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술, 문화 Art, Culture/영화, 연극 Play, Film 73

와일드 번치, The Wild Bunch, 수정주의 서부극, 샘 페킨파

아이들이 장난삼아 전갈을 개미떼에게 먹이로 주고, 그것도 모자라 불까지 지르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군인으로 위장한 파이크 비숍(윌리엄 홀든 분) 일당은 텍사스 서부 변방의 철도 사무소의 은을 털러 오지만 이미 이 사실을 알고 있던 철도 임원은 예전 파이크의 동료였던 디크 손튼(로버트 라이언 분)과 그 휘하의 현상금 사냥꾼들을 매복시켜놓고 있었다. 치열한 총격전과 일당원들의 반수 이상을 잃는 끝에 파이크 일당은 은이 들어있을 것 같은 자루를 가지고 가까스로 도망치지만 그 안에는 쇠덩이만 가득했다.(...) 설상가상으로 손튼 패거리는 현상금을 노리고 계속 파이크 일행을 추격하고 있었고, 그들은 할 수 없이 멕시코로 도망친다. 한편, 멕시코는 독일의 도움을 받은 독재자와 민간 혁명군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샘 페킨파, Sam Peckinpah, Bloody Sam, 와일드 번치, 수정주의 서부극, 주니어 보너,게터웨이,관계의 종말,가르시아,킬러,철십자 훈장,콘보이,오스타맨

샘 페킨파, Sam Peckinpah 대표작 샘 페킨파의 본명은 데이비드 새뮤얼 페킨파. 별명은 ‘피흘리는 샘’ ‘폭력의 피카소’. 페킨파는 오우삼, 월터 힐, 쿠엔틴 타란티노의 영화 스승이며 현대영화에 처음으로 폭력을 주요 화두로 끌어들였다. 그의 대표작이자 수정주의 서부극의 원조격인 (1969)는 개봉 당시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선과 악의 개념이 없는 무법자 총잡이들이 무지막지한 총싸움을 벌일 때마다 화면에는 선혈이 낭자하고 사람들이 죽어가는 결정적인 순간에는 슬로 모션으로 화면이 천천히 움직인다. 이 폭력미학으로 페킨파는 어둡고 아름답고 격렬한 미국 서부개척시대의 비가를 읊조렸다. 페킨파는 25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났다. 49년 USC대학에서 연극으로 학위를 받고 돈 시겔 감독의 조감독으로 ..

스파게티 웨스턴,만주 웨스턴,세르조 레오네, ,엔니오 모리코네,황야의 무법자

스파게티 웨스턴(영어: Spaghetti Western) 또는 이탤리언 웨스턴(영어: Italian Western)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유행했던 서부 영화의 한 장르이다. 내용상 기존의 서부극과는 달리 선과 악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고 반영웅적인 주인공이 등장하며, 스토리 전개가 빠르다. 대사와 장면이 절제되고, 액션 장면이 구성 요소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리적 배경도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텍사스주 등 미국 서부를 무대로 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장면이 이탈리아나 스페인에서 촬영되었으며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도 촬영하였다. 인디언 부족도 등장하지 않는다. 원래는 이탈리아어로 녹음했고, 할리우드 영화에 비해 저예산으로 빠른 시간 내에 촬..

크리스토퍼 놀란,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인셉션,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메멘토, 인썸니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영국 런던 출신의 영화 감독이다. 동생 조너선 놀란과 함께 각본을 쓰기도 하는 각본가이자, 신카피의 영화 제작자이기도 하다.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인셉션》, 《인터스텔라》, 《덩케르크》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동생인 조너선 놀란은 각본가이며 아내인 에마 토머스는 SYNCOPY의 공동 설립자로 영화 제작자이다. 또한 이중국적으로 미국 국적도 있다. 상업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보한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행 (Following, 1998) 1998년에 만든 장편 영화 데뷔작. 토론토 영화제, 로테르담 영화제, 슬램댄스 영화제 등 국제 영화제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상당히 열악한 상황에서 제작한 작품인데 이 영화를 제작할 때 배우와 스태프들이 모두 다른 직업을 갖고 일하면서 ..

메멘토, Memento, 크리스토퍼 놀런, 기억상실, amnesia

Memento (2000)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영화로, 단기 기억 상실증에 걸린 남자의 복수극과 반전을 그린 미국의 범죄, 스릴러 영화다. 영국의 크리스토퍼 놀런이 감독 및 각본을 맡은 저예산 독립 영화로, '단기 기억 상실증'이란 소재와 충격적인 '반전' 등으로 유명하며, 비선형 및 역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복잡한 플롯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작품성으로 인정 받아 2016년 BBC에서 선정한 「21세기의 위대한 영화 25」에 선정되었다. 시간을 거스르고, 시작과 끝이 만나는 뫼비우스의 띠를 따라가라! 전직이 보험 수사관이었던 레너드에게 기억이란 없다. 자신의 아내가 강간 당하고 살해되던 날의 충격으로 기억을 10분 이상 지속시키지 못하는 단기 기억상실증 환자가 되었던 것이다. 그가 마지막으로 기억하고 ..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The Postman Always Rings Twice (1981),하드보일드

하드보일드 현실의 냉혹하고 비정한 일을 감상에 빠지지 않고 간결한 문체로 묘사하는 수법문학 장르 혹은 스타일. 영어로 hard-boiled. 비정파(非情派)라고 번역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느와르가 있다. 원래는 '계란이 완숙되는' 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이지만 '비정·냉혹'이라는 의미의 문학용어로 변했다. 사전에서는 자연주의적인, 또는 폭력적인 테마나 사건을 감정이 들어가지 않은 냉혹한 자세로 또는 도덕적 판단을 전면적으로 거부한 비개인적인 시점에서 묘사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쉽게 말해 비극적인 사건을 건조하고 진지한 분위기로 묘사하는 작품을 하드보일드라고 부른다. 자극적인 갈등, 감정묘사가 없다.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는 케인의 데뷔작으로 1934년에 발표된 후 큰 반향을 일으키며 공전의 히트..

택시 드라이버, Taxi Driver, 마틴 스콜세지, Martin Scorsese, 로버드 드니로, 조디 포스터

택시 드라이버 (Taxi Driver)는 마틴 스코세이지가 연출하고 폴 슈레이더가 각본을 맡은 1976년 영화이다. 영화는 베트남 전쟁이 끝난 직후의 뉴욕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카데미 작품상을 포함하여 총 4개부분의 아카데미상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며 1976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 종려상을 수상하였다. Storyline 베트남 참전 용사이자 해병대를 명예 제대한 트래비스 비클(로버트 드 니로 분)은 가족과도 멀어지고 친구도 없이 뉴욕 맨해튼에 혼자 살고 있다. 그는 심한 불면증 때문에 밤을 견디기 위한 대책으로 5월부터 택시 운전을 직업으로 삼게 되고, 일주일 내내 밤새도록 택시를 운전하다가 싸구려 포르노 극장에 들러 시간을 때우는 일상을 보낸다. 그는 뉴욕 밤거리의 추악함에 환멸을 느낀다. 우연히 거..

마틴 스콜세즈,Martin Charles Scorsese,분노의 주먹,비열한 거리,택시 드라이버,좋은 친구들,아이리시맨

대표작 , , , 비디오 출시작 위 네편, , , , , , 2007년 아카데미영화제 감독상, 미국감독협회(DGA) 올해의 감독상, 골든글로브영화제 감독상 2006년 NBR 감독상 2003년 골든글로브영화제 감독상 1998년 런던영화평론가협회 공로상 1995년 베니스영화제 감독상 1993년 전미비평가협회 감독상 1990년 LA영화평론가협회 감독상, 베니스영화제 은사자상, 뉴욕비평가협회 감독상 1986년 칸영화제 감독상 1976년 칸영화제 황금 종려상 미국 현대영화의 거장. 할리우드 스튜디오들 속에서 거의 유일하게 제목소리를 내온 작가주의 감독.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브라이언 드 팔마, 스티븐 스필버그, 조지 루카스 등과 더불어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 걸쳐 할리우드에 진출한 최초의 대학영화과 출신 ..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누벨바그,네 멋대로 해라,주말 Weekend,만사형통 Tout Va Bien

장 뤽 고다르는 현대 영화언어의 발전이라는 면에서 가장 큰 공로를 남긴 감독이다. ‘고다르 이전’과 ‘고다르 이후’라는 말이 생겨났을 만큼 고다르는 고전적 영화스타일과 현대적인 영화스타일을 가르는 경계에 서서 스스로 수많은 스타일 실험으로 영화의 미학적, 정치적 효과의 경계를 넓히는 데 가장 크게 공헌했다. 고다르는 소르본대학을 중퇴하고 파리 시네마테크 출신으로 독학으로 영화를 배웠고 시네마테크의 친구들인 프랑수아 트뤼포, 클로드 샤브롤 등과 함께 영화비평지 의 필자로 활동했다. 50년대 말 ‘누벨바그’(새로운 물결)라는 사조를 이끄는 감독들로 나선 고다르를 비롯한 이들 세대는 영화 역사상 최초로 영화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지식으로 무장하고 영화를 찍은 세대다. 누벨바그 세대 가운데 고다르는 제일 파격적..

찰리 채플린, Charles Chaplin, 키드,시티 라이트,위대한 독재자,이민선,파리의 여인,살인광 시대,라임 라이트

Charles Chaplin (1889–1977) 무성 코미디 영화를 하나의 가치 있는 예술로 승화시켰으며, 단지 깜빡이는 활동사진이 아니라 영화에 정서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최초의 예술가. 찰스 스펜서 채플린은 1889년 런던 뮤직홀의 삼류 배우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그가 한 살 때 이미 헤어졌으며, 그와 이복형 시드니는 배우였던 어머니 밑에서 자라게 된다. 채플린의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했고, 아버지의 죽음 이후 어머니는 연극무대에서 들어오는 수입으로 그와 형을 키웠으나 점차 인기가 하락하고 건강이 악화되자, 집안은 급속히 기울게 된다. 설상가상으로 어머니의 정신병 증세는 날로 심해져서 결국 그는 형과 함께 먹을 것을 구하러 닥치는 대로 일을 해야 했다. 그는 이미 5..

버스터 키튼, Buster Keaton, 장군 The General,우리의 환대 Our Hospitality,셜록 2세 Shelock, Jr,증기선의 빌 2세 Steamboat Bill, Jr,서부로 Go West

버스터 키턴은 채플린과 비견되는 미국 무성 코미디 시대를 이끈 창조적 스타이며 영화사의 거장이다. 그는 자신이 위대한 영화들을 만들었던 당시인 1920년대보다 오늘날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감독이다. 채플린처럼 키턴은 연극 가족들을 뒀고, 가족들의 보드빌 무대 위에서 도제기간을 거쳤다. 키턴이 채플린과 다른 점이 있다면 어린 시절과 가족의 삶이 덜 고통스럽고 더 평화로웠고, 채플린의 영화를 후에 어둡게 이끈 젊은 날의 암흑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키턴의 영화들은 더 유쾌하고 활동적이고 낙관적이며, 넉살좋은 곡예와 트릭으로 만들어졌다. 키턴의 코미디에서 가장 유명한 트레이드 마크는 ‘무표정 얼굴’인데 표면으로 코미디를 포착해낸 키턴의 재능을 알 수 있다. 키턴의 무감각하고 무표정한 얼굴, 작지만..

로스트 하이웨이, Lost Highway, 1997, 데이비드 린치

이 영화는 자신의 잘못에 대한 부정, 그리고 지우고 싶은 기억에 대한 왜곡, 동시에 지워지지 않는 기억에 대한 이야기다. 주인공인 프레드와 정비공 피트, 그리고 미스터리맨은 모두 동일 인물이다. 또한 알리스라는 인물 역시 프레드의 상상이 만들어낸 인물이라는 점에서 프레드 자신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프레드는 아내인 르네의 부정을 알고, 그녀와 딕 로렌, 그리고 딕의 부하인 남자를 모두 죽인다. 그런데 프레드는 이러한 자신의 살인의 기억을 왜곡하거나 부정한다. 자신이 아내인 르네를 죽였음에도 기억하지 못한다. 아니 의도적으로 기억하지 않으려 한다. (그의 집에 배달되는 테이프를 누가 보냈는지 모르는 것은 스스로가 자신의 기억을 부정하려는 행동이다.) 그리고 그 비디오테이프 속에는 자신의 살인 행각이 찍..

데이비드 린치, David Lynch, 로스트 하이웨이, Lost Highway, 블루 벨벳, Blue Velvet

데이비드 린치는 컬트 영화감독에서 주류 영화감독으로 부상한, 70년대에서 90년대에 이르는 미국영화의 한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감독이다. 린치의 장편영화 데뷔작 가 77년 가을 뉴욕의 시네마 빌리지 영화관에서 개봉됐을 때 첫날 관객수는 25명, 둘째날은 24명이었지만 81년까지 꾸준히 장기상영했고 급기야 심야극장의 인기 상영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를 만들 때까지만 해도 소수의 지지를 받던 린치는 (1982)이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면서 단박에 주류영화의 복판에 진입했다. 그리고 마침내 90년 린치가 연출한 텔레비전 시리즈 는 미국 전역에서 굉장히 성공했다. 평론가 짐 호버만이 “70년대에 대학생들이 심야극장에 가서 를 봤다면 90년대에는 텔레비전으로 토요일 저녁에 를 본다”고 평했던 대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