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존주의의 전개
1) 실존주의는 인간의 존재와 주체적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철학으로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유럽에서 대두된 철학이다.
2) 실존주의는 현상학에 근거하여 19세기의 합리론적 관념론과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된 것으로 하이데거, 키에르코게르, 야스퍼스, 샤르트르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3) 실존주의 교육철학은 실존철학에 근거를 둔 것으로 볼노브(Bollnow)와 부버(Buber)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2. 실존철학의 기본입장
1) 객관적인 불변의 본질 부정
① 전통적인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질이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것으로 주어져 있다고 보았다.
② 그러나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어떤 불변의 본질을 가지고 세상에 태어난다는 것을 부정한다.
2)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닌 존재 : 인간은 아무런 본질적인 것이 없는 무(無)의 상태로 세상에 던져졌을 뿐이며, 자신의 자유의지에 의해 본질을 창조해 가는 존재이다.
3)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 : 인간이 자유의지에 의해 스스로의 본질을 완성시켜 간다는 것은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의미가 된다.
4) 인간의 선택과 책임 중시 : 인간이 자신의 자유의사에 의해 자신의 행동과 운명을 선택할 수 있는 존재라고 한다면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5) 개별적 자아가 진리의 주체 : 모든 인식에 있어 무엇이 자기에게 진리인가를 궁극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개별적 자아이다.
6) 실존주의 교육의 목적 : 개인이 자유의사에 따른 선택과 판단에 의하여 자신의 생활과 운명을 결정짓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하는, ‘자아 실현적 인간의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3. 부버(Martin Buber)의 이론
1) 교육의 목적 : 부버는 독자적이고 자유로운 인격의 형성과 성장을 돕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보았다.
2) 만남을 통한 교육
① 교육이 자유로운 인격의 형성을 돕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우정형식의 대화, 즉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② 만남은 인격과 인격의 만남인 대화여야 하며, 동시에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 상황이어야 한다.
③ 그래서 ‘나-너’의 만의 관계는 인격적 대화의 관계이며, 전인적인 관계이다.
4. 볼노브(Bollnow)의 이론
1) 인간의 점진적 성장 부정 :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이 본질(천부적 능력)을 타고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이의 계발을 통한 점진적인 성장을 부정한다.
2) 비연속적인 성장 : 인간은 ‘위기, 각성, 충고, 상담, 만남, 모험, 좌절’ 등과 같은 비연속적인 요소에 의해 비약적으로 성장(도약)할 수 있다.
5. 실존주의 교육이론의 특징
1) 전인적 인격교육 중시 :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여 행동하고 이에 책임을 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전인적인 인격교육이 필요하다.
2) 만남의 강조 :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있는 교육현장은 인격적인 만남의 장이어야 한다.
3) 학생의 개성과 주체성 존중 : 획일화, 집단화된 현대의 학교교육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개성과 주체성을 존중해야 한다.
4) 교사의 역할 : 교사는 학생의 심적 갈등과 어려움을 같이 공감하고 그들을 도울 수 있는 정열을 지녀야 한다.
5) 어두운 면도 보여주는 진솔한 교육 : 죽음, 좌절, 공포, 갈등과 같은 인간 삶의 어두운 측면 또한 보여 줘서 적극적인 삶의 의미를 느끼도록 한다.
6. 실존주의 교육이론의 한계
: 실존주의는 모호하고 암시적인 특성 때문에 실천적 교육이론으로서 교육에 구체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