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배당정책, 잔여배당정책, 안정적 배당정책, 수동적 잔고정책(passive residual policy), 주식배당 및 자사주 매입

Jobs 9 2022. 10. 3. 12:17
반응형

배당정책

 

● 배당정책의 의의와 배당 지급절차

1) 배당정책이란 순이익을 배당과 내부유보로 나누는 의사결정이다.

=> 배당성향 = 1 - 내부유보율

2) 배당정책의 핵심은 배당금 지급과 내부유보에 의한 재투자 가운데 어느 것이 기업가치 제고에 유리한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3) 배당정책은 크게 잔여배당정책과 안정적 배당정책으로 구분된다.

· 잔여배당정책 : 최적자본구조를 유지하면서 투자하고 남는 자금이 있을 때 배당 금을 지급하는 배당정책으로서 투자기회와 순이익 규모에 따라 배당금이 변동 됨

· 안정적 배당정책 : 가급적 주당 배당금을 일정하게 지급하는 배당정책으로서 목표 배당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래에 지속적인 이익증가가 예상될 때에 배당금을 증가시킴

 

● 배당정책의 고려요인

1) 투자기회가 많을수록 유보이익을 활용하기 위해 배당지급을 줄인다.

=> 성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배당성향이 낮다.

2) 필요한 자금을 외부에서 낮은 조달비용으로 손쉽게 조달할 수 있는 기업은 목표배당수준에 맞춰 안정적인 배당정책을 수행할 수 있다.

3) 자본이득에 비해 배당소득에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세금 면에서 배당지급은 주주이익에 불리하다.

4) 유보이익의 재투자를 통한 미래의 주가상승 가능성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주주들은 현재의 확실한 배당수입을 선호한다.

5) 배당금 증가는 투자자에게 경영자가 기업의 미래수익전망을 좋게 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6) 경영권 보호를 중시하는 경영자는 신주발행에 의한 자본조달이 지분 감 소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배당을 줄이고 내부유보 를 늘리려고 한다.

7) 주주의 입장에서 대리인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당을 늘려 경영자의 재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보이익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이와 같이 배당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요인들이 혼재하나, 일반적으로 는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이 장기적인 주가성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주식배당 및 자사주 매입

1) 주식배당이란 현금 대신 기존주주의 지분율에 따라 주식으로 배당하 는 것으로서 보유주식 수는 증가하나 주당가치가 감소하여 기존주주 의 부에는 영향이 없다.

ex) 10,000원인 주식 100주를 보유한 주주가 25%의 주식배당을 받게 되면, 보유주식 수는 125주가 되고 이론적으로 주가는 8,000원이 되어 총 보유주식가치는 주식배당 이전과 동일한 100만원이 된다. 

2) 주식배당은 주식 수를 늘리고 주가를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여 유동성 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주식 수 증가로 장래 배당압력이 커지는 단 점이 있다. 

3) 자사주 매입이란 기업이 유통되고 있는 자기회사 주식의 일부를 매입 하는 것으로 이를 소각하거나 보관하다가 재매각할 수 있다.

4) 현금 배당의 경우 배당락만큼 주가가 하락하나, 자사주 소각은 주가 하락 없이 발행주식 수만 줄어들어 주당이익이 증가한다.

5) 자사주 소각의 결과로 주주들은 배당금 대신 자본이득을 얻게 되어 세금 측면에서 배당지급보다 주주에게 유리하다.

6) 이사회 의결만으로 가능한 자사주 매입은 주가 저평가시 실시될 가 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가에 긍정적인 공시효과가 있다.

 



 Q 
다음 중 기업의 배당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동적 잔고정책(passive residual policy)에 따르면, 수행 할 만한 투자기회의 존재와 상관없이 배당금이 일정하다.

② 배당률은 이익의 증가를 따라가는 경향을 보이지만, 기업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배당정책을 선호한다.

③ 장래의 전망이 밝은 기업의 경영자들은 자신들의 장래 전망에 대한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서 배당정책을 사용하며, 투자자들은 배당정책의 변화를 기업내용 변화의 신호로 인식함으로써 주가에 변화를 가져온다.

④ 분기마다 배당을 지급하는 경우에 매 사분기마다 지급하는 배당금은 작게 하고 회계연도 말이 되어서 추가배당을 하는 정책은 연도별 이익규모와 현금수요가 각각 변동이 심한 기업들에게 적합하다.

【해설】 정답 ①

수동적 잔고정책(passive residual policy)에 따르면, 수행할 만한 투자기회의 존재 등을 다 고려 한 후 배당 의사결정을 하는 배당정책으로서, 기업의 배당정책을 투자결정과 자금조달결정의 부산물로 보는 이론을 배당의 잔여이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배당정책의 의의와 배당 지급절차

1) 배당정책이란 순이익을 배당과 내부유보로 나누는 의사결정이다.

=> 배당성향 = 1 - 내부유보율

2) 배당정책의 핵심은 배당금 지급과 내부유보에 의한 재투자 가운데 어느 것이 기업가치 제고에 유리한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3) 배당정책은 크게 잔여배당정책과 안정적 배당정책으로 구분된다.

· 잔여배당정책 : 최적자본구조를 유지하면서 투자하고 남는 자금이 있을 때 배당 금을 지급하는 배당정책으로서 투자기회와 순이익 규모에 따라 배당금이 변동 됨

· 안정적 배당정책 : 가급적 주당 배당금을 일정하게 지급하는 배당정책으로서 목표 배당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래에 지속적인 이익증가가 예상될 때에 배당금을 증가시킴

● 배당정책의 고려요인

1) 투자기회가 많을수록 유보이익을 활용하기 위해 배당지급을 줄인다.

=> 성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배당성향이 낮다.

2) 필요한 자금을 외부에서 낮은 조달비용으로 손쉽게 조달할 수 있는 기업은 목표배당수준에 맞춰 안정적인 배당정책을 수행할 수 있다.

3) 자본이득에 비해 배당소득에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세금 면에서 배당지급은 주주이익에 불리하다.

4) 유보이익의 재투자를 통한 미래의 주가상승 가능성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주주들은 현재의 확실한 배당수입을 선호한다.

5) 배당금 증가는 투자자에게 경영자가 기업의 미래수익전망을 좋게 보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6) 경영권 보호를 중시하는 경영자는 신주발행에 의한 자본조달이 지분 감 소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배당을 줄이고 내부유보 를 늘리려고 한다.

7) 주주의 입장에서 대리인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당을 늘려 경영자의 재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보이익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이와 같이 배당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요인들이 혼재하나, 일반적으로 는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이 장기적인 주가성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주식배당 및 자사주 매입

1) 주식배당이란 현금 대신 기존주주의 지분율에 따라 주식으로 배당하 는 것으로서 보유주식 수는 증가하나 주당가치가 감소하여 기존주주 의 부에는 영향이 없다.

ex) 10,000원인 주식 100주를 보유한 주주가 25%의 주식배당을 받게 되면, 보유주식 수는 125주가 되고 이론적으로 주가는 8,000원이 되어 총 보유주식가치는 주식배당 이전과 동일한 100만원이 된다. 

2) 주식배당은 주식 수를 늘리고 주가를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여 유동성 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주식 수 증가로 장래 배당압력이 커지는 단 점이 있다. 

3) 자사주 매입이란 기업이 유통되고 있는 자기회사 주식의 일부를 매입 하는 것으로 이를 소각하거나 보관하다가 재매각할 수 있다.

4) 현금 배당의 경우 배당락만큼 주가가 하락하나, 자사주 소각은 주가 하락 없이 발행주식 수만 줄어들어 주당이익이 증가한다.

5) 자사주 소각의 결과로 주주들은 배당금 대신 자본이득을 얻게 되어 세금 측면에서 배당지급보다 주주에게 유리하다.

6) 이사회 의결만으로 가능한 자사주 매입은 주가 저평가시 실시될 가 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가에 긍정적인 공시효과가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