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스 한국사 1139

한국사 합격자 두문자 암기 노트 #01

* 구석기시대 유적 -종성 동관진 유적 :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발견 (1933년) -단양 상시리 유적 : 가장 오래된 유적지 -청원 두루봉 동굴 : 3~4세 어린이, 소년 뼈 발견 -평양 만달리 동굴 : 성인 인골 발견 -공주 석장리 : 구석기도 불뗀자리(화덕자리) 有 -밀개, 긁개 * 중석기시대 : 통영 상노대, 홍천 하화계리 * 신석기시대 : 원융(오만조동굴) → 빗기(암미청동굴) → 뇌파(암지다시교) 원시무문토기(이른민무늬) & 융기문토기(덧무늬) - 양양오산리 만포진, 조도 부산 동삼동 웅기 굴포리 + 제주고산리 빗살무늬토기=기하문토기 - 서울암사동, 경기미사리, 평남청호리, 부산동삼동, 웅기굴포리 + 김해수가리 뇌(번개무늬) & 파(물결무늬) - 암사동, 황해도 지탑리, 부산 다대동, 부천 시도..

잡스 한국사 2020.12.30

의학서적, 고려 향약구급방, 조선 향약집성방, 신주무원록, 동의보감, 동의수세보원

의학서적 ㆍ고려: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고려(고종), 현존 최고의 의학서 ㆍ조선: 향약집성방(태조), 신주무원록(세종); 법의학서, 동의보감(광해군); 조선 최대 의서 동의수세보원(고종); 이제마, 인체를 성격에따라 태양․소양․태음․소음의 사상으로 나눔(사상의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형법, 형소법 PDF 다운로드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잡스 한국사 2020.12.29

조각․공예품,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 금동미륵반가상, 서산마애삼존불상, 금동미륵반가상, 금동대향로, 석가본존여래상, 비로자나불좌상, 백률사 약사여래상, 부석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조각․공예품 ㆍ고구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북조에 영향 받음), 금동미륵반가상 ㆍ백제: 서산마애삼존불상(온화미,엷은미소), 금동미륵반가상, 금동대향로(불교,도교,유교?) ㆍ신라: 금동미륵반가상(가장 세련, 일본에 영향미침) ㆍ통일신라: 조각 - 석굴암(불국사), 만불산(경덕왕때 만든 인조산), 불상(석굴암의 석가본존여래상, 불국사의 비로자나불좌상, 백률사의 약사여래상), 무령왕릉비 공예 - 범종: 상원사 동종(성덕왕),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 나전칠기(당에서 수입하나 고려때는 더 역수출), 은입사(송에서 유입) ㆍ고려: 조각 - 신라에 비해 뒤떨어진다. 논산 관촉사은진미륵불(최대,지방문화상징), 철불주조가 유행 불균형, 무형식, 자유분방을 특징. 부석사소조아미타여래좌상(고려시대대표불상). ㆍ조선시대:..

잡스 한국사 2020.12.28

통일신라 건축, 고려 건축, 조선 건축, 주심포 양식, 다포 양식

건축물 ◉ 통일신라 석굴암: 불교세계의 이상.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건축물. 불국사: 경덕왕~혜공왕때 완성. 안압지: 경주 궁성 안의 인공연못. 화려한 궁중생활과 귀족생활. ◉ 고려시대 건축양식 주심포양식: 통일신라시대 이래 전해와 고려전기 유행.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면서 장중하고 우아하며 간소함. 다포양식: 원간섭기 이후 전해와 조선 전기 유행. 팔작지붕이 대부분이고 주심포보다 화려하고 장엄. - 봉정사극락전(최고의 목조건축물, 주심포양식), 부석사무량수전(신라계승한 고려의 대표적 건축물, 주심포), 부석사조사당, 수덕사대웅전, [원영향 다포양식; 석왕사응진전, 성불사응진전], 심원사보광전(다포양식) ◉ 조선시대 건축 특징: 유교적 검약으로 건물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자연미와 주위환경 조화를 중시 ㆍ1..

잡스 한국사 2020.12.28

탑, 부도, 익산 미륵사지탑,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 황룡사9층목탑, 분황사 모전석탑, 경천사10층석탑, 원각사10층석탑

탑 ㆍ백제: 백제의 탑들은 탑의 기둥에 엔타시스 수법을 사용함. 익산 미륵사지탑(최고 최대, 목조형 석탑),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전형적인 석탑양식) ㆍ신라: 황룡사9층목탑(아비지, 몽고때 소실, 호국사상), 분황사 모전석탑(최초의 전(벽돌)탑), 첨성대, 천마총 ㆍ통일신라: 높은 기단위에 세운 3층 석탑이 유행.불국사 3층석탑, 화엄사4사자3층석탑(석굴암),감은사지 3층 석탑 ㆍ고려: 다각다층의 여러 가지 형식 시도. [흥국사지 석탑, 현화사7층석탑 → 신라계승], 월정사8각9층탑(송에 영향받음), 경천사10층석탑(목조건축양식, 원에 영향받음), [익산 왕궁리 5층석탑, 부여 무량사 5층석탑 →백제 계승], 불일사5층석탑(고구려 계승) ㆍ조선: 원각사10층석탑(경천사10층탑의 영향받음), 법주사팔상전(..

잡스 한국사 2020.12.28

삼국, 발해, 고려, 조선 문화 특징, 유형

문화의 유형 - 삼국, 고려, 조선 문화 특징, 유형 ㆍ고구려: 힘, 패기, 정열의 사실적 표현 ㆍ백제: 우아함, 세련미, 그러나 토착문화를 충분히 발전 시키지 못함. ㆍ신라: 소박한 전통 → 통일신라: 엄격함과 조화미, 정제미. 조형미술의 발달. ㆍ발해: 고구려문화를 바탕으로 당문화 수용, 귀족문화의 발달, 고구려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웅장하고 견실. 석등: 8각의 기단위에 중간의 볼록한 간석, 간석위에는 탐스러운 연꽃이 조각되어있어 힘찬 느낌. 당적 요소(수치가 나오면 당적요소.예외-5경제.) 고구려적 요소(불교적인것, ‘오’발음) 3성 6부, 주작대로, 15부 62주, 관등제, 동경성 축조, 잠자는 미녀상, 정효공주묘(벽돌무덤) 5경제, 궁전지의 온돌장치, 천장의 모줄임구조, 사원지의 불상양식, 와당의..

잡스 한국사 2020.12.28

도교적 요소, 산경문전, 사신도,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사산비분, 국선․풍월, 첨성단, 도관, 원구단

도교적 요소(무위자연, 현세구복, 불로장생의 사상) ㆍ고구려: 사신도, 연개소문의 장려 ⇔ 보덕은 도교의 불로장생사상에 대항하여 열반종 개창하여 백제에 전파. ㆍ백제: 산경문전, 사신도,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ㆍ신라: 세속오계, 최치원의 사산비분, 국선․풍월․풍류도라는 화랑도의 명칭. ㆍ발해: 정효공주 비문 ․ 정혜공주 비문 ; 4.6 변려체안의 불로장생. ㆍ고려: 첨성단, 도관(도교사원) ㆍ조선: 원구단(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경찰학, 헌법..

잡스 한국사 2020.12.28

호국신앙, 황룡사9층탑, 인왕경, 팔관회, 왕흥사(백제 무왕), 세속오계, 백고자회

호국신앙 황룡사9층탑(선덕여왕때 아비지(백제)가 건축, 몽고 때 소실), 인왕경, 팔관회, 왕흥사(백제 무왕), 감은사(문무왕시작 →신문왕완공, 문무왕이 해룡이되어 신라를 보호한다는 고사(만파식적), 전제왕권 확립(신문왕) 세속오계(원광이 화랑도계율로 지음), 백고자회(고려시대 호국신앙적 불교행사), 대장경(불심의 힘) 화랑: 군사적 단체, 화랑도 정신(최치원의 난랑비문(유불선 3교의 현묘한 도), 세속오계, 임신서기석) 계급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기능, 사회 중견인 양성하는 기능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공무원 행정..

잡스 한국사 2020.12.28

제2차 진주성전투, 황진 장군

1576년(선조9) 27세에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선전관(宣傳官)에 임명되었으나 모친상을 당하여 3년간 고향에서 여묘살이를 하였다. 상례를 마치고 거산도찰방(居山道察訪)이 되어 1583년(선조16) 함경도 시전(時錢)의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때 참획한 오랑캐의 수급(首級)을, 죄를 지어 충군(充軍)된 친구에게 양보하였다. 그 뒤에 경원부(慶源府)안원보(安原堡)권관(權管)을 거쳐, 다시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1년(선조24) 통신사(通信使) 정사(正使)황윤길(黃允吉)과 부사(副使)김성일(金誠一) 일행을 수행하여 일본에 갔다가 그 형세를 보고 일본군이 곧 조선으로 침략할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그리하여 자기 노자를 털어 일본 보검(寶劍) 한 자루를 사가지고 돌아오면서, “왜적이 쳐들어올 때 내가 장차 ..

한능검 한국사 교재 PDF 다운로드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PDF 교재는 * 출간 교보문고 도서와 구성 및 내용 동일 * 스마트폰, 태블릿, PC에서 볼 수 있고 * 검색 가능 : 원하는 정보 이동 용이 * 단권화 편리 : 개인 맞춤 편집 가능 * 원하는 부분 인쇄 가능 * 최신 암기법, 두문자, 기출 문제 추가 업그레이드(인쇄 교재 미제공) 됩니다. 실명 이체 확인 후 즉시 구글 드라이브에서 PDF 교재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인쇄 교재 구매 시 PDF 파일 금액 잡스 한국사 종합(Chapter1~10) 7,000원 Chapter1 고대 3,000원 Chapter2 고려 3,000원 Chapter3 조선 3,000원 Chapter4 근대 3,000원 Chapter5 현대3 3,000원 Chapter6 테마 암기 5,00..

호포법(戶布法)-가호(家戶)를 기준으로 포(布)를 부과하는 군포(軍布) 징수, 흥선대원군

가호(家戶)를 기준으로 포(布)를 부과하는 군포(軍布) 징수 방식. 호포론은 군포를 거두는 방식 가운데 하나로 임진왜란 이전부터 혹은 병자호란 직전에 제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호포론은 처음에 재정 확보책으로 제기되었다. 국가 재정이 부족해지자 호당 1필(疋)의 포를 부과하여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서였다. 예를 들어 1670년(현종 11) 대기근이 들자 엄청난 규모로 발생한 궐액(闕額)을 채우기 위해서 식구가 많은 가구에 폐가 될 수 있다며 호를 기준으로 호포를 걷자는 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본격적인 논의 대상으로 부각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양역변통론(良役變通論)의 일환으로 제기된 호포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윤휴(尹鑴, 1617~1680)가 제기한 호포론은..

사창제(社倉制)-흥선대원군 환곡 문란 개혁, 리(里)단위 자치적으로 곡물 대여

사창제(社倉制)는 조선 시대 양반 지주들이 자치적으로 곡식을 저장해두고 백성들에게 대여해주던 제도이다. 관에서 관리하는 백성구휼기구인 환곡제와 다른 점은 민간에서 관리한 기구라는 점이다.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이 삼정의 문란 중 가장 극심했던 환곡의 폐단을 개혁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리(里)를 단위로 보릿고개 때 곡식을 빌려 주는 사창을 설치하여 운영한 제도다. 보통 보릿고개 때 곡식을 빌려주고 추수를 하는 가을 정도에 이자를 조금씩 붙여서 돌려받았다. 사창제(社倉制)는 조선 시대 양반 지주들이 자치적으로 곡식을 저장해두고 백성들에게 대여해주던 제도이다. 관에서 관리하는 백성구휼기구인 환곡제와 다른 점은 민간에서 관리한 기구라는 점이다. 향촌 자체의 민간 빈민 구호기관의 성격을 지녔다. [기 원] 사창..

노론(老論)-서인, 송시열

조선시대 붕당(朋黨)의 한 정파. 서인은 인조반정을 계기로 정권을 잡고 정사공신(靖社功臣) 김류(金濫)가 영도한 훈서(勳西) 또는 공서(功西)와, 반정을 관망했던 김상헌(金尙憲)이 영도한 청서(淸西)로 양분되었다, 그러나 훈서는 노서(老西)로, 청서는 소서(少西)로 다시 개편되었다. 둘로 갈라진 서인세력은 인조 말에 이르러 훈서파는 원두표(元斗杓)의 당인 원당(元黨)과 김자점(金自點)의 당인 낙당(洛黨)으로 다시 분파되었다. 청서파는 사림의 청의(淸議)를 주장하는 사류들이 중심이 된 산당(山黨)과 한당(漢黨)으로 분립되어 서인은 사분되었다. 그러나 효종·현종 때에 송시열(宋時烈)을 중심으로 서인이 다시 규합되어 서인 일당이 되었다. 노론은 숙종 때 규합된 서인에서 분파된 것이다. 분당의 계기는 1680년..

도고(都賈)-조선 후기 상품 매점매석

조선 후기 상품을 매점매석해 가격 상승과 매매 조작을 노리던 상행위의 한 형태, 혹은 그러한 상행위를 하던 상인 또는 상인 조직. 도고(都庫)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본래 공인(貢人)들이 공납품을 미리 사서 쌓아두던 창고로 뒤에는 위와 같은 뜻의 도고(都賈)와 혼동되어 사용되었다. 이 밖에도 도고 상인을 도아(都兒)·외목(外目)장수라고 불렀다. 도고는 18세기 이전부터 나타난 대외 무역의 증대, 금속 화폐의 유통, 상품 경제의 발달 등을 배경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그 중에서도 서울과 지방의 농·수공업 생산력 증가와 그에 상응하는 활발한 상품 생산은 상업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왔고, 도고도 그와 함께 등장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품화폐경제가 발전하기 시작했더라도, 아직 생산력 수준이 본격적인 상품 ..

만동묘(萬東廟)-명 신종 사당. 송시열, 황하의 물이 만 번을 꺾여도 결국 동쪽(조선)으로 흐른다는 뜻.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에 있는 조선후기 명나라의 신종을 위해 세운 사당 노론 영수 송시열 황하의 물이 만 번을 꺾여도 결국 동쪽(조선)으로 흐른다는 뜻 민정중(閔鼎重)이 북경에 사신으로 갔다가 의종(毅宗)의 친필인 ‘비례부동(非禮不動)’의 넉 자를 얻어다가 송시열(宋時烈)에게 주었다. 1674년(현종 15) 송시열은 이것을 화양리에 있는 절벽에 새기고 그 원본은 환장암(煥章庵)주 01) 옆에 운한각(雲漢閣)을 지어 보관하고, 그곳 승려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 또한 김수항(金壽恒)은 장편의 글을 지어 그 일을 기록하여 놓았다. 1689년(숙종 15) 송시열이 사사(賜死)될 때 신종과 의종의 사당을 세워 제사지낼 것을 그의 제자인 권상하(權尙夏)에게 유명(遺命)으로 부탁하였다. 권상하는 이에 따라 17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