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문화
● 조직문화의 특성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후천적) 학습에 의해 공유되는 집합체이자 사회적 유산
-역사적 유산으로서 후속세대에 전수
-조직문화는 기본적인 통합성을 유지하면서도 여러 다양한 하위문화를 내포(보편성, 개별성)
-변화 저항적이면서 안정성을 지님
● 조직문화의 기능
(1) 순기능
-조직의 안정성·계속성 유지
-구성원의 일탈행위에 대한 통제기능
-응집력과 동질감·일체감을 높여줌
-조직의 경계설정, 조직의 정체성을 제공함
-모방과 학습으로 구성원으로 하여금 물리적·사회적 적응을 촉진시켜 구성원을 사회화하는 기능
-규범의 공유로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고,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복종심 유도
(2)역기능
-변화와 개혁에 장애가 되기도 함
-유연성과 창의력 저하(집단사고의 폐단)
-조정과 통합에 애로가 따름
● hofstede(1980)의 문화 유형론
⑴권력 격차 기준
⑵개인주의와 집단주의
⑶남성적 성향과 여성적 성향
⑷불확실성에 대한 회피기준
● douglas의 신문화이론
구분 | 집단 | ||
약 | 강 | ||
사회 역할 | 약 | 개인주의 | 평등주의 |
강 | 전체주의 | 위계주의 |
후드의 문화유형별 거버넌스 모형과 연관된 이론.
‘사회 역할’(역할 관계의 명확성)과 ‘집단’(구속력)을 두 축으로 네 가지 문화유형을 제시.
● 조직문화의 형성·보존·변동·개혁
1. 조직문화의 형성: 문화 형성과정에는 여과장치 또는 과오 회피 기제가 작동
2. 조직문화의 보존: 사회화(조직문화에의 적응)
⑴동화: 신참자가 조직문화에 일방적으로 적응
⑵격리: 신참자들이 조직문화를 거부(한직으로의 좌천 등)
⑶탈문화화: 조직의 문화나 신참자의 개인문화가 다 같이 그의 행태를 지배하는 영향력을 잃을 때 나타나는 반응. 이 경우 조직 구성원의 문화 정체성은 모호해짐
⑷다원화: 쌍방적 학습·적응의 과정을 통해 상호 장점 수용하고 변화를 추구하는 유형
3. 조직문화의 변동
4. 조직문화의 개혁: 주도세력에 의해 의식적·계획적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
- 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