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

은유(隱喩, Metaphor), 은유 특성, 은유 갈래, 은유 과정

Jobs 9 2021. 11. 4. 12:58
반응형

은유

 

1. 은유(隱喩, Metaphor)의 정의 

 

- 한 종류의 사물을 유사성을 가진 다른 종류의 사물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

- 은유법이 수사법의 한 갈래로 속해있다고 한다면 은유는 조금 더 확대해서 일상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말에 들어가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 어렵게 말하면 추상적인 경험 영역을 구조화하고 이해하고 수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경험 영역의 논리와 구조를 추상적인 경험 영역으로 투사하는 것이다.

예) a, 논쟁은 전쟁이다.

a', 거기서 만약 네가 전략을 사용한다면 그는 참패할 것이다.

• a 에서 ‘논쟁’과 ‘전쟁’은 다른 개념이나 논쟁은 전쟁을 매체로 이해되고 표현되며 행위로 이행될 수 있음.

​• 논쟁을 이해하는 데에 전쟁을 이용하는 것은 둘 사이에 유사성이 있기 때문이다.

: 즉, 전쟁에서 무기를 사용하는 것처럼 논쟁에서도 말을 무기로 사용하고, 전쟁에서 책략을 사용하는 것처럼 논쟁에서도 꾀를 사용하고, 전쟁에도 승패의 개념이 있고 논쟁에도 승패의 개념이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은유적 개념이 형성되면 a'와 같은 은유적 표현을 만들 수 있다.

2. 은유의 과정

 

은유는 목표 개념과 근원 개념 두 개념 영역 간의 사상에 의해 생성된다.

- 목표개념 : 설명의 대상이 되는 목표 영역에 속하는 개념적 개체

• 은유법으로 생각했을 때에 원관념에 해당하는 말이다.

• 목표 영역으로 자주 사용되는 개념 : ‘감정, 욕망, 도덕성, 사고, 삶 등’의 추상적인 개념

- 근원 개념 : 목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매체로 선택되는 근원 영역에 속하는 개념적 개체

• 은유법으로 생각했을 때에 보조관념에 해당하는 말이다.

• 근원 영역의 개념으로 자주 사용되는 개념 : ‘신체, 건강과 질병, 동식물, 사물 등’의 구체적인 개념

- 은유적 사상 : 목표 영역에 근원 영역을 사상함으로써 은유적 개념이 생성되는 것

• 은유적 사상은 구체적인 근원 영역에서 추상적인 목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일방향적 특성을 지닌다.

• 근원 영역을 목표 영역에 사상할 때 어떤 근원 개념이 선택되는가는 목표 개념의 '어떤 특성을 부각하여 초점으로 하는가'에 달려있다.

​[용어 정리]

• 투사 (投射, Projection) : 직시적 표현이 자신 중심에서 다른 대화참여자 또는 실제 이야기의 주인공 중심으로 전환되는 방법.
어떠한 표현이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전환되는 것.
• 사상 (寫像, Mapping) : ​하나의 집합에 속한 개념적 실재물을 그와 다른 집합의 한 부분으로 투사하는 행위이다.
이미 확정된 문자적ㆍ일차적 의미를 다른 의미와 연관 짓는 인지 과정.
• 원관념 ​(元觀念,Tenor) : 표현하고자 하는 실제 내용
• 보조관념 (補助觀念, Vehicle) : 비유에서 원관념의 뜻이나 분위기가 잘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관념. 또는 비교하거나 비유하는 관념.

 

 

3. 은유의 특성

 

1) 관습성

은유는 일상적인 경험을 토대로 개념화하고 표현된다.

​예) 언어는 생각을 담는 그릇이다

: 구체적인 개념 ‘그릇’을 ‘언어’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에 사상한 은유적 개념이다.

 

2) 체계성

은유는 투사와 개념 연결의 측면에서 체계적인 면모를 보인다.

- 체계성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개념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이 있다.

 

(1) 개념적 체계성

- 은유가 어떤 개념의 한 측면을 다른 개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이라면, 그 개념의 어떤 측면은 부각되고 어떤 측면은 은폐된다.

예) 사랑은 전쟁이다.

전쟁적 측면과 비전쟁적 측면이 동시에 나타나지 않고 어느 하나씩만 나타나게 되었다.

‘사랑’의 투쟁적 측면은 부각하고 협동적, 비 투쟁적 측면은 은폐한다.

 

(2) 구조적 체계성

예) "인생은 여행이다."

- 이 은유적 개념은 근원 영역의 ‘여행’ 개념을 목표 영역의 ‘인생’ 개념에 사상함으로써 만들어진다.

- 이 경우 두 영역 간의 사상은 두 영역에 속하는 개념의 구성 요소들 간의 체계적인 사상인 것이다.

3) 계층성

- 윗물의 특성이 아랫물의 특성을 결정한다.

- 은유적 사상들은 독자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며, 일련의 사상이 하나의 계층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 그 틀 속에서 하위 층위의 사상들은 상위 층위의 사상들의 구조를 그대로 물려받는다.

제1층위 •‘사건 구조 은유’는 목표 영역에 근원 영역을 사상함으로써 이루어짐.
•목표 영역인 사건의 구성 요소는 상태 · 변화 · 원인 · 목적 · 수단(도구, 사람 등) · 어려움 · 과정 등이며, 근원 영역의 요소로는 물리적 시공간 · 물리적 힘 · 물리적 동작 등을 들 수 있다.
제2층위 •2층위 은유인 ‘목적 있는 삶은 여행이다’는 상위 층위의 ‘사건 구조 은유’의 모든 구조를 이용한다.
•이것은 목적 있는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상위 층위의 ‘사건 구조 은유’가 나타내는 보편적인 사건들의 하위 경우들이기 때문임.
제3층위 •3층위 은유인 ‘사랑은 여행이다’의 경우에 목표 영역의 ‘연인들’은 근원 영역의 ‘여행자’들에, ‘사랑하는 관계’는 ‘여행 수단’에 각각 대응됨.
•또한 '사랑하다'라는 사건은 보편적인 삶의 사건들 중 특정한 사건에 해당하므로 [사랑은 여행이다] 은유는 [목적 있는 삶은 여행이다] 은유의 구조를 계승한다.

4) 창조성 

- 은유도 새롭게 만들어 낼 수 있다.

- 문화변동의 갈래 중에서 1차적 발명과 2차적 발명이 있듯이 은유에서도 이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새로운 문화 요소를 창조하는 것 : 1차적 발명 = 새로운 은유의 창조

•있던 문화요소를 활용하는 것 : 2차적 발명 = 은유를 통한 새로운 유사성의 창조

​(1) 새로운 은유의 창조

- 관습적인 은유의 계층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은유를 창조한다.

: 즉, 상위 계층에 속하는 은유 구조를 적용하여 하위 계층의 은유를 만드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2층위에서는 ‘인생’ 개념과 ‘전쟁’ 개념 사이에는 구조적 유사성이 있다.(치열함, 전략의 필요성, 경쟁과 파괴의 특성과 보호의 특성이 공존함 등)

이 두 개념의 유사성은 우리 문화 안에 실재하며 우리의 경험에 근거하고 있다.

•​3층위에서는 ‘인생’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사랑’을 ‘전쟁’에 사상하여 새로운 은유를 만들어낸 경우이다.

​(2) 은유를 통한 새로운 유사성의 창조

​예) "시간은 돈이다."

이 예에서 [시간 · 돈은 한정된 자원이다]라는 존재론적 은유와 [시간 · 돈은 귀중한 상품이다]라는 존재론적 은유를 통해

‘시간’과 ‘돈’은 ‘한정된 자원’과 ‘귀중한 상품’으로서의 유사성을 보이게 된다.

 

5) 비대칭성

- 비가역적이다

= 은유는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개념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지 구체적 개념을 추상적 개념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a. 인생은 여행이다 ↔ b.*여행은 인생이다

: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개념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a.는 올바른 은유이지만 구체적 개념을 추상적 개념의 관점으로 이해하려는 b.는 올바른 은유라고 할 수 없다.

6) 문화관련성

- 은유는 그것이 사용되는 문화 환경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언어 역시 문화요소이므로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나타난다.

- 목표 개념을 은유적으로 개념화하는 데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음.

- 문화적 차이는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차이와 같은 문화 안에서의 차이로 구분된다.

배알이 꼴리다를 영국에 가서 그대로 번역해 말하면 못 알아듣고, 반대로 영국의 것을 우리말로 번역해 모자장이처럼 미쳤다고 하면 한국인 누구나 못 알아듣는다.

• 한국, 일본, 중국과 같이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는 화나다의 관용구에서 복부 · 내장을 포함한다.

• 그러나 미국에서는 '화난다'를 머리에 '스팀(증기, 김)'이 올라온다로 표현된다.

또, 모자 산업이 발달한 영국에서는 모자를 만들 때 수은이 포함된 원료를 사용하다 보니 수은중독에 걸린 모자장이들이 보이는 착란 증세를 화에 비유하였다.

 

반응형

4. 은유의 갈래

 

1) 관습성에 따른 분류

익숙한 것이냐, 창의적인 것이냐

- 관습적 은유 : 우리 문화의 일상적인 개념 체계를 구조화하는 은유

- 비관습적 은유 : 관습적인 개념 체계 밖에 있으며 상상적이고 창조적인 은유

2) 보편성에 따른 분류

근원 영역과 목적영역끼리 두루두루 투사되느냐, 꼭 그것끼리만 투사되느냐

- 일반적 은유 : 고정된 근원 영역과 목표 영역을 갖지 않으며, 사상에서 특별히 명시되는 개체의 고정된 목록이 없다.

- 특징적 은유 : 고정되고 특별한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두 영역 간의 상응되는 특정한 개체들이 존재한다.

3) 본질에 따른 분류

개념 간에 투사가 이뤄지느냐, 개념에 영상을 포함하여 투사가 이뤄지느냐

- 개념적 은유 : 한 개념을 다른 개념에 사상함으로써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일상적 이해를 조직하는 은유.

- 영상적 은유 : 개념의 사상이 아니라 영상의 사상을 포함하는 은유.

4) 인지기능에 따른 분류

하나의 개념을 투사하느냐, 여러 개의 개념이 상호 연관되어 있느냐,

눈에 안 보이는 걸 보이는 데다 투사하느냐

- 구조적 은유 : 고도로 구조화되고 명확히 묘사된 하나의 개념을 사용하여 다른 어떤 개념을 구조화하는 은유.

- 지향적 은유 : 한 개념을 다른 개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념들이 상호 관련되어 전체 체계를 조직한다고 보는 은유.

- 존재론적 은유 :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개념화하는 은유.

​[용어 정리]

• 개념 (槪念, Concept) : 여러 관념 속에서 공통된 요소를 뽑아내어 종합하여서 얻은 하나의 보편적인 관념.
언어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판단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나 판단을 성립시키기도 한다.
• 영상 (映像, Mapping) : ​머릿속이나 마음속에서 그려지는 모습이나 광경.
• 존재 ​(存在, Existance, Sein, Eter) :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 외부 세계)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또는 그 일.
그 양상에 따라 물리적ㆍ수리적ㆍ사회적ㆍ인격적인 것 따위로 구분한다.
• 지향 (志向, aim) : 의식이 어떤 대상을 향하고 있는 일.
이러한 지향성은 브렌타노(Brentano, Franz)에 의하여 심적 현상의 본질적인 성격이라고 규정되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