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조직론

파킨슨 법칙, 부하배증 법칙, 피터의 원리

Jobs 9 2023. 1. 15. 20:55
반응형

● 파킨슨 법칙 (Parkinson`s law)

파킨슨이 제시한 법칙으로 "조직에서의 관리자 수는 해야 할 업무량과 상관없이 증가한다."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당시 62척 이던 영국의 해군함은 전쟁이 끝난 후 3/1로 줄었고 병사의 수도 또한 30% 줄었습니다. 하지만 해군성의 공무원 수는 80% 더 늘어났으며, 제2차 세계대전의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 였습니다. 이것은 파킨슨이 주장하는 바처럼 승진을 위해 부하를 늘리려 하는 관리자수의 증가를 뒷받침 해주는 연구

  • 제1공리  부하 배증의 법칙
    공무원 A는 업무가 과중해지면 동료B를 보충받아 업무를 나누는 것 보다 보조 해줄 부하C를 보충받기를 원한다.
  • 제2공리  업무 배증의 법칙
     부하C를 보충받게 되면 과거에 없던 지시, 보고, 승인, 감독 등의 파생적 업무가 창조되어

본질적 업무의 증가와는 관련없는 업무의 배증
 
제1공리와 제2공리가 상호 연결되면서 악순환 현상. 

 

 피터의 원리 (The Peter Principle)

로렌스 피터가 책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관료적 서열구조인 조직 안에서는 모든 구성원들이 자신의 무능의 수준까지 승진한다." 

대부분 처음에는 유능하지만 성과를 바라고 승진을 하게 되면서 어느정도 수준까지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자신이 승진할 수 없는 상태인 무능력한 상태까지 도달

 

 


 Q 
 공무원 정원과 관련한 다음의 서술 중에서 옳은 것은? 


① 공무원 숫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상과 관련해 싸이몬(Simon)은 ‘공무원 팽창의 법칙’을 주장하였음 
② 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공무원 정원은 매번 일관되게 증가해왔음 
③ 정부 규모 팽창과 관련하여 ‘부하배증의 법칙’과 ‘업무배증의 법칙’은 각각 별개로 작용하며 서로 영향을 주지는 않음
④ 행정기구의 팽창과 더불어 공무원 숫자가 증가하는 현상은 우리나라에만 해당하는 독특한 것임
⑤ ‘부하 배증의 법칙’은 A라는 공무원이 과중한 업무에 허덕이게 될 때 자기의 동료 B를 보충받기보다는 자기를 보조해줄 부하 C를 보충받기를 원한다는 것임  

【해설】 정답 ⑤ 

①(틀림) 공무원 팽창의 법칙을 주장한 사람은 파킨슨(Parkinson)이다. 
②(틀림) 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를 거치면서 김대중 정부 초기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둔 신공공관리론적 정부개혁과 이명박 정부 초기 작은 정부주창 등으로 인해 공무원 정원이 매번 일관되게 증가한 것은 아니다. 
③(틀림) 부하배증의 법칙과 업무배증의 법칙은 상호 연결되면서 악순환 현상을 발생시킨다. 
④(틀림) 파킨슨 법칙은 정부조직뿐만 아니라 관료화되고 비대해진 오늘날의 대부분의 조직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⑤(옳음) 동료보다 부하를 배증하고자 하는 심리(권력추구적 성향)가 강하게 나타난다. 
<Parkinson의 법칙(1955)-상승하는 피라미드의 법칙(the law of rising pyramid)> 
⑴의의:영국의 해군성에 대한 실증 연구에 바탕을 둔 이론으로서, 공무원의 수는 (본질적인) 업무량의 증가와는 관계없이 필연적으로 증가한다(연평균 5.75% 증가)는 것이다. 
①부하배증 법칙:승진을 위해 동료보다 부하를 배증하고자 하는 심리(권력추구적 성향) 
②업무배증 법칙:신설된 직위에 업무(파생적 업무)가 의도적으로 창출되는 현상⇨①과 ②의 악순환 현상 발생 
*파킨슨의 법칙은 정부조직뿐만 아니라 관료화되고 비대해진 오늘날의 대부분의 조직에서 나타나는 현상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