건국(4세기 초) 1. 찬드라굽타 2세 ▶ 굽타 왕조의 전성기, 북인도 통일, 남인도 지역에 영향력 행사 2. 멸망 ▶ 유목 민족의 침입으로 멸망(6세기), 이후 분열 상태 지속 힌두교의 성립과 발전 1. 성립 ▶ 브라만교+ 민간 신앙+ 불교 융합 → 왕실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성장 2. 특징 ▶ 다신교, 카스트제 강화, "마누 법전" 정비 → 인도인의 생활 지배, 불교 쇠퇴 인도 고유의 문화 발달(인도 고전 문화의 황금기) 1. 문학 ▶ 산스크리트 어 문학 발달, "마하바라타" · "라마야나", "사쿤탈라" 2. 미술 ▶ 굽타 양식(간다라 양식+ 인도 고유 양식), 아잔타 석굴 사원의 불상과 벽화 3. 자연 과학 ▶ 천문학, 수학(0의 개념, 10진법..

동남아시아 국가

자연 환경과 문화 1. 위치 ▶ 태평양과 인도양 사이의 관문 → 중계 무역에 종사하면서 성장 2. 문화 ▶ 청동기 문화 발달(청동북), 인도·중국·이슬람 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 → 독자적인 문화 발전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변천 1. 캄보디아 ▶ 부남(동남아시아 최초의 국가) → 진랍 → 앙코르 왕조(9세기, 앙코르 와트 건립) ▶ 앙코르 와트 12세기 앙코르 왕조의 유적, 힌두교의 비슈누 신을 위한 신전이었으나 뒤에 불교 사원이 됨 2. 베트남 ▶ 북부: 리 왕조(중국 문화 수용, 통치 체제 정비) → 쩐 왕조(쯔놈 문자) ▶ 남부: 참파(2세기) 3. 미얀마 ▶ 파간 왕조(11세기): 상좌부 불교 수용, 미얀마 문자 제정 4. 타이 ▶ 수코타이 왕조(13세기): 상좌부 불교 수용, 타이 문자 제정 5. ..

수·당의 중국 통일

수의 중국 통일 1. 수 문제 ▶ 남북조 통일(589), 과거제 실시, 균전제·부병제 정비 → 중앙 집권 체제 확립 2. 수 양제 ▶ 대운하 건설(화북과 강남 연결, 중앙 집권 강화), 고구려 원정 실시 수의 양제는 항저우에서 베이징까지 1,782km에 달하는 대운하를 건설하였음 대운하의 건설로 물자가 풍부한 강남과 정치 중심지인 화북 지방이 연결되었음 3. 멸망 ▶ 무리한 토목 공사, 고구려 원정 실패로 인한 국력 쇠퇴 → 멸망(618) 당 제국의 건설 1. 당의 성립과 발전(618~907) ▶ 발전: 당 고조(이연)가 건국, 도읍 장안 → 태종(율령 체제 완성, 중앙아시아와 돌궐 정복) ▶ 쇠퇴: 안·사의 난(755) → 절도사의 난립, 황소의 난(875) → 절도사 세력에 의해 멸망(907) 2. ..

일본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동아시아 문화권의 성립 ▶ 당의 제도와 문물 전파 통일 신라, 발해, 일본, 베트남 등에 영향(한자, 유교, 율령, 불교 등) 일본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1. 신석기 시대(약 1만 년 전) ▶ 조몬 토기와 간석기 사용 2. 야요이 시대 ▶ 기원전 300년경, 한반도 등지에서 청동기·철기 전래, 벼농사 시작 3. 야마토 정권(4세기) ▶ 최초의 통일 국가, 한반도 삼국과 중국의 선진 문물 수용 → 아스카 문화 4. 다이카 개신 ▶ 국왕 중심의 율령 국가 체제 확립, 중앙 집권 체제 수립 5. 나라 시대 ▶ '헤이조쿄' 건설, '일본' 국호와 '천황' 호칭 사용, 도다이 사 건립 6. 헤이안(교토) 시대 ▶ 왕권 약화, 귀족권 강화, 견당사 폐지 → 국풍 문화 형성, 가나 문자 제작, 불교도 독자적인 색..

위·진·남북조 시대-후한 멸망 → 위·촉·오의 삼국으로 분열 → 진(晉)의 통일(280) → 5호 16국, 동진

위·진·남북조 시대 ▶ 후한 멸망 → 위·촉·오의 삼국으로 분열 → 진(晉)의 통일(280) 1. 북조(화북) 5호 16국 → 선비족이 세운 북위에 의해 통일(한화 정책 추진) 2. 남조(강남) 동진의 뒤를 이은 한족의 여러 왕조 위·진·남북조 시대의 사회와 문화 1. 사회 9품중정제 실시 → 호족 세력이 문벌 귀족으로 성장 2. 경제 화북: 균전제 실시 → 호족들의 대토지 소유를 억제하여 호족 세력 견제 강남: 한족의 강남 개발 추진 → 농업 생산력 향상 3. 문화 불교: 국가와 귀족의 후원 → 윈강·둔황·룽먼 석굴 사원 축조 북위의 황제들은 부처의 힘을 빌려 황제의 권위를 높이고자 거대한 석굴 사원을 만들었음 이는 '왕은 곧 부처'라는 사상을 이용하여 중앙 집권을 이루려는 의도였음 청담·노장 사상 유..

간다라 미술

간다라 미술의 발생과 전파 1. 등장 배경 ▶ 알렉산드로스의 원정 이후 헬레니즘 문화가 인도에 전파 + 대승 불교에서 부처를 신적인 존재로 생각 → 간다라 지방에서 불상 제작이 활발해짐 2. 특징 ▶ 인도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의 융합 → 인체를 사실적으로 표현 3. 전파 ▶ 대승 불교와 간다라 미술은 비단길을 통해 동아시아(중국, 한국, 일본)에 전파 4. 간다라 미술의 전파 순서 ▶ 아폴론 상(헬레니즘 양식)→ 간다라 불상(인도) →룽먼 석굴의 대불(중국) → 석굴암 본존불(한국) 알렉산드로스의 원정으로 간다라 지방에 들어와 살던 그리스 인들의 신 조각상을 보고 불교도들이 불상을 만들기 시작 → 간다라 불상은 물결 모양의 머리카락, 오똑한 코, 입체적이고 굵은 옷 주름 등이 서양 사람과 비슷, 인체를 ..

인도 고대 왕조, 마우리아 왕조, 쿠샨 왕조

마우리아 왕조 1. 건국 ▶ 기원전 4세기경 찬드라굽타가 인도 북부에 건국 ▶ 인도 최초의 통일 왕조 2. 아소카 왕 ▶ 전성기 이룩 영토 확장 남인도를 제외한 인도 대륙 대부분 통일 인더스 강에서 데칸 고원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음 불교 발전 칼링가 전쟁 후 불교에 귀의 → 불경 정리, 전국에 돌기둥과 불탑(산치 대탑)을 세움, 실론(스리랑카)과 동남아시아 각국에 포교단을 파견하여 상좌부 불교 전파 3. 쇠퇴 ▶ 아소카 왕 사후 통일 왕국 분열 쿠샨 왕조 1. 건국 ▶ 1세기 중엽 이란 계통의 쿠샨족이 북인도 대부분을 통일함 2. 카니슈카 왕 ▶ 전성기 이룩 영토 확장 간다라 지방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이란 일부 지방까지 영토 확장 로마 ~ 페르시아 ~ 중국의 한을 연결하는 동서 무역로 독점 → 중계 무..

춘추ㆍ전국 시대, 제자백가

춘추ㆍ전국 시대 ▶ 춘추 시대(기원전 770~기원전 403) 주 왕실의 권위 인정, 춘추 5패 주도 ▶ 전국 시대(기원전 403~기원전 221) 주 왕실의 권위 인정 안함, 제후국 간의 전쟁 치열, 전국 7웅 주도 1. 정치적 혼란 ▶ 주 왕실의 약화 → 봉건제 붕괴 → 제후들의 독립과 세력 다툼 2. 사회·경제적 발전 ▶ 철기의 보급 철제 농기구 사용과 우경 확산: 농업 생산량 증가 → 상업·수공업 발달, 시장·도시 발달, 청동 화폐 사용 철제 무기 사용: 전투력 향상 → 정복 전쟁 활발 제자백가의 출현 ▶ 부국 강병을 위해 능력 위주로 인재 채용 → 다양한 사상 출현 유가 공자·맹자·순자, '인'과 '예' 강조(백성을 덕으로 통치) → 유교로 발전 도가 노자·장자, 자연 그대로의 삶(무위자연) 강조 ..

진(秦)의 통일

진(秦)의 통일 ▶ 상앙을 등용하여 부국강병 성공 → 춘추·전국 시대 통일 ▶ 철기와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부국강병에 성공 → 최초로 중국 통일 시황제의 통치 정책 1. 중앙 집권 정책 ▶ 최초로 '황제' 칭호 사용, 군현제 실시(전국을 36군으로 나누어 관리를 파견하여 다스림), 화폐·문자·도량형 통일 ▶ 이로써 각 지역간 경제, 문화 교류가 원활해지고 지배 체제의 기초가 확립되었음 2. 사상 정책 ▶ 법가 사상 채택, 그 밖의 사상 탄압(분서갱유) 3. 대외 정책 ▶ 흉노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만리장성 축조 진(秦)의 쇠퇴 ▶ 지나친 토목 공사와 가혹한 통치 → 농민 봉기(진승·오광의 난)를 계기로 멸망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

한(漢)의 건국과 발전 및 쇠퇴

한(漢)의 건국과 발전 및 쇠퇴 1. 고조 ▶ 한 건국, 초의 항우를 물리치고 중국을 재통일 → 군국제 실시 2. 무제 ▶ 군현제 실시(중앙 집권 체제 강화), 유학을 통치 이념으로 채택(태학 설립), 영토 확장(베트남, 고조선, 흉노 정복), 소금과 철 전매제 실시, 장건의 비단길 개척 3. 신(新 8~25) ▶ 한 무제 이후 외척인 왕망이 한을 멸망시키고 신을 건국함 4. 후한(後漢 25~220) ▶ 광무제의 한 부흥 → 환관과 외척의 횡포로 쇠퇴 → 황건적의 난(184) + 지방 호족들의 독립 → 삼국(위, 촉, 오)으로 분열 한(漢)의 사회, 경제, 문화 1. 호족 중심 사회 ▶ 대토지와 노비 소유, 향촌 질서 유지, 유학 공부를 통해 관직에 진출 2. 경제 발달 ▶ 농업 생산량 증대, 수공업 발..

중국 문명, 하(夏), 상(商), 주(周)

중국 문명 하(夏) 기원전 2500년경 청동기가 사용되면서 문명 발생 → 황허 강 유역에 중국 최초의 나라 하(夏) 성립 ↓ 상(商) 성장 기원전 1600년경 성립 → 기원전 1500년경 황허 중·하류 일대를 지배할 정도로 성장 정치 제정일치의신권 정치(신정정치) 전쟁이나 정치 등 국가의 중요한 일은 점을 쳐서 결정함 → 갑골을 이용해 점을 치고 그 결과를 기록함(갑골문) 유적 수도였던 은허에서 청동기와 갑골문 등의 많은 유물이 발견됨 문화 갑골문: 갑골(거북의 껍질이나 짐승의 뼈)에 기록된 문자 → 한자의 기원이 됨 발달된 청동기 사용(종교 의식과 관련), 달력을 만들어 농사에 이용 ↓ 주(周) 성장 상의 서쪽에서성장 → 기원전 11세기경 상을 멸망시키고 세력을 넓힘 봉건제 목적:넓어진 영토를 효율적으..

인더스 문명, 카스트제, 아리아인

인더스 문명 기원전 2500년경 발생:인더스 강 중류 지역(지금의 파키스탄)에서 도시 문명 발생 하라파와 모헨조다로: 도로망으로 연결된 계획 도시 → 목욕탕, 상하수도 시설 등을 갖춤 경제: 농경과 목축 발달, 수공업과 상업 활발 → 바닷길을 이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교류 청동기와 그림 문자 사용 ↓ 기원전 1500년경 아리아인이 인더스 강 유역으로 이동, 원주민을 정복 ↓ 기원전 1000년경 아리아인이 갠지스 강 유역까지 진출, 인도 문화의 주인공이 됨 철기 문화: 철제 농기구를 이용하여 농업 발달, 도시 국가 건설 카스트제 성립: 아리아인이 원주민을 정복하면서 성립된 엄격한 신분 제도 브라만교 성립: "베다"를 바탕으로 자연 현상을 숭배하는 다신교, 브라만이 제사를 주관 아리아인의 이동과 정착 1..

중국 최고의 황제-청나라 성조 강희제

중국 최고의 황제 당나라 태종 이세민과 청나라 성조 강희제 1. 제왕학 수업이든 어떤 것이든 전혀 읽히지 못한 6살의 나이에 즉위. 당시 모든 정권을 가진것은 오보이라는 막강한 권신이었는데 10년 가까이 조용히 힘을 기르다 단 한번에 정리(16살) 2. 당시 청나라 남쪽에는 우싼구이, 상즈신, 겅징중이라는 세 명의 왕이 번왕이라고 해서 엄청난 군사력과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이 반란을 일으키며 대만과 몽골의 반청 세력일부까지 끌여들어와 초반에는 밀렸음에도 불구, 침착한 대처로 9년간을 버티면서 승리로 이끌어 청나라 내부의 안정을 가져옴. 3. 대만을 비롯한 평후 제도등 36개 섬은 정씨 왕조라는 이들이 다스리고 있었는데, 우선 내부적으로 분열을 유도하고 해군 제독 쉬랑을 파견하여 복속시킴. 항..

산해관(山海關) - 중국 하북성 진황도시

전통시대 한중 외교 사행로에 위치한 중국으로 진입하는 관문.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화이사상(華夷思想)을 갖고 있었다. 즉 중화와 오랑캐를 구분하는 화이(華夷)의 기준을 만리장성으로 삼았다. 발해의 노룡두에서 시작되는 만리장성은 산해관 각산장성(角山長城)과 연산산맥을 넘어 서쪽 사막의 감숙성 가욕관(嘉峪關)까지 약 6,400㎞에 걸쳐 이어지는 거대한 인공 건축물이다. 문명(文明)과 비문명(非文明)으로 대체되는 화이를 가르는 기준이 만리장성이었던 만큼 산해관의 안쪽을 관내(關內), 밖을 관외(關外)라 불렀다. 이 관문을 들어서야 중화(中華)의 세계, 즉 문명의 세계로 들어선다는 관념을 갖고 있었다. 중국을 왕래했던 조선의 외교사절 역시 요동의 사행노정(使行路程)을 경유하여 중국의 수도인 연경(燕京, 지금의 ..

막부(幕府), 다이묘(大名), 쇼군

다이묘(大名) 중세 일본의 각 지방을 다스리는 영주 다이묘라는 칭호는 본래 '오오나누시'(大おお名な主ぬし)라는 단어가 변화하여 생겼다. '나누시'란 말 그대로 '이름을 가진 자', 즉 봉건사회에서 제대로 된 성씨를 칭할 수 있는 한 마을의 실권자를 뜻하고, 여기에 '크다'는 의미가 붙어 규모가 커지면 지방에서 세력을 떨치는 호족을 가리키는 말이 된다.[1] 이것이 막부가 성립하고 무가사회가 되면서 많은 봉토와 부하를 거느리는 무사를 가리키는 의미가 되었다. 일정한 크기의 영토 이상을 소유하지 못한 작은 지역의 영주는 '쇼묘'(小名)라고 불렸다. 다이묘는 다스리는 영지의 쌀 생산량으로 구분되는데 이를 '고쿠다카'(石高, 석고)로 부르고, 에도 시대에 이르러서는 고쿠다카 1만 석 이상은 다이묘, 그 미만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