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행정학 용어

목적론(目的論, teleology)

Jobs 9 2020. 10. 9. 13:45
반응형

telos라는 말은 목적(end)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물리학, 생물학 및 행동의 설명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은 목적(目的 purpose) 또는 목표(目標 goal)이다(Rosenberg 1988: 54). 즉, 모든 자연현상 및 인간현상은 행동에 의해 충족되는 목적(telos)에 의해서 설명을 하려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설명을 목적론적 설명이라고 한다.
목적론이 다루는 것은 다음과 같이 연결된 철학적 쟁점에 대한 질문의 영역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선거에서 승리를 얻고자 선거전을 벌이는 것과 같은 행동이 목적지향적(goal-directed) 또는 유목적적(purposive)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연쇄적으로 제기된다(Beckner 1967: 88). 첫째, 어떤 기준에 의해서 유목적적 활동(purposive activity)을 확인할 수 있는가? 둘째, 유목적적 활동을 보여주는 시스템의 본질은 무엇인가? 셋째, 유목적적 활동의 본질은 비목적적 활동(nonpurposive activity)을 설명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특별한 기술(記述)과 설명(說明)의 개념이나 유형을 사용하게 만드는 것인가? 이제 인간의 신장(腎臟)이 배설(排泄)작용을 하는 것과 같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나 대상이 있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위의 질문들에 이어서 제기된다(Beckner 1967: 88). 넷째, 어떤 기준에 의해서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가? 다섯째, 기능적 활동을 보여주는 시스템의 본질은 무엇인가? 여섯째, 기능의 기술(記述)은 분석(分析)의 특별한 개념이나 유형을 필요로 하는 것인가? 이 여섯 가지의 질문은 목적과 기능에 대해 주로 행해지는 것이지만, 목적론에서 구분되어 행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때로 기능을 행하지 않는 유목적적 활동이 있을 수도 있고, 목적이 없는 기능적 활동이 있음을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물론 목적과 기능간에는 긴밀한 연결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곱째의 질문은 기능의 귀속(歸屬 ascription)과 목적의 귀속간의 관계는 무엇인가가 된다(Beckner 1967: 89).

 

이론적 논의
목적이나 기능에 관한 준거를 가진 설명문체를 광의의 목적론적인 것으로 간주하고(Rudner 1966: 86), 전통적인 목적론적 설명의 대표적인 예들을 들어 보자. 물체가 낙하(落下)하는 것은 물체가 자신의 자연적인 장소(natural place)를 찾기 위함이고, 새들이 철따라 이주하는 것은 겨울을 나기 위한 것이며,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는 것은 그 사람들의 목적을 충족하기 때문이다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식의 설명에 있어서 가장 곤란한 점은 기존 또는 과거의 상태를 기후(己後) 또는 미래의 상태를 가지고 설명한다는 데에 있다(Rosenberg 1988: 54). 철새들이 왜 이주하는가는 철새들이 이주한 곳에서 사는 것을 보고 이주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명은 인과적(因果的 causal)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미래가 과거를 일어나게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Isaac Newton 이전에는 목적론적 설명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우주의 지능적 창조자에게 그 이유를 호소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겨울철에 새가 남쪽으로 날아가는 이유는 새들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신이 설계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것은 새가 남쪽으로 날아가는 이유가 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신의 의지(意志 Will)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는 차원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심장 박동(搏動)의 기능 또는 목적이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William Harvey의 발견은 경천동지(驚天動地)할 일이었음에 틀림없다. 이러한 점에서 자연과학의 역사는 이러한 목적론적 설명의 범위를 축소시켜 온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Rosenberg 1988: 54). 이러한 비목적론적 설명(non-teleological explanation)의 특징은 기계론적(mechanistic)이고 환원적(reductionistic)인 것으로 요약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서 이와 같은 비목적론적 설명의 한계는 인간행동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뿐만이 아니라 열역학의 등장으로 인해 그 타당성이 위축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사회현상의 설명에 있어서 인과론적인 설명은 그 의미가 적거나 없으며, 해석학적인 설명이 보다 유용하고 타당하다는 주장이 등장하게 되었다(Taylor 1971). 그렇다면 현상이나 시스템을 바라보는 입장은 대별하여 시스템의 성찰적 또는 사적인 측면을 가리키는 규범적-목적론적(normative-teleological) 양식과 시스템의 물질적이고 기계적인 측면을 가리키는 실증적-기계론적(positive-mechanistic) 양식이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Mattessich 1978: 322). 또는 원인(cause)에 집착하는 실증주의적 설명양식과 이유(reason)을 고려해야 하는 목적론적 설명양식이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