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한국사 사전

중종반정(中宗反正),1506년, 연산군, 진성대군 이역

Jobs9 2021. 4. 15. 19:26
반응형

조선 제10대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 이역(晉城大君 李懌)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1506년(연산군 12) 성희안(成希顔)·박원종(朴元宗) 등 이른바 훈구세력이 임사홍(任士洪)·신수근(愼守勤) 등의 궁금세력(宮禁勢力)과 결탁해 학정을 거듭하던 연산군을 폐위시킨 사건이다.

연산군은 당시 특권 관료층인 훈구세력과 성종 때부터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신진 사림세력이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가운데 왕위에 올랐다. 그는 1498년 훈구세력과 결탁해 성리학적인 입장에서 왕도정치를 추구하는 사림파를 무오사화로 한 차례 거세하였다.

이로써 정치적 우세를 더욱 확고히 한 훈구세력은 그 횡포가 더욱 심해지고 권귀화(權貴化)의 경향을 현저하게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연산군은 궁금 계열 중심의 측근 세력을 새로이 등장시켜 이번에는 훈구세력의 경제 기반을 탈취하고자 1504년 갑자사화를 일으켰으며, 이때 사림계열의 희생도 함께 있었다.

이와 같이 두 차례의 사화가 거듭되는 동안 연산군의 학정은 더욱 심해졌다. 즉, 자신의 실정에 대한 직간을 멀리하고, 경연(經筵)과 대제학제도를 폐지하였으며, 창덕궁과 담을 사이에 두고 있는 성균관을 연락(宴樂)의 장소로 만들었고, 장악원을 개칭한 연방원(聯芳院)을 원각사(圓覺寺)에 두어 여기(女妓)들의 모임 장소로 삼았다.

뿐만 아니라 전국에 채청·채홍사(採靑採紅使)를 보내 미녀를 선발하였는데 이를 ‘운평(運平)’이라 하고, 그 중에서 뽑힌 기녀를 ‘흥청(興淸)’이라 하여 300명을 궁중에 기거하게 하였다.

또한, 사냥을 위해 도성 밖 30리의 민가를 철거해 민원을 샀으며, 이러한 학정을 비방하는 한글투서 등이 있자 『언문구결(諺文口訣)』을 불태우는 등 한글 사용을 금지하였다.

더욱이 사치와 연락을 계속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내연(內宴)에 나온 사대부의 부녀자를 농락하는 등 황음(荒淫)이 자행되는 가운데 정치는 거의 방기되어 내시 김자원(金子猿)에게 맡겨진 상태였다.

이러한 연산군의 학정은 궁금세력과 결탁해 이루어졌으므로 그를 축출하려는 움직임이 사림계열에서도 있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거사 계획은 훈구세력에 의해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겨졌다.

내용

1506년 왕의 기휘(忌諱)로 파직되어 한거중이던 전 이조참판 성희안과 지중추부사 박원종 등이 연산군의 폐출을 밀약하는 한편, 당시 인망이 높던 이조판서 유순정(柳順汀)의 호응을 얻었다.

또 연산군의 사랑을 받고 있던 군자감부정(軍資監副正) 신윤무(申允武), 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 박영문(朴永文), 전수원부사 장정(張珽) 등의 호응을 얻어 그 해 9월 연산군이 장단의 석벽(石壁)으로 유람하는 기회를 노려 거사하려 하였다. 그러나 행차가 중지되는 바람에 거사가 중지될 형세였다.

이때 호남에서 귀양살이를 하고 있던 유빈(柳濱)·이과(李顆) 등의 거사 격문이 서울에 전해지게 되었고 그 세를 막을 수 없어 예정대로 무사들을 훈련원에 모으게 되었다.

먼저 진성대군에게 거사를 알리는 한편, 신수근·수영(守英) 형제와 임사홍 등을 불러내어 격살하는 데 성공하였다.

정변이 성공하자 성희안 등은 성종의 계비(繼妃)이며 진성대군의 친어머니인 윤대비(尹大妃)를 경복궁에서 만나 허락을 얻어 연산군을 폐하고 강화 교동에 안치하는 동시에, 이튿날인 9월 2일 경복궁 근정전에서 진성대군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이가 곧 중종이며, 이 정변을 중종반정이라 한다.

이로써 연산군의 학정은 끝났으나 정치의 주도권은 훈구계열로 돌아갔다. 따라서, 중종 이전부터 문제되어온 정치 체제의 모순에 대한 근본적인 시정은 이후에도 기대하기 어려워, 이후 훈구·사림 두 계열간의 대립이 재현되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