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응용 과학 Applied Science/건강, 의료 Health 252

패혈증, sepsis, 피[血]가 썩는[敗] 병[症], 미생물 감염, 균혈증(Bacteriamia, 패혈성 쇼크

패혈증(敗血症, sepsis) 인체가 세균 및 기타 미생물에 감염되어 이들이 생산한 독소에 의해 중독 증세를 나타내거나, 전신성 염증 반응, 심각한 장기 손상 및 합병증을 보이는 증후군을 이른다. 말 그대로 피[血]가 썩는[敗] 병[症]으로, 상처, 호흡기, 소화기관 등을 통해 침투한 혈액 내 병원체가 숙주의 면역체계를 뚫고 번식하는 데 성공한 상태이다. 즉 몸이 병원체에게 점령당한 것. 흔히 '패'혈증이 아닌 '폐'혈증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특히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폐렴이 심해지면 패혈증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패'혈증이 아니라 '폐'혈증으로 오인하기 쉽고, 뉴스기사는 물론, 법원의 판례에서마저 '폐'혈증이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이다.(대법원 1982. 10. 12. 선고 81도26..

지질 과산화, 과산화지질, 자유 라디칼, lipid peroxidation

지질 과산화脂質過酸化, lipid peroxidation  지질의 산화적 분해의 연쇄 반응이다. 지질 과산화는 자유 라디칼이 세포막의 지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세포를 손상시키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자유 라디칼 연쇄 반응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된다. 이것은 특히 반응성 수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메틸렌 가교(-CH2-) 사이에 여러 이중 결합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중불포화 지방산에 가장 자주 영향을 미친다. 과산화지질 피부에 유해한 대표적 물질로 불포화지방산이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되어 생긴다. 이것이 증가하면 피부의 섬유가 취약해져 주름살, 색소침착 등의 피부노화가 발생한다. 피부는 자외선을 비롯한 외기의 영향을 계속 받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신진대사가 점차 쇠퇴하기 때문에 과산화지질의 대사가 일어나지 못..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우울증, 활성 산소, 산화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우울증과 연관" 미국 연구진,정신질환자 뇌조직 분석… "상당수 '높은 충격 결실' 발견"  미토콘드리아의 돌연변이가 우울증과 연관돼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가 먹는 음식을 세포가 기능하는 데 필요한 화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공장이다. 각 세포는 원활한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다. 만약 수치가 줄어들거나 복잡한 신진대사 경로를 방해받으면 에너지 부족 때문에 세포들은 죽을 수도 있다. 미토콘드리아 안에 있는 유전자와 세포의 핵 안에 있는 일부 유전자들은 동력실(Power house)들이 계속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전적 위치에서의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유전학에서 염색체의 유전성 물질을..

뇌전증, Epilepsy, 간질, 간질발작, 간질병, 간질증후군, 뇌 신경세포 일시적 이상 과도한 흥분 상태

뇌전증(Epilepsy) 증상온몸이 떨림, 손떨림, 뇌전증 발작 , 의식 저하, 눈꺼풀의 떨림, 경련관련질환뇌종양, 양성 뇌종양, 뇌 동정맥 기형, 뇌졸중, 저혈당증, 발작, 뇌경색, 외상성 경막하 출혈, 선천성 기형, 저칼슘혈증진료과신경과, 신경외과동의어epilepticseizure,epilepticsyndrome,간질발작,간질병,간질증후군,간질뇌전증(간질)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과 같은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뇌 질환을 의미합니다. 대뇌에서는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들이 미세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습니다. 이러한 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잘못 방출되면 발..

강박장애, 강박증, 강박성의 진화, 소극적 생존 전략, 고통 회피 전략, 건강한 강박, 강박성 성격장애, 확인 강박증

강박장애 강박증 強迫障礙,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신경증의 일종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한 사고나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상태를 말한다.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한다.   강박성 성격장애와 다른점강박성 성격장애(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와는 다르다. 강박장애는 자기 외부에서 떠오르는 강박적인 사고 때문에 환자 본인이 불편감과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이고, 강박성 성격장애는 그 사람의 성격이 매우 빡빡해서 환자의 주변인들에게 피해를 끼친다.    유병강박장애는 의외로 흔한 병이다. 보통 50명 중 1명이 앓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경상국립대 김명옥 교수,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선정,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정, 70억 원 투입

경상국립대 김명옥 교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정 -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에 선정돼 - 5년간 국비 60억, 경상국립대 4억, 기업 6억 등 총 70억 원 투입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는 생명과학부/응용생명과학부 김명옥(신경생물학실험실) 교수가 주도하는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연구단’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가 선정·지원하는 ‘2024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 가운데 80%를 차지하는 중요한 난치성 질환 가운데 하나이며,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급격한 증가 추세로 사회적·국가적·가정적으로 중요성에 비추어 뚜렷한 조기진단과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기진단이 ..

동화작용 저항성, 가속노화, anabolic resistance, 동화작용(anabolism), 합성대사(合成代謝), 생합성, ATP, 동화 호르몬, 동화 스테로이드, 인슐린

동화작용 저항성, anabolic resistance 늙지 않는 근육을 가진 시니어들이 자주 등장하고 각광받는 것을 볼 수 있다. 80세 몸짱 임종소씨와 70세 몸짱 강현숙씨와 같은 분들이 본인의 근육량을 과시할떄 박수를 치지 않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의학 채널과 의료진들도 ”근감소증“ 예방과 근육의 중요성을 익히 알려준다. 또한 ‘근육을 재태크한다’라는 말을 줄인 ‘근테크"라는 신조어가 생긴 것처럼, 롱텀을 생각해서 근육을 키워야겠다는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졌다.근감소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으로 단백질 섭취를 늘리고 근력운동을 권장한다. 하지만 과연 나이 들어도 이것이 가능할까? 20-30대에 닭가슴살을 먹고 헬스장에서 무거운 것을 들으면 근육이 쉽게 자라지만, 장년기부터는 아무리 헬스장에..

햄스트링, 넓적다리뒤근육, hamstring, ham(무릎 뒤), string(힘줄),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m.), 반막근(semimembranosus m.), 반힘줄근(semitendinosus m.)

햄스트링 넓적다리뒤근육, hamstring햄스트링은 넓적다리의 뒤칸(posterior compartment of thigh)에 분포하는 세 개의 근육,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m.), 반막근(semimembranosus m.), 반힘줄근(semitendinosus m.)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허벅지를 펴고 무릎을 굽히는 역할을 한다. 뭉치거나 부상을 당하기 쉽고 뭉쳤을 때 요통이 일어나기 쉽다.  이름의 의미햄스트링이란 단어는 ham(무릎 뒤)[과 string(힘줄)의 두 단어가 합성된 단어다. 17세기 중엽부터는 '무릎 뒤쪽의 힘줄'이라는 뜻과 함께 '햄스트링을 끊어 다리를 불구로 만든다'라는 동사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햄스트링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세 근육들에는 공통점들이 ..

저속노화식단, 가속 노화 음식

저속노화식단육류 대신 렌틸콩 등으로 대체 혈당 안 올려 최대 10년 수명↑ 단순당류, 정제곡물, 탄수화물을 지나치게 먹으면 혈당수치를 급격히 올려 노화를 가속한다. 또 인슐린저항성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당뇨, 전신염증, 혈관손상 등 합병증이 발생한다. 하지만 식단만 바꿔도 노화속도를 10년은 더 늦출 수 있다. 저속노화식단은 식습관을 고쳐 노화속도를 늦추고 수명을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저속노화식단은 ▲브레인포그 ▲우울감 ▲집중력 저하 ▲건망증 ▲부기 ▲염증 등을 개선한다. 저속노화식단은 단순당류, 정제곡물, 육류 대신 통곡물, 콩류, 녹색채소, 견과류 등으로 식단을 대체하는 것이다. 특히 식물성단백질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을 거의 올리지 않는 렌틸콩이 각광받는다. 서울..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노르아드레날린, 교감신경계 자극,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은 교감신경의 말단과 부신 속질(adrenal medulla)의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이다. 교감신경 말단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가 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우세하고, 부신 속질에서는 에피네프린의 분비가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보다 약 4:1 정도로 우세하다. 화학식은 C8H11NO3이다.  교감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교감신경계를 자극하므로 이것이 분비되면 집중력 증가, 혈류량 증가, 대사활동 증가 등의 효과노르에피네프린은 에피네프린에 비해 전신의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크게 상승시키지만 에너지 대사나 심장에 대한 작용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조울증, 조증, 우울증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증상높아진 자존심,  말을 많이 함,  망상,  우울,  사고의 비약관련질환우울증,  기분부전증진료과정신건강의학과, 소아정신건강의학과동의어조울병, 조울증 양극성 장애(조울증)는 조증 삽화와 우울증 삽화를 보이는 질환으로, 기분 장애의 일종입니다. 삽화는 증상이 계속 지속되지 않고, 일정 기간 나타나고 호전되기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증이란 평소와 달리 기분이 매우 좋고 고양된 상태를 말합니다. 환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처음 보면 매우 즐겁고, 자신감이 넘치는 상태로 보입니다. 그러나 환자를 잘 아는 사람들이 볼 때 이러한 기분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단순한 기분 기복과 조울증을 구별하는 점..

십이지장(十二指腸), 샘창자, Duodenum, 길이 손가락 12개, 이자, 쓸개, 3대 영양소 모두 소화

샘창자, Duodenum, 십이지장(十二指腸)소장의 앞부분 이자에서 생성된 이자액, 십이지장 표면에서 나오는 장액, 간에서 생성된 쓸개즙으로 3대 영양소 모두 소화가 이루어진다. 십이지장은 길이가 손가락 12개 두께정도 된다고 붙여진 이름이지만, 사실은 그것보다 조금 더 길다. 샘창자는 위를 지나면 나오는 작은창자의 첫번째 부분이다. 전체 길이는 25~30cm 정도로 작은창자 뒤쪽의 빈창자(jejunum)나 돌창자(ileum)보다 훨씬 짧지만 지름은 가장 크다. 시작 지점 끝부분을 제외하면 뒤배벽에 고정되어 있어 후복막(retroperitoneal) 장기로 분류된다. 구조 샘창자를 주행하는 방향에 따라 위부분(superior part), 내림부분(descending part), 아래부분(inferior ..

뇌, 칼로리 소비, 뇌 체중 2%, 혈액 산소 20% 사용, 뇌 세포 145억 개

뇌는 체중의 약 2%만을 차지하지만, 심박출량 (심장에서 한번 박동 시 분출되는 혈액의 양)의 15~20%를 받으며, 체내 산소공급의 20% 이상을 소비   뇌는 인체를 지배하는 중추 센터이다. 약 145억 개라고 일컬어지는 뇌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산소가 필요하다. 활동 시와 정지 시에 산소 소비량에 큰 차이가 있는 근육과는 달라, 뇌는 다량의 산소를 상시 필요로 한다     뇌, 칼로리 소비, 뇌 체중 2%, 혈액 산소 20% 사용, 뇌 세포 145억 개 밥 한 공기는 보통 열다섯 숟가락 분량이다. 물론 밥그릇 크기나 숟가락에 얼마만큼의 양을 담느냐에 따라 숟가락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편의상 열다섯 숟가락의 밥을 먹는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세 숟가락 정도에 해당하는 열량, ..

알코올 금단 증상, 알코올 중독, 환각, 환청, 진전섬망(震顫譫妄), 델리리움 트레멘스(delirium tremens, DTs), 알코올 진전섬망

진전섬망(震顫譫妄), 델리리움 트레멘스(delirium tremens, DTs), 알코올진전섬망 일반적으로 알코올 금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섬망 상태이다. 이 질병이 발생하면 3일을 금단 증상을 보이며 2~3일 지속된다. 또, 다른 사람들이 보거나 듣지 않은 것을 듣거나 보는 증세를 보일 수 있다. 육체적으로는 미진, 전율, 불규칙한 심박, 발한을 보일 수 있다. 간혹 열중증, 발작이 심하면 죽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알코올은 가장 위험한 금단 증상을 일으키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진전섬망 (Delirium tremens)증상  - 혼란, 다른사람이 보거나 듣지 못하는 것을 듣는 것, 흔들림, 떨림, 불안정한 심박, 발한 합병증  - 고열, 발작 개시  - 급성 기간  - 2–3 일 원인  - 알코..

식물인간, 뇌사, 차이, Vegetative state, brain death, 뇌간, 장기이식

죽음 생명체의 삶이 끝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생명체의 모든 기능의 영구적인 정지로 말미암아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것이다.  기준과 판단상술한 '생명체의 모든 기능의 영구적인 정지'라는 정의에는 애매한 점이 있다. 기능이 정지했더라도 종종 회복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것이 아니라 영구히 회복되지 않는 상태인 것은 어느 시점부터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과거에는 이 판정이 엄밀하지 못했기 때문에 죽었다고 생각하고 장례를 치렀어도 사실은 죽은 게 아닌 경우도 있었다. 과거에는 심장이 정지하는 심장마비가 오면 살릴 방법이 없었으므로 심장사(心臟死)가 되돌릴 수 없는 죽음의 기준이었다. 따라서 목이나 가슴의 맥을 짚어 본 뒤 박동이 느껴지지 않으면 죽은 것으로 판단했다.  이후..

내성, 耐性, Tolerance, 저항성(resistance), 항생제

내성, 耐性, Tolerance 어려움에 견디는 성질. 또는 병원균이나 체세포 따위가 어떤 약품에 대하여 나타내는 저항성의 한 가지로, 질병 치료를 위해 약물을 투약했을 때 병원체(박테리아, 바이러스 등)나 질병(암 등)이 그 약물을 이겨내고 살아남는 것을 의미.耐 견딜 내 뜻을 나타내는 寸(마디 촌)과 소리를 나타내는 而(말이을 이)가 합쳐진 형성자. 다만 而 자도 뜻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이 글자가 원래 수염을 본떠 만든 글자이기 때문이다. 耐는 원래 구레나룻을 깎는 형벌을 나타내는 글자였으나, 이후에 뜻이 바뀌어 '견디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개념 구별내성이란 용어는 다음의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각자가 많이 다른 개념이지만, 전부 내성이라 표현하는 이들이 많으니 확실히 구별저항성(r..

멜라토닌, 코르티솔, 밤 10시, 생체시계, 일주율, 월주율, 일년율, 항상성, 생체시계 교란, 식물 미모사

생체시계, 生體時計, biological clock 생명체가 갖는 일주율, 월주율, 일년율 등의 주기성을 갖는 생체 시계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타이머(timer) 같은 역할 즉 특정시간으로부터 얼마간의 시간이 흘렀는지를 체크하는 타이머 기능도 포함한다. 유전자 생명체의 생체시계와 관련된 단백질로는 TIM , CLK, PER 등의 유전자들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항상성 항상성(恒常性,constancy)은 생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생명 현상이 제대로 일어날 수 있도록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또는 그런 현상을 가리킨다. 생명체는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조건이 바뀌어도 친숙한 대상은 항상 같게 지각하려는 항상성을 갖고있다. 물체의 크기ㆍ모양ㆍ빛깔, 또는 소리를 들은 거리나 빛의 명암 따위..

아데노신, adenosine, 아데노신 쌓이면 잠, 수면 압력, 카페인, 아데노신 삼인산(ATP), 이인산(ADP),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

멜라토닌 분비,  아데노신 쌓이면 잠. 수면의 원리  우리 몸에는 언제 잠을 자야 하는지, 언제 깨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다. 멜라토닌은 척추동물의 경우 뇌 속에 위치한 솔방울샘(pineal gland)에서 분비된다. 사람의 경우 멜라토닌은 생후 2~3개월부터 분비하기 시작해 점차 증가한다. 다만 영아기에는 충분한 멜라토닌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자라는 부분은 모유 수유를 통해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불면증을 앓는 환자의 70%가 50대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가 노화됨에 따라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대한의학협회의 조사에 따르며 50대엔 멜라토닌 분비량이 청소년기의 절반에 불과하며, 65세 이상이 되면 3분의 1로 감소하..

글림프 시스템, 뇌청소, 수면 질, glymphatic system, glymphatic clearance pathway

잠을 자면서 뇌의 노폐물을 처리하는 뇌청소 글림프 시스템 복잡하고 많은 일을 처리하는 인간의 뇌가 지치지 않고 지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은 뇌 청소 시스템인 바로 “글림프 시스템”이다. 글림프 시스템, 뇌청소, glymphatic system, 각성 중인 뇌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찌꺼기를 배출한다. 잠을 잘 때 뇌를 순환하는 물(뇌척수액)이 뇌세포 사이사이로 들어가 이 찌꺼기를 씻어낸다. 이를 ‘글림프 시스템’(Glymphatic System)이라 한다.글림프(glymph)는 뇌내 교세포(glia)와 림프(lymph)의 합성어다. 동맥과 이를 둘러싼 교세포 사이의 공간을 흐르는 뇌척수액이 뇌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해 쌓여있는 노폐물을 쓸어내고, 정맥과 이를 둘러싼 교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노폐물이 들..

뉴런, 시냅스, Neuron, Synapse, 미엘린, 수초(Myelin), 다발경화증

I. 뉴런의 개요뉴런은 신경계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신경세포의 일종입니다. 뉴런은 신경말단에서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를 처리하고,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II. 뉴런의 구조전형적인 뉴런의 구조뉴런은 세포체, 축삭, 수상돌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 세포체(cell body)세포체는 뉴런의 핵과 다른 세포 구성 요소들이 모여 있는 부분입니다. 뉴런의 대부분의 생물학적 기능은 세포체에서 이루어집니다.B. 축삭(axon)축삭은 뉴런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길이 긴 부분입니다. 축삭은 뉴런의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신경전달물질인 뉴로트랜스미터(neurotransmitter)를 분비하여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합니다.C. 수상돌기(dendrite)수상돌기는 뉴런에서 신호를 받..

시상하부, 체온조절 중추 시상하부, 신체 에어컨, 시상하부 호르몬

체온조절의 중추는 시상하부신체 에어컨, 시상하부 더위를 느끼는 것은 뇌의 아래쪽에 위치한 시상하부 때문이다. 시상하부는 뇌 전체 부피의 300분의 1정도로 콩 하나의 크기에 불과하지만 자율신경계의 중추가 모여있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부위이다. 시상하부는 감정을 조절하고 음식의 섭취량을 결정하며 뇌하수체의 호르몬 분비에 관여하 는 등 자율신경계의 활동에 빠져서는 안 되는 기관으로 특히 우리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 신체 온도계다. 사람은 변온동물인 파충류와는 달리 체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동물이다. 따라서 정상적이라면 항상 섭씨 36.5도를 유지한다. 이 체온의 근원은 세포에 있다. 세포가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섭취해 대사를 진행하면서 활성화되는 것이 ‘UCP(Uncoupling Protein)’이다..

체온 상승, 운동 능력 하락, 여름철 운동능력 감소 이유, 말초혈관 확장, 근육 피 감소, 젖산 축적, 심장 피 감소, 심박수 증가

체온 상승, 운동 능력 하락 여름철에는 운동능력도 쉽게 떨어지고 지치기 쉽게 되는데, 이는 운동 시 근육으로 보내져야 할 혈액이 체온조절을 하기 위해 피부로의 혈액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땀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이 많이 배출 되어 혈액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혈도 감소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심장에서 뿜어내는 혈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인체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박수가 증가되어 더 빠르고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것    여름철 운동능력 감소 이유  우리 인간은 항온동물입니다. 이는 체내의 온도가 일생 동안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말합니다.체온의 변화는 대부분 1°C 이내의 범위에서 이루어 집니다.하지만 장시간의 힘든 강도의 운동이나 더운 여름철 운동은 체온을 정상범위(..

엠폭스, MPOX,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痘 역질 두, 천연두, 증상, 변이, 예방 및 치료

엠폭스, MPOX천연두와 우두(牛痘) 등이 포함된 오르토폭스바이러스(Orthopoxvirus) 속의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MPXV)가 일으키는 희귀 인수공통전염병 본래 '원숭이 두창'을 가리키는 'Monkeypox'가 정식 명칭이었고 'MPOX' 쪽은 약어였으나, 2022년 11월경 세계보건기구에서 '특정 문화 및 지역과 관련하여, 감염자에 대한 차별과 낙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정치적 올바름)'하기 위해 정식 명칭을 'MPOX'로 변경하였다. 이에 같은 해 12월 14일 질병관리청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기를 '엠폭스'로 변경할 것을 관계기관에 권고하였다. 다만, 원인바이러스의 이름은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가 유지된다.   두창 바이러스 천연두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

인체 화학적 구성, 인체 구성 원소, 수소(63%), 산소(26%), 탄소(9%), 질소(1%), 원자 개수 가장 많은 원소 수소, 무게는 산소, 인간은 별의 먼지

우리 몸에 가장 많은 원소‘인간은 별의 먼지’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우리 몸을 이루는 원소들이 우주의 별들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며 흩뿌린 먼지로부터 왔음을 강조한 말이죠. 사람의 몸에는 약 60가지 원소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중 가장 많은 원소는 무엇일까요?우리 몸의 99.5%를 차지하는 6가지 원소우리 몸속 60여 가지의 원소는 각각 다른 비율로 존재합니다. 어떤 원소의 비율이 특히 높은지에 대한 답은 우리가 평소 섭취하는 음식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가장 많이 섭취하며 사람의 몸에서도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물질은 물(H2O)입니다. 따라서 수소(H)와 산소(O)가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개수를 차지하고 있는 원소인 셈입니다. 그 다..

단기 수면법, 4시간 30분 숙면법, 4시간 반, 90분 배수, 깊은 수면(논렘 수면), 멜라토닌 분비, 햇빛 30분, 숙면 방법, 수면 시간

단기 수면법 1993년 수면학으로 유명한 취리히 대학교의 보벨리 교수는 잠을 줄이면서도 건강을 해치지 않는 효과적인 ‘단기 수면법’을 발표단기 수면법은 평일 4일 동안은 매일 4시간 반씩 자고, 나머지 3일은 8시간씩 자는 방법으로, 하루만 보통 때처럼 8시간을 자도 그 부족분이 회복된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단기 수면법을 익히기 위해서는 먼저 매일 수면시간의 변화를 줘야 한다. 4일 동안 매일 4시간만 자면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논렘 수면(Non-Rapid Eye Movement Sleep, NREM-sleep, 비급속 안구운동 수면, 깊은 수면)은 유지되는 반면,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휴식과 관련 있는 렘수면(Rapid Eye Movement Sleep, REM-sleep, 급속 ..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GLP-1 비만치료제, Gloucagon-like peptide-1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GLP-1  1. 작용기전 GLP-1(Gloucagon-like peptide-1,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은 음식 섭취 시 위장관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으로, 포도당 농도에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합니다. GLP-1 수용체 효능제는 GLP-1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GLP-1 수용체에 결합하여 GLP-1의 작용을 증가시킵니다. 결과적으로 혈당 의존적 인슐린을 분비하고, 과다한 글루카곤의 분비는 억제합니다.  2. 대표적인 약제 속효성 약제인 엑세나타이드(exenatide)와 지속성인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둘라글루타이드(dulaglutide),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속효성..

심장 뛰는 원리, 심장 박동 원리, 흥분성, 자율박동세포, 심장수축세포, autorhythmic cell, pacemaker cell, cardiomyocyte

심장(心臟, heart), 염통 대부분의 동물에서 순환계의 혈관을 통해 혈액을 순환시키는 근육 기관내보내진 혈액은 폐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대사폐물을 운반하면서, 산소와 영양분를 몸에 공급한다. 인간의 심장은 거의 주먹 크기이며, 흉부의 종격 안, 폐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정확히는 가슴 한가운데 흉골을 기준으로 왼쪽에 2/3, 오른쪽으로 1/3이 위치한다. 심장은 인체에 퍼져 있는 총 80,000km(성인 기준) 이상 되는 혈관으로, 날마다 쉬지 않고 혈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물질대사를 비롯하여 인체가 살아있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심장은 관상 동맥이라는 두 개의 작은 동맥들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으며 내막, 중막,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과 다른 포유류, 조류에서 심장은 네 개의 부분으로..

ALDH2,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Aldehyde Dehydrogenase2, 아세트알데하이드 해독

ALDH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영어: aldehyde dehydrogenase, ALDH) (EC 1.2.1.3)는 알데하이드의 산화를 촉매하는 효소군(群)이다.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는 알데하이드(R–C(=O)–H)를 카복실산(R–C(=O)–O–H)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산소는 물 분자에서 나온다. 현재까지 19가지의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유전자가 사람의 유전체 내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는 외인성 및 내인성 알데하이드의 해독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참여한다.   ALDH2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2, ALDH2ALDH2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소  알코올의 代謝에는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바꾸는 ..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포도당, 당뇨병, 고혈압, 지방간, 심근경색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포도당, 당뇨병, 고혈압, 지방간, 심근경색 인슐린(영어: insulin, 영어로 island란 의미를 갖는 라틴어 insula에서 유래됨)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변환시켜 우리 몸의 물질대사 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 중 하나이다. 이자의 랑게르한스섬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며,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인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혈당량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인슐린이 분비되며, 혈액내의 포도당을 세포 내로 유입해 다시 다당류(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하는 작용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인슐린의 분비에 이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당뇨병에 걸린다. 또한 인슐린은 생화학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분자이기도 하다. 맨 처음 1차 구조식이 발견된 단백질이다. 19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