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우에서
이용악
바람이 거센 밤이면
몇 번이고 꺼지는 네모난 장명등을
궤짝 밟고 서서 몇 번이고 새로 밝힐 때
누나는
별 많은 밤이 되어 무섭다고 했다.
국숫집 찾어가는 다리 우에서
문득 그리워지는
누나도 나도 어려선 국숫집 아히
단오도 설도 아닌 풀벌레 우는 가을철
단 하루
아버지의 제삿날만 일을 쉬고
어른처럼 곡을 했다.
개관
- 주제 : 남매의 고단한 삶과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 성격 : 고백적, 회상적
- 특성 : '과거-현재-과거'의 순으로 시상이 전개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바람이 거센 밤 → 화자와 누나가 처해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
* 몇 번이고 꺼지는 네모난 장명등 →고달프고 힘겹게 살아야 했던 유년시절을 암시
* 국숫집 찾아가는 다리 위 → 과거와 현재를 매개하는 공간
* 국숫집 → 화자의 유년의 삶과 기억의 공간
* 누나도 나도 어려선 국숫집 아히 → 생계 유지를 위해 국숫집을 했었던 유년 시절
* 단오도 설도 아닌 풀벌레 우는 가을철 → 화자의 쓸쓸한 정서적 분위기
* 어른처럼 곡을 했다. → 제삿날의 상황 제시(과거) /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현실의 어려움이 교차했을 화자의 정서를 짐작할 수 있음.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어린 시절 누이에 대한 회상(과거)
- 2연 : 국숫집을 찾아가는 다리 위(현재)
- 3연 : 가난했던 어린 시절에 대한 회상(과거)
이해와 감상
이 시의 화자는 둘째 연이 보여주듯이, 현재 '국숫집 찾어가는 다리 우에' 있다. 그는 국수가 갑자기 먹고 싶어 국수집을 찾아가는 길일 것이다. 그 길 위에서 화자는 누나를 먼저 그리워한다. 그 그리움은 그를 '국숫집 아히'로 지내던 과거로 돌려보낸다. 오래 전 화자가 어렸을 때를, 즉 누나마저 '장명등을 / 궤짝 밟고 서서' 밝힐 정도로 어렸을 때를, 그는 추억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때 화자의 어머니는 국숫집을 하였던 것이다. 화자의 아버지는 무슨 사연 탓인지 알 수 없으나 일찍 죽었고, 그래서 어머니는 남매를 키우기 위해 국숫집을 한 것이리라. 그 국숫집에는 네모난 장명등이 있었다. 이 등은 밤에 국숫집을 찾는 손님을 위해 달아놓은 것일 게다. 물론 그 등의 의미는 그 이상이다. 가령, 그 등은 나그네에게 길을 안내하는 가로등 역할도 하고 있을 터이다. 다시 말해 그 등은 어두운 길을 가는 이에게 길을 밝혀 주는, 또는 길 잃은 이에게 길을 안내하는 희망의 등이기도 하였을 것이다. 어쨌든 그 등은 배가 고파서 국숫집을 찾는 이에게 보내는 '구조'의 등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그 등이 꺼져서는 아니 된다. 그 등은 등대처럼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그래서 남매는 그 등이 거센 바람 때문에 꺼지면 '몇 번이고' 그 등을 켜는 것이다. 그만큼 그것은 이들에게 중요한 생존의 등이요, 동시에 국수로 허기를 면하려는 이들에게는 참으로 고마운 등인 것이다.
그런 국숫집에서 화자의 어머니는 하루도 빠짐없이 부지런히 일하였다. 이는 남들이 다 노는 때인 단오나 설날에도 장사를 하였다는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어머니는 일년에 하루만, 아버지의 제삿날에만 국숫집 문을 닫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아버지가 죽은 어느 가을날에만 이들 가족은 '일을 쉬고' 제사를 올렸을 것이다. 그러나 그 반가운 휴일에, 아니 슬픈 기일에, 어머닌 말할 것도 없고 어린 남매도 '어른처럼 곡을' 하였다. 그 '풀벌레 우는' 계절에 이들도 그 벌레처럼 슬프게 울었다는 것이다. 일찍 남편을 잃은 미망인이나, 일찍 아버지를 여읜 남매 모두 깊은 슬픔과 상실감에 젖어 있었을 것인즉, 이들은 그렇게 통곡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몹시 가난한 데다가 아버지마저 없어 더욱 서러웠을 화자의 유년기 삶의 실상이 이 대목에 특히 잘 농축되어 있는 셈이다.
물론 이 시의 화자는 시인 이용악을 닮았다. 시인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고 그 바람에 시인의 어머니는 국수장사 등을 하면서 시인의 5남매를 키웠다. 이런 시인의 유년기가 바로 위의 시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일제 치하에서 이 시의 주인공들이 겪은 고통 못지 않은 고통을 오늘날 겪고 있는 이들에게 이 시가 조금이라도 위로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이 시의 인물들처럼 우리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도 '희망'이라는 이름의 '장명등' 하나를 꼭 달아두기를 간절히 바란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