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전문학 분류
시대 | 종류 | 특징 | 주요작품 |
고대 | 설화 | 허구적 이야기 구비 전승 조선시대 고전 소설과 판소리의 기원 |
단군 신화, 동명왕 신화(주몽), 조신지몽(환몽형 설화), 바리공주 |
신화 (민족의 기원, 건국) 전설 (특정지역, 구체적 증거물, 비극적 결말) 민담 (일상적 인물, 교훈, 흥미) |
|||
고대 가요 |
구비전승 → 한문으로 기록 배경 설화 집단적 성격 vs. 개인 서정시가 |
집단주술: 구지가, 해가 | |
개인서정: 공무도하가, 황조가, 정읍사(한글) | |||
향가 | 신라 ~ 고려 초 우리나라 최초 정형화된 서정시 향찰 표기 (국문 의식의 발현) 시조, 가사의 3단 형식 + 종장 형식에 영향 |
4구체: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 |
8구체: 모죽지랑가, 처용가 | |||
10구체: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 | |||
한문학 | 여수장우중문시(을지문덕), 추야우중(최치원) | ||
고려 | 고려 가요 |
3음보 분절체 + 후렴구 평민 문학, 서정 장르 훈민정음 창제 이후 기록 |
사모곡, 청산별곡, 가시리, 서경별곡, 정석가, 동동(월령체) |
경기 체가 |
고려 중기 ~ 조선 초기 3음보 분절체 + 후렴구 귀족 문학, 교술 장르 당대 문인들의 (물질적) 자부심 조선시대 가사 문학의 기원 (유교적 자부심) |
||
패관 문학 |
가담항설의 기록 설 : 교훈적 수필 |
백운소설 (이규보) | |
가전체 문학 |
사물을 의인화 → 풍자적, 교훈적 전기 형식 순수한 개인의 창작물 |
국순전(술), 공방전(엽전), 국선생전(술), 청강사자현부전(거북), 죽부인전(대나무), 저생전(종이), 정시자전(지팡이) | |
시조 | 고려 중기 ~ 조선 3장 6구 45자 내외 정형시가 4음보 분장체 서정시가 |
||
한문학 | 송인(정지상), 부벽루(이색) | ||
조선 | 악장 | 공식적인 행사 조선 건국의 정당성 홍보 왕조의 번영 기원 정치적 목적성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
시조 | <조선 후기 시조 특징> ➀ 고산 윤선도의 등장 ➁ 가단의 형성, 시조집 편찬 ③ 사설시조 등장 |
||
가사 | 4음보 연속체 교술시가 경기체가 - 악장 - 가사 운문 → 산문 과도기적 형태 (중간적 형태) |
전기: 상춘곡(정극인), 면앙정가(송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정철), 규원가(허난설헌) | |
후기: 태평사, 선상탄, 누항사 (박인로), 농가월령가(월령체), 연행가(북경 견문) | |||
잡가 | 조선 후기 하층 계급의 전문 소리꾼 4음조 가사 율격 but 파격 상층 문화에 대한 모방 심리 |
||
민요 | |||
고전 소설 |
주제: 권선징악, 도덕적 내용 인물: 재자가인, 영웅적 기질 구성: 일대기적 형식 문체: 운문체, 서술자 주관개입(~더라체) |
전기: 김시습의 금오신화 | |
후기: 박지원의 한문소설, 군담소설, 판소리계 소설 | |||
판소리 | 창(음악), 아니리(문학), 발림(연극) 종합예술양식 부분의 독자성: 전체적 통일성 × 문체의 이중성: 서민 + 양반 모두 향유 주제의 양면성: 양반의식 + 민중 저항적 의식 진양조≪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 |
춘향가, 흥보가(박타령), 심청가, 적벽가, 수궁사(토끼 타령) | |
민속극 | 가면극(탈춤): 비판, 풍자, 무대의 개방성, 옴니버스식 구성 | 봉산탈춤 (재담구조: 조롱→호령→변명→일시적 해소) |
|
고전 수필 |
조선후기 3대 여류 한글 수필: 동명일기, 조침문, 규중칠우쟁론기 |
||
한문학 | 황현의 절명시, 정약용의 타맥행 |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