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 과학 Natural Science/화학 Chemistry 101

에스터, ester, 에스테르, 카르복시산-에스터(R'-C(=O)-O-R2)

에스터, ester, 에스테르 유기 화합물의 하나로, 유기 라디칼이 산의 수소 분자 자리에 치환된 것을 말한다. 에스터라는 이름은 독일어 에시히에테르(Essigäther, 식초 에테르)에서 유래되었다. 에스터의 가장 공통적인 전형은 카르복시산-에스터(R'-C(=O)-O-R2)이며 다른 에스터로는 인산, 황산, 질산과 붕산 에스터 등이 있다. 휘발성 에스터는 대개 향기를 지니며, 향수, 에센스(필수기름)와 페로몬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많은 과일들에 그 향을 준다. 에틸 아세테이트와 메틸 아세테이트는 중요한 솔벤트이며 지방산 에스터는 지방과 지질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터는 중요한 플라스틱이다. 순환 에스터는 락톤이라 불린다.  에스터는 에스테르화라는 산과 알코올 사이의 축합 반응으로 합성할 수 있다.  에스터의..

지방산, fatty acid,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릴 에스터, 에너지원, 세포 구성 성분

지방산, fatty acid  화학, 특히 생화학에서 포화 또는 불포화된 긴 지방족 사슬을 가지고 있는 카복실산이다.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대부분의 지방산들은 4~28개까지의 짝수 개의 탄소 원자들로 구성된 가지가 없는 사슬을 가지고 있다.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생물에서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릴 에스터의 3가지 주요 부류의 에스터의 형태로 주로 존재한다. 이러한 에스터 형태에서 지방산은 동물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세포에서 중요한 구조적 구성 성분이다.역사지방산의 개념은 미셸 외젠 슈브뢰이에 의해 도입되었지만, 처음에는 "acid fat"과 "oily acid"라는 몇 가지 변형 용어를 사용했다.   지방산의 종류 지방산의 길이 지방산은 길이에 따라 다르며, 짧거나 ..

코퓰린, Copulin, 여성 질 분비 호르몬, 코퓰린 향수, 암내, 향합(香盒)

코퓰린 체내 성호르몬 농도에 따라 이성을 유혹하는 냄새가 분비된다. 남성이 땀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분해물인 안드로스테놀과 안드로스테논을 분비한다. 안드로스테놀은 사향이나 백단향나무 향기와 비슷한 냄새를 나게 해서, 여성들이 이 냄새를 맡으면 각성 반응을 일으키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가 급격히 증가해 혈압이 올라가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성적으로 흥분하게 만든다. 반면 안드로스테논은 오줌 지린내가 나기 때문에 보통 악취로 여겨지는데 정작 일부 여성은 이 냄새를 꽃이나 바닐라 향기로 느끼기 때문에 향수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여성 역시 질을 통해 코퓰린을 분비한다. 코퓰린은 아로마 향과 비슷한 냄새를 나게 해서, 남성들이 이 냄새를 맡으면 성적 흥분을 일으킨다.   코퓰린 향수 코퓰린..

산화물(oxide), 수산화물(hydroxide), 수화물(hydrate)

■ 산화물(oxide) : 한 개의 원소에 한 개 이상의 산소(O)가 공유결합된 2원 화합물의 총칭.​특성으로 구분하면 산성산화물, 염기성산화물, 양쪽성산화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형태로 구분하면 아산화물, 일산화물, 이산화물, 과산화물 등으로 구분​▶ 산성산화물(acidic oxide) : 주로 비금속원소와 산소가 결합된 화합물. 산성산화물은 물과 반응하면 옥소산(산소산)이 되고, 염기와 반응하면 염을 형성한다. 산의 무수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롬산은 H2CrO4이고, 무수 크롬산은 산의 무수물로써 CrO3이다.​산성산화물 예) CO2, N2O5, SiO2, Cl2O7, SO3, P4 O10...​N2O5 + H2O → 2HNO3산성산화물이 물과 반응하여 옥소산(산소산) 화합물인 질산(..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 하이드록시기(hydroxy group)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 하이드록시기(hydroxy group) 유기화학에 있어 구조식이 "−OH"으로 표시되는 일가의 작용기이다. 수산기(水酸基)라고도 한다.알켄과 알카인 등 벤젠 고리 이외의 탄소 위에 수소를 하이드록실기로 치환한 화합물을 알코올, 벤젠 고리의 수소를 하이드록실기로 치환한 화합물을 페놀이라고 부른다. 이 작용기는 작용기끼리 수소 결합이 가능한 것이 큰 특징인데, 수소 결합에 의하여 물과 친화성을 띠기 때문에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화합물, 특히 저분자량인 것들과 복수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것에는 물에 녹기 쉬운 것이 많다. 중성 라디칼 •OH는 하이드록실 라디칼이라고 불린다. 일가 원자단하이드록실기는 한 개의 수소 원자와 한 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일가(一價)의 원자..

카복실기(carboxyl group), –COOH, 카보닐기 하이드록실기 조합

카복실기(carboxyl group) 화학에서 탄소, 산소, 수소로 이루어진 작용기의 하나로, 카복실산의 작용기인 –COOH로 표시된다. 카복실기라는 명칭은 포함하고 있는 두 가지 요소인 카보닐기와 하이드록실기의 조합으로 만들어졌다.  카복실기의 구조는 오른쪽의 그림에서처럼 중심의 탄소 원자에 하나의 산소 원자가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하이드록실기가 단일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분자식에서 보면, 카복실기는 –C=O–의 형태의 카보닐기에 하이드록실기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산소와 탄소 사이의 전기음성도의 차이 때문에 탄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양전하를 띤다. 따라서 카복실 탄소 원자는 친핵체의 공격을 받기 쉽다. 카복실기의 하이드록실 부분은 상대적으로 산성이며 양성자는 적절한 파트너에게 쉽게 공..

필수아미노산, 먹이사슬, 신경전달물질,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8종

필수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음식을 통해 직접 먹어야 하는 아미노산이다. 비필수 아미노산 중 불필수 아미노산은 체내 합성이 용이한 것을 말하고,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은 몸이 정상적인 상태라면 체내 합성이 되지만, 비정상인 상태일 경우 체내 합성이 어려운 것이다.   신체에서 필요한 아미노산은 일반적으로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필수 아미노산은 신체에서 합성하려면 매우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등의 이유로 충분히 생산되지 못하거나 심지어 아예 합성이 불가능한 것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음식물을 통해 합성과정을 건너뛰고 '직접' 섭취해야 한다. 안 그러면 죽는다.  필수 아미노산은 발린, 류신, 이소류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라이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의 8종류가 있다. 어린이의..

아미노산, Amino Acid, 아미노기(-NH2), 카복실기(-COOH), 펩타이드 결합, 구성 아미노산(20종), 필수 아미노산(9종), 비필수 아미노산(11종) ,불필수 아미노산(5종),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6종), 비단백 아미노산

아미노산 Amino Acid    보통 아미노산이라고 하면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성분들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단백질의 구성 요소가 아닌 비단백 아미노산이라는 것도 존재한다. 조직의 성장과 유지에 관여한다. 또한 호르몬과 효소, 항체 등의 주요 구성성분이 된다. 각기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족하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지연과 성인의 체중 감소를 유발하고 인체 대사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합성하고, 동물은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먹어서 얻는다. 구성 원자 중에 질소가 들어가 있는데 식물은 공기 중의 질소 분자를 사용하지는 못한다. 그래서 일부 질소 고정 세균류가 합성하는 암모늄, 질산염, 아질산염 등을 흡수해 사용한다. 그 외에도 번개가 칠 때도 질산염이 합성되며..

포도당, C6H12O6, 육탄당(hexose),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로스(dextrose)

포도당, C6H12O6, 육탄당(hexose),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로스(dextrose) 포도당(葡萄糖, grape sugar) 또는 글루코오스(glucose) 또는 덱스트로스(dextrose)란 육탄당(hexose)의 주요한 단당류중 하나로, 단맛이 있고 물에 잘 녹으며 환원성이 있다. 생물 조직 속에서 에너지원으로 소비된다. 분자식은 C6H12O6이다. 이름대로 과일인 포도에 매우 풍부하게(10~15%) 들어있기도 하다. 하지만 포도에 많이 있어서 포도당으로 이름이 붙여진 건 아니다.  1747년 독일 화학자, 발명가 안드레아스 지기스문트 마르그라프(Andreas Sigismund Marggraf, 1709~1782)가 건포도에서 뽑아낸것에서 유래한다. 즉, 포도에서 처음 발견되어서 ..

고분자(Polymer), 단량체(Monomer), 중합(Polymerization)

고분자(Polymer), 단량체(Monomer), 중합(Polymerization)  고분자 (Polymer) 란 Polymer = Poly (多) + mer (개체) Macromolecules = Macro (巨) + molecule(분자) 고분자(polymer)란 같은 종류의 분자개체가 반복적으로 많은 수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크기가 큰 분자를 일컫는다. 또한 이러한 기본 반복단위를 가지고 연결된 분자란 의미로 중합체라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고분자는 단순히 많은 수의 원자가 결합되어 큰 분자를 이루었다는 보다 포괄적 의미를 지니는 거대분자(macromolecule)와는 비교되는 의미를 가진다.    단량체 (Monomer) 와 중합 (Polymerization)  단량체(monomer)란 고분자(po..

샴푸, shampoo, 바디워시, Body wash, 비누, 계면활성제

샴푸, shampoo 세제의 일종으로, 머리카락과 두피를 깨끗하게 하는 데 쓰인다. 어원은 '씻다'라는 뜻을 가진 힌디어 Champo로서 당시 무굴 제국의 마사지와 함께 사용하는 헤어 오일에서 유래하여 1762년 영어권에 소개되었다. 이후 19세기에 단어의 뜻이 현재의 머리감는다는 뜻으로 되었으며, 현대식 합성 샴푸는 1934년 미국 프록터앤드갬블사(P&G)가 드린(Drene) 샴푸를 출시하면서 등장하였다. 1. 샴푸의 목적 샴푸에는 크게 두가지 목적이 있다. 하나는 모발의 때를 씻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모발의 때를 씻음과 동시에 두피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모발의 육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두부의 때에는 땀샘이나 피지선으로부터의 분비물에 의한 내부로부터의 때와 두발 화장품이나 대기중의 먼지같은 외부로부..

레진(Resin), 수지(樹脂), 송진, 호박(Amber), 합성수지(synthetic resin), 치아, 투수, 피규어

레진(Resin), 수지(樹脂) 樹脂(수지 : 나무 수, 기름 지)  사전적 의미로는 나무의 수액이나 그게 굳어서 만들어지는 고분자 중합체를 의미하며 현대에는 합성수지(synthetic resin), 즉 고무나 플라스틱을 일컫는 넓은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하는 공예를 레진 공예(resin craft, 국내에서는 레진 아트라고 하기도 함)라고 부른다. 오랜 옛날부터 쓰여왔던 송진(소나무, 전나무 , 잣나무 등의 진, rosin)이 대표적인 천연 수지이다. 이것을 곱게 빻아 만든 가루는 야구(투수), 암벽등반, 기계체조 등 여러 운동 경기에서 손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데 쓴다. 바이올린 등 현악기의 활이 현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데에도 송진은 꼭 필요하다. 참고로 송진 등의 ..

물질대사, metabolism, 신진대사, 대사(代謝), 주요 생화학 분자

물질대사, metabolism, 신진대사, 대사(代謝) 생물의 세포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모든 물질의 변화로, 생체내 물질의 분해 · 합성과 같이 에너지를 소모하는 화학적 작용이다. 효소가 반응을 촉매하며, 대사를 통해 생물은 성장하고 번식하며, 구조를 유지하고 환경에 반응한다. 대사라는 단어는 소화와 세포 간에 물질 수송 등을 포함하여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 반응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경우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일부를 중간 대사(영어: intermediary metabolism, intermediate metabolism)라 한다. 대사는 대개 두 부류로 나뉜다. 이화작용(catabolism)은 세포 호흡을 통하여 유기 분자를 분해하고 에너지를 얻는 반응이다. 동화작용(..

헤어 왁스, Wax, 파라핀, Paraffin, CnH2n+2, 매트왁스 가느다란 모발

왁스, Wax 파라핀계 물질로 마루나 가구, 자동차 따위에 광택을 내는데 쓰는 납(蠟). 1990년대~2000년대에 학교를 다녔던 사람들이 기억하는 왁스는 학교 청소시간에 목재로 된 교실 바닥에 광 내기 위해 대걸레로 빡빡 문지르던 그 불쾌한 냄새의 하얀 기름 덩어리 같은 것이다. 대충 문대면 바닥이 엄청 미끄럽기 때문에 빡빡 닦아야 한다. 하지만 2010년 이후 대부분의 학교 교실 바닥의 재질이 석재로 바뀌어 예전보다는 사용빈도가 확 줄었다.  파라핀(paraffin)은 CnH2n+2(n≥19)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알케인 탄화수소를 두루 일컫는 낱말이다. 물에 녹지 않으나 에테르나 벤젠, 에스터(에스테르)에는 녹는다. 파라핀은 20 혹은 40의 탄소분자로 이루어진 탄화수소분자의 혼합물로 석유나 석탄,..

암모니아, NH3, 비료, 화약, 세재, 냉매, 독성, Ammonia, Hydrogen Nitride, 단백질 대사, 아미노기(NH2-), 요소, 요산

암모니아 NH3Ammonia 무기화합물 상온 상태 무색 기체 분자량 17.031 g/mol 밀도 0.86 kg/m3 녹는점 195.42K -77.73°C / -107.914°F 끓는점 239.81K -33.34°C / -28.012°F CAS 등록번호: 7664-41-7 밀도는 끓는점에서 1.013 bar 기준  AmmoniaAzaneHydrogen Nitride분자식: NH3 1개의 질소 원자와 3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된 알칼리성의 화합물고대 이집트에서 염화암모늄이 태양신인 아문(Amon)의 사원 주변에서 많이 나와 이 가루를 '암몬의 소금'이라고 부른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암모니아를 인공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없던 시절에는 유기물퇴비를 뿌렸다. 또한 일반적으로 농사를 지을 땅을 밭갈기라 하여 깊은 ..

하버-보슈법, Haber-Bosch process, 하버법, 암모니아 합성 공법, 프리츠 하버, 카를 보슈, 비료, 구아노(guano)

하버-보슈법, Haber-Bosch process, 하버법 현대 산업 현장에서 주요하게 사용되는 암모니아 합성 공법이다. 공법을 발명한 프리츠 하버와 카를 보슈의 이름을 따 지었다. 비료 제작에 사용되어 현대 인류 부양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인류의 숙원사업 산업혁명 이전의 농경중심사회의 주 관심은 농업생산력 증대에 있었다. 의식주 중에 식량은 가장 절실한 문제로 충분한 식량자원 확보는 인류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다. 농경기술 발전을 통해 증산이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기술발전은 더디었고 황무지 개간 등으로는 증산의 한계가 있었다. 결국 곡물 생산량은 인구증가에 미치지 못하여 인류는 항상 굶주림의 고통속에 살아왔으며, 전쟁과 흉년에는 기근으로 인해 아사자가 발생하였다. 이런 문제는 1492년 콜럼버스의 신..

사이안화 칼륨, Potassium cyanide, K+ C≡N-, 青山ゆかり, 청산유카리, 청산가리, 미토콘드리아

사이안화 칼륨Potassium cyanide | 청산가리青山ゆかり → 청산유카리 → 청산카리 → 청산가리 사이안화계의 화합물로, 체내에 흡입될 경우 낮은 반수치사량으로도 세포 호흡을 저해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맹독성 물질. 미국식 발음을 지향하는 대한화학회 권고 명칭은 사이안화 포타슘이지만, 옛 명칭인 시안화칼륨 또는 일본어에서 유래한 명칭인 청산가리(青酸カリ)라고도 불린다. 과거 꿩잡이들 사이에서는 싸이나라는 이명으로도 불렸다.  이 물질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스웨덴 화학자, 약사 칼 빌헬름 쉴레(Carl Wilhelm Scheele, 1742 ~ 1786)가 1782년에 발견하여 화학학회에 보고한 것이 최초다.화학식은 K+ C≡N-. 이온결합성 물질이고, 실제 독성은 CN- 이온이 작..

치클론 B, Zyklon B, 사이안화 수소(청산가스), 홀로코스트

치클론 B, Zyklon B   핵 무기원자폭탄 · 수소폭탄 · 중성자탄 생물학 무기마버그바이러스 · 보툴리누스균 · 에볼라바이러스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 두창바이러스 (천연두) · 탄저균 · 페스트균 · 디프테리아 화학 무기겨자 가스 (질소 머스터드) · 루이사이트 · 사린 · 소만 · 청산 (치클론 B) · 타분 · 트리코테신 (황우) · CG · VX · 삼플루오르화염소 독가스로 이용된 적이 있는 1920년대 초 독일에서 쓰던 살충제의 상표명. 성분 조성은 사이안화 수소(청산가스), 안정제, 경고용으로 집어넣은 에틸 2-브로모아세타이트, 그리고 가스 흡수제인 규조토다. 깡통을 열면 규조토 과립이 들어 있었고 이 과립에 사이안화수소가 스며 있었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 과립을 쭉 끼얹어 ..

시안, Cyan, Cyanogen(사이아노젠), 시안화합물, 사이안화 칼륨

시안, CyanCyan (사이안(영국식) / 사이앤(미국식)), Cyanogen (사이아노젠)靑素(청소) 고대 그리스어 κυάνεος(꾸안네우스, 코이네: 퀴안네우스), 라틴어 cȳaneus(고전: 키:안네우스, 교회: 치:안네우스)에서 유래한 네덜란드어 cyaan(을 일본어 シアン을 거쳐서)에서 유래했으며, 청록색을 뜻하는 시안(색깔))과 어원이 같다  특성 및 이용옥사마이드를 오산화 인으로 탈수하거나 수은, 은, 금 따위의 사이안화물을 열분해할 때에 생기는 무색의 기체. 독성이 매우 강하고,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불을 붙이면 보라색 불꽃을 내며 타면서 이산화탄소와 질소로 유리된다. 군사용 독가스로 쓴다. 화학식은 (CN)2.시안화합물의 특이한 냄새를 보통 아몬드 냄새라고 일컫는데, 흔히 생각하는 (..

프러시안 블루, Prussian Blue(#003153), 짙은 파란, 현대적 합성안료 최초의 색, Fe4[Fe(CN)6]3, 맹독성 사이안

프러시안 블루 Prussian blue 짙은 파란색색깔                                                                                                       짙은 파란색 계열의 색깔로, 현대적 합성안료 기술로 만들어진 최초의 색이다. 이름의 유래는 원산지인 당대 프로이센 왕국이며 수도의 이름을 따서 '베를린 블루'라고도 부른다.Iron Blue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유는 후술되었듯 주성분이 철이기 때문이다. 단 이쪽은 프러시안 블루만이 아닌 비슷한 색깔의 염료들을 통칭하는 쪽으로 쓰는 편이다. RGB 값은 0, 49, 83.    염료 1704년경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 베를린에서 디스바흐(Diesbach)가 발견한 후 디펠(..

아질산나트륨, sodium nitrite, NaNO2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아질산염(亞窒酸鹽) 주로 식육가공품의 보존제 및 발색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금속공업, 연구 및 의학적 용도로도 널리 사용된다. 질산 나트륨에 납과 함께 가열하거나 수산화 나트륨의 수용액에 산화 질소를 흡수ㆍ농축하여 만든다.화학식은 NaNO2, 비중은 2.17, 녹는점은 271℃, 용해도는 상온에서 84.8 g/100 mL으로, 물에 잘 녹고 흡습성이 있는 흰색의 결정이다. 아질산 나트륨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며 시금치, 쑥갓, 그린 아스파라거스, 청고추 및 떡잎무우 등에 풍부하다.포유류에 대하여 극독성을 띠는데, 반수치사량은 시궁쥐에 경구 투여시 180 mg/kg이다. 단시간에 과량을 흡입할 경우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켜 사망할 수 있다. 아질산이온에 오염..

방향족성, 芳香族性, aromaticity, 방향족화합물, aromatic compounds

방향족성, 芳香族性, aromaticity 탄소 화합물이 불포화 결합, 홀전자쌍, 빈 오비탈 등에 의하여 완전히 콘주게이션된 평면 고리 모양으로 결합되었을 때, 콘주게이션에 의한 안정화 효과보다 큰 안정화 효과를 보이는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방향족성이라는 단어와 실제 향기를 갖는 분자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지 않지만, 방향족성을 갖는 방향족성 고리는 벤젠과 같이 독특한 향기를 갖는 경우가 많다. 방향족성을 갖는 화합물을 방향족 화합물이라고 한다.   방향족은 분자 전체가 콘주게이션되어 있으므로 그림의 (아래)와 같이 표현하지만, 유기 화학 등에서는 전자의 이동에 대한 엄밀한 표현을 위해서 공명 구조 중 하나를 표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벤젠에 대한 공명 구조의 존재를 착안해 낸 아우구스트 케쿨..

리그닌, lignin, 목질소, 방향족 고분자 화합물, 디소듐 4-(아세틸아미노)-5-하이드록시-6-(페닐아조)나프탈렌-1,7-디설포네이트

리그닌 리그닌(lignin)은 특히 식물상에서 세포를 서로 달라붙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축적되면 세포 분열이 멈추고 단단한 조직으로 진행된다. 나무의 껍질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세포벽의 구성성분중 주요한 생화학적 화합물로 다루어진다. 목재, 대나무, 짚 , (곡식의 쌀)겨 등의 단단히 목질화(木質化)된 부분에서 쉽게 찾아볼수있으며 이러한 식물체 속에 대략30%이상 존재하는 방향족 고분자 화합물을 대표한다. 특히 이들 단위 식물체(g)당 리그린계의 화합물 량을 산정하여 리그닌가(lignin價)라고 해서 이를 주요한 지표로 사용할수있다. 한편 리그닌은 바닐린(vanillin)의 주요 제조 원료 성분중 하나이다.   식물의 구조이러한 리그닌 성분은 식물상의 목질화를 담당하는 역할로 인해서 구조..

플라스틱, 종류, 용도, PET(PETE), HDPE, PVC, LDPE, PP, PS, 보펙스, FRP, CRFP, 폴리아세탈, ABS

플라스틱, PET(PETE), HDPE, PVC, LDPE, PP, PS, Other  플라스틱 용기에 표기된 재활용 마크를 자세히 보면 안에 적힌 숫자와 글이 제각기 다름을 알 수 있다.    1 PETE (PET)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투명하고 가볍다. 가장 많이 재활용되며 독성에 매우 안전하지만 재사용 시 박테리아 번식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생수병에 매실액을 담는다든지 재활용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  생수병, 주스, 이온음료 병, 테이크아웃 컵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2 HDPE : 고밀도 폴리에틸렌 화학성분 배출이 없고 독성에 매우 안전하며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하다. 우유병, 영 유아 장난감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3 V (PVC)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평소에는 안정적이나 열에 약해..

비타민B12, 사이아노코발라민, 코발트, 김, Vitamin B12, Cyanocobalamin

비타민B12 유기화합물 -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비타민B B1 (티아민) · B2 (리보플라빈) · B3 (나이아신) · B5 (판토텐산) · B6 (피리독신) · B7 (바이오틴) · B9 (엽산) · B12 (코발라민) 비타민C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A · 비타민D · 비타민E · 비타민K  비타민B12(Vitamin B12) 또는 코발라민(Cobalamin, 코발아민)비타민B 복합체에 속하는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이다. 비타민 가운데 유일하게 코발트를 포함하며, 5,6-다이메틸벤지미다졸이 코발트 원자를 리간드(Ligand)하여 4개의 피롤 구조(테트라피롤, tetrapyrrole)로 이루어진 코린 고리의 중심부에 코발트 이온이 위치하는 형태이다. DNA 합성과 아미노산 및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

청색 LED, 빛의 혁명, 노벨상, 나카무라 슈지, 질화갈륨, LED 적색-녹색-청색 순 개발

청색 LED, 빛의 혁명, 노벨 물리학상, 나카무라 슈지, 질화갈륨, LED 적색-녹색-청색 순 개발 더 많은 이들 위해 빛나기에 더빛의 응용이 시작됐다.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조명 세계를 연출하고 있다. 거리의 가로등부터 슈퍼마켓 냉동고와 백화점 매장의 조명등까지 램프가 녹색 바람에 맞춰 변신 중이다. 20세기가 백열등 시대였다면 21세기는 LED 시대. 노벨상위원회는 램프 혁명을 가져온 청색 LED를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선물했다.   노벨과학상 최고 화제는 단연 청색 LED 개발이다. 수상자가 일본인 출신 세 명(아카사키 이사무·아마노 히로시·나카무라 슈지)의 과학자라는 것도 흥미롭지만, 기초과학 분야가 아닌 실용기술 분야에서 노벨상이..

전자껍질, Electron shell, 최외각 전자, 주양자수 하나가 전자 껍질 하나

전자 껍질(Electron shell)  원소를 구성하는 최외각 전자가 돌면서 만드는 궤도를 말한다. 주양자수 하나가 전자 껍질 하나를 뜻한다.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를 말한다. 개수는 주양자수의 최댓값과 같으며, 원소의 주기수와 같다. 원자핵에서 멀어질수록 껍질의 에너지 준위가 크며, 보어의 양자 조건에 의해 각 껍질의 에너지 준위는 양자화되어 있다. 즉, 불연속적이다.  원자핵에 가장 가까운 껍질이 K껍질이며, 이후로는 L, M, N... 알파벳 순서로 이름 붙는다. 한 원자에서 원자핵에서 가장 먼 전자 껍질의 전자는 최외각 전자라 하며, 화학 반응에 직접 관여한다.    ○ 주기라고 부르는 가로줄은 전자껍질수※ 전자껍질 : 중앙에 원자핵이 있고 첫 번째 껍질, 두 ..

주기, 주기율표, 전자껍질수, 질량 비슷, 성질 다름, 8주기, 주기(period)

주기율표가로줄은 주기(period)세로줄은 족(group)   주기 (주기율표) 원소들을 원자 번호순으로 나열했을 때, 성질이 비슷한 원소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주기율이라고 한다. 주기율표는 주기율에 따라 원소들을 배열한 표를 말한다.  주기율표에서 가로줄은 주기, 세로줄은 족이라고 한다. 주기는 1주기에서 8주기까지 있다.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들에 따라 녹는점, 전기 전도성, 반응성 등의 성질이 변하며 주기가 바뀌면 성질의 변화가 비슷하게 반복된다.  족은 1족에서 18족까지 있다. 같은 족에 속한 원소들은 성질이 비슷하여 동족 원소라고 부른다. 1족은 알칼리족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금속으로 전기 전도성이 있으며 물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17족은 할로젠족이라고 하는데, 모두 ..

전이후 금속, post-transition metal

전이후 금속(post-transition metal, 轉移後金屬)  주기율표의 p-구역에 있는 금속 원소를 말한다. 전이 금속과 준금속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전기음성도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 전이 금속보다 크다. 전이 금속에 비해 녹는 점과 끓는 점이 낮고, 무르다. 전이후 금속에 속하는 원소는 다음과 같으며, 점선으로 표시한 원소들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여기 실린 7주기 원소들의 경우 아직 화학적 성질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전이후 금속의 성질과 비슷한 성질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post-transition metal The metallic elements in the periodic table located between the transition metals to their le..

동위원소, 방사성 동위원소, isotope, 질량이 다른 원소, 핵종(nuclide), 동위원소 이용

동위 원소 isotope 양성자와 전자의 수는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다른 원소 원자를 이루는 양성자와 전자의 수는 같지만, 중성자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질량수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소들을 동위 원소라고 한다. 동위 원소는 자연 상태에 극소량 존재하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화석의 연대를 구별하거나 방사선 연구에 사용한다. 동위원소同位元素 / isotope 원자의 양성자 수는 같으나 중성자 수가 달라 질량이 다른 원소들을 말한다. 특정 원자번호에 해당하는 원소의 원자는 딱 원자번호만큼의 양성자를 가지지만, 중성자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달라지는 중성자 수는 원자마다 다르다. 서로 다른 원자 간에, 중성자 수가 달라도 양성자 수만 같으면 원소명은 같다. 따라서 같은 원소라 하더라도 원자핵(nucleus)의 핵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