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전제(前提, presupposition), 의미론적 전제, 화용론적 전제

Jobs 9 2021. 11. 1. 22:03
반응형

전제

 

전제(前提, presupposition)는 포괄적인 용어로서 한 문장이 발화되었을 때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함축 의미를 나타낸다.

 

1. 의미론적 전제

 

의미론적 전제는 설명에 있어서 전적으로 문장 또는 진술의 진리조건에 기대는 것이므로 논리적 전제라고도 한다. 전제는 하나의 문장 안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다른 명제를 가리킨다.

Leech는 , 전제는 진술 상호 간의 眞僞依存關係(truch-dependence)의 하나로서, 진술 X의 내부에 格下陳述 Y가 있을 때, X는 Y를 전제하고 있다고 하는 전제 규칙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眞僞論의 관점에서 설명한다면, X가 Y를 전제하고 있다는 것은 X가 참일 때 Y도 참이어야 하는 논리적 구속 관계를 지칭한다.

따라서 부정에 의해 부정되지 않는 요소가 전제인데, 이는 논리적으로 당초부터 참으로 인정된 명제이기 때문이다.

 

S₁: 프랑스의 왕은 대머리이다.

S₂: 프랑스 왕이 있다.

 

에서, S₁이 S₂를 전제한다고 할 때, 프랑스 왕이 대머리라고 하는 사실이 참이라면 분명히 프랑스 왕이 있음도 참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프랑스 왕이 있음이 거짓이라고 한다면 그 왕이 대머리는 아니든 상관없는 결과가 된다. 또한 프랑스의 왕이 대머리라는 것이 거짓이라고 해도 프랑스에 왕이 있다는 사실은 참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즉, S₁이 S₂를 전제할 때, S₁이 참이면 S₂도 참이고, S₂가 거짓이면 S₁은 참도 거짓도 아닌 僞理文을 상실한 결과가 된다. 또한 S₁이 거짓이라고 해도 S₂는 참으로 존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S₁의 참은 S₂의 참에 대하여 충분조건이 되는 동시에, S₂의 참은 S₁의 참에 대하여 필요조건이 된다. 또한 S₂의 참은 S₁의 거짓에 대한 필요조건이 되는 것이 전제이다.

즉, 의미론적 전제는, 진리 조건에 의해 정의되고, 절대적 제약이며, 절대로 부정될 수 없는 것으로 정리된다.

 

 

 

2. 화용론적 전제

 

화용론적 전제는 하나의 논리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어떤 대화 문맥에서 한 문장이 적절하게 사용되기 위한 조건으로 본다(셀라스, 1954). 즉, 전제는 진리 조건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성공적으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조건이라는 것이다.

대화에서 한 문장이 올바른 것으로서 그 뜻이 제대로 전달되려면, 대화 참가자들과 관련된 시간과 공간적 조건, 문화적 배경 따위의 문맥이 만족되어야 한다. 만약 이런 조건과 결부된 문맥이 적절한 것으로서 만족되지 않으면, 대화에 쓰인 문장을 이해할 수 없거나, 모욕, 농담 따위로밖에 받아들여지지 못하게 된다.

 

1) S₁: 박 선생의 아이들은 모두 귀엽다

S₂: 박 선생에게는 아이들이 있다.

2) S₁: 피아니스트는 피아노 연주를 그만두었다.

S₂: 피아니스트는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었다.

 

위 예문들은 S₁은 이론에 앞서서 S₂를 전제한다. 의미론적 개념에서는, 정의에 따라 S₂가 거짓인 모든 세계에서 S₁이 참도 아니고 거짓도 아니다. 그런데 화용론적 전제의 개념에서 보면, S₁을 말하는 사람이 S₂를 당연히 참으로 믿는 상황에서만 성실하게 대화가 이루어짐을 뜻한다. 다시 말해, 말할 이 가 S₂를 믿지 않으면서 S₁을 말하면, 그것은 성실하지 못한 말이 되고 만다. 곧 전제는 의미론적 개념에서는 참, 거짓의 이가 논리에 대한 조건으로 설명되고, 화용론적 개념에서는 성실성 조건으로 설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용론적 전제는, S₁이 S₂를 전제한다는 것은 아래 조건일 때에만 말할이가 S₁을 올바로 사용한 것이라는 뜻이다.

 

조건 : S₂가 참이다.

말할이가 S₂를 믿는다.

적어도 S₂를 참으로 생각한다.

 

결국, 화용론적 전제는 문장의 진리 값을 따지는 의미론적 전제에서처럼 고정불변의 의미가 아니라 대화 문맥의 특정 상황에서 성립되는 가변적인 의미 관계이다.

의미론적 전제와 화용론적 전제의 차이점은 아래 표와 같다.

 

의미론적 전제 화용론적 전제
1. 진리조건에 의해 정의된다.
2. 절대적 제약이다.
3. 절대로 부정될 수 없다.
4. 어휘자체의 합성적 의미로부터 나타나는 전제이다.
1. 적절조건에 의해 정의된다
2. 상대적 제약이다.
3. 맥락에 따라 부정될 수 있으나
부정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다.
4. 그것뿐만 아니라 맥락에서도 나타 나는 전제이다.

 

 

3. 다양한 전제를 유발하는 언어적 장치

 

※ ㄱ문장은 주문, ㄴ 문장은 전제

㉮ 고유명사... 문장이나 발화에서 언급된 고유명사는 그것이 지시하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이 존재함을 전제한다.

ㄱ. 진호는 나의 첫사랑이다.

ㄴ. 진호가 존재한다.

㉯ 관형절... 한정적 표현이나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것과 같은 한정적 기술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다.

ㄱ. 나는 어제 먹은 만두를 오늘도 먹었다.

ㄴ. 나는 어제 만두를 먹었다.

㉰ 시간 부사절... ―기 전에, ―후에 등

ㄱ. 스트라우슨이 태어나기 전에 프레게는 전제를 알았다 / 알지 못했다.

ㄴ. 스트라우슨은 태어났다.

㉱ 사실성 동사... 모문의 사실동사는 내포문이 참임을 전제한다.

ㄱ. 영자는 길우와 결혼한 것을 후회한다 / 후회하지 않는다.

ㄴ. 영자와 길우는 결혼했다.

※ 사실성 동사 : 어떠한 사건이 참임을 전제하는 동사의 한 부류 (후회하다, 깨닫다, 알다 등)

㉲ 상태 변화 동사... 이전의 상태와 이후의 상태에 변화가 있음을 전제함

ㄱ. 그 독재자는 계속 로마를 지배했다 / 지배하지 않았다.

ㄴ. 그 독재자는 로마를 지배한 적이 있다.

※ 상태변화 동사: 주어의 상태가 변화함을 나타내는 동사의 한 부류(멈추다, 시작하다, 계속하다, 끝내다 등)

㉳ 반복어... 반복 표현은 이전에 동일한 행위가 있었음을 전제한다.

ㄱ. 비행기가 다시 왔다./오지 않았다.

ㄴ. 비행기가 전에 왔다.

※ 반복어 : 또, 다시, 반복해서 등

반응형

㉴ 수량 표현... 수량 표현과 함께 쓰인 지시 대상은 그 지시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ㄱ. 모든 생물은 죽는다

ㄴ. 생물이 존재한다.

㉵ 분열문... 분열 구문이 전제를 생성한다.

ㄱ. 방금 흩날린 것은 눈송이였다.

ㄴ. 방금 무엇인가가 흩날렸다.

※ 분열문 : 강조하기 위해 분리한 문장

㉶ 함축어

ㄱ. 철수는 문을 간신히 열었다./열지 못했다.

ㄴ. 철수는 문을 열려고 노력했다.

※ 함축어 : 간신히, 기어코 등

㉷ 비교와 대조

ㄱ. 캐롤라인은 클레어보다 훌륭한 요리사이다 / 아니다.

ㄴ. 클레어는 요리사이다.

㉸ 반사실적 조건문

ㄱ. 내가 만약 새라면 저 건너 보이는 작은 섬까지 날아갈 것이다. / 날아가지 않을 것이다.

ㄴ. 나는 새가 아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