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재건주의, 카운츠(G. Counts), 러그(H. Rugg), 브라멜드(T. Brameld)

Jobs 9 2020. 11. 22. 20:34
반응형

1. 재건주의의 의미

1) 재건주의란 위기에 처한 인류문화를 교육을 통해 재건하자고 주장하는 교육사상이다.

2) 이는 진보주의와 본질주의, 그리고 항존주의 교육이론을 검토하여 그 단점을 배격함과 동시에 장점을 종합하고자 하였으나, 진보주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2. 재건주의의 전개

1) 재건주의는 브라멜드가 1956년 출판한 「재건된 교육 철학을 지향하여」에서 체계화되어, 1957년 소련 인공위성 발사로 미국 교육이 재검토되고 비판받는 과정에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2) 카운츠(G. Counts), 러그(H. Rugg), 브라멜드(T. Brameld)가 대표적 인물이다.

 

 

3. 재건주의 교육이론

1) 교육의 목적 : 재건주의에 따르면 개인은 항상 사회집단과 결부되어 있으므로 개인과 사회 양쪽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사회적 자아의 실현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2) 교육은 사회 개혁 수단

① 재건주의에서는 현대의 위기가 소수 독점자본의 지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② 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사회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혁신이 필요한데, 선구적 역할을 교육이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교육 내용 : 재건주의는 현대사회의 사회개혁에 유용한 통찰이나 정보, 방법론을 제공해 주는 사회과학을 중시한다.

4) 교육 방법

① 학생들에게 사회적 의식을 각성시키기 위해 현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도록 권장한다.

② 그리고 종교․정치․경제․교육의 논쟁거리를 탐구하고, 합의를 도출해 내는 집단토의 기법을 중시했다.

 

4. 재건주의의 의의와 한계

1) 의의 : 재건주의 교육이론은 현대 문화의 문제점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이상적인 미래 문화의 건설을 위한 교육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불러 일으켰다.

2) 한계 : 그러나 이상적인 미래 문화가 어떤 것이며, 교육을 통해 이상적인 미래 문화를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