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순의 흙
오세영
흙이 되기 위하여
흙으로 빚어진 그릇
언제인가 접시는
깨진다.
생애의 영광을 잔치하는
순간에
바싹 깨지는 그릇
인간은 한 번
죽는다.
물로 반죽되고 불에 그슬려서
비로소 살아 있는 흙
누구나 인간은 한 번쯤 물에 젖고
불에 탄다.
하나의 접시가 되리라
깨어져서 완성(完成)되는
저 절대(絶對)의 파멸(破滅)이 있다면,
흙이 되기 위하여
흙으로 빚어진
모순(矛盾)의 그릇.
개관
- 성격 : 상징적, 철학적, 역설적
- 표현 : 불교의 윤회론적 세계관 / 차분한 성찰과 독백적 어조 / 흙과 그릇의 순환 구조를 통해 삶과 죽음을 노래함.
- 제재 : 그릇(접시)의 깨어짐
- 화자 : 시련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사람
- 주제 : 완성을 향한 삶의 의지 / 깨어진 그릇을 통한 생명의 완성에 대한 인식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흙으로 빚은 접시의 깨어짐
- 2연 : 영광의 순간에 그릇이 깨어지듯 인간도 죽음.
- 3연 : 인간도 물에 젖고 불에 탐(시련을 통한 성숙)
- 4, 5연 : 깨어져 완성되는 절대 모순의 접시와 같은 존재가 되겠다는 의지
이해와 감상
실생활의 도구인 '그릇'을 통해 인생을 성찰하는 시인의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흙으로 빚어진 그릇이 깨어져 다시 흙으로 돌아감으로써 생을 완성하듯 자신도 완성된 삶을 살고 싶다는 의지를 노래하고 있다. '그릇'이 모든 형식과 틀을 무화(無化)시키고 절대 파멸과 완성의 경지인 '흙'에 도달하듯이, 유한성을 극복하고 완전하고 영원한 존재로 남게 되기를 바라는 삶의 의지가 드러나 있다.
이 시에서 그릇은 인간의 모양이다. 흙으로 구워진 여러 가지 모양의 그릇들은 곧 다양한 삶을 살고 있는 인간의 모습이다. 죽음이 두려워서 삶을 버린다면 인간의 삶 또한 무의미하다. 시인은 바로 이렇게 그릇에서 모순의 흙, 삶과 죽음의 양면성을 깨닫고 있다.
인간의 삶에 대한 시인의 성숙한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시인은 삶이란 초조하게 기다리면서 악착스럽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흙이 되기 위하여 흙으로 빚어진 그릇'으로 파악하고 있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삶은 유전(流轉)하는 것이며 결코 어느 한 상태에 고정되거나 머무를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발상의 밑바탕에는 불교적인 연기설(緣起說) 혹은 윤회설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시인은 삶의 일회성을 자각하면서 동시에 사람은 그 죽음에 의해서 자기완성에 대한 열망을 지닐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죽음을 수용하면서 어떻게든 완성된 삶을 이루어 보려는 자세를 잃지 않고 있다. 그릇은 누군가 사용하다가 깨뜨릴 것이며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의 생애를 살다가 죽어가게 마련이다. 깨뜨릴까 두려워서 그릇을 사용하지 못한다면 그릇은 그릇이 될 수 없다. 죽음이 두려워서 삶을 방기한다면 인간의 삶 또한 무의미한 것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경찰학,헌법,형법,형소법,민법,상법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