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 과학 Social Sciences/경제, 경영 Economy 34

MVP 의미, most valuable player, Minimum Viable Product,

MVP 의미 최우수 선수 (Most Valuable Player) 최소 분산 포트폴리오 (Minimum Variance Portfolio)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고객의 피드백을 받아 최소한의 기능(features)을 구현한 제품이다. 초기의 MVP는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비디오, 데모와 같이 단순한 표현으로 정의 most valuable player MVP is an abbreviation for the most valuable player. In sports, players are often awarded with the title of MVP for exemplary performance on and contributions to their teams d..

중상주의(重商主義), 중농주의(重農主義)

중상주의(重商主義) 중상주의(重商主義)는 세계 경제와 무역의 총량이 불변이라는 가정 아래 자본의 공급에 의해 국가가 번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제 이론이다. 역사적으로는 15세기에서 18세기까지 유럽의 국가들에서 채택되었던 국내 산업의 보호와 해외 식민지 건설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경제 정책들 역시 중상주의 또는 중상주의적 경제체제라 불린다. 중상주의를 경제 체제와는 별개의 것으로 파악하는 일부 학자도 있으나 대부분 중상주의를 초기 자본주의와 동일한 것으로 파악한다. 중상주의는 당시 국가의 상업적 이익이나 사회 안전과 같은 사안에 대해 매 시기에 제시된 다양한 의견의 집합체였다. 때문에 중상주의에는 통합적인 이론으로 단일화될 수 없는 다양한 주장들이 혼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후대에 나타난 고..

탈동조화(decoupling, 디커플링), 재동조화(recoupling, 리커플링)

'디커플링(Decoupling)'이란 말은 쉽게 말하면 동조화의 반대말입니다. 그래서 디커플링을 '비동조화' 혹은 '탈동조화'라고도 표현합니다. 그럼 동조화(coupling, synchronization, 同調化)란 어떤 뜻일까요? '서로 닮아간다'는 뜻입니다. '미국 증시가 재채기하면 한국 증시가 독감에 걸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국내 증시의 취약성을 지적한 문장인데 글로벌 증시가 동조화되고 있음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최근 증권 기사에 보니 '글로벌 증시가 동반폭락'이라는 제목을 읽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세계 증시가 동조화에 의해 연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을 기폭제로 해서 심각한 신용경색과 달러약세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이것이 미국내 기업실적 악화, 주택시장 침체, ..

행동경제학

행동경제학은 일반경제학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일반경제학이 설명할 수 없는 합리적이지 못하거나 공정하지 않은 선택 등과 같은 문제를 설명하려고 한다. 경제학은 합리적이고(rational), 계산적이며 이기적인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에 기반한 학문이다. 그러나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은 인간이 제한적으로 합리적이며 때론 감정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행동경제학은 인간이 엄청난 계산능력을 가지고 있고, 구조적인 실수도 하지 않는다는 기존 경제학에 인간적인 요소를 넣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적 인간의 선택이 항상 옳지는 않아 경제학은 1776년에 발간된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國富論, An Inquiry into the Na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