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 설화
1. 고대 설화 개념
- 설화는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 낸 이야기로서, 서사문학의 근원이다.
-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2. 고대 설화 특성
-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이다.
- 구전된다.(보존과 전달 상태가 가변적이다) : 설화의 구전은 핵심이 되는 구조를 기억하고 이에 화자 나름대로의 수식을 덧보태서 이루어짐.
- 산문성 : 일상의 말로써 구연되며, 규칙적인 율격은 발견되지 않는다.
- 설화는 반드시 화자가 청자를 대면해서 청자의 반응을 의식하면서 구연된다.
- 구비문학의 여러 장르들 중에서 문자로 기재될 수 있는 기회를 가장 흔히 가지는 것이 설화다.
- 설화를 정착시켜 기록 문학적 복잡성을 가미하면 소설이 된다.
- 설화는 구비문학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활발하게 연구된 분야다.
● 설화의 분류
설화를 신화, 전설, 민담으로 3 분하는 것은 세계적인 통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셋 사이에 확연한 선을 긋는 것은 곤란하며, 서로 넘나드는 경우가 있고 하나가 다른 것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신화(神話. myth) | 전설(傳說. legend) | 민담(民譚. folktale) | |
전승자의 태도 | 진실되고 신성하다고 인식 | 진실되다고 믿고, 실제로 있었다고 주장하는 이야기 | 신성하다고도 진실되다고도 생각하지 않고, 오직 흥미를 주기 위한 것 |
시간과 장소 | 태초에 일어난 일 특별한 신성한 장소 |
구체적으로 제한된 시간과 장소(진실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구실이 됨) | 뚜렷한 장소와 시간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 |
증거물 | 포괄적임 | 개별적 증거물 | 이야기가 그 자체로 완결되며, 증거물에 호소할 필요가 없음. |
주인공 , 행위 | 신(神)이며, 신이 지닌 능력을 발휘함 | 여러 종류의 인간이며, 비극적 결말이 많다. | 일상적인 인간이며,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감. |
전승의 범위 | 민족적인 범위 | 지역적인 범위 | 전승은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나, 분포는 세계적임. |
1. 신화(神話. myth)
① 신화는 일상적 경험의 합리성을 넘어서, 신적인 존재의 위업을 다루거나 자연 및 사회 현상의 근원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② 신성성, 초자연성, 집단성, 항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③ 우리 나라의 신화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고대국가로서 자리를 잡은 1세기경까지 해당한다.
④ 현전하는 우리나라의 신화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건국 시조 신화"이다.
나라 | 신화 | 내용 |
고조선 | 단군신화 | 고조선 건국신화로, 홍익인간의 이념이 제시됨. |
고구려 | 주몽신화 | 동명왕의 출생에서부터 건국의 성업까지를 묘사한 본장의 주석에 나오는 설화 |
신 라 | 박혁거세 신화 | 나정 근처에서 발견한 알에서 태어나 6村 사람들의 추대로 임금이 됨. |
석탈해 신화 | 알에서 나와 버려진 뒤 남해왕의 사위가 되고, 나중에 임금으로 석씨의 시조 설화 | |
김알지 신화 | 계림의 나무에 걸렸던 금궤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경주 김씨의 시조 설화 | |
가락국 | 김수로왕 신화 | 알에서 태어난 6명의 아이들 중 가락국의 왕이 된 김해 김씨의 시조설화 |
⑤ 건국 시조 신화는 "영웅의 일생" 이라는 유형적 서사 구조를 지닌다.
* 고귀한 혈통을 지님
* 비정상적으로 태어남.
* 비범한 자질과 능력을 가짐.
* 기아(棄兒), 고난을 겪음.
* 구출 · 양육자를 만나 다시 살아나게 됨.
다시 위기를 극복함.
* 투쟁의 승리와 영광을 차지함.
→ 이러한 영웅적 서사 구조는 고난의 심각성보다는 그 극복의 가능성을 중시하며, 현세에서의 성취를 강조하는 낙관주의적 세계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서사 유형은 조선 후기의 영웅 소설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⑥ 건국 시조 신화를 중심으로 본 한국 신화의 특징은, 천손하강형(天孫下降型)으로 요약되며, 지리적 이동의 경우에는 서에서 동으로, 북에서 남으로의 방향이 공통적으로 보인다.
⑦ 신화에는 건국 시조 신화 외에, 씨족 시조 신화, 부락신에 관한 신화, 무속 신화 등도 있다.
2. 전설(傳說. legend)
① 평범한 인간 혹은 비범하다 해도 예사 사람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한 인물들을 행위자로 한, 실제로 있었다고 믿어지거나 혹은 그러한 믿음을 요구하는 이야기.
② 개별적 증거물의 동반, 전승의 지역성을 지니며, 이야기 속의 갈등을 손쉬운 낙관적 해결책에 의존하지 않고 다루는 진지함을 보여준다.
③ 설화 중 가장 많은 문헌 자료가 남아 있으며, 현대에 와서 수집된 것도 적지 않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 지리지> 등.
④ 전설의 분류
설명적 전설 |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의 여러 사물 및 현상에 대한 민중들의 설명 욕구에서 나온 이야기이다. 특이한 지형, 자연현상, 풍습, 동식물 등 광범한 사물들의 기원이나 성질에 대한 이야기가 주종을 이룬다. |
역사적 전설 |
전설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실제의 역사적 사실과 인물에 관한 이야기가 민중들의 기억과 구술 행위를 거치는 동안 윤색 · 변형됨으로써 생겨나고 또 변모한다. 국가적, 지방적 위기나 사건이 있던 시기 이후에 특히 많이 생겨났으며, 이들 속에는 저명한 실제 영웅들과 더불어 미천한 신분의 평민층 인물들도 포함된다. |
신앙적 전설 |
민간신앙을 기초로 한 종교적 이야기로서, 순수하게 종교적인 것에서부터 미륵 화생, 정도령 도래 등과 같이 당대 질서의 모순과 고통을 타파하고 새 세계를 이룩한다는 존재의 출현에 관한 전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⑤ 전설은 어느 시대에나 있었지만, 조선 후기에 와서 시정문화가 발달하면서 더욱 활발하게 유통되고, 야담류로 기록,윤색되거나 소설에 편입되어 이 시기의 기록 서사문학 발달에 크게 기여함.
3. 민담(民譚. folktale)
① 흥미거리의 이야기로, 주인공은 평범한 인물 혹은 그 이하의 인물이되, 갖가지 난관에 부딪혀도 다행스러운 계기와 도움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에 도달하게 된다.
② 동화적인 천진성이 모든 어려움을 이겨내는 이야기로서, 어떤 고난도 넘어설 수 있다는 민중들의 낙관적인 상상력의 표현이다.
③ 민담은 이야기의 구조가 단순하고도 체계성을 갖추고 있어서, 전승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 경험의 다면적 얽힘을 명료하게 집약하는 구실을 하기도 한다.
④ 민담의 분류
동물담 | 동물 유래담 | 동물의 생김새, 동물의 습성, 동물의 명칭 등을 설명해 주는 이야기로, 등장하는 동물은 개체로서보다 종(種)을 대표함. |
본격 동물담 | 동물에게 모든 인간적 속성을 부여하여 의인화하며, 등장하는 동물은 개체로서 행동함. | |
동물 우화 | 직관적 관찰에 의해 동물에게 일정한 유형을 부여하고, 인간 행동을 동물 행동으로 바꾸어 그 속에 도덕적,교훈적 내용을 담는다. | |
본격담 | 현실담 | 현실계에서 현실적 인물이 등장하여, 지혜와 용기에 의해 사건을 처리해 나감. |
공상담 | 초현실계에서 초자연적 인물이 등장하여, 초자연력을 사용하여 난관을 극복하고 행복한 결말을 이끌어 냄. | |
소화 (笑話) |
과장담 | 엉터리 이야기. 현실에는 전혀 있을 법하지 않은 이야기. |
모방담 | 정직한 자의 성공을 흉내내다가 실패하고 마는 부정직한 자의 이야기. <흥부와 놀부> | |
치우담 | '바보'들의 이야기이다. 저능아, 바보 사위, 어리석은 시어머니와 같은 종류들이 포함되고, 그 밖에 무식한 사람, 실언하는 사람, 병신들의 이야기도 포함된다. | |
사기담 | 거짓말이나 지혜로 상대방을 속이고 의도했던 바를 성취하는 이야기로, 김선달이나 정수동의 일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 |
경쟁담 | 어떤 내기에서 지혜로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다. 요컨대 누가 단수가 높은가 하는 이야기이다. |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