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Humanities/책, 고전, 읽기 Reading, Books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벵하민 라바투트

Jobs 9 2024. 12. 28. 05:52
반응형


디펠의 영약에 들어 있던 성분에서 탄생한 파란색은 결국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호쿠사이의 〈가나가와의 파도 아래〉에서뿐 아니라 마치 이 색깔의 화학 구조에 들어 있는 무언가가 폭력을 유발하기라도 하는 듯 프로이센군의 제복에서도 빛난다. 그 무언가는 저 연금술사의 실험에서 이어져내려온 과오, 그늘, 실존적 얼룩이었다. 

The blue that emerged from the ingredients in Dippel’s elixir eventually shines not only in Van Gogh’s Starry Night and Hokusai’s Under the Waves of Kanagawa, but also on Prussian uniforms, as if something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is color provoked violence. That something was the error, the shadow, the existential stain that had been passed down from the alchemist’s experiments. 
--- p.22~23

처음에는 슈바르츠실트 본인조차 이 결과를 수학적 기현상으로 치부했다. 하긴 물리학은 종이 위의 숫자에 지나지 않는 것, 현실의 사물을 표상하지 않는 추상, 단순한 계산 착오로 가득하지 않던가. 그의 결과에 들어 있던 특이점은 실수, 기현상, 비현실적 환각 중 하나가 분명했다. 
--- p.48

전쟁의 아수라장에서도 특이점은 얼룩처럼 그의 마음속에 퍼져 참호의 지옥도를 덮었다. 진흙 구덩이에 파묻힌 죽은 말의 눈에서, 동료 병사의 총상에서, 흉측한 가스 마스크의 뿌연 렌즈에서 그는 특이점을 보았다. 그의 상상력은 자신이 발견한 결과에 매혹되었다. 
--- p.49~50

“가장 작은 아이조차 손가락 하나로 태양을 가릴 수 있다니 우주는 얼마나 신기하고 광학과 원근법의 법칙은 얼마나 변덕스러운가!” 
--- p.55

“나는 종종 하늘에 충성을 다하지 못했다. 나의 관심은 결코 달 너머 우주에 있는 것들에 국한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 사이로 누벼진 실들을, 인간 영혼의 가장 어두운 구석을 좇았다. 그곳이야말로 과학의 새로운 빛이 비쳐야 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 p.58

하이젠베르크는 그들이 전부 틀렸음을 알고 있었다. 전자는 파동도 입자도 아니었다. 아원자 세계는 그들이 이제껏 알고 있던 그 무엇과도 달랐다. 이것은 그에게 절대적으로 확실한 사실이었다. 확신이 어찌나 깊던지 말로 표현할 수조차 없었다.
--- p.120

“고작 흙 입자 하나에 원자 수십억 개가 들어 있다면 대체 어떤 방법을 써야 그토록 작은 것에 대해 유의미하게 이야기할 수 있겠나?” 시인과 마찬가지로 물리학자 또한 세상의 사실들을 단순히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은유와 정신적 연결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뜻이었다. 
--- p.125

핵이 작은 태양이고 전자들이 행성처럼 그 주위를 공전하는 유치하고 단순한 이미지를 하이젠베르크는 혐오했다. 그가 상상하는 원자에서는 이런 정신적 표상이 사라졌다. 
--- p.127

이 한계들은 결코 이론상의 한계가 아니다. 모형의 결함이나 실험의 한계, 기술적 제약이 아니다. 과학이 연구할 수 있는 범위 바깥의 ‘현실 세계’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하이젠베르크가 설명했다.
--- p.224~225

[아인슈타인은] 세상의 사실들이 상식과 그토록 상반된 논리를 따른다고는 믿을 수 없었다. 자연법칙이라는 관념을 버리고서 우연을 왕좌에 앉힐 수는 없었다.
--- p.226

슈뢰딩거도 양자역학을 혐오하게 되었다. 그는 정교한 사고 실험(게당켄엑스페리멘트)을 고안하여 불가능해 보이는 생물을 탄생시켰다. 그것은 살아 있는 동시에 죽은 고양이였다. 그의 취지는 이런 사고방식이 얼마나 터무니없는가를 보여주려는 것이었다. 
--- p.229

 

 

 


장면 1. 프러시안블루, 빛과 그늘

라바투트는 첫번째 글에서 등장하자마자 유럽 미술계에 파란을 일으킨 안료 프러시안블루를 최초로 합성해낸 연원과 그 치명적 부산물인 시안화물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시안화물은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사용된 독가스 치클론B의 시원이기도 하며 2차대전이 끝나갈 무렵 패망을 예감한 독일 장성들이 자살할 때 사용한 약물이기도 했다. 컴퓨터의 아버지 앨런 튜링 역시 동성애라는 죄목으로 영국 정부에 의해 강제로 화학적 거세를 당해 가슴이 커지는 부작용을 겪은 뒤 시안화물을 주입한 사과를 깨물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의 일부 벽은 지금도 치클론B로 인해 푸른색으로 물들어 있다. 

디펠의 영약에 들어 있던 성분에서 탄생한 파란색은 결국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호쿠사이의 〈가나가와의 파도 아래〉에서뿐 아니라 마치 이 색깔의 화학 구조에 들어 있는 무언가가 폭력을 유발하기라도 하는 듯 프로이센군의 제복에서도 빛난다. 그 무언가는 저 연금술사의 실험에서 이어져내려온 과오, 그늘, 실존적 얼룩이었다. _본문 22~23쪽 

프러시안블루의 기초가 된 화학 합성물을 만든 이는 극단적으로 잔인한 동물 실험으로 악명 높았던 연금술사 요한 콘라드 디펠로, 메리 셸리의 걸작 『프랑켄슈타인』에 영감을 선사한 인물이다. 한편 1차대전 당시 독일의 무지막지한 독가스 공격을 주도한 화학자 프리츠 하버는 공기 중에서 질소를 추출해 노벨 화학상을 받았고, “공기에서 빵을 끄집어낸 사람”으로 칭송을 받기도 했다. 그의 발견 덕에 질소 비료를 무한히 만들 수 있게 되어 전 세계 인류가 기아에서 해방되는 데 커다란 공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는 죽어가면서 자신의 발견으로 인류 대신 식물이 미래의 지구를 지배할까봐 두려워했다.  

 

 

 


장면 2. 최초의 특이점

전쟁이 한창이던 1915년 12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러시아 전선 참호에서 발송된 편지를 받는다. 편지를 쓴 사람은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자 독일군 중위 카를 슈바르츠실트였다. 그 편지에는 일반상대성 방정식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해가 쓰여 있었다.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 방정식에 관한 이론을 발표한 지 한 달도 채 안 된 때였다. 슈바르츠실트의 해는 정확했으며 항성의 질량이 주변의 시공간을 구부리는 방식을 완벽하게 기술했다. 그러나 슈바르츠실트의 해는 무언가 기묘한 것을 드러냈다. 슈바르츠실트의 해를 붕괴하기 시작한 별에 적용하면, 그 밀도와 중력은 무한히 증가해 시공간을 찢는 특이점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이었다. 아인슈타인은 슈바르츠실트의 해에 열광하면서도 그것이 물리학을 토대에서부터 파괴할까 두려워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틀렸고 블랙홀은 존재한다. 슈바르츠실트는 자신의 발견에 끝없이 매혹되면서도 불안해하며 블랙홀의 존재를 엿본 최초의 인류였다.

In December 1915, in the midst of the war, Albert Einstein received a letter from the trenches of the Russian front. The writer was Karl Schwarzschild, an astronomer, physicist, mathematician, and lieutenant in the German army. The letter contained the first accurate solution to the equations of general relativity, less than a month after Einstein had published his theory of the equations of general relativity. Schwarzschild’s solution was accurate, describing perfectly how the mass of a star warps spacetime around it. But Schwarzschild’s solution revealed something strange. When applied to a collapsing star, its density and gravity would increase infinitely, forming a singularity that would tear spacetime apart. Einstein was enthusiastic about Schwarzschild’s solution, but he also feared that it would destroy physics from the very foundations. But Einstein was wrong, and black holes do exist. Schwarzschild was both endlessly fascinated and uneasy by his discovery, and was the first human to glimpse the existence of a black hole. 

처음에는 슈바르츠실트 본인조차 이 결과를 수학적 기현상으로 치부했다. 하긴 물리학은 종이 위의 숫자에 지나지 않는 것, 현실의 사물을 표상하지 않는 추상, 단순한 계산 착오로 가득하지 않던가. 그의 결과에 들어 있던 특이점은 실수, 기현상, 비현실적 환각 중 하나가 분명했다. _본문 48쪽 

그의 상상력은 자신이 발견한 결과에 매혹되었다. 만에 하나 특이점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우주의 종말까지 지속될 것임을 두려운 마음으로 깨달았다. (…) 그것은 여느 천체와 달리 어떤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중으로 탈출이 불가능했다. 특이점은 기묘한 기하학적 공간을 만들어내 시간의 양끝에 자리잡았다. 특이점으로부터 가장 먼 과거로 달아나거나 가장 먼 미래로 탈출하더라도 다시 한번 특이점을 마주칠 뿐이었다. _본문 50쪽 

 

 

 


장면 3. 국적 없는 수학자와 수학의 심장

2012년 8월 31일 오전 일본의 수학자 모치즈키 신이치는 자신의 블로그에 논문 네 편을 발표했다. 600쪽에 이르는 이 논문들에는 정수론에서 가장 중요한 추론 중 하나인 ‘a+b=c’의 증명이 실려 있었다. 이날까지도, 그의 증명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_본문 77쪽 

소위 ABC추론으로 알려진 정수론 난제에 대한 증명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일본의 수학자 모치즈키 신이치는 어렸을 적부터 뛰어난 집중력의 소유자였다. 열여섯 살에 프린스턴대에 입학해 스물세 살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그후 교토대 수리해석연구소에서 강의는 하지 않으면서 연구에만 전념하는 교수로 부임했다. 2000년대 초부터는 국제 학회에도 참석하지 않았는데, 2014년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에서 자신의 ABC추론 증명에 대한 강연을 하기로 했으나 돌연 강연을 취소하고 일본으로 돌아와 블로그에 올린 증명을 모두 삭제해버렸다.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그가 그로텐디크의 저주에 걸렸다고 했다.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수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우크라이나 출신 유대인 부모는 혁명적 무정부주의자들로 스페인내전 당시 국제여단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그로텐디크는 어머니와 프랑스 난민 수용소를 전전하며 프랑스에서 학교 공부를 시작했다. 수학 천재로서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으나 프랑스 68혁명 시기를 전후로 사회운동에 전념하며 일체의 학문적 활동을 접고 점차 은둔하기 시작했다. 청년 시절의 모치즈키 신이치는 그로텐디크가 ‘수학의 심장부’에서 발견한 실체에 완전히 매료되었다.  

 

 



장면 4. 불안한 확률로서 존재할 뿐이다: 더 볼수록 덜 보인다

하이젠베르크가 보기에 슈뢰딩거의 제안은 용납할 수 없는 뒷걸음질이었다. 고전 물리학의 방법을 써서 양자 세계를 설명할 수는 없었다. 원자는 한낱 구슬이 아니다! 전자는 물방울이 아니다! 슈뢰딩거의 방정식이 정확하고 심지어 유용할지도 모르지만 물질이 가장 작은 규모에서 극단적으로 기이하게 행동하는 현상을 무시하는 건 가장 근본적인 잘못이다. 하이젠베르크를 격분시킨 것은 파동 함수가 아니라?어차피 그게 뭔지 아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원리의 문제였다. 그는 슈뢰딩거의 재주가 아무리 모든 사람을 매혹시켰더라도 이것이 막힌 길임을, 참된 이해로부터 멀어지는 막다른 골목임을 알고 있었다. _본문 200~201쪽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네번째 글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이론이 정립되어가는 과정을 매혹적으로 그려낸다. 20세기의 천재 물리학자들인 슈뢰딩거, 드 브로이, 하이젠베르크가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쇠약을 견디며 양자 이론을 수립하고 서로의 주장을 치열하게 반박하며 역설적인 우주를 발견해가는 이야기는 최초의 증명을 위해 그들이 거칠 수밖에 없었던 어두운 심연을 깊숙이 들여다보게 해준다. 견딜 수 없는 오류, 증명을 향한 끝없는 터널, 자신도 모르게 찾아낸 해결 공식이 기이한 환희와 절망 속에서 명멸하는 장면들이 쉽사리 형언하기 어려운 장관으로 펼쳐진다. 

입자와 파동, 사실과 허구 사이

라바투트가 이 책에서 다루는 이야기 속 인물과 이론, 역사적 사건들은 모두 치밀한 자료 조사에 기반하고 있으며 그 빈틈을 매끄럽고 스릴 넘치는 소설적 허구로 메우고 있다.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지 밝히지는 않지만, 「감사의 글」에서 책의 구조와 방법론에 대한 단서를 남겨놓았다. 우리는 가짜 뉴스에 몸살을 앓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사실과 허구는 과연 별개의 범주로 엄격히 다뤄질 수 있는 것일까. 이 책은 인간이 지식의 한계를 어떻게 메워왔는가, 불가지한 자연을 어떻게 견뎌왔는가에 대한 하나의 아름다운 대답이다. 

이 책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허구다. 뒤로 갈수록 허구의 비중이 커진다. 「프러시안블루」에는 허구의 문장이 하나밖에 없는 반면에 뒤에서는 더 자유분방하게 쓰되 각 작품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에 충실하려고 노력했다. _「감사의 글」에서

 


이 책에 쏟아진 찬사

역사에는 빈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픽션은 그곳에서 시작되고, 논픽션은 그곳을 비워둔다. 이 책은 그 빈 곳에 픽션 양념을 뿌려보면 의외로 맛있는 요리가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양자역학 이야기에 뿌려진 엄청난 양념 덕분에 나의 물리 영웅들이 바로 눈앞에서 이야기하는 착각에 빠졌다. 신박하다는 표현은 이럴 때 쓰라고 만들어진 단어가 아닐까. 짧지만 깊고, 쉽지 않지만 다정하고, 논픽션이지만 픽션 같은 책이다. 노승영의 완벽한 번역은 덤이다.  
_김상욱(물리학자)

모든 대학의 교과 과정이 과학사와 사상의 역사에 관해 질문하는 이 철학적 소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다. 견딜 수 없을 만큼 아이러니하고 스산한 이 작품은 대단한 걸작이다.

Every college course could be centered around this philosophical novel that questions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e history of ideas. It is an unbearably ironic and bleak masterpiece. 
_조이스 캐럴 오츠(작가)

24년 전,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를 처음 읽었을 때 느꼈던 전율을 이 작품을 통해 느꼈다. 강력한 여운이 남는 충격적인 작품이다. _로런스 웨슐러(작가, 뉴욕대 인문학연구소 명예소장)

과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흡입력 있는 이야기들을 담은 ‘제발디언’의 책으로, 이야기의 끝에서 인류 파괴의 역사에 대한 하나의 명상에 도달한다. “우리가 대체 어떻게 여기까지 왔지?”라는 질문을 던진 뒤, 완전히 독창적이고 전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대답한다. (…) 벵하민 라바투트는 비상한 상상력으로 사실과 허구, 진보와 파괴, 천재와 광기 사이에 놓인 영역을 깊게 파고든다. 픽션과 역사적 사실을 혼합해,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개념을 확장시킨 위대한 정신들에 관해 풀어놓는 매혹적인 책이다. _2021 부커상 최종 후보 선정의 이유  

매우 기묘하고 독창적인 책이다. 픽션과 논픽션, 또는 파동과 입자 사이에서 맴돌며, 현대 수학과 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위대한 유령 이야기처럼 섬뜩한 것으로 만든다.

It's a very strange and original book, hovering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waves and particles, making a story about modern mathematics and science as eerie as a great ghost story. 
_뉴스테이츠먼 ‘올해의 책’ 선정의 이유

라바투트는 이 책에서 문학적이지만 결코 가식적이지 않은 문장들로써 발견을 향한 인간의 온갖 강렬한 욕망,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위험성에 대해 탐구한다. 규정하기 힘들고 그렇기에 읽는 즐거움을 주는 이 특별한 작품은 곱씹을 만하다. _퍼블리셔스 위클리 

인간의 지식과 오만에 대한 매혹적인 명상. 라바투트는 다섯 편의 자유분방하고도 뛰어난 글로 지식과 파괴, 천재성과 광기의 상관관계를 조명한다. _뉴욕 타임스           

W. G. 제발트, 혹은 올가 토카르추크의 작품들을 떠올리게 하는 산문적인 명상이다. 이어지는 일련의 이야기들은 과학자들의 전기를 절묘하게 엮으면서 상상의 영토로의 모험을 감행하게 한다. _뉴요커  

정말 잘 쓰인 작품이다. 나는 이 책에 완전히 사로잡혀 허겁지겁 읽었다. 아무래도 라바투트가 완전히 새로운 장르를 창조한 것 같다. 
_마크 해든(작가)

위대한 성취를 이룬 물리학자들과 그들의 이론에 대해 고도의 상상력으로 풀어낸 짜릿한 글. 
_제프 다이어(작가)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만은 멈추지 않겠다는, 아름다운 충동을 심어준 책
- 구병모 (소설가)


어디까지 사실이고 어디부터 허구인지 의심하면서 읽다보니 어느 순간 이야기의 매력에 푹 빠져 있었다.
- 권제훈 (작가)


과학과 문학과 역사와 철학을 모두 아우르지만 그 어떤 장르로도 규정할 수 없는 구름 같은 책이다. 계속 함께 흘러다니다보면 세계를 이해하고 싶어진다. 책 속에 등장하는 슈바르츠실트의 말. “가장 작은 아이조차 손가락 하나로 태양을 가릴 수 있다니 우주는 얼마나 신기하고 광학과 원근법의 법칙은 얼마나 변덕스러운가?” 이 말을 멋대로 리메이크한다면, “가장 얇은 책 한 권으로도 우리는 우주의 비밀을 느낄 수 있으니 이야기란 얼마나 신기한가!”  
- 김중혁 (소설가)



인간의 정신은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을까, 어디까지가 한계일까

“나의 물리 영웅들이 바로 눈앞에서 이야기하는 착각에 빠졌다.
신박하다는 표현은 이럴 때 쓰라고 만들어진 단어가 아닐까.” _김상욱(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 슈바르츠실트, 슈뢰딩거, 그로텐디크, 모치즈키 신이치… 

오늘의 세계를 규정한 위대한 정신들이 맞닥뜨린
황홀한 깨달음과 지적 파열의 순간을 절묘하게 그려낸 문제작!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는 칠레의 젊은 작가 벵하민 라바투트의 세번째 작품으로, 2021 부커상 최종심에 오르며 전 세계적 화제를 불러일으킨 논픽션소설nonfiction-novel이다. 논픽션소설이란 트루먼 카포티의 『인 콜드 블러드』처럼 객관적 사실에 소설적 허구를 장치로써 도입하는 작품을 가리킨다. 책에 실린 다섯 개의 글은 개별적이면서도 나선처럼 이어지며 하나의 산문적 명상으로 완성되어가는데, 그 안에 담긴 프리츠 하버, 슈뢰딩거, 하이젠베르크, 슈바르츠실트, 그로텐디크 같은 과학 세계에 지각 변동을 몰고 온 화학자, 물리학자와 수학자 들의 정신적 경험과 들끓는 지적 욕망, 치열한 이론 논쟁은 강렬하기 그지없다. 

또한 이 책은 흔히 떠올리게 되는 현대 과학의 엄청난 진보와 그것이 몰고 올 파국을 경고하는 일반적인 과학 논픽션과도 다르고, 위대한 인물의 업적을 기리는 전기적 소설과도 완전히 다르다. 그보다는 깜짝 놀랄 만큼 독창적인 서사 구조와 지적인 견고함이 문장 사이사이에서 유려하게 어우러지며 인간의 정신이 가닿는 끝에서 경험하는 현저한 깨달음의 순간(에피파니)과 신경 쇠약을 숨막히도록 아름답게 그려낸 독보적인 작품이다. 이 책을 먼저 읽은 서구의 작가와 문학평론가, 독자들의 열렬한 찬사가 이어지는 이유일 것이다. 작품의 맨 마지막에 실린 「감사의 글」에 이르러서조차 전율할 수밖에 없다. 

목차
프러시안블루
슈바르츠실트 특이점
심장의 심장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밤의 정원사


저 : 벵하민 라바투트 (Benjamin Labatut) 
1980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나 헤이그, 부에노스아이레스, 리마에서 자랐다. 현재는 칠레에 정착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발표하는 소설마다 여러 문학상을 받았으며, 특히 2021 부커상 최종심에 오른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는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