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제론(體制論)적 접근
:행정현상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아 행정을 둘러싸고 있는 다른 환경적 제요소와의 관련성 속에서 행정 상태를 연구하려는 개방체제적 접근법
● 사회체제론(parsons)
1. 체제의 특징
⑴분화와 통합
⑵환경과의 상호작용
⑶경계성과 균형성
⑷개방체제
⑸전체론적 인식:공동목표를 지님
⑹AGIL: 목표 달성·체제 유지·환경 적응·통합 기능을 수행
● 개방체제의 특징
⑴5단계 순환과정:투입-전환-산출-환류-환경
⑵4대 기능의 수행:목표 달성·체제 유지·환경 적응·통합 기능을 수행
⑶부정적 환류와 부정적 엔트로피:조직이 해체·소멸·무질서로 움직여가는 엔트로피를 부정하고 환경과의 균형과 안정을 추구
⑷정보관리 기능:의사결정의 합리성 제고(체제 분석)
⑸동태적 균형 및 동태적 항상성 추구:체제의 특징은 불변 상태이며, 환경과 균형을 유지. 투입과 산출이 부단히 이루어지면서 유지되는 균형임
⑹분화와 통합:통합에 기초를 둔 분화를 의미
⑺불확정성과 규제력·적응력
⑻등 종국 성:유일 최선의 문제 해결법은 없다.
● 체제론적 접근
⑴환경:체제 밖의 모든 영역
⑵투입
⑶전환: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일련의 내부적 과정
⑷산출:결과물
⑸환류:시정조치 단계로서 행정책임이나 행정개혁을 통한 개선된 체제의 흐름
*피드백의 종류
①적극적·긍정적 피드백: 목표의 수정·변화·불균형 추구→긍정적 엔트로피→혼돈이론
②소극적·부정적 피드백: 오차의 수정, 안정·균형·질서 추구→부정적 엔트로피→개방체제 이론
● 체제론적 접근의 특징
⑴연합 학문적 관점
⑵총체주의적 관점
⑶목적론적 관점
⑷계서적 관점:체제나 현상 간에 존재하는 관계의 배열이 계층적이라고 봄
⑸시간적 관점
⑹추상적·관념적 관점:연구대상을 상징으로서 취급
● 체제론적 접근 공헌
①거시적으로 전체를 봄/ 부분 간의 상호의존성 분석
②비교연구의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함(비교 행정론의 발달에 기여)
③체제 분석기법 등의 개발로 행정학의 과학화에 기여, 과학적인 의사결정 기법 발달에 기여
④환경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예측가능성을 높여줌
● 체제론적 접근 한계
①변화와 발전 설명 곤란: 사회개혁을 위한 적극적인 처방이나 역동성·변화·발전을 설명할 수 없다.
②인적요소 과소평가:조직을 지나치게 물화시킨 나머지 조직 내 정치권력이나 갈등, 의사전달, 정책결정, 가치문제, 인간의 심리적·감정적·질적 행태요인을 고려하지 않음
③개도국보다는 선진국에 적합한 연구
④전환 과정 설명 미흡:블랙박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